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636B1 - 포장용 보냉 봉지 - Google Patents

포장용 보냉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636B1
KR102310636B1 KR1020210018380A KR20210018380A KR102310636B1 KR 102310636 B1 KR102310636 B1 KR 102310636B1 KR 1020210018380 A KR1020210018380 A KR 1020210018380A KR 20210018380 A KR20210018380 A KR 20210018380A KR 102310636 B1 KR102310636 B1 KR 10231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bag
packaging
cold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현
손대수
Original Assignee
(주)팩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팩앤테크 filed Critical (주)팩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1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 B65D81/389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재질의 외면과 보냉 재질의 내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접어 보관하기 쉽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용 보냉 봉지에 관한 것으로,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외면부; 보냉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되는 포장품을 보냉하는 내면부; 및 외면부와 내면부를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되, 보관 시에 접도록 하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우도록 형성시킨 봉지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보냉 봉지{Pack of keeping cold condition}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포장용 보냉 봉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 재질의 외면과 보냉 재질의 내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접어 보관하기 쉽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용 보냉 봉지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3182호(2019.07.17. 등록)는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조립식 종이박스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골판지로 형성되는 밑판과, 우측판 및 좌측판과, 앞판 및 뒷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종이박스에 있어서, 앞판과 우측판 사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우측 제1접힘판 및 우측 제2접힘판과, 뒷판과 우측판 사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우측 제3접힘판 및 우측 제4접힘판과, 앞판과 좌측판 사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좌측 제1접힘판 및 좌측 제2접힘판과, 뒷판과 좌측판 사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좌측 제3접힘판 및 좌측 제4접힘판과, 뒷판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앞판, 우측판 및 좌측판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앞판, 우측 제1접힘판, 우측 제2접힘판, 우측판, 우측 제4 접힘판, 우측 제3 접힘판, 뒷판, 좌측 제3접힘판, 좌측 제4접힘판, 좌측판, 좌측 제2접힘판, 좌측 제1접힘판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세워지고, 우측판의 우측에, 접혀져서 세워진 우측 제1접힘판 및 우측 제2접힘판과, 우측 제3접힘판 및 우측 제4접힘판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우측 고정판이 구비되고, 좌측판의 좌측에, 접혀진 좌측 제1접힘판 및 좌측 제2접힘판과, 좌측 제3접힘판 및 좌측 제4접힘판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좌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 포일을 라미네이팅한 골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다음 이로부터 뚜껑이 있는 종이박스로 조립하고, 종이박스의 내부에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패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종 음식료품을 단기간 보온 및 보냉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7635호(2019.07.04. 공개)는 음용 가능한 액체가 용기에 담겨진 상태에서 용기에 보온이나 보냉 수단이 없을 경우에도 보온이나 보냉의 유지가 일정시간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고, 동시에 다양한 광고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의 용이하면서 휴대 시 찢어짐도 방지토록 하여 장시간 사용도 가능토록 한 음용 용기의 보온 보냉 유지가 가능하면서 광고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보온 보냉 팩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보온이나 보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보온 보냉 팩에 있어서, 보온 보냉 팩은 이면광고 인쇄가 가능한 PET 또는 OPP 필름의 이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이면으로 자외선 차단을 차단함은 물론 인쇄면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층을 접착층에 의하여 형성하고, 알루미늄층의 이면으로는 단열을 위한 단열시트를 접착층에 의하여 합지토록 하고, 단열시트의 이면으로는 PE 필름을 합지토록 한 상태의 시트를 중첩토록 한 후 테두리를 가열 접착하여 접착라인을 형성하고, 접착라인은 양측변과 필요시 하단을 접착토록 한 상태에서 상단은 개폐가 가능한 지퍼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량의 식재료나 냉동식품을 운반할 시, 종이박스 내부에 아이스 팩(ice pack)을 넣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스 팩은, 그 내부에 냉매를 포함하고 있어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고, 사용 후 이를 처리하기도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이박스의 경우, 과일이나 야채 등을 보관할 경우 박스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골판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골판지에 수분이 침투하여 종이박스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단점도 있다.
다른 예로, 단열재를 구비한 아이스박스(ice box)를 사용하여 식품을 보관 및 운반하는 경우에는, 고가인 아이스박스를 구입하여야 하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음용 가능한 용기로 사용되는 것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병인데, 이들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통상 1회용으로 사용되어지며, 대부분 여름철에는 냉장이나 냉동된 것을 휴대하면서 음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이나 냉동된 것을 휴대할 경우에도 더운 여름철의 열기로 인하여 빠른 시간에 시원함의 유지가 불가능하여, 대부분 바로 음용하지 아니하면 시간이 경과되면서 미지금한 물을 음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냉장이나 냉동된 생수병의 외벽으로는 외부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용기의 외벽으로 결로가 발생되어, 물의 흐름이 생기고, 대부분 이들을 보관할 경우에 보관하게 되는 가방 등이 젖게 되는 등의 단점도 있으며, 또한 손으로 휴대할 경우에 손바닥으로 전해지는 차가움으로 또 다른 불편함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31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76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 재질의 외면과 보냉 재질의 내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접어 보관하기 쉽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내면부; 보냉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되는 포장품을 보냉하는 외면부; 및 상기 내면부와 상기 외면부를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되, 보관 시에 접도록 하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우도록 형성시킨 봉지형성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면부는, 합성수지, 우레탄, 발포폴리스타이렌, 펄라이트 중 하나를 단열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면부는, 알루미늄, 은 중 하나를 보냉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봉지형성부는, 하부면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키되, 양쪽이 경사지도록 하여 바닥과 접하는 부분은 사각형이고 양쪽 부분은 각각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봉지형성부는, 하부면에 제1접이선을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하부면에 연결된 측면에 제2접이선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 보냉 봉지는, 상기 봉지형성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밀폐부는, 지퍼, 벨크로, 테이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 보냉 봉지는, 상기 내면부의 내면에 드라이아이스를 구비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드라이아이스부; 및 포장품이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에서 생성한 냉기를 포장품으로 전달하는 냉기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드라이아이스부는,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냉기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드라이아이스부는, 그물망에 드라이아이스를 고착시켜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전달부는,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에서 생성시킨 냉기만을 통과시켜 포장품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냉기 유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 보냉 봉지는,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에 드라이아이스를 구비하여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내면부로 전달하는 드라이아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면부는,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에서 생성시킨 냉기만을 통과시켜 포장품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냉기 유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봉지형성부는, 상기 외면부, 상기 드라이아이스부 및 상기 내면부를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 보냉 봉지는,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 또는 상기 내면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면부의 보냉을 도와주는 보냉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면부는, 상기 보냉제부와 외부 간의 온도 차이에 형성되는 결로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봉지형성부는, 상기 외면부, 상기 보냉제부 및 상기 내면부를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냉제부는, 고흡수성 수지에 물을 흡수시켜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얻은 다음에,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에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투입시켜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냉제부는, 스타치계, 합성수지계, 셀룰로스계 수지 중 하나의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냉제부는,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교반시켜 시트 형태로 굳혀 보냉제시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냉제부는, 보냉제시트를 밀폐 수용하기 위한 보냉제수용체; 및 상기 보냉제수용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냉제수용체에 수용된 보냉제와 외부 간의 온도 차이에 형성되는 결로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수체는, 종이, 부직포, 직물 중 하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단열 재질의 외면과 보냉 재질의 내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접어 보관하기 쉽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으며,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없으며, 저렴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며, 더운 여름철의 열기에도 시원함의 유지가 가능하며, 손으로 휴대하더라도 손바닥으로 차가움이 전달되지 않아 편리하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2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드라이아이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3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4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제1예로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1예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외면부(110), 내면부(120), 봉지형성부(130)를 포함한다.
내면부(120)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 사이를 단열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내면부(120)는, 합성수지, 우레탄(PIR(polyisocyanurate foam), PUR(polyurethane foam) 등), 발포폴리스타이렌, 펄라이트 등과 같은 단열 재질을 이용하여 단열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외면부(110)는, 보냉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되는 포장품을 보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외면부(110)는,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보냉 재질을 이용하여 보냉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형성부(130)는, 외면부(110)와 내면부(120)를 일체로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도 2의 (가) 부분 참조)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되, 보관 시에 접도록 하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우도록 형성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봉지형성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키되, 양쪽이 경사지도록 하여 바닥과 접하는 부분은 사각형이고 양쪽 부분은 각각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시켜 줌으로써, 사용 시에 하부면을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봉지형성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제1접이선(나)을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연결된 측면에 제2접이선(다)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보관 시에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단열 재질의 외면과 보냉 재질의 내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접어 보관하기 쉽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워 둘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으며,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없으며, 저렴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며, 더운 여름철의 열기에도 시원함의 유지가 가능하며, 손으로 휴대하더라도 손바닥으로 차가움이 전달되지 않아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육류, 채소류 등의 내부 포장품을 포장하여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마트 등에서 소비자의 집으로 운반 시에 내부 포장품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밀폐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는, 봉지형성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줌으로써, 내부에 포장된 포장품을 더욱 더 신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는, 지퍼, 벨크로, 테이프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2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있는 드라이아이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면부(110), 내면부(120), 봉지형성부(130) 외에도, 드라이아이스부(140), 냉기전달부(1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으로,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드라이아이스부(140)는, 하부 내면(즉, 내면부(120)의 내면)에 드라이아이스를 구비시켜, 드라이아이스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냉기전달부(15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드라이아이스부(140)는,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냉기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라이아이스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41)에 드라이아이스(142)를 고착시켜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삽입이 용이하고 분리 시에도 쉽게 작업하도록 할 수 있다.
냉기전달부(150)는, 내부 포장품이 드라이아이스부(14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드라이아이스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만을 내부 포장품으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냉기전달부(150)는, 드라이아이스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만을 통과시켜 내부 포장품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냉기 유출공(15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3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냉기전달부(150)를 구비하지 않고, 외면부(110)와 내면부(120) 사이에 드라이아이스를 구비시켜, 드라이아이스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내면부(120)로 전달해 주는 드라이아이스부(140)를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으로,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내면부(120)는, 드라이아이스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만을 통과시켜 내부 포장품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냉기 유출공(121)을 구비할 수 있다.
봉지형성부(130)는, 외면부(110), 드라이아이스부(140) 및 내면부(120)를 일체로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도 2의 (가) 부분 참조)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봉지를 제4예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장용 보냉 봉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면부(110), 내면부(120), 봉지형성부(130) 외에도, 보냉제부(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으로,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외면부(110)는, 보냉제부(160)와 외부 간의 온도 차이에 형성되는 결로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형성부(130)는, 외면부(110), 보냉제부(160) 및 내면부(120)를 일체로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도 2의 (가) 부분 참조)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보냉제부(160)는, 외면부(110)와 내면부(120) 사이에 형성(도 8 참조)되거나, 내면부(120)의 내측에 형성(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되어, 내면부(120)의 보냉을 도와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냉제부(160)는, 고흡수성 수지에 물을 흡수시켜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얻은 다음에,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에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투입시켜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흡수성 수지는, 물을 흡수하여 보냉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스타치계, 합성수지계, 셀룰로스계 수지 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SA(poly sodium 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물의 양은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능력에 따라 설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냉제부(160)는, 겔 상의 고흡수성 수지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교반시켜 시트 형태로 굳혀 보냉제시트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냉제부(160)는, 보냉제시트를 밀폐 수용하기 위한 보냉제수용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보냉제수용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보냉제수용체에 수용된 보냉제와 외부 간의 온도 차이에 형성되는 결로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흡수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흡수체는, 흡수성이 우수한 종이, 부직포, 직물 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포장용 보냉 봉지
110: 외면부
120: 내면부
121, 151: 냉기 유출공
130: 봉지형성부
140: 드라이아이스부
141: 그물망
142: 드라이아이스
150: 냉기전달부
160: 보냉제부

Claims (5)

  1.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내면부; 보냉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되는 포장품을 보냉하는 외면부; 및 상기 내면부와 상기 외면부를 합지한 상태에서 상부만 개방하고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밀봉하여 봉지로 형성시키되, 보관 시에 접도록 하고 사용 시에 하부를 펼쳐 세우도록 형성시킨 봉지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봉지형성부는, 하부면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키되, 양쪽이 경사지도록 하여 바닥과 접하는 부분은 사각형이고 양쪽 부분은 각각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시키며;
    상기 내면부의 내면에 드라이아이스를 구비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드라이아이스부; 및 포장품이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에서 생성한 냉기를 포장품으로 전달하는 냉기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부는, 그물망에 드라이아이스를 고착시켜 시트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냉기전달부는, 상기 드라이아이스부에서 생성시킨 냉기만을 통과시켜 포장품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냉기 유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부는,
    합성수지, 우레탄, 발포폴리스타이렌, 펄라이트 중 하나를 단열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봉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부는,
    알루미늄, 은 중 하나를 보냉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봉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형성부는,
    하부면에 제1접이선을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하부면에 연결된 측면에 제2접이선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봉지.
KR1020210018380A 2021-02-09 2021-02-09 포장용 보냉 봉지 KR10231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80A KR102310636B1 (ko) 2021-02-09 2021-02-09 포장용 보냉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80A KR102310636B1 (ko) 2021-02-09 2021-02-09 포장용 보냉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636B1 true KR102310636B1 (ko) 2021-10-12

Family

ID=7807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80A KR102310636B1 (ko) 2021-02-09 2021-02-09 포장용 보냉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6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14B1 (ko) * 2013-07-17 2014-12-16 주식회사 우성팩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전시와 휴대가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된 보온포장팩
JP2017036087A (ja) * 2015-08-10 2017-02-16 クンプー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Kumpoong Co., Ltd. 保温保冷性能に優れた包装用紙袋
KR20190077635A (ko) 2017-11-30 2019-07-04 주식회사 우성팩 음용용기의 보온보냉유지가 가능하면서 광고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보온보냉팩
KR102003182B1 (ko) 2019-01-30 2019-07-24 홍호선 보온 및 보냉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조립식 종이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14B1 (ko) * 2013-07-17 2014-12-16 주식회사 우성팩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전시와 휴대가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된 보온포장팩
JP2017036087A (ja) * 2015-08-10 2017-02-16 クンプー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Kumpoong Co., Ltd. 保温保冷性能に優れた包装用紙袋
KR20190077635A (ko) 2017-11-30 2019-07-04 주식회사 우성팩 음용용기의 보온보냉유지가 가능하면서 광고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보온보냉팩
KR102003182B1 (ko) 2019-01-30 2019-07-24 홍호선 보온 및 보냉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조립식 종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038A (en) Transport container
KR101730461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CA3023684C (en) A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CA2495940C (en) Beverage cooler carton
US6296134B1 (en) Insulated water-tight container
BRPI0721810B1 (pt) sacola isolante
US3678703A (en) Cold storage carton
US4311022A (en) Foldable ice pack
US5820268A (en) Insulated container for packaging perishable goods
US5709089A (en) Package for cooling containing superabsorbent polymer
JP2002540015A (ja) 感熱性製品のための断熱パッケージ
AU4919299A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JP7397494B2 (ja) 断熱コンテナ
KR102310636B1 (ko) 포장용 보냉 봉지
EP0841260A1 (en) Freezable protective pouch
AU2002249438B2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ES2201633T3 (es) Caja para productos a mantener frios y uso de tal caja.
AU2002249438A1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CN111319877A (zh) 一种可重复使用生鲜食品冷藏运输箱
CN212023543U (zh) 一种可重复使用生鲜食品冷藏运输箱
JP2003160173A (ja) 保冷包装容器、保冷容器、冷媒収納容器、冷熱制御仕切り及び移送方法
JP3116662U (ja) 保冷袋
JPH0237746Y2 (ko)
JP3124027U (ja) 手提げ保冷箱
WO2024042496A1 (en) Shipping package with phase-chang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