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87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872B1
KR102313872B1 KR1020210057900A KR20210057900A KR102313872B1 KR 102313872 B1 KR102313872 B1 KR 102313872B1 KR 1020210057900 A KR1020210057900 A KR 1020210057900A KR 20210057900 A KR20210057900 A KR 20210057900A KR 102313872 B1 KR102313872 B1 KR 10231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visualized
date
visualization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태
조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엔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of a mobil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for logging in to a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collecting a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a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identifying objects included in a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dentifying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in consideration of a user's authority and the purpose of use, and visualizing three-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Description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of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이하의 일 실시 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지하공간의 객체를 가시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입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technology for visualizing an object in an underground space using a mobile terminal.

노후화된 열수송관 파열 사고 등 도심지 지하 안전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공간을 통합한 지도의 신속한 구축 및 3차원 가시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이 도심지 지하 안전 관리 및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 중이다.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수도, 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난방의 지하시설물과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보도, 지하상가, 지하주차장의 지하구조물 및 시추공, 관정, 지질의 지반정보를 구축/관리가 필요하다. 기 구축된 지하공간 지도는 구축 및 관리 주체가 기관별로 이루어지고 있고, 종이 문서를 전산화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누락, 측량 데이터의 부정확성 등이 발생했으며, 민간 기업 주체의 통신/난방 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 접근이 어려우며 새롭게 매설되는 시설물의 최신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number of underground safety accidents in downtown areas such as rupture of aging heat transport pipes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rapid construction and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maps that integrate underground spaces.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to meet these needs is being built for the purpose of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and construction. In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underground facilities of water supply, sewerage, electricity, communication, gas, and heating, as well as underground structures of subways, underpasses, underground walkway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boreholes, wells, and geological information are constructed/ management is required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previously built underground map is done by each institution, and data omissions and inaccuracy of survey data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mputerizing paper documents. I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guarantee the up-to-dateness of newly buried facilities.

현재는 보안의 문제로 인해 현장조사원이 요청한 지하공간 지도를 출력하여 배포하며, 측량이 종료된 후 내부 서버에 측량된 정보를 입력/갱신한 후 출력된 지하공간 지도를 폐기하는 흐름을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신속성이 요구되는 갱신의 경우 대처하기가 어렵다. 또한, 측량이나 매설시 현재 위치에 존재하는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을 입체적인 형태로 확인하여 굴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시스템은 종이에 출력해 현장지원을 수행하기 때문에 2차원 지하공간 지도 형태만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현장조사원의 숙련도에 의존하므로 경험이 많은 조사원의 경우 정확도가 높아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번 측량을 해야하는 비용이 발생한다.Currently, due to security issues, the underground space map requested by the field surveyor is printed and distributed, and after the survey is completed, the surveyed information is input/updated to the internal server, and then the printed underground map is discard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case of an update requiring promptness. In addition, excav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check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underground structures existing at the current location in a three-dimensional form during surveying or burial. Since the existing system provides on-site support by printing on paper, only a two-dimensional map of the underground space is possible. Since this method relies on the skill level of the field surveyor, the accuracy of an experienced surveyor increases, but otherwise, the cost of performing multiple surveys to increase the accuracy is incurred.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시화 기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visualization techniq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보안을 고려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ecurity of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은,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ogging in to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collecting the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identify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sition; identifying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uthority and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and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이때,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에서 현재위치 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타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면,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면,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허가시작일과 허가종료일을 확인하는 단계;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서 지하공간 객체들의 차원과 허가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시작일 및 상기 허가종료일을 통해서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한 결과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이면, 상기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ecking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 ti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r address exists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if the tile exists,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a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f all objects of the tile exist,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s; checking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permission end date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if all objects of the tile are the latest versions; checking the dimension and permission authority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s in the object file list table; and checking whether a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rough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the permission end date, wherein the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includes: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date is accessible, if the date is accessible to the tile, the step of checking the object to be visualized may be performed.

이때,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은, 아이디, 타일위치좌표, 주소,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may include an ID, tile location coordinates, an address, a permit start date, and a permit end date.

이때,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은, 아이디, 지하공간 객체명, 파일이름, 차원, 허가권한 및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file list table may include an ID, an underground object name, a file name, a dimension, a permission authority, and a version.

이때,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check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ncludes, if the tile exists,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the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the object required for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is requested and transmitted, and information on the newly transmitted object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 is stored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the object file list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이때,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결과, 최신 버전이 아니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버전의 갱신이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버전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checki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f it is not the latest version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all the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needs to update the vers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questing and receiving an object, stor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located in the newly transmitted underground space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the object file list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and updating the version.

이때, 상기 허가권한은, 측정 목적에 따라 읽기, 갱신, 가시화불가 중에서 하나이고, 상기 가시화불가는, 상기 허가종료일이 넘은 경우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rmission right is one of read, update, and non-visibl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urpose, and the non-visible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when the permission end date has passed.

이때,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인하는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may include visualizing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or Among the objects, it is possible to partially visualize up to a preset distance from the essential o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이때,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으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may be visualized at a viewpoint requested by the user.

이때,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은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 로그 아웃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method includes: generating and uploading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field measurement work; and logging out of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이때, 상기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eld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an ID, a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an underground object name, a type of work, and whether to transm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현장지원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처리부;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정보 관리부; 및 상기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고,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3차원 가시화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field support service serv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object information; a login processing unit that logs in to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an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and a 3D visualization unit configured to check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a user's authority and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and visualiz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hecked object to be visualized.

이때, 상기 3차원 가시화부는, 상기 로그인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visualization unit may visualize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that can be confirmed during the login process, or preset from essential objec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identified objects to be visualized. It can only be partially visualized up to the distance.

이때, 상기 3차원 가시화부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으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visualization unit may visualize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at a viewpoint requested by the user.

이때,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업로드하는 객체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that generates and uploads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the field measurement operation.

이때, 상기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eld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an ID, a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an underground object name, a type of work, and whether to transmi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하고,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고, 상기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고,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하는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현장에서도 보안을 고려한 지하 지도를 3차원으로 공간 객체 가시화하여 현장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logs into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collects a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a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identifies an object included in a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and selects an object included in the til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of a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fies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a user's authority and the purpose of use, and visualizes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of an underground map considering security even in the field using a mobile terminal to field workers.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지하 지도의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가시화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를 전체 가시화하거나 부분 가시화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data of an underground map managed by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process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a 3D spatial object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visualized by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3D spatial object of the system is fully visualized or partially visualized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description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 description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 및 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of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은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100),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DB 서버(140),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 데이터베이스(160), 현장활용 시스템(170) 및 현장데이터 반영 서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includes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100,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application server for mobile 120, an integrated underground map DB server for mobile 140, and the field. It may include a support service device 150 , a database 160 , a field utilization system 170 , and a field data reflection server 180 .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장활용 시스템(170)에서 측량이나 굴착을 위한 지형 및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요청하면 지하지도 서비스 파일(112)를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로 송신한다.When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100 requests topographical and 3D spatial data for surveying or excavation from the field utilization system 170 of the mobile terminal, the underground map service file 112 is transferred to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application server. Send to (120).

지하공간 통합지도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의 gITF 변한 모듈(122)을 통해서 타일 형태의 2차원 지도 이미지 및 고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지하지도 서비스 파일(112)을 glTF 포맷으로 변환하고, 지하공간 통합지도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의 지도 압축 모듈(124)을 통해서 glTF 포맷으로 변환된 파일을 압축하여 gITF 타입맵(132)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DB 서버(140)로 제공한다.Through the gITF conversion module 122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application server 120, the underground map service file 112 including the 2D map image and altitude data file in the form of a tile is converted into a glTF format, and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The file converted to the glTF format is compressed through the map compression module 124 of the application server 120 to generate a gITF type map 132 and provided to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DB server 140 .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DB 서버(140)의 gITF 타일 제공 모듈(142)에서 gITF 타입맵(132)을 수신하면 보안/고속 전송모듈(144)을 통해 지하공간 정보의 보안 처리 후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로 전송한다.When the gITF type map 132 is received from the gITF tile providing module 142 of the mobil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DB server 140, the security/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44 performs security processing of the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and then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Send to 150.

측량 및 굴착을 위한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에서는 보안/고속 전송모듈(152)을 통해 수신한 gITF 타입맵(132)을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하고, 요청처리/지도캐시 모듈(154)은 현장활용 시스템(170)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요청된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보안 고속 전송 모듈(156)를 통해서 제공하여 가시화하도록 하며, 현장에서 수집한 공간 정보를 현장지원 서비스를 통해 현장데이터 반영 서버(180)로 보낸다. In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150 for surveying and excavation, the gITF type map 132 received through the security /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52 is stored in the database 160, and the request processing / map cache module 154 is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field utilization system 170, the integrated map of the underground space reques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nd visualized through the secure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56, and the 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field is provided as a field support service. It is sent to the field data reflection server 180 through

현장데이터 반영 서버(180)에서는 현장 수집 데이터를 표준DB 변환 모듈(184) 및 표준 DB 검증 모듈(182)을 거쳐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110)에 표준 shp 파일로 저장한다. 이때, shp 파일은 확장자가 shp인 파일을 나타낸다.The site data reflection server 180 stores the field collected data as a standard shp file in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110 through the standard DB conversion module 184 and the standard DB verification module 182 . In this case, the shp file indicates a file with an extension of shp.

관리자는 관리자 UI(190)를 통해 현장데이터 반영 서버(180)의 관리자 UI 제공부(186)와 통신하여 현장조사원이 작업을 수행할 위치, 수행 날짜, 지하공간 객체 등을 지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행하며, 현장조사원 관리, 수집된 현장 데이터의 검증 및 반영 요청, 이력 조회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The manager communicates with the manager UI providing unit 186 of the site data reflection server 180 through the manager UI 190, and issues a work order by specifying the location where the field surveyor will perform the work, the date of executio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etc. It performs tasks such as managing field investigators, requesting verification and reflection of collected field data, and inquiring history.

본 발명에서 지형정보는 지도를 타일로 분할해 놓은 이미지 파일이다. 이러한 지형 정보는 네비게이션이나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듯이 이미 공개된 정보이다. 그러므로 보안을 위해 삭제할 필요가 없는 정보이므로 가급적이면 모바일 단말기에 남겨둔다. 지형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고도 정보를 가진 dem 파일이 필요하다. 이때, dem 파일은 확장자가 dem인 파일을 나타낸다. 이 정보 또한 공개 정보이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남겨둔다. 지형정보와 고도정보는 지하공간 통합지도에서 생성, 수정, 관리하는 정보가 아니므로 허가 권한은 읽기 권한만 부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is an image file in which a map is divided into tiles. Such geographic information is already public information as seen in navigation or map service systems. Therefore, since it is information that does not need to be deleted for security, it is preferably left on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express terrain information in 3D, a dem file with altitude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dem file indicates a file with the extension dem. Since this information is also public information, it is left on the mobile terminal. Since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are not information created, modified, or managed in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only read permission is granted for permission.

보안을 위해 서버에서 받아온 공간 객체 데이터는 작업 완료 후나 허가 기한이 종료되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삭제해야 하지만 현장작업자는 동일한 작업을 빈번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수도관 공사를 하는 작업자는 계속 수도관 작업을 하고 통신 선로 관련 작업자는 통신 선로 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이다. 그러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지하공간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가 위치 정보, 날짜, 허가 사항 등을 맞춰서 다시 전송받지 않고 기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전송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security, the spatial object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should be dele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fter the work is completed or the permit period is over,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ield workers frequently perform the same work. The worker who constructs the water pipe will continue to work on the water pipe, and the worker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will continue to work on the communication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ansmission load by using the existing data without retransmiss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date, permission, etc. after having underground spac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지하공간 데이터에 대한 허가 권한은 읽기 권한, 갱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수도에 관한 작업이 측정인 경우 상수도관은 3차원으로 가시화하고 주변의 지하공간 객체들은 2차원으로 가시화하거나 표현하지 않는다. 측정하려는 지하공간 객체 외 다른 지하공간 객체의 가시화 여부는 관리자가 결정한다. 이 때 측정하려는 상수도관은 갱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갱신 권한을 주고 나머지 지하공간 객체는 읽기 권한을 주어 예기치 못한 갱신 작업을 방지한다.The permission permission for the underground space data can grant read permission and update permission. For example, if the work related to water supply is measurement, the water supply pipe is visualized in 3D, and the surrounding underground space objects are not visualized or expressed in 2D. The administrator decides whether to visualize other underground objects other than the underground objects to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pipe to be measured can be updated, so the update permission is given and the remaining underground space objects are given read permission to prevent unexpected update work.

지하공간에 대한 작업이 굴착이나 매설인 경우 해당 위치의 지하공간 객체들은 모두 3차원으로 가시화한다. 굴착시 지하공간 객체들이 실제처럼 표현되지 않으면 매설물을 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허가 권한은 작업하려는 지하공간 객 체는 갱신 권한을 주며 나머지 지하공간 객체는 읽기 권한을 부여한다.If the work on the underground space is excavation or burial, all objects in the underground space at the location ar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This is because, when excavating, underground objects may be damaged if they are not expressed as they are in reality. At this time, the permission permission grants update permission to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o work with, and grants read permission to the rest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지하 지도의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data of an underground map managed by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110)의 개체-관계 모델(ERD)은 지하공간객체 테이블(210), 객체파일목록(220) 및 현장측정데이터 테이블(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ntity-relationship model (ERD)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110 for mobile includes an underground spatial object table 210 , an object file list 220 , and a field measurement data table 230 . can be configured.

지하공간객체 테이블(210)은 전송 및 가시화가 타일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일의 정보를 관리한다. 타일 아이디는 확대/축소의 레벨과 이미지 지도 좌표로 구성된다. 타일위치좌표는 전체 지도 타일 내에서 해당 타일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며, 해당 위치의 주소와 그 주소에서 작업 허가 시작일과 종료일을 가지고 있다.The underground spatial object table 210 manages tile information because transmission and visualization are performed in units of tiles. Tile ID consists of zoom level and image map coordinates. The tile location coordinates indicate where the tile is located within the entire map tile, and has the address of the location and the start date and end date of permission to work at that address.

객체파일목록(220)은 실제 가시화를 하기 위한 이미지 지도 및 3D 객체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아이디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아이디와 연결하여 어느 타일에 속한 객체인지를 나타낸다. 지하공간 객체명은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수도, 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난방,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보도,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공동구, 시추공, 관정, 지질 중 하나를 저장한다. 파일은 해당 타일 내 지하공간객체의 3D 데이터 포맷 파일을 지정한다. 차원은 측량 객체인 경우 3D로 표현하나 측량 상황에 따라 같이 가시화되어야 하는 객체의 경우 2D로 표현해야 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허가권한 속성은 해당 객체를 갱신 허용인가 아니면 읽기 전용인가를 나타내 예기치 않은 다른 객체의 갱신을 방지한다. 버전 속성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보관중인 객체 데이터 파일이 최신 버전인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The object file list 220 is a table for managing image maps and 3D object data files for actual visualization. ID indicates which tile the object belongs to in connection with the ID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stores one of the water supply, sewerage, electricity, communication, gas, heating, subway, underpass, underground walkway, underground shopping mall, underground parking lot, common pit, borehole, well, and geology used in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do. The file designates the 3D data format file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in the corresponding tile. The dimension is expressed in 3D in the case of a survey object, but in the case of an object that needs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survey situation, it must be expressed in 2D, so it can have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value. The permission attribute indicates whether the object is update allowed or read-only, preventing unexpected update of other objects. The version attribute is used to check whether the object data fil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he latest version.

현장측정데이터 테이블(230)은 측량, 매설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수정된 객체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어느 위치의 어느 지하공간 객체를 무슨 작업을 했는지를 기록하는 테이블이다. 아이디는 해당 위치에 여러 번의 갱신 작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련번호를 사용하며, 측량일은 갱신이 발생한 날짜를 저장한다. 작업종류는 측량 중 갱신 발생인지 매설로 인한 새로운 객체의 생성인지를 지정하고, 전송여부는 현장데이터반영 서버로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전송이 완료된 객체는 현장데이터반영 서버에서 표준 DB 변환/검증 과정을 거쳐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향후 객체 요구시 최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후 모바일 단말기 내의 현장데이터 정보는 삭제한다.The field measurement data table 230 stor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there is an object modified by performing tasks such as surveying and burial. It is a table that records what work was done on which underground space object in which location. The ID uses a serial number because multiple updates can occur at the location, and the survey date stores the date when the update occurred. The type of work designates whether an update occurred during the survey or the creation of a new object due to burial. The transmitted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standard DB conversion/verification process in the field data reflection server, so that the lates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hen the object is requested in the future, and then the field data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s delet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process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대표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may be a mobile termina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한다(310).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logs in to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 310 ).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한다(32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ollects the target posi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e of the visualization service ( 320 ).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한다(33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hecks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sition ( 330 ).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한다(34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identifies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uthority and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 340 ).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가시화한다(35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visualizes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 S350 ).

350단계에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때,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과 크기로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때, 310단계으 로그인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In step 350, w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visualizes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may be visualized at a viewpoint and size request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visualizes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login process in step 310,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is visualized, Among the identified objects to be visualized, it is possible to partially visualize up to a preset distance from an essential o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지형정보 및 지하공간 객체를 가시화한다(33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visualizes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 330 ).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로 업로드 한다(360). 이때,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generates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the field measurement operation and uploads it to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360). In this case, the field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an ID, a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an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a type of work, and whether to transmit.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 로그 아웃 할 수 있다(37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may log out of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 370 ).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a 3D spatial object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underground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에서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410). 이때,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은 아이디, 타일위치좌표, 주소,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 위치는 작업할 위치, 측량 위치, 작업자의 현재위치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hecks whether a tile corresponding to a target location exists in an underground spatial object table, and checks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 410 ). In this case,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may include an ID, tile position coordinates, an address, a permit start date, and a permit end date. And, the target position may be a working position, a survey position, a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410단계의 확인결과,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41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414), 430단계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10, if all objects of the tile do not exist,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requests and receives an object required for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412), and the underground spatial object table and object file stored in the datab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newly transmitted underground space object is stored in the list table ( 414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30 .

410 단계의 확인결과,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420).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10, if all objects of the tile exist, the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hecks whether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s (step 420).

420단계의 확인결과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 아니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버전의 갱신이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422), 저장된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버전을 갱신하고(424), 430단계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20, if all objects are not the latest versio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requests and receives the object requiring version update from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422), and stores the subsurface object table and object file list The information about the newly transmitted subterranean object is stored in the table, the version is updated (424),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30.

420단계의 타일의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거나, 414단계 또는 424단계로 인해서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 되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허가시작일과 허가종료일을 확인한다(430). 이때,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은 작업의 종류와 작업의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정보이다.If all the objects of the tile in step 420 are the latest versions, or when all objects become the latest versions due to step 414 or 424,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checks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permission end date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430) . In this case, the permit start date and permit end date are information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work and the duration of the work.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서 지하공간 객체들의 차원과 허가권한을 확인한다(430). 이때,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은 아이디, 지하공간 객체명, 파일이름, 차원, 허가권한 및 버전을 포함한다. 그리고, 허가권한은 측정 목적에 따라 읽기, 갱신, 가시화불가 중에서 하나이고, 가시화불가는 허가종료일이 넘은 경우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hecks the dimension and permission authority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s in the object file list table (430). At this time, the object file list table includes ID,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file name, dimension, permission authority, and version. In addition, the permission authority is one of read, update, and non-visib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easurement, and the non-visible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ermission is exceeded.

그리고,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현재 날짜가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30).The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 430 ).

450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날짜가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가 아니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가시화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때,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종료 전에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가 아님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50, if the current date is not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terminates the visualization service. In this cas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may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tile is not accessible date before the end.

450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날짜가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이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는 340단계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50 that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proceeds to step 340 .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500)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510),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객체정보 갱신부(515), 통신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500)는 도1의 현장활용 시스템(170)에 대응되고, 통신부(520)는 도1의 보안 고속 전송 모듈(172)에 대응되고, 객체정보 관리부(513)는 도1의 모바일 클라이언트 모듈(174)에 대응되고,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3차원 가시화부(514), 객체정보 갱신부(515)는 도1의 정확도 향상 모듈/현장 활용 모듈(176)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500 may be configured as a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control unit 510 , a login processing unit 511 ,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 an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 3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mension visualization unit 514 , an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 a communication unit 520 , and a storage unit 530 . At this time,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500 corresponds to the field utilization system 170 of FIG. 1 , the communication unit 520 corresponds to the secure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72 of FIG. 1 , and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 corresponds to the mobile client module 174 of FIG. 1, 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are the accuracy improvement module / It may correspond to the field utilization module 176 .

통신부(520)는 수신기(Receiver)와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통신부(5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570)는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520)는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수행하는 암호화 통신으로 진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2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57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wire or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unit 570 may communicate with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150 .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520 may proceed to encrypted communication performed by encryp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eld support service apparatus 150 .

저장부(5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부(530)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및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을 저장하고, 현장 측정시 현장측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 및 현장측정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암호화된 객체파일목록 테이블 및 암호화된 현장측정 데이터에는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및 객체정보 갱신부(515) 만이 복호화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530 may be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530 stores an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500, an application program, and data for storage, and also stores an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an object file list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store field measurement data during field measurement. The storage unit 530 may encrypt and store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the object file list table, and the field measurement data when storing, and the encrypted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the encrypted object file list table, and the encrypted field measurement data contain object information. Only the management unit 513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may enable decoding.

로그인 처리부(5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한다.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receive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passwor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logs in to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정보 수집부(512)는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사용자로부터 수집한다. 정보 수집부(512)는 작업할 대상인 목표 객체의 정보도 사용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집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목표 위치는 작업할 위치, 측량 위치, 작업자의 현재위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목적은 가시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예를 들어, 지하공간에 관한 작업의 종류 또는 지하공간에 관한 측량 등이 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collects the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from the user.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may also collect information on a target object to be worked 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collection method may be a user's input or a user's selection. And, the target position may be a working position, a survey position, a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And, the purpose of use is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and may be, for example, the type of work on the underground space or the survey on the underground space.

객체정보 관리부(513)는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한다.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checks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이때, 객체는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로서 지하차도, 지하보도, 공동구, 지하철 선로, 지하철 역사,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하수관로, 전력지증관로, 천연가스배관, 열배관, 통신선로, 광역상수관, 상수관로 등이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is an object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 object is an underpass, an underground walkway, a common area, a subway line, a subway station,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sewage pipe, a power supply pipe, a natural gas pipe, a heat pipe, a communication line, a wide area water pipe, Water pipelines, etc.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정보 관리부(513)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에서 현재위치 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타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면,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타일의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면,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허가시작일과 허가종료일을 확인하고,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서 지하공간 객체들의 차원과 허가권한을 확인하고,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을 통해서 현재 날짜가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여 현재 날짜가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한 결과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이면, 3차원 가시화부(514)로 가시화할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checks whether a ti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r address in the subsurface object table exists, and if the tile exists, checks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the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f all objects in the tile exist, check if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 Check the permission and permission, check whether the current date is the date that the tile can be accessed through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the permission end date, and if the current date is the date that the tile is accessible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visualized with

이때,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은 아이디, 타일위치좌표, 주소,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은 아이디, 지하공간 객체명, 파일이름, 차원, 허가권한 및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허가권한은 측정 목적에 따라 읽기, 갱신, 가시화불가 중에서 하나이고, 가시화불가는 허가종료일이 넘은 경우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may include an ID, tile position coordinates, an address, a permit start date, and a permit end date. In addition, the object file list table may include an ID, an underground object name, a file name, a dimension, a permission authority, and a version. At this time, the permission right is one of read, update, and non-visib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measurement, and the non-visible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ermission is exceeded.

객체정보 관리부(513)는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53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a tile exists,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checks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the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object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 newly transmitted to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the object file list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30 .

객체정보 관리부(513)는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 결과, 최신 버전이 아니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버전의 갱신이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530)에 저장하고 버전을 갱신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that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s,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requests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for an object that needs to be updated and receives it, and receives the subterranean object table and object file stored in the database. Information on the object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 newly transmitted to the list tab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30 and the version may be updated.

3차원 가시화부(514)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고,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may identify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uthority and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and may visualiz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3차원 가시화부(514)는 사용 목적이 특정 시설물의 현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수도 관리기관의 작업자인 경우, 사용자의 권한이 상수도만 가시화하여 볼 수 있습니다.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지도 요청 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권한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지하시설물 및 지하구조물의 정보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허용된 지하시설물의 객체에 대한 정보만을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받을 수 있고 이를 가시화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f the purpose of use is to check the status of a specific facility, for example, if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is a worker of a water supply management organization, the user's authority can visualize only the water supply. In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when a user requests a map, the information typ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be provided to the user may b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of the user. The user can receive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s of the underground facility permitted to him from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and visualize it and output it on the screen.

즉, 3차원 가시화부(514)는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받지 않거나 객체정보 관리부(513)에서 제공하지 사용자 권한 또는 사용 목적 등의 이유로 제공되지 않는 객체에 관한 정보는 가시화 할 수는 없다.That is,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cannot visualiz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hat is not received from the on-site support service device or provided by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but not provided for reasons such as user authority or purpose of use.

3차원 가시화부(514)는 사용자가 가시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만을 가시화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종류가 사용자가 가시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객체의 종류가 열배관, 통신선로, 광역상수관, 상수관로이고, 사용자가 광역상수관, 상수관로만 선택한 경우, 광역상수관, 상수관로 만을 가시화 할 수 있다.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may visualize only the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among the objects that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visualize. For example, if the type of object that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visualize is heat pipe, communication line, wide area constant pipe, water supply pipe, and the user selects only wide area constant pipe and water supply pipe, wide area constant pipe , only water supply pipelines can be visualized.

3차원 가시화부(514)는 아래 도 6의 예와 같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으로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may visualiz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at a viewpoint requested by the user, as in the example of FIG. 6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가시화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visualized by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가시화부(514)는 사용자가 요청한 시점으로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may visualiz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at the viewpoint requested by the user.

610은 사용자의 시점이 지상 위에서 있을 때의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객체를 가시화 한 결과이다.610 i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when the user's point of view is on the ground.

620은 사용자의 시점이 확인된 객체보다 더 깊은 지하에 있을 때의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객체를 가시화 한 결과이다.Reference numeral 620 i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when the user's point of view is deeper than the confirmed object.

630은 사용자의 시점이 지상 위에서 있을 때의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객체를 가시화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확대한 결과이다.Reference numeral 630 i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when the user's point of view is on the ground, and magnifying 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640은 사용자의 시점이 지상 위에서 있을 때의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객체를 가시화 한 결과이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의 편의를 제공한 결과이다.640 is a result of visualizing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confirmed object when the user's point of view is on the ground, and is a result of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display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3차원 가시화부(514)는 로그인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아래 도 7의 예와 같이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nit 514 visualizes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as in the example of FIG. 7 below, or an essential o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identified objects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that can be confirmed during the login process. It can be partially visualized up to a preset distance from .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를 전체 가시화하거나 부분 가시화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3D spatial object of the system is fully visualized or partially visualized i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3차원 가시화부(514)는 710과 같이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할 수도 있고, 720과 같이 작업할 대상이 되는 필수 객체(실선으로 표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까지만 가시화할 수도 있다. 이때 점선으로 표시된 객체는 작업할 대상이 아닌 주변 객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가시화하는 이유는 전력이나 통신선로의 정보와 같이 보안이 필요한 정보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Referring to FIG. 7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may visualize the entire object to be visualized as shown in 710 , or up to a preset distance based on an essential object (indicated by a solid line) to be worked on as shown in 720 . It can also be visualized. In this case, the object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means the surrounding object, not the object to be worked on. The reason for this partial visualization is to minimize the leakage of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such as information on power or communication lines.

다시 도 5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객체정보 갱신부(515)는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150)에 업로드한다. 이때,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5 ,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generates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the field measurement operation and uploads it to the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150 . In this case, the field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an ID, a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an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a type of work, and whether to transmit.

제어부(510)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및 객체정보 갱신부(51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10),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및 객체정보 갱신부(515)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510)는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및 객체정보 갱신부(515)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로그인 처리부(511), 정보 수집부(512), 객체정보 관리부(513), 3차원 가시화부(514) 및 객체정보 갱신부(515)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500 . The control unit 51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 The control unit 510, 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are shown separately to distinguish each function. in order to explai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1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espective functions of 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 )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0 performs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login processing unit 511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2 ,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13 , the 3D visualization unit 514 , and the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515 ,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stor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
112: 지하지도 서비스 파일
120: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어플리케이션 서버
122: gITF 변한 모듈
124: 지도 압축 모듈
132: gITF 타일맵
140: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DB 서버
142: gITF 타일 제공 모듈
144: 보안/고속 전송모듈
150: 현장지원 서비스 장치
152: 보안/고속 전송모듈
154: 요청처리/지도캐시 모듈
156: 보안 고속 전송 모듈
160: 데이터베이스
170: 현장활용 시스템
172: 보안 고속 전송 모듈
174: 모바일 클라이언트 모듈
176: 정확도 향상 모듈/현장 활용 모듈
180: 현장데이터 반영 서버
182: 표준 DB 검출 모듈
184: 표준 DB 변환 모듈
186: 관리자 UI 제공부
190: 관리자 UI
100: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management system
112: underground map service file
120: mobil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pplication server
122: gITF changed module
124: map compression module
132: gITF tilemap
140: mobil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DB server
142: gITF tile provision module
144: security /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50: field support service device
152: security /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54: request processing / map cache module
156: secure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60: database
170: field use system
172: secure high-speed transmission module
174: mobile client module
176: Accuracy improvement module/field application module
180: field data reflection server
182: standard DB detection module
184: standard DB conversion module
186: Admin UI provider
190: Admin UI

Claims (16)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에서 현재위치 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타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면,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면,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허가시작일과 허가종료일을 확인하는 단계;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서 지하공간 객체들의 차원과 허가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시작일 및 상기 허가종료일을 통해서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한 결과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이면, 상기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 method for visualizing a three-dimensional space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Logging in to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collecting the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identify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sition;
identifying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uthority and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and
Visualizing the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includ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ncludes:
checking whether a ti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r address exists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if the tile exists,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a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f all objects of the tile exist,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s;
checking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permission end date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if all objects of the tile are the latest versions;
checking the dimension and permission authority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s in the object file list table; and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rough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the permission end date
including,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includes:
If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e step of confirming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은,
아이디, 타일위치좌표, 주소, 허가시작일 및 허가종료일을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is
ID, tile location coordinates, address, permission start date and permission end date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은,
아이디, 지하공간 객체명, 파일이름, 차원, 허가권한 및 버전을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file list table is,
ID,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file name, dimension, permission authority and version includ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dentify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ncludes:
If the tile exists,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the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if all objects of the tile do not exist, the object required for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is requested and transmitted receiv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located in the newly transmitted underground space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the object file list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결과, 최신 버전이 아니면,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버전의 갱신이 필요한 객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 상기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 새로 전송받은 지하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버전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dentify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includes: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all the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 if the version is not the latest version,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requests and receives the object that needs to be updated, and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the object stored in the database Th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located in the newly transmitted underground space in the file list table and updating the version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권한은,
측정 목적에 따라 읽기, 갱신, 가시화불가 중에서 하나이고,
상기 가시화불가는,
상기 허가종료일이 넘은 경우 자동으로 변경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ission is
It is one of read, update, and non-visib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easurement,
The non-visible,
Changed automatically when the above permit expiration date has passed;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인하는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 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visualizing the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authority of the user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step of logging in,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is visualized, or from among the identified objects to be visualized, only partially visible up to a preset distance from the essential o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으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visualizing the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Visualizing the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at the point in time requested by the user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 로그 아웃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nd uploading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field measurement work; and
Logout step of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에서 3차원 공간 객체를 가시화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eld measurement data is,
ID,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work type and transmission status includ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3D spatial object in a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device.
현장지원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처리부;
가시화 하고자 하는 목표 위치와 가시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목표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정보 관리부; 및
상기 타일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고, 3차원 지형정보 및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 하는 3차원 가시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정보 관리부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에서 현재위치 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타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타일이 존재하면 모바일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타일에 대응하는 객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존재하면,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상기 타일의 모든 객체가 최신 버전이면, 상기 지하공간객체 테이블의 허가시작일과 허가종료일을 확인하고, 객체파일목록 테이블에서 지하공간 객체들의 차원과 허가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허가시작일 및 상기 허가종료일을 통해서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하고,
상기 3차원 가시화부는,
상기 현재 날짜가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인지 확인한 결과 상기 타일에 접근 가능한 날짜이면, 상기 가시화할 객체를 확인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n-site support service serv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object information;
a login processing unit that logs in to the 3D spatial object visualization servic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target loc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purpose of using the visualization service;
an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til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ocation; and
A 3D visualization unit that identifies an object to be visu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uthority and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tile, and visualizes 3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object to be visualized
including,
The obje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t is checked whether a ti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r address exists in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if the tile exists, it is checked whether al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ile exist in the database in the mobile terminal, and if all objects of the tile exist , check that all objects are the latest version, and if all objects of the tile are the latest version, check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permission end date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 table, and check the dimension and permission authority of the underground space objects in the object file list table and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through the permission start date and the permission end date,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nit,
If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ate is a date accessible to the tile, identifying the object to be visualized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가시화부는,
상기 로그인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전체를 가시화 하거나,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 목적에 따른 필수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까지만 부분적으로 가시화 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authority of the user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log-in process, the entir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is visualized, or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ssential o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mong the identified objects to be visualized is partially visualized.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가시화부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으로 상기 3차원 지형정보 및 상기 확인된 가시화할 객체를 가시화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nit,
Visualizing the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object to be visualized at the point in time requested by the user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현장 측정 작업 후 현장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업로드하는 객체정보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Object information update unit that creates and uploads field measurement data after field measurement work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측정 데이터는,
아이디, 측량일, 위치좌표, 지하공간 객체명, 작업종류 및 전송여부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eld measurement data is,
ID, survey date, location coordinates, underground space object name, work type and transmission status including
3D space object visualization device.
KR1020210057900A 2020-11-27 2021-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KR1023138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25 2020-11-27
KR20200163225 2020-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872B1 true KR102313872B1 (en) 2021-10-18

Family

ID=7827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00A KR102313872B1 (en) 2020-11-27 2021-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8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388A (en) 2021-12-02 2023-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grid maintenance system for underground area of urban railway, and method for the same
CN116561216A (en) * 2023-07-04 2023-08-08 湖南腾琨信息科技有限公司 Multi-dimensional space-time data visualiz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247A (en) * 2008-06-12 2009-12-16 박장호 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KR20190072105A (en)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상헌 Apparatus for providing 3d terrain and facility data using online map open api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247A (en) * 2008-06-12 2009-12-16 박장호 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KR20190072105A (en)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상헌 Apparatus for providing 3d terrain and facility data using online map open api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388A (en) 2021-12-02 2023-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grid maintenance system for underground area of urban railway, and method for the same
CN116561216A (en) * 2023-07-04 2023-08-08 湖南腾琨信息科技有限公司 Multi-dimensional space-time data visualiz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CN116561216B (en) * 2023-07-04 2023-09-15 湖南腾琨信息科技有限公司 Multi-dimensional space-time data visualiz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8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3-dimensional object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US88325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virtual white line (VWL) image for an excavation project
US20100201690A1 (en) Virtual white lines (vwl) application for indicating a planned excavation or locate path
US10671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correlation of GIS data
EP3798993A1 (en) Design engineering tools for visualizing existing utility lines within a land area and validating placement of new utility lines
CN111612405A (en) Rock and soil dynam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GIS platform
KR102162818B1 (en) Method for surveying underground utility being constructed using a camera in real tim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umerical drawings of underground utility based on the same
KR1014501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derground Utilities Cross Section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30083388A (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grid maintenance system for underground area of urban railway, and method for the same
CN117280374A (en) 3D object management data, computer, and distributed management method for 3D object
CN110599116A (en) Power grid decentralized collaborative desig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loud data center
Lieberman et al. Modular approach to 3D representation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in the model for underground data definition and integration (MUDDI)
KR20220074561A (en) Communication method considering security on mobile service system for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tegrated maps
JP2011238021A (en) Site work management system
KR1021495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ivil designing through web
US20120233046A1 (en) Providing stationery asset information
CN108509720B (en)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ethod for power pipeline with geological condition switching
US20160048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KR20230150592A (en) Selective visualization method of integrated underground map, and system for supporting field utilization of integrated underground map for performing thereof method
JP5147911B2 (en) Underground material management system
KR101591285B1 (en) Geological survey system using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geological survey method using thereof
JP4778696B2 (en) Embedd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6771629B1 (en) Buried object position estimation device, buried object position estimation method, buried object position estimation program
JP2004295628A (en) Construction support system for infrastructure
JP2003223097A (en) Management/distribution system for latest current map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