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215B1 -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215B1
KR102312215B1 KR1020200159301A KR20200159301A KR102312215B1 KR 102312215 B1 KR102312215 B1 KR 102312215B1 KR 1020200159301 A KR1020200159301 A KR 1020200159301A KR 20200159301 A KR20200159301 A KR 20200159301A KR 102312215 B1 KR102312215 B1 KR 10231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ap water
lower bod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정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영 filed Critical 정호영
Priority to KR102020015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필터고정구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 상기 하부몸체부재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를 마련하여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여과시켜 정화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고, 수돗물을 필터에 의해 1차로 여과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Foreign matter filtering device of tap water}
본 발명은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시켜 청결한 수돗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급수대에 구비된 수전금구는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나, 상기 배출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된 일방향으로만 물이 배출되게 된다.
수전금구의 배출구가 고정되어 일방향으로만 물이 배출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세면대에서 세수 및 세면시에는 물이 하방으로만 배출되어도 사용의 불편함이 없으나, 양치시에는 하방으로 나오는 물을 입으로 직접 받기 위해서는 고개를 기울여 배출구에 입을 갖다 대거나 별도의 컵이나 용기에 물을 담아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고개를 기울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하고 입을 행구는 물보다 입 주변으로 흘러내려서 버려지는 물이 많아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컵이나 용기를 사용한 후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자의 인원수 만큼의 컵을 구비하지 못하고 하나의 컵을 여러사람이 사용하게 될 때는 깨끗하게 세척하지 않은 컵을 통해 병원균이 전달되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7714호로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에서는 메인 관체의 일측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관체를 조립하고, 수평관체에 상방토출 유도구 및 유량 조절 볼트를 조립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평관체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메인 관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메인 관체 내부의 수직 유로가 개방되면서 하부캡을 통해 하방으로 물이 토수되었다.
반면, 수평관체를 전방으로 밀면 분기구의 단부에 구비된 밀폐링이 수직 유로를 구성하는 밸브실과 수직 유로 사이를 폐쇄하므로, 밸브실로 유입된 물이 수평관체 내부의 수평유로를 통해 상방토출 유도구로 공급되었다.
따라서 수평관체를 후방으로 조작하면 수전금구에서 공급된 물이 하방으로 토수되고, 수평관체를 전방으로 조작하면 수전금구에서 공급된 물이 상방으로 토수되므로 양치를 하는 경우에도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수평관체, 상방토출 유도구 및 유량 조절 볼트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방토출 유도구나 유량 조절 볼트를 손으로 잡고 조작시 토출구가 오염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양방향 토출밸브는 세면대 및 급수대에 설치되어 양치 후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다.
그러나 수도관을 따라 이동되는 수돗물에는 수도관의 내면에 형성된 녹 또는 이물질을 걸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는 상측 유입부와 하측 토수부 및 상기 상측 유입부와 하측 토수부)를 연결하는 수직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측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측에는 조립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와, 일측부는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유로와 연통하고 타측부는 상기 커플러의 조립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 분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분기 관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분기 관체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분수 노즐과,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전방 이동시는 상기 분기 유로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수직 유로를 개방시키고 후방 이동시는 상기 분기 유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토수부를 막는 유로 조절봉 및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 측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유로 조절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의 수직 유로는 상기 상측 유입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 물 수용부와, 상기 밸브 몸체의 내측 중심부에 형성된 밸브실과, 상기 물 수용부와 밸브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로 및 상기 밸브실과 하측 토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실-의 전방측에는 상기 커플러가 삽입 조립되는 전방 조립부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의 후방측에는 상기 유로 조절봉이 이동하는 후방 조립부가 연결 형성된다.
상기 분기 관체는 상기 분기 관체의 내부에 형성된 분기 유로와, 상기 분기 관체의 후방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 조절봉의 전방측 단부가 삽입시 밀폐되는 삽입 수용부, 및 상기 분기 관체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수 노즐이 결합되는 관체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조절봉은 상기 밸브 몸체의 후방 조립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전방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로 조절봉이 전방으로 이동시는 상기 삽입 수용부에 끼워져 상기 분기 유로를 막고 상기 유로 조절봉이 후방으로 이동시는 상기 밸브실과 제2 연결로 사이를 막는 밀폐링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7-000431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4762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977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관을 통해 이동된 수돗물의 배출 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화된 깨끗한 수돗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돗물의 배출 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시킴은 물론 수돗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부재(1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본체(131);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체결부(132); 상기 상부체결부(132)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격판(133); 상기 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도록 관통되게 상기 격판(133)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로구멍(134); 상기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격판(133)의 저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와 상기 하부몸체부재(17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형성된 유로구멍(134)을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필터부재(15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여과된 수돗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게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171);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부(172); 상기 필터부재(15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73);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격벽(174);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수평체결부(175); 상기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유로구멍(176);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구멍(177); 상기 격벽(174)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제3 유로구멍(178);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제4 유로구멍(1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여과부재(190)는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결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여과본체(191);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92); 상기 여과본체(191)의 하부에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형성되는 여과망(193);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서 배출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여과체(194); 상기 수돗물의 입자상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상부여과체(19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여과구멍(195); 상기 상부여과체(194)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여과체(197); 상기 수돗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여과구멍(195)에 결합되게 상기 하부여과체(197)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여과돌기(1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의하면,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여과시켜 정화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고, 수돗물의 이동 시 수도관 내면의 녹이 수도관의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아 사용자에게 수돗물의 사용에 따른 기피를 줄일 수 있으며, 수돗물을 필터에 의해 1차로 여과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의하면, 필터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의 여과 후 하부여과부재의 여과구멍과 여과돌기에 의해 2차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으며, 여과망에 의해 입자상의 이물질을 3차로 여과시켜 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사용할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부여과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부여과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와,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와,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와,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와,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수도관(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수도관 조인트부재(110)가 구비된다.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는 수도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부재(130)가 체결되도록 하부나사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수도관과 수도관 조인트부재(110)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오링(113)이 구비되고,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의 저면에는 수돗물이 관통되게 관통구멍(114)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부재(1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본체(131)와,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체결부(132)와, 상기 상부체결부(132)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격판(133)와, 상기 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도록 관통되게 상기 격판(133)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로구멍(134)와, 상기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격판(133)의 저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본체(131)의 상부에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와 연결되도록 상부체결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132)의 하부에는 수돗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격판(133)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133)에는 수돗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구멍(134)이 다수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격판(133)의 저면에는 필터부재(15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고정구(135)는 필터부재(150)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본체(131)의 외면에는 하부몸체부재(170)와 체결되도록 하부체결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와 하부몸체부재(170) 사이에는 필터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앙에는 수돗물이 지나는 유로가 형성되게 중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재(150)는 수돗물이 필터부재(15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도관의 녹 또는 이물질 등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와 상기 하부몸체부재(17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형성된 유로구멍(134)을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필터부재(15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여과된 수돗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게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앙에 중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171)와,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부(172)와, 상기 필터부재(15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73)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격벽(174)와,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수평체결부(17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유로구멍(176)와,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구멍(177)와, 상기 격벽(174)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제3 유로구멍(178)와,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제4 유로구멍(17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본체(17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며, 상부몸체부재(130)에 체결되도록 상부나사부(173)가 형성된다.
아울러 하부본체(171)의 내측에는 필터부재(15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구(173)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하부에는 수평분기관부재(210)를 개폐시키는 개폐부(180)가 설치되도록 격벽(174)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는 수평분기관부재(2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수평체결부(17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부재(130)를 통과한 수돗물이 지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내측에는 제1 유로구멍(17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는 수평체결부(175) 쪽으로 수돗물이 이동되게 제2 유로구멍(177)이 형성된다.
아울러 격벽(174)에는 수평체결부(175)에서 격벽(174)의 내측으로 수돗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제3 유로구멍(17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74)의 하부에는 제4 유로구멍(17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유입된 수돗물은 필터부재(150)에 의해 수도관의 녹 및 이물질을 1차로 여과된 상태로 이동되며, 필터부재(150)의 중공(151)으로 이동된 수돗물은 필터구정구(173)의 제1 유로구멍(176)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유로구멍(176)으로 이동된 수돗물은 제2 유로구멍(177)을 통해 수평체결부(175)로 이동되며, 상기 수평체결부(175)로 이동된 수돗물은 제3 유로구멍(178)을 통해 격벽(174)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수평체결부(175)에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는 개폐부(180)의 스프링(184) 탄성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180)는 사용자가 개폐손잡이(181)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3 유로구멍(178)이 폐쇄되며, 수평체결부(175)로 이동된 수돗물은 수평분기관부재(210)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개폐부(180)는 스프링(1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제3 유로구멍(178)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180)는 격벽(174) 내에 설치되어 수평분기관부재(21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부본체(171)의 외측에는 개폐손잡이(181)가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손잡이(181)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개폐로드(182)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드(182)의 타측에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개폐구(183)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구(183)가 제3 유로구멍(178)을 항상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로드(182)에는 스프링(184)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로드(182)의 양측에는 수밀을 유지하도록 오링(185)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부여과부재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부여과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부여과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의 하부에는 하부여과부재(190)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여과부재(190)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하부여과부재(190)는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결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여과본체(191)와,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92)와, 상기 여과본체(191)의 하부에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형성되는 여과망(193)과,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서 배출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여과체(194)와, 상기 수돗물의 입자상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상부여과체(19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여과구멍(195)과, 상기 상부여과체(194)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여과체(197)와, 상기 수돗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여과구멍(195)에 결합되게 상기 하부여과체(197)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여과돌기(198)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여과부재(190)는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여과본체(191)와,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여과체(194)와, 상기 상부여과체(194)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여과체(197)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본체(19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부에는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도록 체결부(192)가 형성된다.
아울러 여과본체(191)의 저면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여과망(19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여과체(194)는 단면상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여과체(194)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여과구멍(195)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구멍(195)은 하부여과체(197)의 여과돌기(198)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구멍(195)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돌기(196)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간격돌기(196)와 여과돌기(198) 사이에는 간격돌기(196)의 돌출 길이만큼 이격된 틈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돌기(196)와 여과돌기(198)에 의해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하부여과체(197)는 여과본체(19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여과체(197)의 상면에는 여과구멍(195)에 대응되는 여과돌기(198)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여과체(197)에는 수돗물이 지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여과구멍(199)이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수도관(미도시)에 수도관 조인트부재(110)를 체결한다.
이에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는 상부몸체부재(130)를 체결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는 하부몸체부재(170)를 체결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와 하부몸체부재(170) 사이의 내측에는 수돗물의 녹 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150)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는 하부여과부재(190)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의 수평체결부(175)에는 수평분기관부재(21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수도관을 통해 이동된 물이 필터부재(150)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녹 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돗물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수돗물은 상부몸체부재(130)의 유로구멍(134)을 통해 필터부재(150)로 이동되고, 필터부재(15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필터부재(150)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된 녹 및 입자상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수돗물은 제1 유로구멍(176), 제2 유로구멍(177), 제3 유로구멍(178) 및 제4 유로구멍(179)을 통해 하부여과부재(190)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180)의 개폐손잡이(181)를 도 11의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구(183)는 제3 유로구멍(178)을 폐쇄시키면서 수평분기관부재(21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수평분기관부재(210)를 통해 수도관의 녹 및 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이 걸러진 정화된 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부재(190)를 통해 배수된 수돗물은 상부여과체(194)의 여과구멍(195)과 하부여과체(197)의 여과돌기(198)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여과체(197)를 통과한 수돗물은 여과망(193)에서 입자상의 이물질을 3차로 걸러주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수도관 조인트부재 111: 상부나사부
112: 하부나사부 113: 오링
114: 관통구멍
130: 상부몸체부재 131: 상부본체
132: 상부체결부 133: 격판
134: 유로구멍 135: 필터고정구
136: 하부체결부
150: 필터부재 151: 중공
170: 하부몸체부재 171: 하부본체
172: 상부나사부 173: 필터고정구
174: 격벽 175: 수평체결부
176: 제1 유로구멍 177: 제2 유로구멍
178: 제3 유로구멍 179: 제4 유로구멍
180: 개폐부 181: 개폐손잡이
182: 개폐로드 183: 개폐구
184: 스프링 185: 오링
190: 하부여과부재 191: 여과본체
192: 체결부 193: 여과망
194: 상부여과체 195: 여과구멍
196: 간격돌기 197: 하부여과체
198: 여과돌기 199: 여과구멍
210: 수평분기관부재

Claims (5)

  1. 삭제
  2.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부재(1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본체(131);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체결부(132);
    상기 상부체결부(132)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격판(133);
    상기 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도록 관통되게 상기 격판(133)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로구멍(134);
    상기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격판(133)의 저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3.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와 상기 하부몸체부재(17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형성된 유로구멍(134)을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필터부재(15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여과된 수돗물이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로 이동되게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4.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
    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171);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부(172);
    상기 필터부재(15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17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고정구(173);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하부에 형성되는 격벽(174);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상기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수평체결부(175);
    상기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고정구(17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유로구멍(176);
    상기 격벽(17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구멍(177);
    상기 격벽(174)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제3 유로구멍(178);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제4 유로구멍(1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5.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수도관 조인트부재(110);
    상기 수도관 조인트부재(110)에 체결되고, 내부에 필터부재(15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필터고정구(135)가 형성된 상부몸체부재(130);
    상기 상부몸체부재(130)의 필터고정구(135)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하부본체(171)와 상기 하부본체(171)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돗물을 배출시키는 수평분기관부재(2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부재(170);
    상기 하부몸체부재(170)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체결되는 하부여과부재(190)
    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여과부재(190)는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 결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여과본체(191);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92);
    상기 여과본체(191)의 하부에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형성되는 여과망(193);
    상기 하부몸체부재(170)에서 배출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상기 여과본체(19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여과체(194);
    상기 수돗물의 입자상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상부여과체(194)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여과구멍(195);
    상기 상부여과체(194)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여과체(197);
    상기 수돗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여과구멍(195)에 결합되게 상기 하부여과체(197)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여과돌기(1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KR1020200159301A 2020-11-24 2020-11-24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KR10231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01A KR102312215B1 (ko) 2020-11-24 2020-11-24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01A KR102312215B1 (ko) 2020-11-24 2020-11-24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215B1 true KR102312215B1 (ko) 2021-10-13

Family

ID=7811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301A KR102312215B1 (ko) 2020-11-24 2020-11-24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6557A (zh) * 2022-07-07 2022-10-1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基于空间曲面通道的燃料组件下管座及过滤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22Y1 (ko) 2001-06-21 2001-10-17 주식회사 한도 수도꼭지용 토수구 전환장치
KR20090080642A (ko) * 2008-01-22 2009-07-27 최광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20110004345U (ko) *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샤워기 헤드
KR20110099428A (ko) * 2010-03-02 2011-09-08 강성모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KR20120097714A (ko) 2011-02-25 2012-09-05 고천수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
KR20170004318U (ko) 2016-06-13 2017-12-21 정상권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22Y1 (ko) 2001-06-21 2001-10-17 주식회사 한도 수도꼭지용 토수구 전환장치
KR20090080642A (ko) * 2008-01-22 2009-07-27 최광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20110004345U (ko) *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샤워기 헤드
KR20110099428A (ko) * 2010-03-02 2011-09-08 강성모 수전 연결형 정수장치
KR20120097714A (ko) 2011-02-25 2012-09-05 고천수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
KR20170004318U (ko) 2016-06-13 2017-12-21 정상권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6557A (zh) * 2022-07-07 2022-10-1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基于空间曲面通道的燃料组件下管座及过滤组件
CN115206557B (zh) * 2022-07-07 2024-01-3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基于空间曲面通道的燃料组件下管座及过滤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057B1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4761839A (en) Sink spray and auxiliary attachment device
KR102312215B1 (ko) 수돗물의 이물질 여과장치
JPS6266860A (ja) 浴槽
KR20130022553A (ko) 구강 세정시스템
JP2000514148A (ja) 女性洗浄器と口腔シャワー器を一体に備えられた温冷水兼用肛門洗浄器
US20090014382A1 (en) Filtration faucet system
US6145670A (en) Bathtub spout with removable filter
CN1984722A (zh) 淋浴器
KR20170004318U (ko)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
KR102342459B1 (ko) 다용도 샤워헤드
KR102409111B1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1338578B1 (ko) 구강세정기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US20090014379A1 (en) Filtration faucet system
CN104806806B (zh) 一种全塑芯可旋转可伸缩的水龙头
JP2008267028A (ja) 水栓
JP2001220784A (ja) 浄水器付混合水栓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04076382A (ja) 浄水機能付水道用コンセント
KR200468764Y1 (ko) 구강 세정기
JP2005074177A (ja) シャワー装置
CN207437841U (zh) 一种厨房龙头
CN208511497U (zh) 一种鼻腔清理装置
JP3021667U (ja) シャワ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