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358B1 -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358B1
KR102312358B1 KR1020210071630A KR20210071630A KR102312358B1 KR 102312358 B1 KR102312358 B1 KR 102312358B1 KR 1020210071630 A KR1020210071630 A KR 1020210071630A KR 20210071630 A KR20210071630 A KR 20210071630A KR 102312358 B1 KR102312358 B1 KR 10231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eathing
cognitive impairment
training
mild cogn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370A (ko
Inventor
장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7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이 가능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호흡 훈련 방법 중 상기 파악된 호흡 패턴에 대응되는 제 1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호흡 훈련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호흡 미션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장애 진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애 훈련 방법 중 상기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제 1 장애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결정된 제 1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훈련하는 경우, 훈련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system for self-determina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evention training using user-performed respiratory mission result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악된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고,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여,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장애 훈련 방법을 사용자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에 대한 검사와 인지기능을 평가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 진단한다.
먼저, 혈액 검사로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호모시스테인혈증, 갑상선기능이상 여부 등의 내과적 질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한다.
다음으로, 유전자 검사로서, 아포지질단백질E4 (APOE4) 유전자 보유 여부에 대해 알기 위해 검사한다. 또한, 영상검사로서, 뇌자기 공명영상검사(MRI) 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검사(PET)를 시행한다.
MRI 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알 수 있으며, 뇌실질의 위축 및 노화 상태, 동반된 뇌혈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PET 검사는 뇌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뇌의 대사가 저하된 뇌의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치매로의 진행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형 치매 원인 단백인 아밀로이드 침착 유뮤를 확인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기능검사로서, 신경심리평가, 주의집중력, 기억력, 언어사용능력, 공간지각능력, 고위인지기능, 판단력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수행이 저하된 인지 영역을 확인하고, 인지기능 저하의 유무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개념의 정립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단계의 치매의 전 임상 상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많은 진단적 연구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서로 약간씩 다른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아직은 표준화된 신뢰성 있는 조기 진단의 방법이나 치료 지침은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진단 기준의 확립과 생물학적 지표의 유용성 연구, 일부항 치매약물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가 수 년 내에 모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최후의 보루라는 점에서 치매 치료의 가장 좋은 목표가 될 수 있는 대상이다.
즉, 적절한 치료가 있다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위험요소의 치료 등으로 환자의 남은 생활의 질을 높여 줄 수 있고, 국가와 같은 집단의 경제적,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접근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정신질환에 관련한 진단 및 치료는 전문병원이나 상담기관 방문에 의해 전문가와 1:1 대면을 통해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울러,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편견, 시간 및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 진단에 기반한 치유 기법과 생체신호에 기반한 가상현실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생체신호 기반 가상/증강현실 기기는 위치정보 및 생체신호에 근거해 작업자의 안전용 작업 헬멧 또는 단순한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또한, 기존에 생체신호 분석을 활용한 정신건강 평가시스템이 있어서 시청각 이미지를 제공한 후 유선 형태의 별도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신건강 평가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2020598 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악된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고,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여,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장애 훈련 방법을 사용자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이 가능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호흡 훈련 방법 중 상기 파악된 호흡 패턴에 대응되는 제 1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호흡 훈련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호흡 미션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장애 진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애 훈련 방법 중 상기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제 1 장애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결정된 제 1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훈련하는 경우, 훈련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반응시간 및 미션성공비율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호흡 길이의 규칙 정도 및 상기 미션 성공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민감도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기억력,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및 반응 민감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악된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고,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여,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장애 훈련 방법을 사용자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기, 서버 및 단말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정된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훈련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훈련 결과로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전체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기, 서버 및 단말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체 시스템(1000)은 교육 및 훈련 기기(100), 서버(1) 및 휴대용 단말(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 및 훈련 기기(100), 서버(1) 및 휴대용 단말(10) 간에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는 교육 및 훈련 기기(100) 또는 휴대용 단말(10) 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 또는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처리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교육 및 훈련 기기(100)는 서버(1) 또는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10)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0)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 10)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회전부(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 휴대용 단말(10), 서버(1)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신호, 영상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 동작할 수도 있고,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10)는 이동통신 모듈(1112), 무선 인터넷 모듈(1113), 근거리 통신 모듈(1114) 및 위치정보 모듈(1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121)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121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121a)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121b)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방위,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특히, 센싱부(140)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와 관련된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산소 포하도, 체온, 호흡, 혈액, 뇨 및 체액 성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센싱하고,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1)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가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추가적으로 속도 표시부(156), 속도 연동 출력부(157) 및 투약 표시부(1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100)에서 컨텐츠가 플레이(play) 되는 경우, 후술하는 회전부(2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플레이 속도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속도 표시부(156)와 속도 연동 출력부(157)는 이러한 회전부(2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다른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속도 표시부(156)는 회전 정도의 단계를 레벨로 표시하는 바(bar) 형태로 하우징에 표시되고, 회전 정도가 낮으면 바에 표시된 복수의 레벨값 중 낮은 레벨값이 발광하고, 회전 정도가 높으면 바에 표시된 복수의 레벨값 중 높은 레벨값이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연동 출력부(157)는 회전부(200)의 적어도 일부에 LED 형태로 구비되고, 회전부(2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밝기 및 발광 패턴이 조절되면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투약 표시부(158)는 사용자의 투약 시간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정보의 출력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 받으면 투약 표시부(158)의 정보 출력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신부(110)가 회전부(200)의 회전, 상기 플레이 속도의 변화 및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1)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영상 출력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부(171) 및 걸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171)를 통해, 보조 기구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도킹부(170)를 통해 장치(100)에 연결된 보조 기구는, 회전부(2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기, 오카리나, 피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킹부(171)를 활용하여 소장 타입, 목걸이 타입, 손목시계 타입, 탈부착 타입 등으로 기기(100)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개부(172)는 별도의 공간에 기기(100)를 걸기 위한 용도 또는 목걸이 타입으로 기기(100)를 활용시 목걸이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바람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200)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회전축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회전 속도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실리콘, 헨켈, 마이크로멜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코딩 또는 몰딩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방법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0 단계는, 미리 호흡을 단호흡 패턴, 중호흡 패턴, 장호흡 패턴, 순간호흡 패턴, 분절 호흡 패턴 등으로 패턴화 하는 단계(S11)를 거쳐, 패턴화된 호흡을 단말이 저장하는 단계(S12)로 진행된다.
이후, 일반 흉강호흡 및 횡경막호흡을 기본으로, 시간 구간별로 사용자의 호흡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3)와 수집된 정보화 단말에 저장된 패턴화된 호흡을 기초로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S14)로 수행된다.
다시 도 3으로 복귀하여,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20)가 S10 단계 이후에 진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20 단계는, 게임형 호흡패턴과 학습형 호흡패턴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S21)와 복수의 미리 지정된 훈련 방법 중 상기 사용자의 호흡 패턴, 인지반응도, 반응시간, 기억력훈련, 시간차 기억훈련 등을 고려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22)로 수행된다.
다시 도 3으로 복귀하여, S20 단계 이후,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30 단계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를 호흡 미션(시간제안) 동안 제시하는 단계(S31)와 미션 종료시, 미션 중 노출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32)로 수행된다.
S30 단계 이후,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40)가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40 단계는 호흡 미션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기억력,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등을 추출하는 단계(S41), 호흡 길이의 불규칙성, 이미지 기억 반응의 성공 시간까지의 반응 패턴(이미지를 찾아내는 속도)을 분석하여 민감도를 측정하는 단계(S42), 추출한 기억력, 반응 민감도,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등의 정보를 기준으로 경도인지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3) 등으로 수행된다.
또한, S40 단계 이후,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50)가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50 단계는, 기억력을 이용하여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51), 기억력, 반응민감(속도),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52) 및 기억력, 반응민감(속도),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을 이용하여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53)로 수행된다.
S50 단계 이후,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장애 훈련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60)가 진행되고, 결정된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훈련하는 단계(S70)가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정된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훈련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70 단계는, 훈련자가 기억력, 반응시간, 인지 훈련 성공을 위한 훈련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S71)와 지속적인 장애 훈련 방법에 따른 호흡 행동 인지과 뇌훈련을 수행하는 단계(S72)로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S70 단계 이후에, 훈련 결과로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가 수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훈련 결과로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80 단계는, 반응 패턴, 반응 민감도, 이미지 선택의 성공 기준 시간을 파악하는 단계(S81) 및 파악한 성공 기준 시간을 기초로, 미리 지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인지 훈련 성공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S82)로 수행된다.
결국, 제안하는 발명은, 고령자의 호흡 패턴과 호흡 훈련을 기준으로 호흡 인지 상황에서의 뇌인지 반응을 데이터화하여 경도인지 장애의 비율을 알아내도록 하는 방법과 이를 호흡훈련을 통하여 개선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훈련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 훈련을 위하여 준비된 스마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령자의 호흡을 패턴화하는데, 호흡패턴은 일반 흉강호흡, 횡경막호흡을 기본으로, 시간 구간별로 정의된 호흡 패턴을 정의하는데, 패턴은 단호흡(1-3초), 중호흡(3-7), 장호흡( 7-10초 이상) , 순간호흡, 분절 호흡(푸푸푸 ) 등으로 패턴화하여, 사전에 호흡 패턴으로 정의된 스마트앱과 연동하여, 로직을 구성한다.
또한, 호흡패턴은 게임형, 학습형으로 나누어 구성하며, 이때 인지력의 장애도를 판단 할 수 있는 패턴과 경도 인지예방을 위한 인지반응도, 반응시간, 기억력훈련, 시간차 기억훈련 등을 정의하여, 호흡 패턴과 연결하여 훈련한다.
또한, 훈련자는 스마트앱에서 정의된 호흡훈련 패턴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한다.
또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판단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훈련자는 기억력, 반응 민감도,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등을 기준으로 경도 경도 인지에 대하여 자가 측정이 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도인지 장애 훈련방법과 관련하여, 훈련자는 기억력, 반응시간, 인지 훈련 성공을 위한 훈련 프로세스를 통하여 지속적인 호흡 행동 인지과 뇌훈련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지 장애 수준 정의는 미션형의 기억력 판별은 앱에서 정의된 기준으로 화면에서 보여지는 그림 이미지를 호흡 미션(시간제안)을 통하여 수행하고 이때 보여지는 이미지를 호흡 시간동안 노출하여 이후 이미지를 선택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응 민감도의 경우 호흡 길이의 불규칙성, 이미지 기억 반응의 성공 시간 까지의 반응 패턴 (이미지를 찾아내는 속도) 을 분석하여 민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훈련 성공비율은 반응 패턴, 반응 민감도, 이미지 선택의 성공 기준 시간을 기준 지표 와 시간 이내로 들어 갈 경우를 성공 지표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호흡 패턴은 상기에서 정의된 호흡 패턴의 다양성과 난이도를 주어, 패턴 훈련을 지속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때, 훈련자는 미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획득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인지 장애의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훈련은 장치적 문제를 극복하기 어려운 스마트폰이나 기존 마이크로폰 방식은 초기 훈련 모드로 활용하며, 적극적인 호흡 데이터의 취득과 센서를 통한 정확한 호흡 패턴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의 결합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지 장애 판단 기준 알고리즘은, 난이도 1(기억력 테스트), 난이도 2(기억력, 반응민감(속도), 반응시간), 난이도 3(기억력, 반응민감(속도),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난이도적 측면은 사용자의 훈련 성과를 높이는 방식이며, 난이도 1,2,3를 종합 점수로 구성하여 인지력에 대한 강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이도 1: 80% 이상, 난이도 1+2: 70이상 난이도 1+2+3: 50이상 의 식으로 구성하여 최종 인지 강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1,2,3 종합 점수가 50이사일 경우 호흡패턴과 연결된 인지력이 상당히 저하 된 것으로 판단하여 d인지 훈련을 위한 정보노출을 통하여 의료 검진과 훈련 권고를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악된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기초로 맞춤형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결정된 호흡 훈령 방법을 기준으로 호흡 미션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고, 장애 진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여,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장애 훈련 방법을 사용자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이 가능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호흡 훈련 방법 중 상기 파악된 호흡 패턴에 대응되는 제 1 호흡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호흡 훈련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호흡 미션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장애 진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을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애 훈련 방법 중 상기 결정된 인지 장애 수준에 대응하는 제 1 장애 훈련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결정된 제 1 장애 훈련 방법에 따라 훈련하는 경우, 훈련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수준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반응시간 및 미션성공비율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호흡 길이의 규칙 정도 및 상기 미션 성공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민감도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기억력, 반응시간, 미션성공비율 및 반응 민감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10071630A 2019-10-28 2021-06-02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KR10231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30A KR102312358B1 (ko) 2019-10-28 2021-06-02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27A KR102264772B1 (ko) 2019-10-28 2019-10-28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KR1020210071630A KR102312358B1 (ko) 2019-10-28 2021-06-02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27A Division KR102264772B1 (ko) 2019-10-28 2019-10-28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370A KR20210068370A (ko) 2021-06-09
KR102312358B1 true KR102312358B1 (ko) 2021-10-15

Family

ID=759170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27A KR102264772B1 (ko) 2019-10-28 2019-10-28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KR1020210071630A KR102312358B1 (ko) 2019-10-28 2021-06-02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KR1020210071631A KR102312359B1 (ko) 2019-10-28 2021-06-02 호흡 패턴을 기반으로, 기억력 정보 및 반응 속도 정보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27A KR102264772B1 (ko) 2019-10-28 2019-10-28 호흡 패턴을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31A KR102312359B1 (ko) 2019-10-28 2021-06-02 호흡 패턴을 기반으로, 기억력 정보 및 반응 속도 정보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64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598B1 (ko)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72B1 (ko) 2021-06-15
KR20210068371A (ko) 2021-06-09
KR102312359B1 (ko) 2021-10-15
KR20210050248A (ko) 2021-05-07
KR20210068370A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110B1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US9357966B1 (en) Drug screening device for monitoring pupil reactivity and voluntary and involuntary eye muscle function
US9395811B2 (en) Automatic text scrolling on a display device
RU26429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US20130174205A1 (en) Wireless Hands-Free Computing Head Mounted Video Eyewear for Local/Remote Diagnosis and Repair
US10709328B2 (en) Mai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self-examination of a user's eye
CN106471419A (zh) 管理信息显示
JP2010061265A (ja) 人物検索登録システム
US9888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US9888847B2 (en)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JP7008815B2 (ja) 視力検査
KR20180108954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4146684A (zh) 一种眼罩式眩晕检测仪
KR102459723B1 (ko) 이미지 검증 방법, 그를 수행하는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수행하는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220076417A1 (en) Vision screening systems and methods
KR102312358B1 (ko) 사용자가 수행한 호흡 미션 결과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진단 및 훈련 시스템
AU2013200187B9 (en) Automatic text scrolling on a head-mounted display
KR20200092659A (ko)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5191931A (zh) 斜视检测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NL201905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medical assistance
KR20160025203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당구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375580B1 (ko)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US20230210363A1 (en) Infrared tele-video-oculography for remote evaluation of eye movements
US20230298328A1 (en) Image verification method, diagnostic system perform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method recorded thereon
WO2019043475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THE DIAGNOSIS OF MEDICAL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