KR102314206B1 -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206B1
KR102314206B1 KR1020200002004A KR20200002004A KR102314206B1 KR 102314206 B1 KR102314206 B1 KR 102314206B1 KR 1020200002004 A KR1020200002004 A KR 1020200002004A KR 20200002004 A KR20200002004 A KR 20200002004A KR 102314206 B1 KR102314206 B1 KR 10231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
reinforcing frame
coupled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919A (ko
Inventor
임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20000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206B1/ko
Priority to US16/805,876 priority patent/US20210204690A1/en
Publication of KR2021008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1Auxiliary apparatus with electrical connections for office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테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테이블은 테이블 판, 커넥터부, 제1테이블 다리, 제2테이블 다리 그리고 연결통신부를 포함한다. 테이블 판은 관통부에 결합되어 테이블 판의 하측에 위치되고, 관통부를 통해 테이블 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1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포트를 가진다. 제1테이블 다리는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제2테이블 다리는 테이블 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다. 연결통신부는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2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2포트와, 일단부는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이블 판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테이블 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다른 테이블의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통신선을 가진다.

Description

테이블{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 기기의 보급이 증가 됨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의 테이블 주변에는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팩스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연결된 테이블에도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폰(Microphone) 등의 외부장치들을 구비해 놓고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들은 각각 케이블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각각의 장치들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케이블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무실의 각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배선이나 전화용 배선 등으로 인해 각 테이블에 연결되는 선의 수가 점차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들을 정리해 두지 않으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테이블에 앉아 작업하는 사람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부서 이동, 자리배치 조정 등으로 테이블을 옮겨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배선이나 전화용 배선 등을 다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선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0003670호(2010.01.11.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서리의 일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테이블 판; 상기 관통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 판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테이블 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1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포트를 가지는 커넥터부;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테이블 다리;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테이블 다리; 그리고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2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2포트와, 일단부는 상기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 판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 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다른 테이블의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통신선을 가지는 연결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테이블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테이블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프레임을 가지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통신선에서 상기 테이블 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수납하는 받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통신선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통신선이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외부 전기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콘센트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신선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포트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통신부는 테이블 판에 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제2포트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의 설치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아 테이블의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커넥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연결통신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포트를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연결통신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받침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케이블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2는 도 1의 테이블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은 테이블 판(100), 커넥터부(200), 제1테이블 다리(300), 제2테이블 다리(400) 그리고 연결통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판(100)은 모서리의 일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110, 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부(200)는 관통부(110)에 결합되어 테이블 판(1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커넥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200)는 제1포트 및 콘센트(220)를 가질 수 있다.
제1포트는 관통부(110)에 결합되는 수용부(23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포트(210,211)와, 수용부(23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부포트(212,213)를 가질 수 있다. 하부포트(210,211) 및 상부포트(212,213)는 각각 짝을 이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하부포트(210)는 하나의 상부포트(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부포트(211)는 다른 상부포트(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포트(210,211)에는 각각 외부의 제1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통신선은 인터넷 선 또는 전화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하부포트(210)에 인터넷 선이 연결되면, 다른 하부포트(211)에는 전화선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하부포트(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부포트(212)에는 전자제품(이하, 컴퓨터를 예로 설명함)의 인터넷 선이 연결되고, 다른 상부포트(213)에는 전화기와 연결된 전화선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외부의 인터넷 선과 연결될 수 있고, 전화기는 외부의 전화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부포트(212,213)는 관통부(110)를 통해 테이블 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인터넷 선과 전화기의 전화선은 상부포트(212,213)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콘센트(220)는 수용부(230)를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221)을 가질 수 있다. 콘센트(220)에는 외부 전기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기선은 예를 들면, 컴퓨터의 전기선일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220)는 예를 들면, 멀티탭일 수 있다.
콘센트(220)는 관통부(110)를 통해 테이블 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선도 콘센트(2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200)는 수용부(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관통부(110)를 개폐하는 커버(240)를 가질 수 있다.
제1테이블 다리(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테이블 판(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테이블 다리(300) 중 하나에는 제1바퀴(3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테이블 다리(4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테이블 판(10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테이블 다리(400) 중 하나에는 제2바퀴(4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바퀴(321) 및 제2바퀴(421)만 지면에 닿도록 하여 테이블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통신부(500)는 제2포트(510) 및 연결통신선(550)을 가질 수 있다.
제2포트(510)는 테이블 판(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포트(510)에는 외부의 제2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통신선(550)은 테이블 판(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제2포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통신선(550)은 테이블 판(100)의 타측으로 구비된 후 테이블 판(1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의 제2통신선이 제2포트(510)에 연결되면, 제2통신선은 제2포트(510)에 의해 연결통신선(55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은 보강프레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부(600)는 제1보강프레임(610) 및 제2보강프레임(620)을 가질 수 있다.
제1보강프레임(610)은 테이블 판(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테이블 다리(3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보강프레임(620)은 테이블 판(10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테이블 다리(4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더하여, 보강프레임부(600)는 연결보강프레임(630)을 가질 수 있다. 연결보강프레임(630)은 일단부는 제1보강프레임(6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보강프레임(620)에 연결되어 테이블 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연결통신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포트를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포트(510)는 지지플레이트(5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530)는 결합플레이트(52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520)에는 복수의 제1결합공(5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강프레임(610)에는 제1결합공(522)에 대응되는 제1체결공(6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525)가 제1결합공(522)을 통해 제1체결공(611)에 결합됨에 따라 결합플레이트(520)는 제1보강프레임(6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체결부재(525)를 분리하면 결합플레이트(520)는 제1보강프레임(6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제2포트(510)는 제1보강프레임(6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520)에는 제1개구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신선(550)의 일단부(551)는 제1개구부(521)를 통해 결합플레이트(520) 및 테이블 판(100)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제2포트(51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통신선(550)은 테이블 판(100)의 하부에 연결보강프레임(630)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은 고정클립(8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립(800)은 테이블 판(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에 연결통신선(550)의 일부를 수용하여 연결통신선(550)이 테이블 판(10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클립(800)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테이블 판(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클립(800)은 체결부재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공구(예를 들면, 볼트 드라이버)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홀(810)을 가질 수 있다. 고정클립(800)은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 연결통신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받침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은 받침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700)에는 복수의 제2결합공(7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보강프레임(620)에는 제2결합공(720)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6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725)가 제2결합공(720)을 통해 제2체결공(621)에 결합됨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700)는 제2보강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725)를 분리하면 받침 플레이트(700)는 제2보강프레임(6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받침 플레이트(700)는 제2보강프레임(62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통신부(500)는 테이블 판(100)에 탈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포트(510)는 제1보강프레임(610)에 결합되거나, 제2보강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700)에는 제2개구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신선(550)의 타단부는 제2개구부(710)를 통해 받침 플레이트(700) 및 테이블 판(100)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통신선(550)은 테이블 판(1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테이블 판(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통신선(550)은 받침 플레이트(700) 및 테이블 판(100) 사이의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연결통신선(550)의 타단부에는 잭(580)이 결합될 수 있다. 잭(580)은 이웃하는 다른 테이블의 제2포트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테이블의 연결통신선의 잭은 다른 테이블의 제2포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 개의 테이블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포트(510)가 소켓 형태이고, 제2포트(510)에 잭(580)이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포트(510)가 잭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잭이 소켓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커넥터부(200)에 연결되는 제1통신선은 이웃하는 테이블의 연결통신선(550)의 일부 통신선(560)일 수 있으며, 이때, 통신선(560)은 인터넷 선(561) 및 전화선(562)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케이블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도 8을 더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8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 테이블(10b)의 커넥터부(200b)에는 좌측 테이블(10a)의 연결통신선(550a)에 포함된 인터넷 선(561a) 및 전화선(562a)이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로 이웃한 테이블이 연결통신선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통신선의 연결이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선을 줄여 미관상으로도 좋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통신선(550)은 제2통신선을 포함하게 되며, 서로 이웃한 테이블 간에는 제2통신선도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 테이블(10b)의 제2포트(510b)에는 좌측 테이블(10a)의 연결통신선(550a)에 포함된 제2통신선(570a)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서로 이웃한 테이블이 연결통신선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통신선의 연결이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선을 줄여 미관상으로도 좋을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우측 테이블(10b)의 통신연결선(550b)은 또 다른 테이블의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서는, 모니터는 커넥터부(200) 근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무실 등에 복수개의 테이블이 설치될 때, 테이블의 설치 위치에 따라 모니터 등의 배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8에서 좌측 테이블(10a)의 커넥터부(미도시)가 우측 테이블(10b)의 커넥터부(200b)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우측 테이블(10b)의 제2포트(510b)는 커넥터부(200b)의 좌측에 위치되어 좌측 테이블(10a)과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우측 테이블(10b)의 제2포트(510b)는 좌측 테이블(10a)의 연결통신부의 잭과 가까워질 수 있어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우측 테이블(10b)의 커넥터부(200b)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우측 테이블(10b)의 제2포트(510b)는 우측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좌측 테이블(10a)의 연결통신선(550a)을 우측 테이블(10b)의 제2포트(510b)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좌측 테이블(10a)의 제2통신선(570a)이 우측 테이블(10b)의 우측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좌측 테이블(10a)의 제2통신선(570a)이 처지게 되어 보기가 좋지 않고, 심한 경우, 제2통신선(570a)의 길이가 짧아 제2포트(510b)에 연결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결합플레이트(520)를 제1보강프레임(610)에서 분리하고, 받침 플레이트(700)를 제2보강프레임(620)에서 분리하며, 고정클립(800)을 테이블 판(100)에서 분리한 후, 결합플레이트(520)를 제2보강프레임(620)에 결합하고, 받침 플레이트(700)를 제1보강프레임(610)에 결합하고, 고정클립(800)을 테이블 판(100)에 결합하여 제2포트(510b)가 좌측 테이블(10a)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포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의 설치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테이블의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이블 판
200: 커넥터부
300: 제1테이블 다리
400: 제2테이블 다리
500: 연결통신부
510: 제2포트
520: 결합플레이트
550: 연결통신선
600: 보강프레임부
610: 제1보강프레임
620: 제2보강프레임
630: 연결보강프레임
700: 받침 플레이트
800: 고정클립

Claims (7)

  1. 모서리의 일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테이블 판;
    상기 관통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 판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테이블 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1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포트를 가지는 커넥터부;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테이블 다리;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테이블 다리;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웃하는 테이블로부터 연장되는 제2통신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2포트와, 일단부는 상기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 판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 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다른 테이블의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통신선을 가지는 연결통신부; 그리고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테이블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테이블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프레임을 가지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통신부는, 상기 제2포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 및 상기 제1체결공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제2체결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 또는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포트가 상기 제1보강프레임에 위치되면 상기 연결통신선은 상기 테이블 판의 타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포트가 상기 제2보강프레임에 위치되면 상기 연결통신선은 상기 테이블 판의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통신선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통신선이 상기 테이블 판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외부 전기선이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콘센트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신선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포트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KR1020200002004A 2020-01-07 2020-01-07 테이블 KR10231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04A KR102314206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US16/805,876 US20210204690A1 (en) 2020-01-07 2020-03-02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04A KR102314206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919A KR20210088919A (ko) 2021-07-15
KR102314206B1 true KR102314206B1 (ko) 2021-10-15

Family

ID=7665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04A KR102314206B1 (ko) 2020-01-07 2020-01-07 테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04690A1 (ko)
KR (1) KR102314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266B2 (en) 2018-05-23 2020-11-24 Herman Miller, Inc. Furniture system
US11457732B2 (en) * 2020-01-10 2022-10-04 MillerKnoll, Inc. Chase for connecting tables
US11432645B2 (en) * 2020-04-06 2022-09-06 Ditto Sales, Inc. Table support assembly with electrical/data interface
US11779108B1 (en) * 2020-11-02 2023-10-10 Artifox, LLC Table with slots and ledges
FI129714B (en) * 2020-11-18 2022-07-29 Hybrid Ventures Oy CABLE MANAGE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1Y1 (ko) * 2013-05-31 2014-09-04 유병석 선 정리기
KR200488703Y1 (ko) * 2017-01-23 2019-03-08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덕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책상용 상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829B2 (ja) * 1995-05-26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デスク装置
KR100981439B1 (ko) 2008-07-01 2010-09-13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케이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테이블
KR20190000628U (ko) *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1Y1 (ko) * 2013-05-31 2014-09-04 유병석 선 정리기
KR200488703Y1 (ko) * 2017-01-23 2019-03-08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덕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책상용 상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919A (ko) 2021-07-15
US20210204690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206B1 (ko) 테이블
US7878845B2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6971911B2 (en) Adaptable electrical workstation module
US7183504B2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20230327384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20190025877A1 (en) Monitor stand base with integrated outlets
US20120214349A1 (en) Networked Power And Communication Receptacle Devices
US20050069159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peaker unit
US20060288140A1 (en) Computer cable, junction box for use with computer cable
JP2010097916A (ja) 情報機器用配線システム
KR200488703Y1 (ko) 책상용 덕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책상용 상판
KR20020086348A (ko) 인출구겸용 세대단자함커버와 결합된 세대단자함과 이를이용한 단위세대내 통신선로의 배선시스템
KR100981439B1 (ko) 케이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테이블
KR102159465B1 (ko) 가구용 프레임장치
CN106067641A (zh) 音频转接头
JP3065995B2 (ja) 光ファイバ通信対応配線ボックス
KR200322282Y1 (ko) 배선정리가 용이한 책상
KR200379900Y1 (ko) 모니터 착탈식 데스크탑 컴퓨터 및 독립형 모니터 스탠드지지판
KR20060012431A (ko) 콘센트가 구비된 파티션
JPH06165338A (ja) 屋内配線システム
KR20030017447A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접속장치가 구비된 모니터
KR200167225Y1 (ko) 통신선연결용커넥터
KR200238729Y1 (ko) 컴퓨터용 통합 컨넥팅 장치
KR20060086652A (ko) 전선 가이드 구조체
KR200209889Y1 (ko) 배선덕트가 구비된 책상용 이중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