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435B1 - 금속 캔 뚜껑 - Google Patents

금속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435B1
KR102313435B1 KR1020197028987A KR20197028987A KR102313435B1 KR 102313435 B1 KR102313435 B1 KR 102313435B1 KR 1020197028987 A KR1020197028987 A KR 1020197028987A KR 20197028987 A KR20197028987 A KR 20197028987A KR 102313435 B1 KR102313435 B1 KR 10231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region
area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275A (ko
Inventor
그레고르 안톤 피흐
Original Assignee
그레고르 안톤 피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고르 안톤 피흐 filed Critical 그레고르 안톤 피흐
Publication of KR2019012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8Reclosable openings the plug being reinsertable into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6Unusual reclosabl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02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2517/5024Material
    • B65D2517/5027Singl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B65D2517/5078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finger opening edge rolled or folded 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방 과정 중에 칩 형성과 관련된 금속 표면의 분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각의 용기 내에 생성되는 압력 상승의 경우에도, 재폐쇄시 각각의 필요한 누출 방지를 보장하며, 특히 경제적인 제조 옵션과 함께 높은 기능적 신뢰성을 갖는 재폐쇄가능 캔 뚜껑이 기술된다.

Description

금속 캔 뚜껑
본 발명은 특히 음료 캔(beverage can)을 위한 그리고 식품 및 다른 액체, 반죽(pasty), 분말 및/또는 고체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를 위한, 재폐쇄가능 개구(reclosable opening)를 갖춘 금속 캔 뚜껑(metallic can lid)에 관한 것이다.
재폐쇄가능 개구를 갖춘 캔 뚜껑은 개구가 금속 캔 뚜껑 내에 도입되고 이러한 개구의 가장자리가 비딩(beading)되어 조립식 플라스틱 폐쇄 부분에 대한 고정 가능성을 제공하는 EP 1 607 341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플라스틱 폐쇄 부분은 캔 개구의 비드 가장자리(bead margin)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그리고 평평한 스토퍼(stopper)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기부 부분을 둘러싼다. 평평한 스토퍼는 인열 탭(tear tab)에 연결된 평평한 스토퍼가 잡아당기는 힘의 인가에 의해 인열 탭을 통해 플라스틱 기부 부분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개방 위치로 선회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인열 이음새(tear seam)을 통해 개구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측에서 원추형인 평평한 스토퍼를 압입함으로써 다시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재폐쇄가능 캔 뚜껑은 또한 예를 들어 DE 10 2010 013 531 A1 및 EP 2 354 022 B1에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고 본 발명에 의해 실질적으로 개선되도록 의도되는 본 출원인의 DE 10 2015 112 428 A1으로부터 재폐쇄가능 캔 뚜껑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이 훨씬 더 경제적인 방식으로 가능하고, 구조 설계가 단순화되며, 재료 절감이 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기능이 동시에 개선되도록 알려진 재폐쇄가능 캔 뚜껑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주연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금속 뚜껑 표면 내에 제공되며 내측 뚜껑 측에서 필름에 의해 밀봉되는 마이크로갭(microgap)을 구비하고; 필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갭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약화선(weakening line)을 구비하며; 고정 뚜껑 표면에 연결되고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밀봉 프레임(sealing frame)을 구비하고; 마이크로갭 내에 배치되고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금속 뚜껑 영역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폐쇄 유닛(closure unit)으로서, 상기 폐쇄 유닛은 고정 뚜껑 표면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선회 베어링 영역(pivot bearing region)과 정반대로 배치되는 인열-개방 부재(tear-open member)를 구비하는, 상기 폐쇄 유닛을 구비하며; 밀봉 프레임과 폐쇄 유닛은 밀봉 리브(sealing rib) 및 래칭 리브(latching rib)와 관련 수용 홈을 통해 협동하고, 환형 마이크로갭 내에 배치되는 금속 뚜껑 영역은 특히 형상 정합 및/또는 힘 전달 방식으로 그리고 특히 치형 배열 없이 뚜껑의 개구 영역 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며; 내측 뚜껑 측에 제공되고 마이크로갭을 덮는 필름은 연속 금속 표면을 형성하는 캔 뚜껑의 하부 측 구조를 재현하는 성형된 부분, 특히 딥-드로잉된(deep-drawn)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적합하거나 윤활 특성을 갖는 접착 래커 층(adhesive lacquer layer)을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 밀봉 프레임은 고정 뚜껑 표면에 접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폐쇄 유닛은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금속 뚜껑 영역에 접합된 방식으로 연결되는, 금속 캔 뚜껑에 의해 실질적으로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별 특징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밀봉 프레임 및 폐쇄 유닛 둘 모두를 공간 절약 방식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캔 뚜껑의 상부 측에 있는 캔 두껑 표면의 요홈(recess) 내에 수용하고 체결하여, 알려진 설계에서 요구되는 캔 뚜껑 표면의 구멍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또한 특히 폐쇄 유닛이 그것의 전체 외측 주연부에 고정 뚜껑 표면까지 연장되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접착 래커 층을 통해 접합된 방식으로 고정 뚜껑 표면에 연결되는 밀봉 에이프런(sealing apron)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특별한 특징과 관련하여 위생에 관한 이점을 가져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측 뚜껑 측에 배치된 플라스틱 요소에 오염 물질 등이 침투할 수 없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내측 캔 측에 배치되고 단지 마이크로갭을 포함하는 사실상 연속적인 금속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캔 뚜껑의 하부 측은 이어서 마이크로갭의 밀봉을 보장하는 성형된 플라스틱 필름 부분에 접착 래커 층을 통해 접합된 방식으로 연결되며, 이때 폐쇄 유닛 또는 밀봉 프레임에 속하는 어떠한 플라스틱 부분도 금속 뚜껑 재료를 통해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단지 두 구성요소, 즉 한편으로는 금속 뚜껑 및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만이 하부 뚜껑 측에서 서로 접촉하고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형 배열 없이 그리고/또는 언더컷(undercut) 없이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영역의 결합의 바람직한 사용이 또한 유리하며, 상기 뚜껑 영역은 우선 뚜껑 표면으로부터 펀칭 아웃(punching out)된 다음에 다시 뚜껑 표면 내로 가압되며, 여기에서 재료 두께의 부분 영역에 걸쳐 뚜껑 재료에서 원추형 확장이 달성될 수 있도록 펀칭 아웃 공정이 설계될 수 있다는 인식이 사용되며, 상기 원추형 확장은 원하는 마이크로갭의 형성과 함께 고정 뚜껑 표면과 펀칭 아웃된 뚜껑 영역 사이의 형상 정합 및/또는 힘 전달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접합된 연결은 특히 플라스틱 용접 연결, 플라스틱과 금속 사이의 접착 촉진에 기여하는 접착 래커, 또는 이른바 핫 멜트 연결(hot melt conn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프레임, 폐쇄 유닛 및 성형된 필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포인트(point)-형상인 위치설정 스터드(positioning stud) 및 특히 컵-형상인 관련 요홈에 의해 금속 뚜껑 표면에 대해 정확하게 상호 정렬된다.
캔 뚜껑의 외측에 위치된 플라스틱 부분을 위한 스터드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플라스틱 부분에 형성되지만, 뚜껑의 하부 측 또는 내측에 있는 밀봉 프레임의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한 컵-형상의 요홈이 동시에 상응하게 상보적인 요홈을 구비하는 성형된 플라스틱 부분을 위치시키기 위한 스터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완성된 캔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접착 래커가 양측에 코팅되는 그리고 내측에서 접착 래커 층을 통해 필름 성형된 부분에 연결되는, 특히 알루미늄 또는 주석 판으로 구성되는 시트 금속 층의 형태로 복합 재료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복합 재료 내의 필름 구성요소의 기계적 강도는 편리하게는 복합 재료의 필요한 전체 강도를 보장하면서, 금속 구성요소의 재료 두께가 필름이 없는 구성요소에 비해 특히 적어도 1%만큼 감소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실제로 생산되는 매우 많은 양의 캔을 고려할 때, 그러한 재료 절감은 예를 들어 단지 1%일지라도 이미 경제적 측면에서 비교적 큰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응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재료의 성형된 필름 부분은 뚜껑을 캔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그리고 거기에서 밀봉 재료 및 부식 방지물(corrosion protection)로서의 역할을 하는 비드 가장자리까지 그리고 그것 내로 연장된다.
추가의 밀봉 재료가 전형적으로 종래의 캔에서 비드 연결부의 영역에서 요구되기 때문에, 사실상 관련 절약 및 비용 절감이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폐쇄 유닛에 성형된 선회 베어링 영역은 그것의 체결 영역과 선회 부분 사이에, 뚜껑 측에서 폐쇄되는, 양측에서 거싯(gusset)-유사 방식으로 확장되는, 틸트 스프링(tilt spring)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그리고 폐쇄 유닛의 쌍안정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후프 영역(hoop region)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열은 대략 90°의 개방 각도를 초과할 때 폐쇄 유닛이 130°를 초과하는 개방 각도로 이동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개방되어 유지되는 반면에, 대략 90°의 개방 각도 아래로 떨어질 때 폐쇄 유닛이 다시 개방 위치로부터 30° 미만의 개방 각도 위치로 스냅핑(snapping)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위치로부터, 폐쇄 유닛은 다시 밀봉 폐쇄 위치로 문제없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수회 양방향으로 가역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외측에서 폐쇄되는, 틸트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러한 영역의 구성이 또한 중요한데, 왜냐하면 종래의 해법에 빈번하게 존재하고 오염에 취약한 갭이 이에 의해 회피되기 때문이다.
밀봉 프레임 및 폐쇄 유닛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재폐쇄가능 캔 뚜껑의 기능에 특히 중요하다. 밀봉 프레임 및 폐쇄 유닛은 대응하는 수용 홈 내에 맞물리는 내부에 배치된 밀봉 리브 및 외부에 배치된 래칭 리브를 통해 협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경사진 표면의 사전규정가능한 밀봉 페어링(sealing pairing)이 밀봉 리브와 관련 수용 홈의 벽 사이에 제공되며, 이때 경사의 선택은 캔의 재폐쇄가 행해진 후에 유지되어야 하는 내부 캔 압력에 의존하며, 여기에서 개방 과정이 이에 의해 파괴적인 방식으로 더욱 어렵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래칭 리브는 관련 수용 홈의 카운터-래치(counter-latch)와 협동하는 짧은 경사진 표면 러그(lug)를 구비하며, 이때 캔 개구가 폐쇄될 때 사전규정가능한 간극이 2개의 협동 표면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작은 간극은 이러한 단계에서 액체의 분출(spurting out)의 위험이 있을 정도로 뚜껑이 이미 개방되어 있지 않으면 폐쇄 유닛의 개방 운동 중에 초과 압력 감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캔 뚜껑의 생산 비용의 끊임없이 추구되는 감소에 관하여 중요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특징은 캔 뚜껑이 그것에 연결된 용기 부분과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캔 뚜껑의 금속 재료 두께는 용기 부분의 재료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용기 부분의 재료 두께의 값의 2배를 초과하지 않으며, 이때 용기 부분의 재료 두께는 대략 0.1 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다.
“알루미늄 3000” 시리즈의 합금, 특히 3104 합금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캔, 특히 음료 캔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며, 이때 캔 부분 및 뚜껑 부분에 대한 상이한 기술적 요구를 고려하기 위해 실린더형 캔 부분에 3000 시리즈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뚜껑 부분에 5000 시리즈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지금까지는, 실제로 전형적으로 뚜껑 재료로서 사용되는 5000 시리즈의 알루미늄 합금보다 저렴한 3000 시리즈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단지 캔 벽의 벽 두께를 대략 0.09 mm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뚜껑 재료의 벽 두께는 인열-개방 홈을 제공하기 위해 알려진 뚜껑 내의 뚜껑 재료 내에 형성될 노치(notch)에도 불구하고 캔의 필요한 압축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캔 벽의 재료 두께의 적어도 2배이어야 한다. 이러한 노치는 전형적으로 캔 뚜껑의 재료 두께의 대략 반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다. 그러나, 개방 기준 및 누출 방지에 관한 캔 뚜껑에 대한 모든 요구가 고-품질 합금 시리즈 알루미늄 5000의 사용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재료 선택에 의해 또는 복합 재료의 실시예에 의해 그리고 중량 감소에 의해 달성되는 생산 비용의 절감에 더하여, 또한 특정 마이크로갭 설계로 인해, 3000 시리즈의 저렴한 알루미늄이 이제 또한 금속 뚜껑 재료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뚜껑 재료에 5000 시리즈, 특히 5182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특정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면적 시트 금속 재료(areal sheet metal material)에서, 특히 재폐쇄가능하게 구성되는 또는 개구 영역이 인열되어 개방되거나 캔 내부로 가압될 수 있는 표준 캔 뚜껑에 해당하는 캔 뚜껑에서, 인열되어 개방되거나 압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재폐쇄될 수 있는 밀봉된 개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 사항 및 이점이 종속항에 기재되며,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이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음료 캔을 위한 캔 뚜껑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캔 뚜껑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세부 B의 확대도.
도 5는 도 3으로부터의 상세부 C의 확대도.
도 6은 밀봉 프레임과 폐쇄 유닛 사이의 결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 5로부터의 상세부 D의 추가 확대도.
도 7은 캔 뚜껑의 개구 영역을 한정하는 펀칭된 부분의 주연부 가장자리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의 평면도는 특히 음료 캔을 위해 의도되는 그리고 뚜껑 표면 내에 재폐쇄가능 개구 시스템이 통합되는 캔 뚜껑(1)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뚜껑 영역(10)이 캔 뚜껑 내에 제공되며, 이때 상기 뚜껑 영역은 여전히 상세히 표현되고 기술될 수단을 통해, 그리고 실제로 고정 부분(19)이 캔 뚜껑에 체결되는 선회 베어링 영역(pivot bearing region)을 통해 개방되고 상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틸트 스프링 섹션(tilt spring section)(21)이 이러한 고정 부분(19)과 금속 뚜껑 영역(10)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폐쇄 유닛(closure unit)(11) 사이에 제공되고, 대략 90°의 개방 각도를 초과할 때 폐쇄 유닛(11)이 130°를 초과하여 개방되도록 허용하며, 즉 폐쇄 유닛이 그것의 종단 개방 위치로 스냅핑(snapping)하도록 허용한다. 폐쇄 중에 폐쇄 유닛이 대략 90°의 개방 각도 아래로 떨어지면, 폐쇄 유닛은 다시 30° 미만의 개방 각도로 스냅핑하고, 폐쇄 유닛은 다시 이러한 부분개방 위치로부터 밀봉 폐쇄 위치로 문제없이 수동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수회 양방향으로 가역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캔 뚜껑(1)은 바람직하게는 비드 가장자리(bead margin)(3)를 통해 관련 용기에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캔 뚜껑(1)의 측면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및 개방 시스템이 그것이 완전히 뚜껑 부분의 깊이 내에 수용되고 폐쇄 위치에서 어떠한 부분도 뚜껑 윤곽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 평평한 구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선 A-A에 대응하는 도 1에 따른 뚜껑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설계 및 기능에 특히 중요한 상세한 영역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B 및 C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도시된 상세도 D는 캔 뚜껑의 주요 구성요소의 구조 설계를 복합 재료의 형태로 크게 확대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캔 뚜껑의 이러한 주요 구성요소는 알루미늄 또는 주석 판으로 구성되는 적합하게 형성된 시트 금속 층(sheet metal layer)(5)을 포함하고, 이러한 시트 금속 층은 접합제의 역할을 하는 그리고 금속, 특히 알루미늄과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하부 뚜껑 측에, 즉 내측 뚜껑 측에 제공되며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름(6)의 플라스틱 사이의 고-강도 및 영구적 연결을 접합된 방식으로 보장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접착 래커 층(adhesive lacquer layer)(7)을 양측에 구비한다. 복합 재료의 개별 구성요소의 상호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금속과의 연결이 접합된 방식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이른바 열 밀봉 공정(heat sealing process)으로 행해진다.
금속 캔 뚜껑 부분의 재료 두께가 인열되어 개방될 수 있는 인열선(tear line)을 갖는 캔 뚜껑과 대조적으로 서두에 이미 기술된 마이크로갭(microgap) 기술의 사용으로 인해 이미 감소될 수 있지만, 기술된 복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그것이 복합 재료가 시트 금속 층의 재료 두께의 소요 강도 값에 대한 손실 없이 추가로 감소되어 실제로 상당한 재료 또는 비용 절감을 달성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영역 B, 즉 인열-개방 부재(tear-open member)(17)가 실제로 그것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부분에 체결되는 영역을 확대된 형태로 도시하며, 이때 뚜껑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뚜껑 부분을 상향으로 잡아당길 때 특히 레버 효과(lever effect)가 또한 생성되어 뚜껑 부분의 개방을 촉진시킨다.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접합된 방식으로 시트 금속 층(5)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필름(6)의 성형된 부분 윤곽은 시트 금속 부분(5)의 하부 측의 윤곽에 대응하고, 바람직하게는 비드 영역(3) 내로 연장되어, 동시에 시일(seal) 및 부식 방지물(corrosion protection)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영역(10)은 캔 뚜껑 재료(5) 내에 제공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형적인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재료 약화부(material weakening)에 의해서가 아니라 마이크로갭(8)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이러한 주연부 마이크로갭(8)은 바람직하게는 뚜껑 영역(10)이 시트 금속 재료로부터 펀칭 아웃(punching out)된 다음에 다시 개구 내로 가압되고 평탄한 금속 표면이 결과적으로 존재하고 양측에 접착 래커 층을 구비한 금속 뚜껑이 다시 균일한 부분으로서 취급될 수 있도록 클램핑(clamping)에 의해 유지된다는 점에서 형성된다.
뚜껑 재료로부터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영역을 해제시키기 위해 특별히 사용되는 방법과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을 구비한 캔이 처음으로 개방될 때, 임의의 종류의 금속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금속 미세입자의 다른 불가피한 형성이 배제되도록, 클램핑 홀더(clamping holder)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연결부만이 마이크로갭의 영역 내에 존재한다. 개방 과정에서의 미세입자, 특히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미세입자의 생성의 이러한 회피는 건강 측면에서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러한 미세입자가 불가피하게 또한 각각의 캔 내에 수용된 제품 내로, 따라서 또한 인체 내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또는 만곡된 그리고 비-치형성된(non-toothed) 선에 의해 형성되는 마이크로갭(8)은 하부 측에서, 즉 내측 뚜껑 측에서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덮이며, 따라서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마이크로갭에 인접한 그리고 주연부에서 동일한 깊이 또는 선택적으로 또한 상이한 깊이를 가질 수 있는 그리고 뚜껑을 개방하는데 비교적 작은 힘만이 요구되는 것을 보장하는 노치(notch)(9)를 구비한다. 마이크로갭(8)과 노치(9)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대략 2배, 즉 예를 들어 0.3 내지 0.4 밀리미터에 이른다.
요구되는 개방력은 마이크로갭(8)의 영역에서 시트 금속 층(5)과 플라스틱 필름(6) 사이의 연결을 분리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또한 밀봉 프레임(14) 및 폐쇄 유닛(11)의 협동으로 구현되는 밀봉 페어링(sealing pairing)에 의존한다.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밀봉 프레임(14)은 개구 영역을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금속 층(5)의 요홈에서, 이미 언급된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금속 뚜껑 재료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단지 이러한 고정 연결부를 요홈의 기부 영역 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 프레임(14)은 폐쇄 유닛(11)에 제공되는 래칭 리브(latching rib)(12) 및 밀봉 리브(sealing rib)(13)를 위한, 중심 웨브(center web)(2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수용 홈(15, 16)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이러한 폐쇄 유닛(11)은 밀봉 프레임(14)과 유사한 방식으로 금속 뚜껑에 확고하게 연결되지만; 그것은 고정-위치 뚜껑 표면(2)이 아니라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영역(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부분은 마이크로갭(8)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금속 뚜껑 영역(10)에 의해, 그리고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금속 뚜껑 영역에 체결되고 인열-개방 부재(17)가 또한 그것에 성형되는 폐쇄 유닛(11)에 의해 형성된다.
폐쇄 유닛(11)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이러한 인열-개방 부재(17)는 뚜껑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그리고 거기에 용이하게 해제가능하게 고정되어 각각의 패키징(packaging)의 온전성(intactness)이 이러한 연결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점검될 수 있도록 하는 유지 또는 고정 요소(22)를 구비한다.
이러한 프레임에 성형되는 선회 베어링 영역(18)이 인열-개방 부재(17)와 정반대로 배치되어 폐쇄 유닛(11)에 형성되고,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뚜껑 부분 외부에 배치되는 뚜껑 표면에 확고하게 연결되며, 이는 여전히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상세한 영역 C, 즉 캔 뚜껑의 폐쇄 상태로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림 상태에 있고 밀봉된 스냅-인(snap-in) 래칭 연결부를 형성하는 밀봉 프레임 및 폐쇄 유닛(11)과 관련하여 인열-개방 부재(17)와 정반대로 배치되는 선회 베어링 영역(18)을 확대도로 도시한다.
수용 홈(16) 내에 수용된 리브(13)와 수용 홈(15) 내에 수용된 리브(12)는 기능적으로 상이하며, 즉 별개의 기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이에 의해 밀봉 프레임(14)과 폐쇄 유닛(11)의 협동의 최적화가 가능해진다. 폐쇄 유닛(11)은 그것과 통합된 쌍안정(bistable) 틸트 스프링 섹션(21)을 통해 선회 베어링의 고정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틸트 스프링 섹션은 금속 뚜껑 영역(10), 그것에 체결되는 폐쇄 유닛(11) 및 인열-개방 부재(17)를 포함하는 뚜껑 부분을 각각의 용기의 내측 공간에 이상적인 방식으로 접근가능하도록 대략 90°를 초과할 때 130°를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대략 90° 아래로 떨어질 때, 뚜껑 부분은 다시 30° 미만의 개방 각도로 스냅핑한다. 이러한 개방 위치로부터, 뚜껑 부분은 다시 밀봉 폐쇄 위치로 이동되거나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수회 양방향으로 가역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볼 때, 선회 베어링 영역(18)은 사실상 폐쇄된 영역을 나타내며, 즉 특히 틸트 스프링 영역에서, 알려진 해법에 빈번하게 존재하는 갭 및 개구가 회피된다. 그러나, 폐쇄 유닛(11)이 그것의 전체 외측 주연부에, 고정 뚜껑 표면(2)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 래커 층을 통해 접합된 방식으로 뚜껑 표면(2)에 연결되는 밀봉 에이프런(sealing apron)(24)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이 위생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오염 물질, 수분 등이 플라스틱 요소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신뢰성 있게 방지되며, 즉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재폐쇄가능 캔 뚜껑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구성(ideal)이 위생 측면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연결은 최초 개방 시 분리된다.
도 6에 따른 더욱 확대된 상세도에서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리브(13)는 수용 홈(16)과 밀봉 표면 페어링(23)을 형성한다. 이러한 밀봉 표면 페어링(23)은 폐쇄 과정 중에 스냅-인 과정에 기여하고, 폐쇄 상태에서 폐쇄 유닛을 규정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그러나, 개방 저항은 또한 서로 협동하는 밀봉 표면 페어링(23)의 밀봉 표면의 경사를 사전규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으며, 즉 한편으로는 각각의 발생 내부 압력이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방 과정이 너무 어렵게 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경사진 표면 페어링이 선택될 수 있다.
래칭 리브(12) 및 관련 수용 홈(15)도 마찬가지로 서로 협동하는 짧은 경사진 표면을 구비하며, 이러한 짧은 경사진 표면은 한편으로는 적소로의 래칭 스냅핑, 그러나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래칭 리브(12)에 제공된 짧은 경사진 표면과 카운터-래치(counter-latch)(24) 사이의 간극(clearance)(25)의 형태로 작은 자유 상대 운동을 보장한다. 이러한 자유 운동성은 캔 뚜껑의 반복 개방 시 작은 초기 개방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 운동에서, 액체가 가능하게는 파괴적인 방식으로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로 뚜껑이 이미 개방되어 있지 않으면 가능하게는 존재하는 내부 압력이 감소된다.
도 7에 따른 개략도는 시트 금속 층(5)으로부터의 뚜껑 영역(10)의 펀칭 아웃 및 다시 후속하여 또는 추후에 행해지는 형성된 개구 내로의 펀칭 아웃된 영역의 삽입의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공정을 예시한다. 특별히 선택된 펀칭 아웃 공정, 즉 펀치(punch) 및 다이(die)의 특정 선택은 펀칭 아웃된 영역의 주연부 윤곽이 그것의 두께에 걸쳐 볼 때 평활한 절단 섹션 및 경사진 절단 섹션을 구비하여, 마이크로갭을 형성하면서, 다시 즉시 또는 추후에 펀칭 아웃된 개구 내로 펀칭 아웃된 시트 금속 층 영역을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실제로 펀칭 아웃된 영역이 추가 처리에 충분한 클램핑에 의해 개구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윤활 특성을 갖는 접착 래커 층에 의한 시트 금속 층의 코팅이 행해질 때 기술된 펀칭 공정으로 특별한 이점이 생성되는데, 왜냐하면 펀칭 공정 중에 접착 래커 층 단독으로 필요한 윤활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달리 펀칭 공정에 요구되는 임의의 추가의 윤활제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접착 래커 층이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가 존재하며, 따라서 전형적으로 달리 추가로 요구되는 윤활제의 경우에 그러할 바와 같은 복잡하고/복잡하거나 고가의 세정 단계가 요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펀치 및 다이는 바람직하게는 결과적으로 생성된 평활한 절단 섹션이 재료 두께의 50% 미만에 걸쳐 연장되고, 나머지 경사진 절단 섹션이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확장되도록 선택된다. 이에 의해, 펀칭 아웃된 부분이 다시 시트 금속 층 내로 삽입되거나 가압될 때 충분한 힘 전달이 달성되고, 더 이상 필요한 유지력을 달성하기 위해 펀칭 아웃된 부분과 시트 금속 층 사이에 특정 치형 배열 또는 언더컷(undercut)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폐쇄가능 캔 뚜껑은 또한 실제 취급 시 유리한데, 왜냐하면 바람직하게는 링 탭(ring tab)으로서 구성되는 인열-개방 부재(17)가 용이하게 접근가능하고,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으며, 편안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잡아당김 운동을 통한 각각의 캔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재폐쇄의 경우에, 스냅-인 래칭 연결을 통해 완전한 재폐쇄가 바람직하게는 느껴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음향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재폐쇄가능하여야 하는 모든 종류의 용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용기에 대한 캔 뚜껑의 밀봉된 연결은 비드 가장자리를 통해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특히 비-금속 용기에서 접착제 연결, 용접 연결 등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4 내지 18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면적 시트 금속 재료에서, 특히 캔 뚜껑에서, 인열되어 개방되거나 압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재폐쇄될 수 있는 밀봉된 개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착 래커 층이 양측에 코팅된 시트 금속 층과 함께 행해지는 이러한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테두리 내에 기술된 종류의 캔 뚜껑의 제조 및 표준 캔 뚜껑의 제조 둘 모두에 적합하다. 그러한 표준 캔 뚜껑에서, 2-암형 레버 부재(two-armed lever member)가 각각의 개구 영역을 개방하기 위해 제공되고, 뚜껑 재료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개구 영역은 탭 주연부에 걸쳐 연장되는 마이크로갭에 의해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텅 탭(tongue tab)으로서 구성되며, 여기에서 뚜껑 표면에 연결되는 텅 탭 기부는 개방 과정 중에 효과적인 킹크 베어링(kink bearing)을 형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금속 뚜껑의 하부 측은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코팅되거나 라미네이팅(laminating)된다. 이러한 필름은 문제없이 각각의 캔의 개방을 보장하기 위해 마이크로갭에 인접한 약화부(weakened)로서 설계된다. 텅 탭이 그것을 하부 측에서 덮는 그리고 약화선(weakening line)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플라스틱 코팅의 부분 영역과 함께 개방 과정 중에 캔 내부로 선회되도록 배열이 이루어지면, 약화선은 마이크로갭 외부에 배치된다.
텅 탭이 그것을 하부 측에서 덮는 그리고 약화선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플라스틱 코팅의 부분 영역과 함께 개방 과정 중에 외향으로 선회되도록 배열이 이루어지면, 약화선은 마이크로갭 내에 배치된다. 그러한 표준 캔 뚜껑의 상세 사항이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5 122 548.4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펀칭 아웃된 뚜껑 부분이 다시 즉시 직접 시트 금속 층 내로 가압되고 복귀 스트로크(return stroke) 중에 스프링력에 의해 힘 전달 방식으로 거기에 유지되도록 기술된 유형의 재폐쇄가능 캔 뚜껑과 관련하여 설계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시트 금속 층 및 다른 한편으로는 펀칭 아웃된 부분 영역을 그것들이 재폐쇄가능 개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플라스틱 요소에 연결되는 추가 생산 단계에 별도로 공급한 다음에 두 구성요소를 결합시키고 그것들을 이미 기술된 본 방식으로 서로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여기에서 기능적 재폐쇄가능 캔 뚜껑이 이어서 획득된다.
1: 캔 뚜껑
2: 고정 뚜껑 표면
3: 비드 가장자리
4: 복합 재료
5: 시트 금속 층(알루미늄, 주석 판)
6: 플라스틱 필름, 성형된 부분
7: 접착 래커 층
8: 마이크로갭
9: 노치
10: 뚜껑 영역,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음
11: 폐쇄 유닛
12: 래칭 리브
13: 밀봉 리브
14: 밀봉 프레임
15: 수용 홈, 내부
16: 수용 홈, 외부
17: 인열-개방 부재
18: 선회 베어링 영역
19: 선회 베어링의 고정 부분, 체결 영역
20: 중심 웨브
21: 틸트 스프링 섹션
22: 고정 요소
23: 경사진 표면의 밀봉 페어링
24: 카운터-래치
25: 간극
26: 밀봉 에이프런

Claims (26)

  1. 재폐쇄가능 개구를 갖춘 금속 캔 뚜껑으로서,
    주연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캔 뚜껑의 표면에 제공되며, 내측 뚜껑 측에서 필름(6)에 의해 밀봉되는, 마이크로갭(8);
    상기 필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갭(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약화선(9);
    고정된 뚜껑 표면(2)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밀봉 프레임(14);
    상기 마이크로갭(8) 내에 배치되고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금속 뚜껑 영역(10)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폐쇄 유닛(11)으로서, 상기 폐쇄 유닛(11)은 상기 고정된 뚜껑 표면(2)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선회 베어링 영역(18)과 정반대로 배치되는 인열-개방 부재(17)를 구비하는 상기 폐쇄 유닛(11);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프레임(14)과 상기 폐쇄 유닛(11)은 밀봉 및 래칭 리브(12, 13)와 관련 수용 홈(15, 16)을 통해 협동하고, 환형 마이크로갭(8) 내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뚜껑 영역(10)은 상기 뚜껑의 상기 개구 영역 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며, 상기 내측 뚜껑 측에 제공되고 상기 마이크로갭(8)을 덮는 상기 필름(6)은 연속 금속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캔 뚜껑의 하부 측 구조를 재현하는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봉 프레임(14)은 상기 고정된 뚜껑 표면(2)에 접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폐쇄 유닛(11)은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는 상기 금속 뚜껑 영역(10)에 접합된 방식으로 연결되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프레임(14), 상기 폐쇄 유닛(11) 및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된 필름(6)은 위치설정 스터드 및 관련 요홈에 의해 상기 금속 뚜껑 표면에 대해 정확하게 상호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접착 래커(7)가 양측에 코팅되는 그리고 내측에서 상기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된 필름(6)에 연결되는, 시트 금속 층(5)의 형태로 복합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밀봉 프레임(14), 상기 폐쇄 유닛(11) 및 상기 선회 베어링 영역(18)은 외부에 배치된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상기 시트 금속 층(5)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 내의 필름 구성요소의 기계적 강도는 상기 복합 재료의 요구되는 전체 강도를 보장하면서, 금속 구성요소의 재료 두께가 감소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의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된 필름(6)은 상기 뚜껑을 캔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그리고 밀봉 재료 및 부식 방지물로서의 역할을 하는 비드 가장자리(3)까지 그리고 상기 비드 가장자리(3)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11)에 성형된 상기 선회 베어링 영역(18)은 상기 선회 베어링 영역(18)의 체결 영역(19)과 상기 선회 부분 사이에 후프 영역(21)을 구비하며, 상기 후프 영역(21)은 외측에서 폐쇄되고, 양측에서 거싯(gusset)-유사 방식으로 확장되며, 틸트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90°의 개방 각도를 초과한 후에 상기 폐쇄 유닛(11)을 130°를 초과하는 각도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90°의 개방 각도 아래로 떨어질 때 상기 폐쇄 유닛(11)을 30° 미만의 개방 각도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기 폐쇄 유닛은 이 위치로부터 밀봉된 폐쇄 위치로 수동으로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프레임(14)은 각각 주연부에 있는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된 수용 홈(15, 16)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유닛(11)에서 주연부 밀봉 리브(13)가 상기 내부에 배치된 홈(15)과 관련되고 주연부 래칭 리브(12)가 상기 외부에 배치된 홈(16)과 관련되며,
    경사를 사전규정가능한 경사진 표면의 밀봉 페어링(23)이 상기 밀봉 리브(13)와 상기 수용 홈(15)의 벽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래칭 리브(12)는 상기 수용 홈(16) 내의 카운터-래치(24)에 대해 개방 방향으로 미리 구획 가능한 간극(25)을 구비하며, 그리고 촉각 또는 음향 피드백을 갖는 스냅-인 래칭 연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갭(8)에 인접한 노치(9)는 그 범위가 상이한 두께를 갖고, 캔 내의 초과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방 과정 중에 개방력이 처음으로 작용하는 상기 필름의 영역은, 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그리고 이어서 개방 운동의 초기 영역의 노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 노치 영역이 이어지는 인접 부분 영역보다 큰 깊이를 갖는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압력 감소는 상기 간극(25) 내에서의 상기 폐쇄 유닛(11)의 개방 움직임 중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 뚜껑은 상기 금속 캔 뚜껑에 연결되는 용기 부분과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알루미늄 3000” 시리즈의 합금이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의 재료 두께는 상기 용기 부분의 재료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용기 부분의 재료 두께는 0.1 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11)은 상기 폐쇄 유닛(11)의 외측 주연부에 상기 고정된 뚜껑 표면(2)까지 연장되는 그리고 접합 방식으로 상기 뚜껑 표면(2)에 연결되는 밀봉 에이프런(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3.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캔으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캔 뚜껑을 사용함으로써 밀폐 폐쇄구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14. 면적 시트 금속 재료로, 인열되어 개방되거나 압입될 수 있는 밀봉된 개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재료는 적어도 일측에서 접착 래커 층에 의해 코팅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면적 영역이 상기 코팅된 시트 금속 재료로부터 펀칭 아웃되되,
    상기 코팅된 측에 맞물리는 펀칭 다이가 상기 펀칭 아웃된 부분의 평활한 절단 영역 및 인접한 경사진 절단 영역을 생성하는 다이와 협동하는 방식으로,
    펀칭 공정에 필요한 윤활제가 전적으로 그리고 오로지 상기 접착 래커 층에 의해 공급되는 방식으로,
    주연부 윤곽이 다이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상기 펀칭 아웃된 면적 영역이 다시 상기 시트 금속 재료 내의 상기 개구 내로 삽입되고 형상 정합 또는 힘 전달 방식으로 상기 개구 내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시트 금속 재료와 상기 펀칭 아웃된 면적 영역 사이에 형성된 마이크로갭이 상기 시트 금속 재료 상에 면적 코팅되거나 라미네이팅되는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갭에 인접한 주연부 약화부 또는 노치를 구비하는 필름에 의해 일측에서 덮이는 방식으로 펀칭 아웃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재료는 식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착 래커 층을 양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층 형상에 맞추어진 사전형상화된 필름이 상기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된 필름은 상기 접착 래커 층에 의해 상기 시트 금속 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아웃된 면적 영역은 펀치 플런저의 복귀 스트로크시 스프링력에 의해 형상 정합 또는 힘 전달 방식으로 상기 개구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아웃된 면적 영역에서의 상기 평활한 절단 영역은 재료 두께의 50% 미만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음료 캔에 그리고 식품 및 다른 액체, 반죽, 분말 또는 고체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에 사용되고,
    상기 금속 뚜껑 영역(10)은 치형 배열 없이, 형상 정합 또는 힘 전달 방식으로 캔 뚜껑의 상기 개구 영역 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며,
    상기 필름(6)은 딥-드로잉된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되고,
    식품과 함께 사용되고 윤활 특성을 갖는 접착 래커 층(7)을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 상기 밀봉 프레임(14)은 상기 고정된 뚜껑 표면(2)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 유닛(11)은 상기 금속 뚜껑 영역(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스터드는 포인트 형상이고, 상기 관련 요홈은 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층(5)은 알루미늄 또는 주석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봉 프레임(14), 상기 폐쇄 유닛(11) 및 상기 선회 베어링 영역(18)은
    플라스틱 용접에 의해 또는 핫 멜트 연결에 의해 상기 외부에 배치된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상기 시트 금속 층(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2. 제10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3000” 시리즈의 3104 합금이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에이프런(26)은 접착 래커 층(7)을 통해 뚜껑 표면(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된 개구는 캔 뚜껑에 재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재료는 상기 접착 래커 층을 전체 영역에 걸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용기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캔 뚜껑을 사용함으로써 밀폐 폐쇄구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97028987A 2017-04-05 2017-05-12 금속 캔 뚜껑 KR102313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5040.1A EP3385185B8 (de) 2017-04-05 2017-04-05 Metallischer dosendeckel
EP17165040.1 2017-04-05
PCT/EP2017/061474 WO2018184704A1 (de) 2017-04-05 2017-05-12 Metallischer dosendec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275A KR20190124275A (ko) 2019-11-04
KR102313435B1 true KR102313435B1 (ko) 2021-10-18

Family

ID=5848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987A KR102313435B1 (ko) 2017-04-05 2017-05-12 금속 캔 뚜껑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11365024B2 (ko)
EP (2) EP3680191B1 (ko)
JP (1) JP6870111B2 (ko)
KR (1) KR102313435B1 (ko)
CN (1) CN110678398B (ko)
AR (2) AR111350A1 (ko)
AU (1) AU2017408064B2 (ko)
BR (2) BR122022009298B1 (ko)
CA (1) CA3058934C (ko)
CY (1) CY1123392T1 (ko)
DK (1) DK3385185T3 (ko)
EA (1) EA039173B1 (ko)
ES (1) ES2810864T3 (ko)
HR (1) HRP20201033T1 (ko)
HU (1) HUE050822T2 (ko)
LT (1) LT3385185T (ko)
MX (2) MX2017006633A (ko)
PL (1) PL3385185T3 (ko)
PT (1) PT3385185T (ko)
RS (1) RS60692B1 (ko)
SA (1) SA519410232B1 (ko)
SI (1) SI3385185T1 (ko)
UY (1) UY37660A (ko)
WO (1) WO2018184704A1 (ko)
ZA (1) ZA201906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897A (zh) * 2019-06-12 2019-09-20 浙江理工大学 一种易拉罐开启装置及易拉罐
DE102020128491A1 (de) * 2020-10-29 2022-05-05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sendeckels
USD1003725S1 (en) 2021-09-03 2023-11-07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USD1010454S1 (en) 2021-09-03 2024-01-0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DE102022129193A1 (de) 2022-11-04 2024-05-08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5319A1 (de) 2010-02-02 2011-08-11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JP2011526230A (ja) 2008-07-04 2011-10-06 アイエムヴイ イノヴェイション マーケティング ウント フェアトリーブス ゲーエムベーハー 回転可能な開放・再封用タブ付きの再閉塞可能な缶端部蓋、ならびに再封可能な缶端部蓋を備えた飲料缶
JP2016510292A (ja) 2013-02-12 2016-04-07 エー・フェー・デー・エス・ベスローテン・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メット・ベペルクテ・アーンスプラーケレイクヘイトE.V.D.S. Bvba 再閉可能な缶のための中間要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2537A (en) * 1935-10-12 1938-07-05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producing coated sheet metal articles
BE790028A (fr) * 1971-10-19 1973-04-13 Aluminum Co Of Americ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metallique stratifiee de recipient pourvue d'un dispositif d'ouverture, et paroi metallique stratifiee de recipient fabriquee par ce procede
US3861976A (en) * 1971-10-19 1975-01-21 Aluminum Co Of America Laminated container wall
US3883035A (en) * 1973-09-19 1975-05-13 American Can Co Easy opening container with safety edge compounds
US4108330A (en) * 1977-06-08 1978-08-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sy open container end assembly
NZ191166A (en) * 1978-08-04 1983-06-17 M Joyce Easy-open container depressable sealing part
US4170314A (en) * 1978-10-11 1979-10-09 The Continental Group, Inc. Container closure
CH653929A5 (de) * 1981-05-07 1986-01-31 Alusuis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mit mindestens einem durch einen aufgesiegelten verschlussstreifen verschlossenen ausgiessloch.
DE3321572A1 (de) * 1983-06-15 1984-12-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ehaelterdeckel mit oeffnungseinrichtung
JP2004043007A (ja) * 2002-05-24 2004-02-12 White:Kk 缶蓋
WO2004065241A1 (ja) 2003-01-24 2004-08-05 Toyo Seikan Kaisha, Ltd.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及びその製法
JP4490847B2 (ja) * 2005-02-23 2010-06-3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缶蓋及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WO2008054636A2 (en) * 2006-10-31 2008-05-08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Resealable closure
FR2936227B3 (fr) * 2008-09-22 2011-05-06 Scr 3L Dispositif integre d'ouverture et de refermeture pour tous types de canettes de boisson gazeuses ou non
EP2354022B1 (de) *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DE102010013531B4 (de) 2010-03-31 2020-10-29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DE102015112428A1 (de) * 2015-07-29 2017-02-0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DE102015122548A1 (de) 2015-12-22 2017-06-2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CN105564774B (zh) * 2016-01-21 2017-11-03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啤酒瓶用易开盖
DE102016103801A1 (de) * 2016-03-03 2017-09-07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DE102016112953A1 (de) * 2016-07-14 2018-01-18 Gregor Anton Piech Metallische Dose und zugehöriger Dosendeck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6230A (ja) 2008-07-04 2011-10-06 アイエムヴイ イノヴェイション マーケティング ウント フェアトリーブス ゲーエムベーハー 回転可能な開放・再封用タブ付きの再閉塞可能な缶端部蓋、ならびに再封可能な缶端部蓋を備えた飲料缶
WO2011095319A1 (de) 2010-02-02 2011-08-11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JP2016510292A (ja) 2013-02-12 2016-04-07 エー・フェー・デー・エス・ベスローテン・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メット・ベペルクテ・アーンスプラーケレイクヘイトE.V.D.S. Bvba 再閉可能な缶のための中間要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78398A (zh) 2020-01-10
EA201992347A1 (ru) 2020-02-19
AR111350A1 (es) 2019-07-03
ZA201906343B (en) 2021-05-26
US11365024B2 (en) 2022-06-21
AU2017408064B2 (en) 2020-05-28
JP2020512958A (ja) 2020-04-30
HUE050822T2 (hu) 2021-01-28
US20200031521A1 (en) 2020-01-30
JP6870111B2 (ja) 2021-05-12
BR112019020920B1 (pt) 2023-04-18
DK3385185T3 (da) 2020-07-20
MX2021008637A (es) 2021-08-19
PT3385185T (pt) 2020-08-18
EP3680191B1 (de) 2023-05-03
EP3385185B8 (de) 2020-07-01
EP3680191A2 (de) 2020-07-15
AR123906A2 (es) 2023-01-25
US20220250791A1 (en) 2022-08-11
EP3385185A1 (de) 2018-10-10
CA3058934A1 (en) 2018-10-11
EP3385185B1 (de) 2020-05-20
ES2810864T3 (es) 2021-03-09
KR20190124275A (ko) 2019-11-04
EA039173B1 (ru) 2021-12-14
SA519410232B1 (ar) 2022-04-07
CA3058934C (en) 2022-03-15
AU2017408064A1 (en) 2019-10-24
RS60692B1 (sr) 2020-09-30
EP3680191A3 (de) 2020-07-22
UY37660A (es) 2018-11-30
CN110678398B (zh) 2021-10-22
BR122022009298B1 (pt) 2022-12-06
HRP20201033T1 (hr) 2020-10-16
MX2017006633A (es) 2018-11-09
BR112019020920A2 (pt) 2020-04-28
SI3385185T1 (sl) 2020-11-30
PL3385185T3 (pl) 2020-11-30
LT3385185T (lt) 2020-07-10
WO2018184704A1 (de) 2018-10-11
CY1123392T1 (el)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435B1 (ko) 금속 캔 뚜껑
CN108025831B (zh) 罐盖
AU2017227868A1 (en) Resealable can lid
AU2017295305B2 (en) Metal can and associated can lid
CA3066327C (en) Container for hermetically sealed storage of products, in particular foodstuffs
CN108602585B (zh) 罐盖
US11878835B2 (en) Metallic can end
US6003713A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aging containers
OA19301A (en) Metallic can lid.
OA19300A (en) Container for hermetically sealed storage of products, in particular foodstuffs.
OA18840A (en) Resealable can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