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076B1 -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076B1
KR102313076B1 KR1020210073597A KR20210073597A KR102313076B1 KR 102313076 B1 KR102313076 B1 KR 102313076B1 KR 1020210073597 A KR1020210073597 A KR 1020210073597A KR 20210073597 A KR20210073597 A KR 20210073597A KR 102313076 B1 KR102313076 B1 KR 102313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using
space
toilet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욱경
Original Assignee
성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욱경 filed Critical 성욱경
Priority to KR102021007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4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tissues or tissu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휴지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로서,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휴지를 수납하도록 둘레면을 구비하되 상측이 개방된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TISSUE DISPENSER FOR USE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고정되어 휴지의 수납 및 사용에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 중 위생 상 휴지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 내에 휴지를 비치해 놓는다. 예를 들면, 휴지는 차량의 콘솔, 사이드 포켓 등에 보관될 수 있다.
차량 내에 비치된 휴지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비치 상태에 따라 휴지가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기도 한다.
이에 차량 내 휴지를 보관함에 있어서 오염을 방지하고, 미관 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휴지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차량 내 고정이 어려운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휴지를 배치하는 공간이 가변성이 없어 휴지의 두께에 따라 배치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지의 삽입 및 인출과, 차량 내 고정이 용이한 휴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지의 두께에 따라 휴지를 배치하는 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휴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휴지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로서,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휴지를 수납하도록 둘레면을 구비하되 상측이 개방된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상기 트레이의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출입 방향을 따라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될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공간의 외부로 배출하는 푸시 투 오픈 슬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의 각 일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둘레면의 상측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체결되는 제 2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외부 부재에 상기 하우징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면 상단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고정홈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제 1 벨크로를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 1 스트랩과, 상기 제 1 벨크로와 체결되는 제 2 벨크로를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스트랩을 포함하는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트랩은 상기 제 1 벨크로와 상기 제 2 벨크로가 체결된 상태에서 폐쇄형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의 후면을 구획하는 후측벽, 전후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측벽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측방벽을 구비하는 제 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공간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측벽, 상기 전측벽의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 2 측방벽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방벽이 상기 제 1 측방벽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의 전후방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측방벽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방벽은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방벽은, 상기 복수개의 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어 내측으로 트여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의 상측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휠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측방벽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휠 스토퍼를 구비하는 피벗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방벽에는 상기 피벗 부재를 피벗시키도록 상기 피벗 부재와 연결되어 외측면에 결합된 피벗 노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휴지를 보관하는 트레이의 인출입이 용이하면서도 차량 내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휴지 두께에 대응되도록 휴지가 배치되는 공간의 전후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고정 상태를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고정 클립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가 차량의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고정 스트랩이 하우징을 둘러싸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의 가변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의 가변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하우징(10), 트레이(20), 슬라이드(30) 및 고정 클립(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S)을 구비한다. 공간(S)에는 휴지를 수납하는 트레이(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은 사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트레이(20)의 진입 시 삽입 한계를 설정하여 주는 스토퍼(11)를 공간(S)의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2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공간(S)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트레이(20)는 휴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21)와, 트레이 바디(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바디(21)는 후방면(211)과, 상기 휴지를 수납하도록 상기 후방면(211) 돌출된 둘레면(212)을 구비하되, 상측이 개방된다. 또한, 트레이 바디(21)는 둘레면(212)의 상측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면(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면(213)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30)의 일단부가 접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2)는 트레이 바디(21)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트레이 바디(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22)는 지지면(213)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2)는 트레이 바디(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22)는 트레이 바디(21)와 힌지(2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2)는 트레이 바디(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트레이(20)가 상기 공간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더라도 상기 휴지를 용이하게 트레이(20) 내부에 배치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레이(20)는 트레이 바디(21)의 지지면(213)에 배치되는 제 1 자석(24)과, 커버 플레이트(22) 중 트레이 바디(21)의 지지면(213)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 1 자석(24)과 체결되는 제 2 자석(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석(24)과 제 2 자석(25)은 커버 플레이트(22)가 트레이 바디(21)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할 때는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되, 적절한 힘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22)를 개방할 수 있게 해준다.
슬라이드(30)는 트레이(20)의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트레이(20)의 출입 방향을 따라 트레이(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슬라이드(30)는 한 쌍이 트레이(2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30)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상단)은 지지면(213)에 접하여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슬라이드(30)는 트레이(20)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될 경우 트레이(20)를 상기 공간의 외부로 배출하는 푸시 투 오픈 슬라이드일 수 있다. 슬라이드(30)가 푸시 투 오픈 슬라이드일 경우 사용자는 트레이(20)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트레이(20)가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휴지를 배치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고정 클립(40)은 외부 부재에 하우징(10)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면에 결합된다. 고정 클립(40)은 하우징(10)의 외면(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부분(41)과, 제 1 부분(41)의 후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고정 클립(40)이 외부 부재(E)에 걸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가 고정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부재(E)는 차량의 사이드 포켓 등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고정 클립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일면 상단에 고정홈(12)을 구비하고, 고정 클립(40)은 고정홈(12)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12)은 하우징(10)의 후면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홈(12)은 한 쌍이 일단위를 이루며 하나의 단위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단위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홈(12)은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되어 한쌍을 이루되, 한 쌍을 이루는 각 고정홈(12)은 내부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함입된 고정 슬롯(12a)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클립(40)은 한 쌍의 고정홈(12)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 다리(431)를 구비하며, 각 고정 다리(431)는 고정 슬롯(12a)에 끼워지도록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절곡된 끼움부(432)를 전방 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 클립(40)은 하우징(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 클립(40)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를 차량의 사이드 포켓 등에 삽입하여 보관하고자 할 때 고정 클립(40)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고정 스트랩(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와 관련하여서는 고정 스트랩(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고정 스트랩(50)은 일단이 하우징(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 1 스트랩 몸체(511)와, 제 1 스트랩 몸체(511)의 외면에 구비된 제 1 벨크로(512)를 갖는 제 1 스트랩(51)과, 일단이 하우징(10)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스트랩 몸체(521)와, 제 2 스트랩 몸체(521)의 외면에 구비된 제 2 벨크로(522)를 갖는 제 2 스트랩(52)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벨크로(512)와 제 2 벨크로(522)는 상호 체결될 수 있다.
고정 스트랩(50)은 제 1 벨크로(512)와 제 2 벨크로(522)가 체결된 상태에서 폐쇄형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차량의 시트(S) 상부의 헤드 레스트(H)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랩(50)은 사용되지 않을 때 하우징(10)을 둘러싸며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가 고정 클립(40)을 통해 고정되거나 차량의 사이드 포켓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등 고정 스트랩(50)이 필요없는 경우 고정 스트랩(50)은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거치에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로 정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의 가변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하우징(10)이 제 1 하우징 부재(10a) 및 제 2 하우징 부재(10b)를 포함하고, 전후방 폭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와 관련하여서는 하우징(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하우징 부재(10a)는 공간(S)의 후면을 구획하는 후측벽(110), 전후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삽입부(121)를 구비하고 후측벽(110)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측방벽(1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부재(10a)는 공간(S)의 하면을 구획하며 후측벽(110)과 제 1 측방벽(120)과 연결된 하측벽(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21)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안착홈(121a, 121b, 121c)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착홈(121a, 121b, 121c)의 사이사이는 안착홈에 비해 좁은 좌우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10b)는 공간(S)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측벽(140), 전측벽(140)의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삽입부(121)에 삽입되는 제 2 측방벽(15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측방벽(150)은 안착홈(121a, 121b, 121c)에 안착 고정될 수 있게 안착홈(121a, 121b, 121c)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150a, 150b, 150c)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제 2 측방벽(150)이 제 1 측방벽(120)의 삽입부(121)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공간(S)의 전후방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돌출부(150a, 150b, 150c)가 복수개의 안착홈(121a, 121b, 121c)에 각각 대응되어 모두 안착홈 내에 배치될 경우 전후방 폭은 가장 좁게 형성되며, 일부의 돌출부가 안착홈 외부에 배치될 경우 전후방 폭은 증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의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의 가변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후방 폭의 가변적 조절과 관련해 복수개의 안착홈(121a, 121b, 121c) 및 복수개의 돌출부(150a, 150b, 150c)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 및 피벗 부재(123)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와 관련하여서는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 및 피벗 부재(123)와 관련 구성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하우징 부재(10b)의 제 2 측방벽(150)은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을 구비한다.
제 1 하우징 부재(10a)의 제 1 측방벽(120)은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21)와 연통되어 내측으로 트여 형성된 슬롯(125)과, 슬롯(125)의 상측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며 슬롯(125)에 삽입된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을 고정함으로써 제 1 측방벽(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휠 스토퍼(1232a, 1232b, 1232c)를 구비하는 피벗 부재(123)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 피벗 부재(123)는 슬롯(125)의 상측에서 제 1 측방벽(120)의 내측에 후단이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벗 몸체(1231)와, 피벗 몸체(123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휠 스토퍼(1232a, 1232b, 1232c)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이 슬롯(125)에 삽입되기 전에는 피벗 부재(123)를 상측으로 피벗시키고,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이 슬롯(125)에 삽입된 후에는 스토퍼(1232a, 1232b, 1232c)가 복수개의 휠(151a, 151b, 151c) 사이에 배치되도록 피벗 부재(123)를 하측으로 피벗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측방벽(120)에는 피벗 부재(123)를 피벗시키도록 피벗 부재(123)와 연결되어 외측면에 결합된 피벗 노브(124)가 구비될 수 있다. 피벗 노브(124)는 피벗 부재(123)의 피벗 축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연결을 위한 구성은 제 2 측방벽(150)이 삽입부(121)에 삽입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우징 20: 트레이
30: 슬라이드 40: 고정 클립
50: 고정 스트랩

Claims (6)

  1. 휴지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로서,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출입 방향을 따라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휴지를 수납하도록 둘레면을 구비하되 상측이 개방된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의 각 일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둘레면의 상측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꺾여 연장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양측 일면에서 상기 지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체결되는 제 2 자석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될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공간의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의 후면을 구획하는 후측벽, 전후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측벽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측방벽을 구비하는 제 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공간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측벽, 상기 전측벽의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 2 측방벽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방벽이 상기 제 1 측방벽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의 전후방 폭이 가변되는,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KR1020210073597A 2021-06-07 2021-06-07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KR10231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97A KR102313076B1 (ko) 2021-06-07 2021-06-07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97A KR102313076B1 (ko) 2021-06-07 2021-06-07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076B1 true KR102313076B1 (ko) 2021-10-14

Family

ID=7815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597A KR102313076B1 (ko) 2021-06-07 2021-06-07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29U (ko) * 1997-06-20 1999-01-15 임경춘 자동차의 보조 암레스트
KR20050098655A (ko) * 2004-04-08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29U (ko) * 1997-06-20 1999-01-15 임경춘 자동차의 보조 암레스트
KR20050098655A (ko) * 2004-04-08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8624B1 (en) Cosmetics case
JP541048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336247B2 (ja) 引出し装置
JPH06211079A (ja) 引き出しユニット
JP2000313282A (ja) 車両用引き出し装置
RU2380996C2 (ru) Мебель с извлекаемым контейнером в своем выдвижном ящике
US11253110B1 (en) Dispenser for soap and sanitizer
JP5280269B2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KR102313076B1 (ko) 차량용 휴지 디스펜서
GB2320922A (en) Disc container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KR200411701Y1 (ko)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JP2000175765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4275397A (ja) 内引出しを備えた引出し構造
JPH0976811A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200380769Y1 (ko) 욕실용 수납장
JPH11309031A (ja) 引き出しガイド構造
JP3120321B2 (ja) カップ保持板付車両用コンソール
KR102243013B1 (ko) 러기지 룸 수납구조
KR102234854B1 (ko) 헤드레스트바 부착형 방향장치
JP2926680B2 (ja) 灰皿一体式カップホルダ
JP2000126048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ホルダー装置
KR20050088850A (ko) 수납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록킹장치
KR0140286Y1 (ko) 자동차의 동전꽂이 겸용 컵홀더
JP2007069636A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