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04B1 - 차량용 리어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04B1
KR102311204B1 KR1020170053263A KR20170053263A KR102311204B1 KR 102311204 B1 KR102311204 B1 KR 102311204B1 KR 1020170053263 A KR1020170053263 A KR 1020170053263A KR 20170053263 A KR20170053263 A KR 20170053263A KR 102311204 B1 KR102311204 B1 KR 10231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oled device
cover
cover pa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747A (ko
Inventor
송기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리어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램프는: 면발광을 하는 OLED소자와, OLED소자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OLED소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와, 완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커버부를 가압하는 고정클립부 및 커버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램프{REAR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LED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램프의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나 가스방전식 램프 등이 주로 사용된다. 할로겐램프의 경우에는 색온도가 3200K 정도로 약간 붉은 색 계열을 띠고, 수명도 최고 1000시간 이내이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가스방전식 램프의 경우에는 색온도가 4300K 정도로 백색에 가깝고, 할로겐램프 대비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급차량에 많이 사용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소자는 빛을 내는 발광층이 유기 화합물로 되어 있는 박막 발광 다이오드로서, 제작비용은 비싸지만 발광층이 직접 빛을 내며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다.
이러한 OLED소자는 면발광을 구현하므로 차량의 리어램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두께가 얇고 글라스 재질이므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충격을 받으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7154호(2013.05.3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구조체)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OLED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면발광을 하는 OLED소자와, OLED소자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OLED소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와, 완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커버부를 가압하는 고정클립부 및 커버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OLED소자의 일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제1완충부 및 OLED소자를 사이에 두고 제1완충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OLED소자와 마주하는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제1완충부에서 제2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제2완충부에 가이드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돌기는 OLED소자의 테두리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테두리부재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는, 완충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및 완충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는, 제1커버부에서 제2커버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제2커버부에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클립부는, OLED소자와 완충부와 커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립몸체 및 클립몸체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홈부로 삽입되어 커버부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탄성을 구비한 완충부가 OLED소자를 지지하므로 OLED소자의 이동을 구속하며, OLED소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장착 안전성 및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클립부가 OLED소자와 완충부와 커버부를 하나의 모듈로 고정시키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주요 부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소자의 양측에 완충부와 커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사이에 설치된 OLED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부가 커버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홀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테두리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주요 부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소자의 양측에 완충부와 커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사이에 설치된 OLED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부가 커버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홀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테두리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1)는, 면발광을 하는 OLED소자(10)와, OLED소자(10)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OLED소자(1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20)와, 완충부(20)의 양측에 위치하는 커버부(50)와, 커버부(5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완충부(20)를 향한 방향으로 커버부(50)를 가압하는 고정클립부(80) 및 커버부(50)를 관통하여 차체(100)에 고정되는 체결부재(90)를 포함한다.
OLED소자(10)는 두께가 얇게 형성된 상태에서 면발광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OLED소자(10)의 표면에 아웃커플링 필름(OCF:Out Coupling Film)을 붙이거나 OLED소자(10)의 글라스(Glass) 표면에 요철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용 리어램프(1)는 OLED소자(10)와 완충부(2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OLED소자(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OLED소자(1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OLED소자(10)는, 빛을 내는 발광층이 유기 화합물로 되어서 면발광을 하는 광원부(12)와, 광원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테두리부재(14)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0)는 OLED소자(10)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므로 OLED소자(10)의 이동을 구속하는 한편 OLED소자(1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OLED소자(10)의 파손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0)는 차량 진동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무를 포함한 재료로 성형된다. 완충부(20)는 고무나 실리콘(Silicone)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되며, 고무 중에서도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혼성 중합시켜 얻은 비결정성 고분자물질인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Ethylene propylene rubber)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을 구비한 완충부(20)는 OLED소자(1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0)의 폭 길이는 OLED소자(10)의 폭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OLED소자(10)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0)는, OLED소자(10)의 일측(도 3기준 좌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제1완충부(30)와, OLED소자(10)를 사이에 두고 제1완충부(3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부(40)를 포함한다.
제1완충부(30)는 OLED소자(10)의 일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고무판 형상이며, 제2완충부(40)는 OLED소자(10)의 타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고무판 형상이다. 또한 OLED소자(10)와 마주하는 제1완충부(30)와 제2완충부(40)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돌기(34,44)가 형성된다.
OLED소자(10)와 완충부(20) 사이의 마찰 표면적을 증대 시키기 위해 제1완충부(30)와 제2완충부(40)에 요철 형상의 돌출돌기(34,44)를 형성한다. 요철 형상의 돌출돌기(34,44)가 OLED소자(10)와 마주하는 완충부(20)에 구비되므로, X, Y, Z축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의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OLED소자(10)의 손상을 방지하며, OLED소자(10)가 완충부(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돌기(34,44)의 직경과 배열은 OLED소자(10)와 완충부(20) 사이의 마찰력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진동에 의한 OLED소자(10)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돌기(32)와 가이드홀부(42)의 구조가 완충부(20)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0)는, 제1완충부(30)에서 제2완충부(4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2)와, 제2완충부(40)에 가이드돌기(32)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42)를 포함한다.
제1완충부(30)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32)는 제2완충부(40)에 구비된 가이드홀부(42)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완충부(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완충부(30)와 제2완충부(40)의 사이에 설치된 OLED소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2)와 마주하는 OLED소자(10)의 테두리부재(15)는 "ㄷ"자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므로, 가이드돌기(32)는 테두리부재(15)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부를 통과하여 가이드홀부(42)로 삽입된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5)는 가이드돌기(32)에 걸려서 상하 및 측면 이동이 구속된다.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32)는 테두리부재(16)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OLED소자(10)의 고정부분인 테두리부재(16)의 하부 양측이 "ㄴ"자 형상으로 가공되며, "ㄴ"자 형상의 돌기 상측에 가이드돌기(32)가 위치하므로 OLED소자(1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32)는 OLED소자(10)의 테두리부재(17)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OLED소자(10)의 고정부분인 테두리부재(17)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32)가 통과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가이드돌기(32)는 테두리부재(17)의 구멍을 관통하여 제2완충부(40)에 구비된 가이드홀부(42)로 삽입된다. 가이드돌기(32)가 테두리부재(17)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OLED소자(1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제1완충부(30)와 제2완충부(40)는 OLED소자(10)의 광원부(12)와 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 설치되므로 광원부(12)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0)는 완충부(20)의 양측에 위치하며 완충부(2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50)는, 완충부(20)의 일측(도 7기준 좌측)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60)와, 완충부(20)의 타측(도 7기준 우측)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70)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60)는 제1완충부(30)를 커버하는 형상이며, 제1커버부(60)에서 제2커버부(7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2)를 구비한다. 결합돌기(62)는 제1커버부(60)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2커버부(70)에 구비된 결합홈부(72)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커버부(70)는 제2완충부(40)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결합돌기(62)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결합홈부(72)가 양측에 설치된다.
제1커버부(60)의 외측에는 고정클립부(8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부(64)가 구비되며, 제1완충부(30)와 마주하는 제1커버부(60)의 내측에는 제1완충부(3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안착홈부(66)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완충부(30)의 일부가 제1안착홈부(66)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제1커버부(60)와 제1완충부(30)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제1완충부(30)와 제1커버부(6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제2커버부(70)의 외측에도 고정클립부(8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부(74)가 구비되며, 제2완충부(40)와 마주하는 제2커버부(70)의 내측에는 제2완충부(4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안착홈부(76)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완충부(40)의 일부가 제2안착홈부(76)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제2커버부(70)와 제2완충부(40)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제2완충부(40)와 제2커버부(7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OLED소자(10)를 완충부(20)와 커버부(50)와 함께 고정클립부(80)로 모듈화 시킬 경우, 고정클립부(80)를 설치하기 위한 커버부(50)의 고정홈부(64,74) 구조에 의해 고정클립부(80)의 체결력이 향상되어 OLED소자(10)의 모듈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50)의 결합돌기(62)가 커버부(50)의 좌우측 힘의 편중을 방지하여 올바른 고정 구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62)의 외측에 원형의 띠 형상의 구조를 추가하므로 결합돌기(62)의 형상이 쐐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쐐기구조와 같이 결합돌기(62)가 결합홈부(72)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스크루 형상의 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차체(100)의 장착브라켓(102)에 모듈 조립시, 보스 형상의 결합돌기(62)가 결합홈부(72)에 결합되므로 힘의 편중을 막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여 OLED소자(1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부(80)가 커버부(50)를 고정하기 전에 제1커버부(60)의 결합돌기(62)가 제1커버부(60)의 결합홈부(72)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고정클립부(80)를 사용한 모듈 조립시 힘의 편중을 막기 위한 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클립부(80)는 커버부(5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완충부(20)를 향한 방향으로 커버부(50)를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부(80)는 탄성을 구비한 스프링강 등의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부(80)는 클립몸체(82)와 탄성가압부(84)를 포함한다.
클립몸체(82)는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ㄷ"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클립몸체(82)의 내측에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의 하측이 삽입된다.
탄성가압부(84)는 클립몸체(82)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커버부(50)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홈부(64,74)로 삽입되어 커버부(50)의 양측면을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84)는 "V"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고정홈부(64,74)를 향한 내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50)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홈부(64,74)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클립부(80)는 조립성 향상을 위해 제1커버부(60)와 제2커버부(70)를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함께 모듈화 할 수 있는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고정클립부(80)는 OLED소자(10)의 고정 구조에서, 차체(100)의 장착브라켓(102)에 고정되기 전에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클립 구조를 제공한다. 즉 차량용 리어램프(1)의 조립 작업시,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제1커버부(60)와 제1완충부(30)와 OLED소자(10)와 제2완충부(40)와 제2커버부(70)의 순서로 조립된 후 고정클립부(80)로 제1커버부(60)와 제2커버부(70)를 OLED소자(1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OLED소자(10)를 중심으로 하는 모듈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모듈화된 OLED소자(10)는 체결부재(90)에 의해 장착브라켓(102)에 고정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부(80)는 SUS304 재질의 판을 사용하며, 0.3cm 이하의 두께로 제작하므로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90)는 커버부(50)를 관통하여 차체(100)에 고정되므로 OLED소자(10)를 중심으로 모듈화된 부품을 장착브라켓(102)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1)의 조립을 상세히 설명한다.
OLED소자(10)의 양측에 제1완충부(30)와 제2완충부(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커버부(60)가 제1완충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커버부(70)가 제2완충부(4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1커버부(60)의 결합돌기(62)가 제1커버부(60)의 결합홈부(72)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의 가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클립부(80)의 탄성가압부(84)가 제1커버부(60)의 고정홈부(64)와 제2커버부(70)의 고정홈부(74)에 삽입되어 제1커버부(60)와 제2커버부(7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와 고정클립부(80)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OLED소자(10)를 중심으로 하는 모듈은 장착브라켓(102)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부재(90)가 제1커버부(60)와 제2커버부(70)를 관통하여 장착브라켓(102)에 체결되는 작업에 의해 차량용 리어램프(1)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을 구비한 완충부(20)가 OLED소자(10)를 지지하므로 OLED소자(10)의 이동을 구속하며, OLED소자(1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장착 안전성 및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부(80)가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를 하나의 모듈로 고정시키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클립인 고정클립부(80)를 사용하여 OLED소자(10)와 완충부(20)와 커버부(50)를 하나의 모듈로 조립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리어램프
10: OLED소자 12: 광원부
14,15,16,17: 테두리부재 20: 완충부
30: 제1완충부 32: 가이드돌기
34: 돌출돌기 40: 제2완충부
42: 가이드홀부 44: 돌출돌기
50: 커버부 60: 제1커버부
62: 결합돌기 64: 고정홈부
66: 제1안착홈부 70: 제2커버부
72: 결합홈부 74: 고정홈부
76: 제2안착홈부 80: 고정클립부
82: 클립몸체 84: 탄성가압부
90: 체결부재 100: 차체
102: 장착브라켓

Claims (8)

  1. 면발광을 하는 OLED소자;
    상기 OLED소자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OLED소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가압하는 고정클립부; 및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OLED소자의 일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제1완충부; 및
    상기 OLED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완충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부;
    상기 제1완충부에서 상기 제2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2완충부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소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OLED소자의 테두리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테두리부재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6. 삭제
  7. 면발광을 하는 OLED소자;
    상기 OLED소자의 양측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OLED소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가압하는 고정클립부; 및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상기 완충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에서 상기 제2커버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2커버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는, 상기 OLED소자와 상기 완충부와 상기 커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립몸체; 및
    상기 클립몸체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홈부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KR1020170053263A 2017-04-26 2017-04-26 차량용 리어램프 KR10231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63A KR102311204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리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63A KR102311204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리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47A KR20180119747A (ko) 2018-11-05
KR102311204B1 true KR102311204B1 (ko) 2021-10-12

Family

ID=6432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263A KR102311204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리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234A (ja) * 2007-10-19 2009-05-07 Yoshitomi Araki 円盤状記録媒体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3572A (ja) * 1992-03-25 1993-10-22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方法および実装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234A (ja) * 2007-10-19 2009-05-07 Yoshitomi Araki 円盤状記録媒体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47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961B1 (ko) 차량용 등기구
JP5566770B2 (ja) 車両用灯具と車両用灯具の組立方法
US8696186B2 (en) Light bar structure and light source device
KR102311204B1 (ko) 차량용 리어램프
US20180010764A1 (en) Ultraviolet ray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CN217503538U (zh) 用于车辆的灯和包括其的车辆
US9470394B2 (en) LED light fixture including optical member with in-situ-formed gaske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1170478Y (zh) 一种汽车灯具减振垫
US20240052990A1 (en) Exterior Luminaire for a Motor Vehicle
KR20150017947A (ko)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CN210891503U (zh) 灯具
KR101845539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70131949A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KR101709782B1 (ko) Led 백라이트 유닛
KR20210023016A (ko) 내구력 및 진동 흡수성능을 향상시킨 방진고무
KR102036321B1 (ko)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CN111025762A (zh) 一种导光板插接安装的背光模组
CN214057377U (zh) 一种牌照灯及汽车
KR101501078B1 (ko) 차량시트의 블로워 장착유닛
CN204717546U (zh) Led汽车灯
KR20220145163A (ko)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218820022U (zh) 卡扣连接的防眩光灯具
KR200489564Y1 (ko) 조명기구용 led 모듈
CN213900801U (zh) 一种led线条像素灯
CN211502438U (zh) Led灯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