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07B1 -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07B1
KR102312407B1 KR1020200183413A KR20200183413A KR102312407B1 KR 102312407 B1 KR102312407 B1 KR 102312407B1 KR 1020200183413 A KR1020200183413 A KR 1020200183413A KR 20200183413 A KR20200183413 A KR 20200183413A KR 102312407 B1 KR102312407 B1 KR 10231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inforcing bar
hollow
main
hollow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환
오세웅
옹정열
김동혁
조경동
박제영
김동현
김수명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28B23/024Supporting means
    • B28B23/026Mould partitionning elements acting as supporting means in moulds, e.g. for elongat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중심 영역이 직각으로 중첩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는 중심 철근부; 각 상기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내부 띠 철근부; 복수개의 상기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주 철근부; 각 상기 주 철근부들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주 철근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 띠 철근부; 및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튜브를 삽입하고, 상기 튜브를 제외한 철근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된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A precast concrete hollow column using tubes}
본 발명은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은 기둥과, 보 및 슬라브로 이루어지며, 시공방법은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철근 주위에 거푸집을 만들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건축물 구조는 기둥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든 공정이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또한 공사기간이 증대될 수 있다.
근래에는 공기단축과 인력절감을 위해 시공에 필요한 각 부재별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PC(Pre-casted Concrete)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C 공법은 현장에 필요한 구조물을 미리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규모가 큰 구조물에 필요한 기둥을 미리 만들어 운반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현장에서도 이를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97194호(2008.01.16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중 하중을 줄이기 위해 중공부가 형성되고,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공부를 가지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로 분절된 중공형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용이한 중공부를 가지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 영역이 교차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는 중심 철근부; 각 상기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내부 띠 철근부; 복수개의 상기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주 철근부; 각 상기 주 철근부들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주 철근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 띠 철근부; 및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채워 상기 철근부 주변을 둘러 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튜브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면서 복원된 상기 중공부 주변으로 성형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 띠 철근부 또는 주 철근부와 팽창된 튜브가 간섭되면서 나타나는 윤곽에 의하여 엠보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상기 주 철근부 상에 복수개 결합되는 연결 철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철근부는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 철근부에 결합되는 고정클립과, 중심 영역이 상기 주 철근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주 철근부 사이에 간섭을 증대시키는 V형 타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도록 상기 중공부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주 철근부; 각 상기 주 철근부들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주 철근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 띠 철근부; 및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채워 상기 철근부 주변을 둘러 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튜브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면서 상기 중공부 주변으로 성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홈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홈 형성부재는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간격 마다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 형성부재는 일 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원,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복수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 형성부재는 상기 튜브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튜브와 본체가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상기 튜브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상기 튜브들 사이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외부 띠 철근부와 결합되는 중심 철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중심 철근부, 내부 띠 철근부, 주 철근부, 외부 띠 철근부 및 연결 철근부를 조립하여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부에 상기 철근망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하여 사각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내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주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주 철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철근부에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는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 상에 V형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와,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고정클립을 주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는 수축된 튜브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튜브 내부에 공기를 채우는 단계 및 튜브 내부의 공기압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는 튜브 내부의 공기를 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첫째, 튜브를 이용하여 중공형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양중하중을 줄일 수 있고,
둘째, 중심 철근부와, 내부 띠 철근부와, 주 철근부와, 외부 띠 철근부 및 연결 철근부로 이루어진 철근망을 감싸도록 본체가 성형되기 때문에 중심축하중 및 반복 횡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셋째, 복수로 분절된 모듈형 중공형 구조를 서로 끼워 맞춰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고,
넷째,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철근망 조립 공정과 몰탈, 코킹 마감 공정 등을 축소할 수 있어 작업성 증대 및 공사기간을 대략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다섯째, 연결 철근부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통하여 철근 과밀을 해소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 철근부가 조기 좌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진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여섯째, 튜브를 분리한 중공부 내부 측벽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현장에서 2차 콘크리트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의 증가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곱째, 튜브 외주면에 홈 형성부재를 구비하여 현장에서 2차 콘크리트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의 증가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덟째, 튜브 상에서 홈 형성부재가 본체가 형성되는 외부면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중공부에 튜브의 삽입 또는 탈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덕트 모듈을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이용한 시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측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연결 철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튜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를 몰드 내부에 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몰드와 튜브를 제거한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내부 중공부에 2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I-I' 단면(도 4 참조)에 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튜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튜브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튜브를 중공부에 삽입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몰드와 튜브를 제거한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튜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튜브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튜브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은 각각의 본체를 모듈화 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 100'')가 결합될 수 있다. 모듈화 된 단위 중공형 구조(100)는 구조물의 하나의 층고에 대응하는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는 중공형 기둥, 중공형 슬라브, 중공형 거더, 중공형 벽체 등과 같이 중공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공형 기둥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범위는 기둥에만 한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를 포함하는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부를 가지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은 중심 철근부(110)와, 내부 띠 철근부(120)와, 주 철근부(130)와, 외부 띠 철근부(140)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된 본체(150)를 포함한다.
먼저, 중심 철근부(110)는 중심 영역이 서로 직각으로 중첩되도록 대략 열 십자 형상(十)으로 배치(도 4 참조)된다. 중심 철근부(110)는 후기할 내부 띠 철근부(120)와 더불어 중공부(111)를 형성하며, 중공부(111)의 중심을 열 십자 형상으로 분할한다.
중심 철근부(110)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 철근부(110)는 도면을 기준으로 편의상 가로 철근부(112)와, 세로 철근부(113)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 띠 철근부(120)는 사각형의 구조로 중심 철근부(110) 상에 결합된다. 내부 띠 철근부(120)는 내대근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하나의 내부 띠 철근부(120)는 일 변의 중심이 세로 철근부(113)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고, 일 변과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이 세로 철근부(113)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내부 띠 철근부(120)는 일 변의 중심이 가로 철근부(112)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고, 일 변과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이 가로 철근부(112)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 철근부(130)와 내부 띠 철근부(120)가 서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영역에서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내부 띠 철근부(120)와 중심 철근부(110)를 바라보면 대략 밭 전(田) 형상을 이룬다. 물론, 세로 철근부(113)와 가로 철근부(112)에 결합되는 내부 띠 철근부(120)는 서로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내부 띠 철근부(120)는 각 꼭지점 영역을 내부에서 보조 철근(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철근은 내부 띠 철근부(120)의 각 꼭지점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보조 철근은 중공형 구조(100)의 구조적 강성을 위해 복수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내부 띠 철근부(120)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내부 띠 철근부(120)를 둘러싸도록 주 철근부(130)가 배치된다. 주 철근부(130)는 내부 띠 철근부(120)들을 나란히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주 철근부(130)의 가로 철근부(112)와 세로 철근부(113)가 각각 x, 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내부 띠 철근부(120)는 x, y평면 상에 배치되고, 주 철근부(130)는 z축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내부 띠 철근부(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만약, 보조 철근이 구비된다면 주 철근부(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 철근부(130)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주 철근부(130)의 간격 또는 개수 역시 구조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주 철근부(130)는 내부 띠 철근부(120)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주 철근부(130)의 외부에는 주 철근부(130)를 감싸도록 외부 띠 철근부(140)가 구비된다. 외부 띠 철근부(140)는 내부 띠 철근부(12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띠 철근부(140)는 모든 주 철근부(130)들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의 주 철근부(130)들을 감싸거나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외부 띠 철근부(140)가 모든 주 철근부(130)들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외부 띠 철근부(140)의 일 단부가 하나의 주 철근부(130)에 일부 감기도록 배치되고, 모든 주 철근부(130)들을 감싸고 다시 외부 띠 철근부(140)의 타 단부가 하나의 주 철근부(130)에 일부 감기도록 배치된다.
외부 띠 철근부(140)는 적어도 각 꼭지점 영역에 배치되는 주 철근부(130)와 와이어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외부 띠 철근부(140)와 주 철근부(130)는 선택적으로 또는 모든 중첩 영역에서 와이어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주 철근부(130)에는 연결 철근부(160)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철근부(160)는 고정클립(161)과 V형 타이(162)를 포함한다.
고정클립(161)은 V형 타이(162)를 주 철근부(130) 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클립(161)은 일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61a)와, 몸체(161a) 상에 V형 타이(162)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부(161b)를 포함한다.
고정클립(161)은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클립(161)은 주 철근부(130) 상에 결합될 때,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억지끼움 하면 “C” 형상의 개구된 방향으로 주 철근부(130)에 원터치 방식으로 딸깍 끼워질 수 있다.
몸체(161a)는 주 철근부(130)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볼록부(161c)가 구비된다. 볼록부(161c)는 주 철근부(130)의 리브 또는 마디와 간섭될 수 있다. 또한, 몸체(161a) 내주면에 복수의 볼록부(161c)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볼록부(161c) 사이에 주 철근부(130)의 리브나 마디가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돌부(161b)는 V형 타이(162)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몸체(161a)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 및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돌부(161b)는 V형 타이(162)를 복수 영역에서 결합시키되, 주 철근부(130)가 끼워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V형 타이(162)를 연결한다. 돌부(161b)는 몸체(161a) 상에서 후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몸체(161a)의 측면에 돌부(161b)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재(161d)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 철근부(160)를 통하여 중공형 구조(100)의 과밀 배근으로 인한 선조립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시공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체(150)는 외부에 배치된 몰드(M)와 덕트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성형된다.
따라서, 본체(150)는 내부에 내부 띠 철근부(120)와, 주 철근부(130)와, 외부 띠 철근부(140) 및 연결 철근부를 내장하는 하나의 모듈형 기둥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은 중공부(111) 내부가 적어도 30% 이상 비어 있어 중공형 구조(100)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형 기둥 구조물을 복수개 연결하여 높이 연장이 용이함으로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탈형 및 철근 배근으로 인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중공형 구조(100)는 본체(150)가 성형되기 전에 중공부(111) 내부에 튜브(170)가 삽입된다.
튜브(170)는 내부 공기가 빠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부(111) 내부에 튜브(170)가 장착되면, 튜브(170) 내부에 적정 압력으로 공기를 채워 중공부(111)가 전충(塡充)된다.
튜브(17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튜브(170) 내부의 공기압을 점검한다.
그리고, 튜브(170)는 중공부(111)를 채우는 과정에서 중심 철근부(110) 또는 내부 띠 철근부(120)와 간섭이 발생한다. 즉, 중심 철근부(110)와 내부 띠 철근부(120)는 서로 용접된 결합관계를 갖는바, 서로에 대하여 이동이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없는데, 튜브(170)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탄성이나 변형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튜브(170)는 공기를 채우면서 중심 철근부(110) 및 내부 띠 철근부(12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중공부(111) 내부에서 개방된 영역을 향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70)의 압력에 따른 변형은 본체(15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중공부(111) 내부에 엠보싱(도 10 참조, 151)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11)를 바라보면 중심 철근부(110)는 튜브(170)들이 서로 압력에 의해 밀고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중공부(111) 상에서 노출되고, 내부 띠 철근부(120) 또는 주 철근부(130)도 튜브(170)와 밀착되는 부분은 일부 노출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튜브(170)가 압력으로 인해 내부 띠 철근부(120)와 주 철근부(130) 사이로 변형이 발생된 부분은 중공부(111) 내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엠보싱(151)이 형성된다.
중공형 구조(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중공부(111)에 2차 콘크리트(180)가 채워지면서 내부 기둥이 성형되는데, 엠보싱(151)은 내부 기둥(180)과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중공형 구조(100)와 현장에서 2차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성형되는 내부 기둥(180) 사이에서 일체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엠보싱(151)의 접촉 구조로 인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강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S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S100)은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110)와,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S120)와, 몰드 내부에 철근망을 거치하는 단계(S130)와,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S140)와,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50) 및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110)에서, 몰드는 기존 PC 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거푸집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몰드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100)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110)에서 몰드 내부에 방수판이 설치될 수 있다.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S120)는 중심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1)와,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하여 사각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내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2)와,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주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3)와, 주 철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4) 및 주 철근부에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S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S125)는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 상에 V형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S126)와,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클립을 주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S127)를 포함한다.
중심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1)는 내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2)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중심 철근부는 분리 가능한 임시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내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2)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주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3)는 각각의 내부 띠 철근부와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주 철근부를 복수개 배치한다. 이때 주 철근부와 내부 띠 철근부는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외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4)는 주 철근부가 배근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즉, 내부 띠 철근부와 중첩되거나 평행하게 주 철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물론, 주 철근부와 외부 띠 철근부는 서로 와이어를 통해서 묶이기 때문에 철근망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S125)가 이루어지는데, V형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S126)는 고정클립에 V형 타이를 결합하는 과정으로써, 고정클립의 몸체에서 돌출된 돌부를 통하여 V형 타이를 조립한다. 즉, V형 타이는 고정클립에 결합되고, 고정클립이 주 철근에 결합되면서 연결 철근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고정클립을 주 철근부에 결합하는 단계(S127)는 주 철근부 상에 고정클립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어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S120)는 완성된 철근망을 검사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망을 거치하는 단계(S130)는 제작된 몰드 내부에 철근망을 거치한다.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S140)는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S141)와, 뉴브 내부에 공기를 채우는 단계(S142) 및 튜브의 공기압을 검사하는 단계(S143)를 포함한다.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S141)는 중심 철근부를 기준으로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중공부 각각에 주 철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튜브를 삽입한다. 이때,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S141)는 몰드 내부에 철근망이 거치된 후 진행되므로, 철근망의 상부에서 중공부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튜브를 끌어 당기면서 튜브를 삽입할 수 있다. 물론, 네 개의 중공부 영역 중에서 아래 두 영역에 먼저 튜브를 설치하고, 그 위에 두 영역에 차례대로 튜브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철근망의 상부에서 네 개의 각 중공부 영역으로 당김줄을 설치한 후, 당김줄에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여 당김줄을 잡아당기면서 튜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중공부에 튜브가 거치되면, 수축된 튜브에 공기를 채우는 단계(142)가 이루어진다. 튜브 내부에 공기가 완충되면 튜브 내부의 공기압을 검사하는 단계(143)가 이루어진다. 이때 튜브 내부의 공기압은 대략 0.016~0.02MPa 범위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압력 범위는 튜브의 재질이나 종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튜브의 장착이 완료되면,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150)가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망의 상부에서 철근망의 빈 공간을 통해 점차 몰드 내부가 채워지며, 양생이 완료되면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160)를 수행한다.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면, 철근망을 감싸는 본체(150)가 형성되고, 본체(150) 내부 튜브가 거치된 자리에 중공부가 형성되면서,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가 완성된다.
물론, 이때도 몰드의 탈형 후 외관을 검사하는 단계(미도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공 기둥은 현장에서 설치되는 과정에서 중공부 내부에 현장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현장에서 이루어질 중공부의 현장 타설에 따른 중량만큼의 하중을 더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튜브를 이용하여 중공형 구조를 제조하기 때문에 양중하중을 줄일 수 있고, 중심 철근부와, 내부 디 철근부와, 주 철근부와, 외부 띠 철근부 및 연결 철근부로 이루어진 철근망을 감싸도록 본체서 성형되기 때문에 중심축하중 및 반복 횡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복수로 분절된 모듈형 중공형 구조를 이용하여 층고에 맞춰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철근망 조립 공정과 몰탈, 코킹 마감 공정 등을 축소할 수 있어 작업성 증대 및 공사기간을 대략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연결 철근부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통하여 철근 과밀을 해소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 철근부가 조기 좌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진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200)은 주 철근부(130)와, 외부 띠 철근부(140)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된 본체(150) 및 연결 철근부(1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전기한 바와 같이, 주 철근부(130)와, 외부 띠 철근부(140)와, 본체(150) 및 연결 철근부(160)는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200)은 내부에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중공부(211) 내부에 중심 철근부와 내부 띠 철근부가 삭제되면서 중공부(211)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즉, 중공부(211)에는 하나의 튜브(270)가 삽입되면서 튜브(270)를 제외한 영역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면서 본체(150)가 성형된다.
이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70)의 외주면에는 튜브(27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본체(150)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홈 형성부재(271)가 구비된다.
홈 형성부재(271)는 튜브(27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본체(150) 성형 과정에서 홈 형성부재(27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본체(150)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홈(도 16 참조, 251)을 형성한다.
홈 형성부재(271)는 일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 원, 타원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홈 형성부재(271)는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튜브(270)의 삽입 또는 탈거 방향에 대하여 본체(150) 내주면과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홈 형성부재(271)가 경사면이나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본체(15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본체(150) 완성 후 튜브(270)의 탈거 과정에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홈 형성부재(271)는 튜브(270)의 둘레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튜브(270)의 둘레를 따라서 비 연속적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튜브(270)의 외주면 상에 특정한 패턴 또는 불특정한 패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홈 형성부재(271)는 튜브(270)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어 본체(15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본체(150)의 내주면에 홈(251)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나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홈 형성부재(271)는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튜브(27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져 튜브(270) 제조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이중 사출을 통하여 튜브(270) 외주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체(15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큰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튜브(270) 내부의 공기를 빼고, 튜브(27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홈 형성부재(271)는 본체(150) 내주면의 홈(251)으로부터 탈락된다. 따라서, 홈 형성부재(271)는 탄력적으로 휘어지거나 외형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튜브(270)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면 도 14의 형상을 가진 튜브(270)가 수축되면서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이때 튜브(270)의 부피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홈 형성부재(271)도 튜브(27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체(150) 내주면의 홈(25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중심 철근부(112, 113)를 중심으로 주 철근부(미도시)와, 외부 띠 철근부(미도시)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된 본체(미도시) 및 연결 철근부(미도시)로 이루어진 철근망 내부에 각 영역별로 네 개의 튜브가 삽입되어 본체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튜브의 형상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며, 철근망의 구조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가로 철근부(112)와 세로 철근부(113)를 중심으로 네 개의 중공부(미도시, 각 튜브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함)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은 튜브(370)의 외주면 상에서 본체(미도시)가 성형될 외곽 영역에만 홈 형성부재가 배치된다.
도 19(b)를 기준으로, 각 중공부에는 좌측 상부에 제1튜브(370a), 우측 상부에 제2튜브(370b) 우측 하부에 제3튜브(370c) 및 좌측 하부에 제4튜브(370d)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튜브(370a)는 좌측면과 상면에만 제1홈 형성부재(371)가 구비되고, 제2튜브(370b)는 우측면과 상면에 제2홈 형성부재(372)가 구비되며, 제3튜브(370c)는 우측면과 하면에 제3홈 형성부재(373)가 구비되고, 제4튜브(370d)는 좌측면과 하면에 제4홈 형성부재(374)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튜브에 비해서 튜브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같은 형상의 튜브를 이용하여 각 중공부에 대응하도록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각각의 홈 형성부재들은 서로 다른 튜브에 있는 홈 형성부재들과 나란히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홈 형성부재들은 다른 튜브에 구비된 홈 형성부재들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가로 철근부(112)와 세로 철근부(113a, 113b)를 중심으로 여섯 개의 중공부(미도시, 각 튜브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함)가 형성된다.
도 20(b)를 기준으로, 각 중공부에는 좌측 상부에 제1튜브(470a), 중심 상부에 제2튜브(470b), 우측 상부에 제3튜브(370c), 우측 하부에 제4튜브(370d), 중심 하부에 제5튜브(370e) 및 좌측 하부에 제6튜브(370f)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튜브(470a)는 좌측면과 상면에만 제1홈 형성부재(471)가 구비되고, 제2튜브(470b)는 상면에만 제2홈 형성부재(472)가 구비되며, 제3튜브(470c)는 우측면과 상면에 제3홈 형성부재(473)가 구비되고, 제4튜브(470d)는 우측면과 하면에 제4홈 형성부재(474)가 구비되며, 제5튜브(470e)는 하면에 제5홈 형성부재(475)가 구비되고, 제6튜브(470f)는 좌측면과 하면에 제6홈 형성부재(476)가 구비된다.
물론, 중공부가 더 많이 형성된 구조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튜브가 구비되면서 본체를 성형할 수 있다. 중공부 또는 튜브의 적용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는 많은 수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구조에서도 각각의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여 본체를 성형할 수 있고, 홈 형성부재가 외곽 영역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중공부 내부에 튜브를 삽입 및 탈거하는 과정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110 : 중심 철근부
120 : 내부 띠 철근부
130 : 주 철근부
140 : 외부 띠 철근부
150 : 본체
160 : 연결 철근부
170, 270, 370, 470 : 튜브

Claims (12)

  1. 중심 영역이 교차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는 중심 철근부;
    각 상기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내부 띠 철근부;
    복수개의 상기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주 철근부;
    각 상기 주 철근부들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 띠 철근부; 및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채워 상기 중심 철근부, 내부 띠 철근부, 주 철근부 및 외부 띠 철근부 주변을 둘러 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튜브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면서 복원된 상기 중공부 주변으로 성형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 띠 철근부 또는 주 철근부와 팽창된 튜브가 간섭되면서 나타나는 윤곽에 의하여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철근부 상에 복수개 결합되는 연결 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철근부는,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 철근부에 결합되는 고정클립과,
    중심 영역이 상기 주 철근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주 철근부 사이에 간섭을 증대시키는 V형 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5. 내부에 중공부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도록 상기 중공부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주 철근부;
    각 상기 주 철근부들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 띠 철근부; 및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채워 상기 중심 철근부, 내부 띠 철근부, 주 철근부 및 외부 띠 철근부 주변을 둘러 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튜브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면서 상기 중공부 주변으로 성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홈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부재는,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간격 마다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부재는,
    일 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원,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복수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부재는,
    상기 튜브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튜브와 본체가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상기 튜브들 사이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외부 띠 철근부와 결합되는 중심 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10.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내부 띠 철근부들을 결합하고, 상기 내부 띠 철근부들을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주 철근부를 연결하며, 상기 주 철근부들의 외부를 감싸도록 외부 띠 철근부를 연결하고, 상기 주 철근부 상에 복수개의 연결 철근부를 조립하여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부에 상기 철근망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철근부의 양 단부에 결합하여 사각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내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띠 철근부를 나란히 연결하도록 주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주 철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부 띠 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철근부에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철근부를 결합하는 단계는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 상에 V형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와,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고정클립을 주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는 수축된 튜브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튜브 내부에 공기를 채우는 단계 및 튜브 내부의 공기압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는 튜브 내부의 공기를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의 제조방법.
KR1020200183413A 2020-12-24 2020-12-24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13A KR102312407B1 (ko) 2020-12-24 2020-12-24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13A KR102312407B1 (ko) 2020-12-24 2020-12-24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07B1 true KR102312407B1 (ko) 2021-10-13

Family

ID=7811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13A KR102312407B1 (ko) 2020-12-24 2020-12-24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323A (ja) * 1996-03-29 1997-10-14 Maeda Corp 中子筋を有するハーフプレキャスト部材の製造方法
KR100797194B1 (ko) 2007-04-26 2008-01-29 (주)엠씨에스공법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00007B1 (ko) * 2014-03-24 2016-03-04 지엘기술주식회사 띠철근 고정용 클립 또는 띠철근 고정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내부 띠철근 고정구조
KR101987327B1 (ko) * 2017-12-13 2019-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단면을 갖는 고무튜브 몰드를 이용한 대단면 속빈 pc부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323A (ja) * 1996-03-29 1997-10-14 Maeda Corp 中子筋を有するハーフプレキャスト部材の製造方法
KR100797194B1 (ko) 2007-04-26 2008-01-29 (주)엠씨에스공법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00007B1 (ko) * 2014-03-24 2016-03-04 지엘기술주식회사 띠철근 고정용 클립 또는 띠철근 고정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내부 띠철근 고정구조
KR101987327B1 (ko) * 2017-12-13 2019-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단면을 갖는 고무튜브 몰드를 이용한 대단면 속빈 pc부재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1023C (zh) 一种现浇钢筋砼成孔用构件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0534B1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200061161A (ko) Pc 더블 벽체 세움 제작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가 세워진 pc 더블 벽체를 제작하는 방법
KR102480861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진 중공기둥 제작 기술
KR102312407B1 (ko) 튜브를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3006Y1 (ko) Frp 구조체를 이용한 중공형 프리캐스트 기둥의연결구조
KR20060059763A (ko) 철근연결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피씨부재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411749B2 (ja) 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構築方法
KR20180055035A (ko) 대형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토목 옹벽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KR100665210B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CN216198677U (zh) 塔筒段、塔筒以及风电塔
JP5601787B2 (ja) 柱構造及び柱構造の施工方法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KR100674080B1 (ko) 교량용 교각 설치공법
KR200415318Y1 (ko) 조립식 콘크리트 충진 거더
JP20082232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KR102337880B1 (ko) 각관을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6604B1 (ko) 건축구조물의 수평구조체 시공방법
KR102331140B1 (ko) 단위 덕트 모듈을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5042B1 (ko) 스페이서를 포함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200403875Y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