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882B1 -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 Google Patents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82B1
KR102312882B1 KR1020200170600A KR20200170600A KR102312882B1 KR 102312882 B1 KR102312882 B1 KR 102312882B1 KR 1020200170600 A KR1020200170600 A KR 1020200170600A KR 20200170600 A KR20200170600 A KR 20200170600A KR 102312882 B1 KR102312882 B1 KR 10231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etration
concrete
ground
wall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김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봉 filed Critical 김재봉
Priority to KR102020017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6Compacting soil locally before forming foundations; Construction of foundation structures by forcing binding substances into gravel fil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수직플레이트와 경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관입앵글부재와, 상기 관입앵글부재가 지반으로 관입되도록 물을 분사시킬 수 있게 상기 관입앵글부재에 설치되는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입분사부재; 상기 관입앵글부재의 상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높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벽체; 상기 콘크리트벽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를 마련하여 콘크리트벽체의 외면에 방수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콘크리트벽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을 완벽하게 차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벽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도 방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강판에 의해 방수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방수부재의 파손 및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Waterproof Concrete structure for ground penetration and penetration method}
본 발명은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을 터파기 및 흙막이 공사 없이 건축물의 외벽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을 지반에 관입시킴은 물론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공사란 콘크리트 건축물의 초석으로서 건축물 등의 구조물을 지반 위에 구축할 시 콘크리트 건축물의 자체 무게에 의한 수직방향의 하중과 지진, 바람 등이 구조물에 가하는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한 공작물을 형성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일반적인 기초공사의 공사 단계는 먼저 기초 공사를 위한 터파기를 한 다음, 터파기한 지점의 흙을 다지고, 그 위에 잡석과 비닐을 깐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설한다.
이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그 위에 골조공사를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도심지에서 지하터파기 작업 전에는 외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반의 안정화 및 지하수의 차수를 목적으로 흙막이 공사가 선행된다.
종래의 흙막이 공사 기술은 터파기 공사를 하기 위한 구간의 테두리 부위에 H 빔을 매설한다.
이때 H 빔과 인접한 다른 H 빔 사이에는 터파기 공사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목재 토류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먼저 H 빔을 매설한 후 H 빔이 매설된 부위에 굴착작업을 시행한다.
이후 굴착작업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H 빔과 인접한 다른 H 빔 사이에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목재 토류판을 굴착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및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에 따라 H 빔과 인접한 다른 H 빔 사이에 설치된 토류판에 의해 절토부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흙막이 벽체 뒤쪽에 차수그라우팅을 하여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기술은 기초 흙막이 구조는 토류벽을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많은 수의 H 빔을 다수 개 박아 고정하는 항타 작업이 많아 항타기의 이동을 위한 넓은 이동공간이 먼저 확보되어야 하는 등의 많은 예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공사는 터파기 등에 의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 공사를 동시에 진행하게 되므로, 공사 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주변 건물의 붕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은 지반의 굴착 후에 시공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 시공에 따른 기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반의 지하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수 시트 또는 방수재 등이 시공되는데,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측면에 방수구조가 시공됨에 따라 외측에서 유입되는 물을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측에서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반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지하층 건축물은 외면에 방수 구조를 시공할 수 없음에 따라 콘크리트 내측면에 방수 구조를 시공하게 되더라도 지하수 등이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건물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견물벽 구조체는 건물이 신축될 건물 지반과 상기 건물 지반에 인접한 주변 지반의 부지 경계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상기 구멍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외주의 일측이 상기 주변 지반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 지반의 흙막이 및 상기 건물의 측벽을 겸하는 건물벽과, 상기 건물벽과 일체로 연결되는 건물보 및 건물슬래브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은 기초 바닥판과, 상기 기초 바닥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둥과, 각각의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바닥판과 기둥, 기초 바닥판과 벽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기초 바닥판과 기둥, 기초 바닥판과 벽체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벽체의 하단에는 커버판이 형성되어 기초 바닥판과 기둥, 기초 바닥판과 벽체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출되지 않도록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기둥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판은 두개의 방향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초 바닥판의 모든 모서리부와 가장자리에는 기둥과 벽체 체결을 위한 철근 또는 커플러,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커플러와 턴버클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커플러에 의해서는 철근과 철근을 연결하도록 하고, 턴버클에 의해서는 기초 바닥판과 기둥, 기초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가 하나의 일체형 건축 모듈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9414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40229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598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 벽체를 지반에 관입시켜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파기 및 흙막이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지반에 관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반에 관입되기 전에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면에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 외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면에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방수시트가 탈리되지 않도록 강판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은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 관입앵글부재(110)와, 상기 관입앵글부재(110)가 지반으로 관입되도록 물을 분사시킬 수 있게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에 설치되는 파이프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관입분사부재(100);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의 상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높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벽체(210);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입앵글부재(110)는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111)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11)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플레이트(112)와, 상기 파이프부재(130)의 분출파이프(113)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11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이프구멍(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부재(130)는 상기 수직플레이트(11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직파이프(131)와, 상기 수직파이프(131)의 하단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파이프(132)와, 상기 수평파이프(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분출파이프(133);를 포함하며,
상기 분출파이프(133)는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의 경사플레이트(112)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반 관입장치는 지반을 소정의 폭으로 굴착 형성되는 굴착공에 모래를 채운 다음 상기 파이프부재(130)의 분출파이프(133)에서 분출되는 수압에 의해 모래가 상승되면서 상기 관입앵글부재(110)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의 상기 수직플레이트(111)와 상기 경사플레이트(112)의 상단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는 지하층에 해당되는 제1 벽체(211); 상기 제1 벽체(211)의 하부 지하층에 해당되는 제2 벽체(212); 상기 제2 벽체(212)의 하부 지하층에 해당되는 제3 벽체(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부재(23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방수시트(231); 상기 방수시트(231)가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로부터 탈리되지 않게 상기 방수시트(231)의 외면에 설치되는 강판(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계를 따라 천공기에 의해 지반을 소정의 폭으로 천공하는 천공단계(S10); 상기 천공기에 의해 천공된 굴착공에 모래를 채워넣는 모래채움단계(S20); 상기 모래의 상면에 관입분사부재(100)를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30); 상기 관입분사부재(100)의 상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로 콘크리트 벽체(210)를 시공하는 단계(S40);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방수부재(230)를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관입분사부재(100) 및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를 지반에 하강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벽체의 외면에 방수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콘크리트벽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을 완벽하게 차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벽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도 방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강판에 의해 방수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방수부재의 파손 및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계를 따라 천공된 굴착공을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 및 지상층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을 간단하게 하강시킬 수 있으며, 지하층 및 지상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고, 관입분사부재의 하강과 함께 콘크리트 벽체를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으며, 지반의 터파기 및 흙막이 공사를 진행하지 않게 됨에 따라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을 관입시킬 수 있게 굴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에 의해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가 하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입분사부재와 콘크리트 벽체가 하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은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 관입앵글부재(110)와, 상기 관입앵글부재(110)가 지반으로 관입되도록 물을 분사시킬 수 있게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에 설치되는 파이프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관입분사부재(100)와,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의 상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높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벽체(210)와,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2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를 따라 지반에 관입분사부재(100) 및 방수부재(230)가 설치된 콘크리트벽체(210)를 일체로 관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입분사부재(100) 및 콘크리트벽체(210)는 시공 현장에서 조립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100)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을 사각형상으로 배치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반 관입장치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반 관입장치를 사각형으로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 한 변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분사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의 관입분사부재(100)는 지반에 관입되는 관입앵글부재(110)와 상기 관입앵글부재(110)가 하강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파이프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입앵글부재(11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111)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입앵글부재(110)는 10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는 짧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수직플레이트(111)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수직플레이트(111)의 하단에는 경사플레이트(112)가 설치된다. 이들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112)는 대략 20~7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40~45°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입분사부재(100)의 지반에 관입 시 관입장치의 관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11) 및 경사플레이트(112)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111, 112)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사플레이트(112)에는 파이프부재(130)의 분출파이프(133)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파이프구멍(113)이 형성된다. 이들 파이프구멍(113)은 경사플레이트(112)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 이들 파이프구멍(113)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분출파이프(133)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 파이프부재(130)는 워터펌프(135)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직파이프(131)와, 상기 수직파이프(131)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파이프(132)와, 상기 수평파이프(132)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분출파이프(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파이프(131)는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11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파이프(131)의 하단에는 동일한 직경의 수평파이프(132)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파이프(132)에는 파이프구멍(113)에 대응되게 분출파이프133)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파이프(131)와 수평파이프(132)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이들 파이프(131, 132)는 대략 50㎜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131, 132)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분출파이프(133)는 워터펌프(135)에서 공급되는 물이 고압으로 분출될 수 있게 파이프(131, 132)보다 작은 10~20㎜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출파이프(133)는 파이프(131, 13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분출파이프(133)가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노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분출파이프(133)의 일단은 수평파이프(132)에 연결되고, 상기 분출파이프(133)의 타단은 파이프구멍(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관입분사부재(10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벽체(210)가 설치된다.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의 외벽에 해당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는 지하층의 외벽 및 지상층의 외벽을 일컫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하층에 해당되는 외벽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는 지하 1층에 해당되는 제1 벽체(211)와, 지하 2층에 해당되는 제2 벽체(212) 및 지하 3층에 해당되는 제3 벽체(2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벽체(211, 212, 213)는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하층 및 지상층의 높이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벽체(210)에는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방수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는 연질의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수시트(231)가 설치되고, 상기 방수시트(231)의 외면에는 방수시트(231)의 탈리를 방지함은 물론 방수시트(231)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강판(232)이 설치된다.
이러한 강판(232)은 콘크리트벽체(210)의 하강 시 모래 등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방수시트(231)의 탈리 및 파손 등을 방지하며, 콘크리트벽체(210)의 하강 후 흙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하여 방수시트(23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계를 따라 천공기에 의해 지반을 소정의 폭으로 천공하는 천공단계(S10); 상기 천공기에 의해 천공된 굴착공에 모래를 채워넣는 모래채움단계(S20); 상기 모래의 상면에 관입분사부재(100)를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30); 상기 관입분사부재(100)의 상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로 콘크리트 벽체(210)를 시공하는 단계(S40);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외면에 방수부재(230)를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관입분사부재(100) 및 상기 콘크리트벽체(210)를 지반에 하강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을 관입시킬 수 있게 굴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에 의해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에 따라 지반을 천공기(150) 등으로 천공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천공기(150) 등에 의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에 해당되는 둘레를 따라 지반을 천공한다(S10).
이때 천공되는 폭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 두께보다 두껍게 천공되며, 대략 1,200~1,500㎜의 폭으로 천공하게 된다. 이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 두께보다 폭 넓게 천공함으로써, 지반 관입장치의 관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천공기(150)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진 다음 굴착공(151)에는 모래를 채우게 된다(S20).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가 하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관입장치와 콘크리트 벽체가 하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공(151)의 상부에는 관입분사부재(100) 및 콘크리트벽체(210)를 설치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공(151)의 모래 상면에는 관입분사부재(100)를 설치하게 된다(S30).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입분사부재(100)의 상면에는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해당되는 콘크리트벽체(211, 212, 213)를 시공하게 된다(S40).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에는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부재(130)가 설치되고, 관입앵글부재(110)에는 중량을 갖도록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112)의 상단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일면, 즉 외면에는 방수부재(23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벽체(210)의 일면에는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수시트(231)를 설치하고, 상기 방수시트(231)의 외면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강판(232)을 설치한다(S50).
이들 방수시트(231) 및 강판(232)은 콘크리트벽체(210)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23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파스너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지반 관입장치는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측 경계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부재(130)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135)가 설치된다.
이때 대략 10m의 길이로 이루어진 관입앵글부재(110)에 설치된 분출파이프(133)에는 동일한 수압으로 물이 분출되게 한다.
즉, 상기 분출파이프(133)에서 동일한 압력의 물이 분출되게 함으로써, 관입분사부재(10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되게 한다.
상기 지반 관입장치의 관입앵글부재(110)는 모래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135)에 의해 파이프부재(13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상기 워터펌프(135)에서 공급된 물은 수직파이프(131)로 이동되고, 이어서 수평파이프(132)로 이동되며, 분출파이프(133)를 통해 경사플레이트(112)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이에 굴착공(151)에 채워진 모래가 수압에 의해 굴착공(151)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관입앵글부재(11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입앵글부재(110)는 관입앵글부재(110)의 자중 및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210)의 자중에 의해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S60).
즉, 상기 관입앵글부재(11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에 해당되는 구조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지반 관입장치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자중이 관입앵글부재(110)에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을 천공된 굴착공(151)에 관입시켜 지하층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관입분사부재 110: 관입앵글부재
111: 수직플레이트 112: 경사플레이트
113: 파이프구멍
130: 파이프부재 131: 수직파이프
132: 수평파이프 133: 분출파이프
135: 워터펌프
210: 콘크리트벽체 211: 제1 벽체
212: 제2 벽체 213: 제3 벽체
230: 방수부재 231: 방수시트
232: 강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내측방향으로 40~45°로 절곡된 경사플레이트(112)를 갖추고, 지중에 관입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계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수직플레이트(111)로 구성된 관입분사부재(100)로,
    상기 관입분사부재(100)는,
    워터펌프(135)와 연결된 복수의 수직파이프(13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플레이트(111)와 경사플레이트 사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통되게 결합되는 수평파이프(132)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파이프(131)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분출파이프(133)들이 상기 경사플레이트(112)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12)와 수직플레이트(111)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갖추고, 상기 관입분사부재(100)를 지반 내에 관입함에 있어,
    관입할 대상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계를 따라 지반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천공기로 천공하여 굴착공(151)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0);
    상기 굴착공(151) 속으로 모래를 충진하는 모래채움단계(S20);
    상기 수직플레이트(111)가 상기 굴착공(151)의 내벽에 접하고 상기 모래 위에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콘크리트 벽체(210)를 적층하는 단계(S40);
    상기 콘크리트 벽체(210)의 외면에 방수부재(230)를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워터펌프를 구동시켜 고 압수를 상기 양 플레이트(111)(112)를 통해 각 분출파이프로 분사하여 상기 관입분사부재(100)을 상기 굴착공(151) 속으로 관입시키는 단계(S60);
    상기 굴착공속으로 관입분사부재(100)가 관입되는 동안 상기 콘크리트 벽체(210) 위로 콘크리트 벽체(210)를 순차적으로 더 적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의 관입방법.
KR1020200170600A 2020-12-08 2020-12-08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KR10231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00A KR102312882B1 (ko) 2020-12-08 2020-12-08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00A KR102312882B1 (ko) 2020-12-08 2020-12-08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882B1 true KR102312882B1 (ko) 2021-10-13

Family

ID=7811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00A KR102312882B1 (ko) 2020-12-08 2020-12-08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740A (ja) * 1991-04-26 1994-03-15 Sumisho Kami Pulp Kk 地下埋設構築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H0776845A (ja) * 1993-09-06 1995-03-20 Toda Constr Co Ltd オープンケーソンの沈設方法
KR200238959Y1 (ko) * 2001-04-16 2001-10-11 주식회사 태명실업 벽체 말뚝용 슈
KR20100094140A (ko) 2009-02-18 2010-08-26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건물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040229B1 (ko) 2019-01-23 2019-11-06 (주)유니온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KR102159832B1 (ko) 2020-06-24 2020-09-24 최경래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740A (ja) * 1991-04-26 1994-03-15 Sumisho Kami Pulp Kk 地下埋設構築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H0776845A (ja) * 1993-09-06 1995-03-20 Toda Constr Co Ltd オープンケーソンの沈設方法
KR200238959Y1 (ko) * 2001-04-16 2001-10-11 주식회사 태명실업 벽체 말뚝용 슈
KR20100094140A (ko) 2009-02-18 2010-08-26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건물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040229B1 (ko) 2019-01-23 2019-11-06 (주)유니온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KR102159832B1 (ko) 2020-06-24 2020-09-24 최경래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014A (ko)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101116045B1 (ko) 사각지지말뚝을 이용한 연속벽체 흙막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68597A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Pil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KR102009077B1 (ko) 차수형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JP2012107479A (ja) 地下・地上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9235809A (ja) 基礎杭を有する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KR101262357B1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KR102312882B1 (ko) 지반 관입용 방수 콘크리트 건축물 및 그 관입방법
KR20130021952A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22689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장치 및 그 관입방법
KR102312847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반 관입 분사장치
KR102322702B1 (ko) 지반 관입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781492B1 (ko)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19474A (ko) 옹벽의 시공방법
CN216339582U (zh) 一种用于基坑支护的组合斜向支撑
KR20090013554A (ko) 역타형 수직 절취 사면 보강 옹벽의 시공방법
JP2008274746A (ja)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KR20190012368A (ko) 소형 천공장비를 이용한 인접건물 근접구간 소구경 합성파일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4633273B2 (ja) 土留工法とその装置
JP3957607B2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及び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
KR102143188B1 (ko) 파일을 이용한 가시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공법
KR102184081B1 (ko) 역케이싱을 이용한 지반천공 방법
JPH09111754A (ja) 親杭止水壁工法
JP7193994B2 (ja) 支柱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