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22B1 -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22B1
KR102311722B1 KR1020200126711A KR20200126711A KR102311722B1 KR 102311722 B1 KR102311722 B1 KR 102311722B1 KR 1020200126711 A KR1020200126711 A KR 1020200126711A KR 20200126711 A KR20200126711 A KR 20200126711A KR 102311722 B1 KR102311722 B1 KR 10231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ting
data
module
produc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준
Original Assignee
(주)비주얼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주얼리스트 filed Critical (주)비주얼리스트
Priority to KR102020012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에 대한 촬영자료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SYSTEM OF MARKE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상품에 최적화된 마케팅자료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상품이 출시됨에 따라, 다른 상품과의 관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자료들이 활용되고 있다.
마케팅이란, 시장 경제 또는 수요를 관리하는 경영학의 한 분야로써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상품의 판매행위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모든 일련의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희망을 결합하여 능률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방송을 통한 마케팅 및 팜플렛 등의 오프라인 매체를 이용한 마케팅이 주를 이루었으나, 근래에 들어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디지털 마케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디지털 마케팅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관한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장치와 기기에서 인터넷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의 잠재성이 점진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웹사이트에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업로드하여 마케팅을 실시하거나, 동영상 공유 플랫폼(ex. 유튜브 등)을 통해 해당 상품에 관한 영상을 업로드하여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판매자들 모두가 마케팅 전문가가 아니어서 효과적인 마케팅자료를 생성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웹사이트에 업로드할 상품에 관한 정보(광고 이미지 및 문구)를 디자인하거나,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할 동영상을 편집하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품에 대한 포괄적인 마케팅자료를 생성할 수 있는 개선된(enhanced) 마케팅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567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마케팅자료를 일괄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자료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에 대한 촬영자료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촬영부는, 상기 상품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이미지 자료 및 영상 자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자료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부는,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입력으로 마케팅분석 자료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에 기반하여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촬영자료를 입력으로 상품키워드를 출력하는 제1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듈 및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상품키워드를 입력으로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출력하는 제2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2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모듈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마케팅 영상을 생성하는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웹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팜플렛 이미지를 생성하는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마케팅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마케팅 영상을 기설정된 계정으로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제1 업로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를 기설정된 웹페이지 또는 기설정된 오픈마켓에 업로드하는 제2 업로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팜플렛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품이 올려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촬영자료에 기반하여 회전각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각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카메라모듈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마케팅자료를 일괄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자료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자료 생성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은 상품(10)에 대한 촬영자료(139)를 생성하는 촬영부(130), 상기 상품(10)에 대한 상품정보(121)를 입력받는 입력부(120) 및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을 통하여, 상품(10)에 대한 영상 자료(135) 및/또는 이미지 자료(137)를 촬영하고, 상품(10)에 대한 상품정보(121)를 입력받은 후, 인공지능 모듈(111, 112)을 통하여 상기 상품(10)에 대한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마케팅자료(200)는 마케팅 영상(200_1), 웹페이지 이미지(200_2) 및 팜플렛 이미지(20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10)에 대한 다양한 마케팅자료(200)를 일괄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인공지능 모듈(111, 112)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100)은 촬영부(130), 입력부(120) 및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30)는 상품(10)에 대한 촬영자료(139)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품(10)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중심축을 기중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부(131) 및 상기 플레이트부(13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품(10)에 대한 이미지 자료(137) 및 영상 자료(13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자료(139)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상품(10)에 대한 이미지 자료(137) 및/또는 영상 자료(135)를 입력받지 못하고, 실물 상품(10)이 있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10)에 대한 이미지 자료(137) 및/또는 영상 자료(135)를 입력받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 또는 필요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130)는 모든 방향에서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부(131) 및 카메라부(133)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입력부(120)는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에 직접 연결된 입력 장치일 수도 있으나,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20)는 컴퓨터,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는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입력으로 마케팅분석 자료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111, 112)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에 기반하여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10)에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는 제1 제어 모듈, 제1 통신 모듈, 제1 입력 모듈, 제1 출력 모듈, 및/또는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자료 생성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 및 촬영부(130) 각각은 제2 제어 모듈, 제2 통신 모듈, 제2 입력 모듈, 및/또는 제2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의 제어 모듈은 인공지능 모듈(111, 112) 및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고, 촬영부(130)의 제어 모듈은 플레이트부(131) 및 카메라부(133)를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은 통신표준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및/또는 입력부(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의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은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를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3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30)는 플레이트부(131) 및 카메라부(133)를 포함하여, 플레이트부(131)에 올려진 상품(10)의 촬영자료(139)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플레이트부(131)는 상기 상품(10)이 올려지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각 및/또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Stepper motor, Stepping motor), 서보 모터(Servo motor)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품(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각 및/또는 회전속도는 촬영부(130)(및/또는 제어 모듈)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 및/또는 재설정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30)(및/또는 제어 모듈)는 영상 자료(135) 및/또는 이미지 자료(137)에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자료(135) 및/또는 이미지 자료(137)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30)(및/또는 제어 모듈)는 i) 이렇게 생성되는 객체 정보, ii) 상기 객체 정보에 대한 정보가 소정의 제1 임계치를 넘는지 또는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낮은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각 및/또는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는 상품(10)이 올려질 수 있도록 상부면이 평평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패널(Panel)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33)는 상기 상품(10)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각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품(10)을 화각에 모두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화각의 렌즈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품(10)의 크기에 대응하는 렌즈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가동부는 일단이 상기 카메라모듈과 연결되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의 타단과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가동부는 상기 관절부 및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을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33)는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가동부를 통하여 상기 상품(10)의 영상 자료(135) 및 이미지 자료(13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촬영자료(139)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13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 자료(135) 및/또는 이미지 자료(137)를 포함하도록 상기 촬영자료(139)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자료 생성부(110)는 촬영부(130)를 통해 생성된 촬영자료(139)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인공지능 모듈(111, 112)은, 제1 인공지능 모듈(111) 및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인공지능 모듈(111)은 상기 촬영자료(139)를 입력으로 상품키워드를 출력하는 제1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은 상기 상품정보(121) 및 상기 상품키워드를 입력으로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출력하는 제2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공지능 모듈(111) 및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은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부(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자료(139)를 입력으로 상품키워드를 출력하는 제1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상품정보(121) 및 상기 상품키워드를 입력으로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분석 자료를 출력하는 제2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공지능 모듈(111) 및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품키워드는 상기 상품(10)의 촬영자료(139)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의 품명, 색상, 크기 및 용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는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상품고객층은 상기 상품(10)의 수요 고객의 성별, 연령대 및 직업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케팅 영상(200_1), 웹페이지 이미지(200_2) 및 팜플렛 이미지(200_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케팅테마컬러정보는 상기 마케팅 영상(200_1),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200_2) 및 상기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마케팅음악장르정보는 상기 마케팅 영상(200_1)에 사용되는 BGM(Back Ground Music)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공지능 모듈(111) 및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마케팅 영상(200_1)을 생성하는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113_1),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웹페이지 이미지(200_2)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113_2)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생성하는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113_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113_1)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마케팅 영상(200_1)을 생성하되,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상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 상기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상기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영상 템플릿과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상기 마케팅 영상(200_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113_1)은 판매자의 계정 또는 기설정된 계정으로 동영상 공유 플랫폼(ex. 유튜브 등)에 업로드하는 업로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113_2)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웹페이지 이미지(200_2)를 생성하되,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및 상기 마케팅테마컬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웹페이지 템플릿과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200_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113_2)은 기설정된 웹페이지 또는 오픈마켓에 직접 업로드하는 업로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113_3)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생성하되,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팜플렛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및 상기 마케팅테마컬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팜플렛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팜플렛 템플릿과 상기 촬영자료(139) 및 상기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상기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113_3)은 생성된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은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113_1),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113_2) 및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113_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품(10)의 특성 및 상품고객층 등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마케팅자료(200)만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은 먼저 촬영부(130)를 통하여 상품(10)에 대한 촬영자료(139)를 생성할 수 있다(S510).
이 때, 상기 촬영부(130)는, 상기 상품(10)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부(131) 및 상기 플레이트부(13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품(10)에 대한 이미지 자료(137) 및 영상 자료(13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자료(139)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은 입력부(120)를 통하여 상품(10)에 대한 상품정보(121)를 입력받는다(S5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은 인공지능 모듈(111, 112)을 통하여 촬영자료(139) 및 상품정보(121)를 기반으로 마케팅분석 자료를 생성한다(S530).
이 때, 상기 인공지능 모듈(111, 112)은 상기 촬영자료(139)를 입력으로 상품키워드를 출력하는 제1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듈(111) 및 상기 상품정보(121) 및 상기 상품키워드를 입력으로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출력하는 제2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2 인공지능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자료 생성 방법은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을 통하여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200)를 생성한다(S540).
이 때, 마케팅자료 생성모듈(113)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마케팅 영상(200_1)을 생성하는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113_1),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웹페이지 이미지(200_2)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113_2)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10)에 대한 팜플렛 이미지(200_3)를 생성하는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113_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00),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 마케팅자료 생성부(110), 입력부(120) 및/또는 촬영부(13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품
100 :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110 : 마케팅자료 생성부
111 : 제1 인공지능 모듈
112 : 제2 인공지능 모듈
113 : 마케팅자료 생성모듈
120 : 입력부
121 : 상품정보
130 : 촬영부
131 : 플레이트부
133 : 카메라부
135 : 영상 자료
137 : 이미지 자료
139 : 촬영자료
200 : 마케팅자료

Claims (10)

  1. 상품에 대한 촬영자료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부는,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입력으로 마케팅분석 자료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에 기반하여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마케팅자료 생성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촬영자료를 입력으로 상품키워드를 출력하는 제1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듈; 및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상품키워드를 입력으로 상품고객층,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마케팅테마컬러정보 및 마케팅음악장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출력하는 제2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하는 제2 인공지능 모듈; 을 포함하고,
    제1 인공지능 모듈 및 제2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하고, 상기 학습을 위하여 인공지능망 모델로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하며, 상기 순환 신경망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Hessian Free Optimization를 이용하고,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모듈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마케팅 영상을 생성하는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웹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팜플렛 이미지를 생성하는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마케팅 영상을 기설정된 계정으로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제1 업로드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를 기설정된 웹페이지 또는 기설정된 오픈마켓에 업로드하는 제2 업로드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팜플렛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은 상기 마케팅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 대한 팜플렛 이미지를 생성하되,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팜플렛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 및 상기 마케팅테마컬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팜플렛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팜플렛 템플릿과 상기 촬영자료 및 상기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팜플렛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상품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이미지 자료 및 영상 자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자료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자료 생성모듈은,
    상기 마케팅수단추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케팅 영상 생성모듈,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팜플렛 이미지 생성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마케팅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품이 올려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촬영자료에 기반하여 회전각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상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각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카메라모듈가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KR1020200126711A 2020-09-29 2020-09-29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KR10231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11A KR102311722B1 (ko) 2020-09-29 2020-09-29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11A KR102311722B1 (ko) 2020-09-29 2020-09-29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722B1 true KR102311722B1 (ko) 2021-10-12

Family

ID=7807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11A KR102311722B1 (ko) 2020-09-29 2020-09-29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910A (ko) 2022-02-22 2023-08-29 헤이컴온주식회사 영상 마케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062A (ko) * 2009-11-06 2011-05-13 (주) 민트패스 마케팅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5676A (ko) 2012-07-05 2014-02-07 주식회사 생 전시회 홍보자료 제작장치 및 방법
KR20170141910A (ko) * 2016-06-16 2017-12-27 박성호 광고 자동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101B1 (ko) * 2019-04-15 2020-03-03 주식회사 애드인텔리전스 상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29108B1 (ko) * 2020-03-10 2020-07-01 유연서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062A (ko) * 2009-11-06 2011-05-13 (주) 민트패스 마케팅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5676A (ko) 2012-07-05 2014-02-07 주식회사 생 전시회 홍보자료 제작장치 및 방법
KR20170141910A (ko) * 2016-06-16 2017-12-27 박성호 광고 자동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101B1 (ko) * 2019-04-15 2020-03-03 주식회사 애드인텔리전스 상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29108B1 (ko) * 2020-03-10 2020-07-01 유연서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910A (ko) 2022-02-22 2023-08-29 헤이컴온주식회사 영상 마케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6967A1 (en) Facilitating automatic generation of customizable storyboards
US10430559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20130076788A1 (en)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products for dynamic content management
Romli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AR) marker-based for indoor library navigation
US20160041981A1 (en) Enhanced cascaded object-related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CN105631700A (zh) 内容创建、部署合作以及标记
US11762952B2 (en) Artificial reality application lifecycle
KR102319132B1 (ko)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CN108270794B (zh) 内容发布方法、装置及可读介质
US20180232921A1 (en) Digital Experience Content Personalization and Recommendation within an AR or VR Environment
JP2024500650A (ja) 拡張現実オブジェクト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82045B1 (ko) 가상현실 플랫폼을 통해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076508A1 (en) Association of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model with time-related metadata
KR20160106970A (ko)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1722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는 마케팅 시스템
KR101679791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전광판 구동시스템 및 방법
US2022023811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057073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Fan Engagement
US20190251355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text comment about content
US1024830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d-users to link objects from images with digital content
KR102531719B1 (ko) 어린이를 위한 숏폼콘텐츠 공유 및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6580707A (zh) 基于语音生成动作视频的方法和装置
US2014022580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generating, distributing, and maintaining mobile applications
KR102183412B1 (ko) 운세 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화 데이터를 이용한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및 인공지능 시스템
KR20220111168A (ko) 공연자 및 공연을 설명하는 페이지를 포함하는 모바일 앱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