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447B1 -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447B1
KR102311447B1 KR1020210076492A KR20210076492A KR102311447B1 KR 102311447 B1 KR102311447 B1 KR 102311447B1 KR 1020210076492 A KR1020210076492 A KR 1020210076492A KR 20210076492 A KR20210076492 A KR 20210076492A KR 102311447 B1 KR102311447 B1 KR 10231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mechanism
tube
unit
cu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김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경 filed Critical 김호경
Priority to KR102021007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1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in, or substanti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6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 B26D5/2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the control means being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펌핑기구의 튜브를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하지 않고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하되 펌핑기구가 연속적으로 절단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펌핑기구(1)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부(10);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이송되는 펌핑기구(1)를 입력받아 수평면에서 원형경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이송부(20); 상기 회전이송부(20)에서 회전되어 공급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시키는 절단부(30); 상기 절단부(30)의 절단 구동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사물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튜브미절단신호를 생성하는 펌핑기구 검사부(40);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에서 튜브미절단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펌핑기구(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 및, 상기 회전이송부(20)를 회전시켜 상기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 시키되, 일정시간 간격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일정시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30)가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이 중지되는 시간에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 및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와 연동하여 상기 튜브미절단신호의 생성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를 구동시켜 상기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밀려지도록 하는 구동제어부(6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CUTTING INSPECTION DEVICE FOR TUBE OF PUMP DISPENSERS}
본 발명은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기구의 튜브를 자동화 방식으로 절단하기 위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핑기구는 용기의 규격에 따라 규격화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펌핑기구는 의뢰업체의 용기 크기에 따라 펌핑기구의 하단을 절단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시에 커터에 펌핑기구를 배치시키고 수동으로 가압하여 튜브를 절단하는 방식을 통해 펌핑기구의 튜브를 절단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펌핑기구의 튜브를 절단하는 방식은 단순 반복 작업에 의해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479호(2006.11.23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펌핑기구의 튜브를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하지 않고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펌핑기구의 튜브를 자동으로 절단시에 정상적으로 절단 작업이 진행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튜브의 절단이 완료되지 않은 펌핑기구가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펌핑기구(1)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부(10);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이송되는 펌핑기구(1)를 입력받아 수평면에서 원형경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이송부(20); 상기 회전이송부(20)에서 회전되어 공급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시키는 절단부(30); 상기 절단부(30)의 절단 구동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사물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튜브미절단신호를 생성하는 펌핑기구 검사부(40);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에서 튜브미절단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펌핑기구(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 및, 상기 회전이송부(20)를 회전시켜 상기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 시키되, 일정시간 간격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일정시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30)가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이 중지되는 시간에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 및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와 연동하여 상기 튜브미절단신호의 생성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를 구동시켜 상기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밀려지도록 하는 구동제어부(60); 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는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상부 주변에 배치되는 상부센서 결착구(41); 상기 상부센서 결착구(41)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확인하는 상부 근접센서(42);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하부 주변에 배치되는 하부센서 결착구(43); 상기 하부센서 결착구(43)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확인하는 하부 근접센서(44); 및,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센서 결착구(41)와 상기 하부센서 결착구(43)를 결합시키는 결착구 지지대(45);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펌핑기구(1)가 배치된 상부영역 가운데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 이송 경로를 제외한 영역을 박스형태로 두르도록 배치되는 펌핑기구 제거부(51); 실린더로드가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 및,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를 지지하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53);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공압분사 개구영역이 상기 펌핑기구(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공압을 분사하는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 막으며,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 또는 상기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의 실린더로드와 결합되고,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의 이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펌핑기구(1)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부(20)는 원형의 판형형태로 형성되는 내측회전판(21);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시 상기 내측회전판(21)을 회전시키는 회전판 구동모터(22);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결착되는 몸체결착홈(23a)이 형성되는 상부결착부(23);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결착부(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착부(23)의 최외곽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안착되며,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결착되는 튜브결착홈(24a)이 형성되는 하부결착부(24); 상부면이 상기 상부결착부(23)의 상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착부(23)와 상기 하부결착부(24)에서 일정간격이 이격된 상태에서 원형의 경로상에 배열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결착부(24)와의 이격간격 사이에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면에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가 안착되도록 하는 외측가이드체(25); 및, 상기 외측가이드체(25)를 지지하는 외측가이드 지지대(26);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핑기구의 튜브를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하지 않고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핑기구를 컨베이어 벨트부에 안착시키는 과정만으로 펌핑기구가 절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작업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핑기구의 튜브를 자동으로 절단시에 정상적으로 절단 작업이 진행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튜브의 절단이 완료되지 않은 펌핑기구를 자동으로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이송부에서 펌핑기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 검사부가 정상적으로 튜브가 절단된 펌핑기구를 검사하는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 검사부가 정상적으로 튜브가 절단되지 않은 펌핑기구를 검사하는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에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구동되어 펌핑기구 제거부 및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가 후진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전진 구동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후진 구동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이송부에서 펌핑기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 검사부가 정상적으로 튜브가 절단된 펌핑기구를 검사하는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펌핑기구 검사부가 정상적으로 튜브가 절단되지 않은 펌핑기구를 검사하는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에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구동되어 펌핑기구 제거부 및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가 후진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전진 구동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가 후진 구동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부(10), 회전이송부(20), 절단부(30), 펌핑기구 검사부(40),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 구동제어부(60) 및,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부(10)는 펌핑기구(1)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부(10)는 제1가이드(11), 제2가이드(12), 지지대(13), 제1팬벨트(14), 제2팬벨트(15), 제1기어부(16), 제2기어부(17) 및, 컨베이어모터(18)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11)는 프로파일과 같은 장방형의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펌핑기구(1)의 직선 이송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제2가이드(12)는 프로파일과 같은 장방형의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펌핑기구(1)의 직선 이송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이 경우, 제2가이드(12)는 제1가이드(11)와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지대(13)는 프로파일과 같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가이드(11)의 하부면과 제2가이드(12)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11) 및 제2가이드(12)를 지지하게 된다.
제1팬벨트(14)는 제1가이드(11)와 제1가이드(11)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펌핑기구(1)의 일부영역이 안착된다. 여기서, 제1팬벨트(14)는 벨트의 내주연에 다단의 톱니 형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며, 제1기어부(16)에 기어결합되어 맞물리게 된다.
제2팬벨트(15)는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 사이에 배치되며, 제1팬벨트(14)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부면에 펌핑기구(1)의 일부영역이 안착된다. 여기서, 제2팬벨트(15)는 벨트의 내주연에 다단의 톱니 형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며, 제2기어부(17)에 기어결합되어 맞물리게 된다.
제1기어부(16)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며 제1팬벨트(14)의 내측면 가운데 양단 내측면과 기어결합하게 된다.
제2기어부(17)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며 제2팬벨트(15)의 내측면 가운데 양단 내측면과 기어결합하게 된다.
컨베이어모터(18)는 제1기어부(16) 및 제2기어부(17)와 벨트 결합되어 연동하고, 제1기어부(16) 및 제2기어부(17)와 연동하여 제1기어부(16) 및 제2기어부(17)를 회전시켜 제1팬벨트(14)와 제2팬벨트(15)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팬벨트(14)와 제2펜벨트의 사이에 안착되는 펌핑기구(1)들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모터(18)는 구동제어부(6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벨트부(10)는 자동화공정에 의해 대량의 펌핑기구(1)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이송부(20)는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이송되는 펌핑기구(1)를 입력받아 수평면에서 원형경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이송부(20)는 내측회전판(21), 회전판 구동모터(22), 상부결착부(23), 하부결착부(24), 외측가이드체(25) 및, 외측가이드 지지대(26)를 포함한다.
내측회전판(21)은 원형의 판형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판 구동모터(22)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내측회전판(21)에는 상부결착부(23) 및, 하부결착부(24)가 볼트결합된다.
회전판 구동모터(22)는 내측회전판(21)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구동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시 내측회전판(2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회전판 구동모터(22)는 필요에 따라 내측회전판(21)의 회전축 및 베벨기어와 같은 부속이 연동되어 내측회전판(21)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부결착부(23)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결착되는 몸체결착홈(2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결착부(23)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가 원형의 경로에 배열되어 배치된다.
하부결착부(24)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부결착부(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결착부(23)의 최외곽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안착되며,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결착되는 튜브결착홈(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결착부(24)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가 원형의 경로에 배열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튜브결착홈(24a)은 내측회전판(21)의 반대 회전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튜브(1a)가 결착되도록 한다. 또한, 튜브결착홈(24a)은 내측회전판(21)의 회전방향으로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튜브(1a)가 비스듬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각인 면에 결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펌핑기구(1)는 내측회전판(21)의 회전시에 튜브결착홈(24a)에 튜브(1a)가 결착된 상태로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외측가이드체(25)는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이 상부결착부(23)의 상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부결착부(23)와 하부결착부(24)에서 일정간격이 이격된 상태에서 원형의 경로상에 배열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외측가이드체(25)와 하부결착부(24)는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 사이에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삽입되고, 외측가이드체(25)의 상부면과 상부결착부(23)의 상부면에는 펌핑기구(1)의 몸체 하단 영역의 일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외측가이드체(25)는 복수 개의 구성되어 복수 개의 원형의 경로에 배열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가 서로 간에 맞닿는 부위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외측가이드 지지대(26)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가이드체(25)를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외측가이드 지지대(26)는 사각판체 형상인 베이스부(2)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측가이드체(25)를 지지하게 된다.
절단부(30)는 회전이송부(20)에서 회전되어 공급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단부(30)는 실린더 결합대(31), 절단가압용 실린더(32), 절단칼날부(33) 및, 칼날안착대(34)를 포함한다.
실린더 결합대(31)는 'L'자형으로 절곡된 브라켓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된 하단의 하부면이 베이스부(2)에 결합된다.
절단가압용 실린더(32)는 실린더 결합대(31)의 절곡된 상부영역에 실린더몸체가 결합된다.
절단칼날부(33)는 일단에 칼날(33a)이 형성되는 판체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단가압용 실린더(32)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연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단칼날부(33)는 실린더로드의 전진시에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압박하여 튜브(1a)를 절단하게 된다.
칼날안착대(34)는 'L'자형으로 절곡된 브라켓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2)에 안착되며, 절단칼날부(3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칼날안착대(34)는 절단가압용 실린더(32)에 의해 절단칼날부(33)의 전진하는 경우, 절단칼날부(33)의 칼날과 맞닿게 되어 튜브(1a)의 절단시에 튜브(1a)가 가압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단부(30)는 두 개로 구성되어 두 개의 튜브(1a)를 절단시키게 된다.
펌핑기구 검사부(40)는 상부센서 결착구(41), 상부 근접센서(42), 하부센서 결착구(43), 하부 근접센서(44) 및, 결착구 지지대(45)를 포함한다.
상부센서 결착구(41)는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상부 주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부센서 결착구(41)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중앙의 홀에 결착구 지지대(45)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센서 결착구(41)는 상부 근접센서(42)가 고정될 위치를 마련하게 된다.
상부 근접센서(42)는 상부센서 결착구(41)의 측방향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 근접센서(42)는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근접센서(42)는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의 상부 주변에 배치되어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지속적으로 센싱하여 확인하게 되고, 튜브(1a)의 배치 유무에 대한 신호를 구동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 근접센서(42)는 측방향에서 튜브(1a)가 감지되는 경우 구동제어부(60)로 이상 없음에 대한 감지신호를 알리게 되고, 측방향에서 튜브(1a)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이상 있음에 대한 감지신호를 구동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하부센서 결착구(43)는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하부 주변에 배치된다. 이 경우, 하부센서 결착구(43)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중앙의 홀에 결착구 지지대(45)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등으로 고정되며, 상부센서 결착구(4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센서 결착구(43)는 하부 근접센서(44)가 고정될 위치를 마련하게 된다.
하부 근접센서(44)는 하부센서 결착구(43)의 측방향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근접센서(44)는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근접센서(44)는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의 하부 주변에 배치되어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지속적으로 센싱하여 확인하게 되고, 튜브(1a)의 배치 유무에 대한 신호를 구동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하부 근접센서(44)는 측방향에서 튜브(1a)가 감지되는 경우 구동제어부(60)로 이상 없음에 대한 튜브절단감지신호를 알리게 되고, 측방향에서 튜브(1a)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이상 있음에 대한 튜브미절단신호를 구동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결착구 지지대(45)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베이스판에 볼트결합되며, 상단이 회전이송부(20)의 외측가이드체(25)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착구 지지대(45)는 상부센서 결착구(41)와 하부센서 결착구(43)를 결합시키게 된다.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펌핑기구 제거부(51),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 및,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53)를 포함하며,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 및,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를 더 포함한다.
펌핑기구 제거부(51)는 수평한 판체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개구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 펌핑기구 제거부(51)는 회전이송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펌핑기구(1)가 배치된 상부영역 가운데 회전이송부(20)의 회전 이송 경로를 제외한 영역을 박스형태로 두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펌핑기구 제거부(51)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와 결합되어 이동시 절곡된 일단 영역이 펌핑기구(1)와 맞닿도록 하여 펌핑기구(1)를 밀어내게 된다.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실린더로드가 펌핑기구 제거부(51)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실린더로드의 후진시에 펌핑기구 제거부(51)를 외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펌핑기구 제거부(51)가 펌핑기구(1)를 밀어내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구동제어부(60)에 의해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53)에 의해 지지되며, 부가적으로, 상부연결 브라켓(52b)이 결합되어 회전이송부(20)와 연결됨으로써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53)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베이스판(2)에 결합되며, 상단 부근에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가 결합되어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를 지지하게 된다.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는 공압분사 개구영역이 펌핑기구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공압을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되, 곡선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됨으로써 휘어지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공압을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는 펌핑기구(1)측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공압을 분사하여 펌핑기구(1)가 펌핑기구 제거부(51)에 의해 밀어내지는 경우, 하방으로 강하게 분리되어 제거되도록 하게 된다.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는 회전이송부(20)의 외측가이드체(25)의 일부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펌핑기구 제거부(51)가 위치한 영역의 회전이송부(20)의 외측가이드체(25) 하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는 펌핑기구 제거부(51) 또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의 실린더로드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는 펌핑기구 제거부(51)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 막으며, 펌핑기구 제거부(51)의 이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펌핑기구(1)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튜브(1a)가 정상적으로 절단되지 않은 펌핑기구(1)를 이탈가능한 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구동제어부(60)는 피엘씨(PLC)와 같은 제어기로써, 컨베이어 벨트부(10)의 컨베이어모터(18), 회전이송부(20)의 회전판 구동모터(22) 및, 절단부(30)의 실린더와 연동하여 기설정된 프로그램대로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제어부(60)는 회전이송부(20)를 회전시켜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 시키되, 일정시간 간격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일정시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고, 절단부(30)가 회전이송부(20)의 회전이 중지되는 시간에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일정길이 절단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구동제어부(60)는 펌핑기구 검사부(40) 및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와 연동한다. 이 경우, 구동제어부(60)는 펌핑기구 검사부(40)에서 생성되는 튜브미절단신호를 입력받게 되며, 이때, 구동제어부(60)는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를 구동시켜 펌핑기구 제거부(51)가 펌핑기구(1)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부(20)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은 'ㄱ'자 형상의 편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절곡된 영역의 내주연 부근에 원호형의 곡선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은 컨베이어 벨트부(10)와 회전이송부(20) 사이에 배치되되 원호형의 곡선 영역이 펌핑기구(1)의 이송방향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이송부(20) 측에 배치된 영역이 회전이송부(20)의 외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은 컨베이어 벨트부(10)에 의해 이송되는 펌핑기구(1)가 맞닿는 경우 펌핑기구(1)의 이송방향을 회전이송부(20)의 회전방향으로 변경되도록 펌핑기구(1)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이송부(20)는 회전시에 펌핑기구(1)를 외주연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컨베이어 벨트부(10)의 제1팬벨트(14)와 제2팬벨트(15) 사이에 튜브(1a)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펌핑기구(1)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구동제어부(60)는 컨베이어모터(18)를 회전시켜 제1팬벨트(14)와 제2팬벨트(15) 상부에 배치된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부(20)의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측에 밀착된 펌핑기구(1)는 튜브(1a)가 하부결착부(24)의 튜브결착홈(24a)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펌핑기구(1)의 몸체 하부면 외곽 일부는 상부결착부(23)와 외측가이드체(25)에 안착되며, 이때, 회전이송부(20)는 구동제어부(60)가 회전판 구동모터(22)를 기설정된 프로그램대로 제어하여 일정시간 정지시키게 된다.
다음, 회전이송부(20)는 구동제어부(60)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구동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절단부(30)측으로 일정 회전반경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이송부(20)가 회전하는 반경은 튜브결착홈(24a)간의 간격에 두 배만큼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공급되는 펌핑기구(1)는 이송방향 변경브라켓(70)에 의해 상부결착부(23) 및 하부결착부(24)에 결착된 상태에서 두 개 씩 절단부(30) 부근에 일정시간동안 배치된다.
다음, 구동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펌핑기구 압박부(60)의 압박실린더(62)를 전진시키게 되고, 압박실린더(62)의 실린더로드는 펌핑기구(1)의 상부영역을 압박하여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부(20)의 상부영역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절단부(30)는 구동제어부(60)의 절단가압용 실린더(32) 제어 구동을 통해 절단칼날부(33)를 칼날안착대(34)까지 전진시키게 되고, 이때, 펌핑기구(1)의 튜브(1a)는 절단칼날부(33)가 맞닿는 부분이 절단된다.
다음, 구동제어부(60)는 절단부(30)에 의해 튜브(1a)가 절단된 펌핑기구(1)를 펌핑기구 검사부(40)에 위치하도록 회전이송부(20)를 일정 구간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 펌핑기구 검사부(40)의 상부 근접센서(4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a)의 절단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을 검사하고, 하부 근접센서(44)는 튜브(1a)의 절단위치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을 검사하게 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a)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게 되면, 하부 근접센서(44)는 튜브미절단신호를 생성하여 구동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되고, 튜브미절단신호를 입력받은 구동제어부(60)는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의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기구 제거부(51)를 후진으로 이동시켜 펌핑키구(1)를 외주연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는 도 1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펌핑기구(1)와 결착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는 펌핑기구(1)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공압을 분사하여 핌핑기구(1)를 강하게 밀어냄으로써, 튜브(1a)가 완벽히 절단되지 않은 펌핑기구(1)를 미절단 펌핑기구 수용체(3a)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는 펌핑기구 제거부(51)를 전진시켜 최초 위치로 복구시키게 된다.
다음, 구동제어부(60)는 일정시간이 지난후에 회전이송부(20)를 일정 거리 회전시키게 되고, 튜브(1a)가 일정길이 절단된 펌핑기구(1)는 회전이송부(20)의 회전에 의해 계속 회전하다가 외측가이드체(25)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하지 않고 자동으로 절하기 위하여 펌핑기구(1)를 고정하는 경우,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하는 동안에만 자동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정확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펌핑기구(1)를 컨베이어 벨트부(10)에 안착시키는 과정만으로 펌핑기구(1)가 절단부(30)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 작업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자동으로 절단시에 정상적으로 절단 작업이 진행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튜브의 절단이 완료되지 않은 펌핑기구(1)를 자동으로 선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펌핑기구 1a : 튜브
10 ; 컨베이어 벨트부 11 : 제1가이드
12 : 제2가이드 13 : 지지대
14 : 제1팬벨트 15 : 제2팬벨트
16 : 제1기어부 17 : 제2기어부
18 : 컨베이어모터 20 : 회전이송부
21 : 내측회전판 22 : 회전판 구동모터
23 : 상부결착부 24 : 하부결착부
25 : 외측가이드체 26 : 외측가이드 지지대
30 : 절단부 31 : 실린더 결합대
32 : 절단가압용 실린더 33 : 절단칼날부
34 : 칼날안착대 40 : 펌핑기구 검사부
41 : 상부센서 결착구 42 : 상부 근접센서
43 : 하부센서 결착구 44 : 하부 근접센서
45 : 결착구 지지대 50 :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
51 : 펌핑기구 제거부 52 :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53 :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 54 :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
55 :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 60 : 구동제어부
70 : 이송방향 변경브라켓

Claims (6)

  1. 펌핑기구(1)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부(10);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에서 이송되는 펌핑기구(1)를 입력받아 수평면에서 원형경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이송부(20);
    상기 회전이송부(20)에서 회전되어 공급되는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시키는 절단부(30);
    상기 절단부(30)의 절단 구동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사물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튜브(1a)가 절단된 위치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튜브미절단신호를 생성하는 펌핑기구 검사부(40);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에서 튜브미절단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펌핑기구(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 및,
    상기 회전이송부(20)를 회전시켜 상기 펌핑기구(1)를 회전이송 시키되, 일정시간 간격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일정시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30)가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이 중지되는 시간에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를 절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 및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와 연동하여 상기 튜브미절단신호의 생성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를 구동시켜 상기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밀려지도록 하는 구동제어부(60); 를 포함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기구 검사부(40)는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상부 주변에 배치되는 상부센서 결착구(41);
    상기 상부센서 결착구(41)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확인하는 상부 근접센서(42);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 절단위치에서 하부 주변에 배치되는 하부센서 결착구(43);
    상기 하부센서 결착구(43)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1a)의 배치 유무를 확인하는 하부 근접센서(44); 및,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센서 결착구(41)와 상기 하부센서 결착구(43)를 결합시키는 결착구 지지대(45); 를 포함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펌핑기구(1)가 배치된 상부영역 가운데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 이송 경로를 제외한 영역을 박스형태로 두르도록 배치되는 펌핑기구 제거부(51);
    실린더로드가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 및,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를 지지하는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 지지대(53);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공압분사 개구영역이 상기 펌핑기구(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공압을 분사하는 펌핑기구 제거용 공압분사구(54);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절단 펌핑기구 배출부(50)는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기구(1)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 막으며,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 또는 상기 펌핑기구 제거용 실린더(52)의 실린더로드와 결합되고, 상기 펌핑기구 제거부(51)의 이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펌핑기구(1)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펌핑기구 제거용 외측가이드(55);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부(20)는
    원형의 판형형태로 형성되는 내측회전판(21);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시 상기 내측회전판(21)을 회전시키는 회전판 구동모터(22);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결착되는 몸체결착홈(23a)이 형성되는 상부결착부(23);
    상기 내측회전판(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결착부(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착부(23)의 최외곽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 일부영역이 안착되며,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결착되는 튜브결착홈(24a)이 형성되는 하부결착부(24);
    상부면이 상기 상부결착부(23)의 상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결착부(23)와 상기 하부결착부(24)에서 일정간격이 이격된 상태에서 원형의 경로상에 배열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결착부(24)와의 이격간격 사이에 상기 펌핑기구(1)의 튜브(1a)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면에 상기 펌핑기구(1)의 몸체가 안착되도록 하는 외측가이드체(25); 및,
    상기 외측가이드체(25)를 지지하는 외측가이드 지지대(26);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KR1020210076492A 2021-06-14 2021-06-14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KR10231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92A KR102311447B1 (ko) 2021-06-14 2021-06-14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92A KR102311447B1 (ko) 2021-06-14 2021-06-14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447B1 true KR102311447B1 (ko) 2021-10-08

Family

ID=7811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492A KR102311447B1 (ko) 2021-06-14 2021-06-14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053B2 (ja) * 1990-04-23 1996-06-05 靜甲株式会社 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機および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方法
KR200431479Y1 (ko) 2006-07-15 2006-11-23 김진만 비닐 튜브 필름 파공, 절단, 열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053B2 (ja) * 1990-04-23 1996-06-05 靜甲株式会社 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機および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方法
KR200431479Y1 (ko) 2006-07-15 2006-11-23 김진만 비닐 튜브 필름 파공, 절단, 열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239B2 (en) Carbide blade grinding forming processing production line
KR102136244B1 (ko)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102117164B1 (ko) 식품 자동 슬라이서
KR101536602B1 (ko)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KR101691337B1 (ko) 꼬치 제조 장치
TR201808613T4 (tr) Bi̇lyali i̇şleme aparati.
EP2682197A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KR102311447B1 (ko)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검사장치
KR102322958B1 (ko)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장치 구동 방법
KR102311443B1 (ko)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용 이송 장치
KR20200079727A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21427B1 (ko) 2d/3d 캐드캠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
KR101725726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N111038965A (zh) 工件自动间歇输送的控制方法
EP0136628A1 (en) Apparatus for helical cutting of potatoes
CN105345329A (zh) 链传动安装板总成的自动生产线的推移机构
KR101574096B1 (ko) 오토로딩수단을 가지는 브로칭 머신
CN107471321B (zh) 全自动打板机
CN105414914A (zh) 链传动安装板总成的自动生产线的顶升机构
KR102311439B1 (ko) 펌핑기구의 튜브 절단 장치
KR102094387B1 (ko) 케익커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익 커팅 및 이송 시스템
CN214263097U (zh) 一种用于桶装危险废物的清桶装置
CN214053910U (zh) 一种烤箱通风管切尾装置
KR101006142B1 (ko) 자동식 고기 절단기
CN210878503U (zh) 一种锁具锁钮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