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473B1 -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 Google Patents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473B1
KR102310473B1 KR1020210001869A KR20210001869A KR102310473B1 KR 102310473 B1 KR102310473 B1 KR 102310473B1 KR 1020210001869 A KR1020210001869 A KR 1020210001869A KR 20210001869 A KR20210001869 A KR 20210001869A KR 102310473 B1 KR102310473 B1 KR 10231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over
hole
installation
installa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학
Original Assignee
삼성넥스텍(주)
황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넥스텍(주), 황용학 filed Critical 삼성넥스텍(주)
Priority to KR102021000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Abstract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는, 천장에 설치되며 중앙홀이 형성된 설치 커버, 물이 천장 설치기구에 닿지 않도록 천장 설치기구를 덮으며 배선공이 형성된 덮개부 및 덮개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선공과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설치 커버에 결합된 방수 커버, 및 둘레에 천장으로부터 나온 설치기구선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통공 및 내부에 통공과 연통되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돌기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배선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WATERPROOF COVER STRUCTURE FOR CEILING-MOUNT APPRATUS}
본 발명은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천장 설치기구에 어떠한 변형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커버체로 천장 설치기구를 덮는 단순한 방식을 통해 천장 설치기구를 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기존의 천장 설치기구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천장 설치기구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작동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천장 설치기구는 감지기 및 CCTV와 같은 화상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는 소리, 빛, 온도, 열, 연기 및 압력 등을 감지하는 기구로서, 대표적으로 화재 감지기가 있다.
화재 감지기를 포함한 감지기는 대상의 감지를 위해 전기가 흐르는 회로가 존재하며, 이러한 회로는 외부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됨으로 인해 방수성에 큰 문제가 있었다.
특히, 화재 감지기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화재 진압용 물 분사 장치와 동일 실내 공간에서 함께 이용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화재 감지기는 감지기 내부에 시일을 설치하여 회로를 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등록특허 제10-1464462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기존에 사용하던 감지기에는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고, 방수 기능이 있는 감지기 제조에 기존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많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천장 설치기구에 적용이 용이하며, 제조/설치에 비용 및 시간 소모가 적은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존 천장 설치기구에 어떠한 변형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커버체로 천장 설치기구를 덮는 단순한 방식을 통해 천장 설치기구를 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기존의 천장 설치기구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는, 천장에 설치되며 중앙홀이 형성된 설치 커버, 물이 천장 설치기구에 닿지 않도록 천장 설치기구를 덮으며 배선공이 형성된 덮개부 및 덮개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선공과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설치 커버에 결합된 방수 커버, 및 둘레에 천장으로부터 나온 설치기구선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통공 및 내부에 통공과 연통되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돌기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배선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천장 설치기구에 어떠한 변형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커버체로 천장 설치기구를 덮는 단순한 방식을 통해 천장 설치기구를 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기존의 천장 설치기구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의 분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에 있어서, 천장 설치기구는 감지기 및 CCTV와 같은 화상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의 분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는, 천장이 콘크리트(115)로 형성된 콘크리트 천장(1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성으로는 설치 커버(30), 방수 커버(20) 및 배선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지기는 소리, 빛, 온도, 열, 연기 및 압력 등을 감지하는 기구로서, 화재 감지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치 커버(30)는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가 천장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가 천장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 커버(30)는 천장에 접하게 되고, 천장 내지 천장 내 설치된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일 형태로서, 콘크리트 천장(110)의 콘크리트(115)에 천장매입복스(60), 전선관(100) 및 전선관(100)에 둘러싸인 감지기선(일종의 설치기구선)(90)이 매설되고, 설치 커버(30)는 천장매입복스(6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고정나사를 통해 설치 커버(30)는 천장매입복스(6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커버(30)는 중앙홀(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도넛 모양일 수 있으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방수 커버(20)는 물(W)이 감지기(10)에 닿지 않도록 감지기(10)의 상부를 덮는 또는 감싸는 부재이다.
이러한 방수 커버(20)는 배선공(21)이 형성된 덮개부(29) 및 덮개부(2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선공(21)과 연통된 관통홀(26)이 형성된 돌기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9)는 감지기(10)에 물(W)이 닿지 않도록 감지기(10)의 상부를 감싸야 하므로 원형의 뚜껑 형상일 수 있으나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덮개부(29)의 중앙에 배선공(21)이 형성되어 있어 감지기선(90)이 배선공(21)을 통해 감지기(10)의 회로와 배선될 수 있다.
아울러, 덮개부(29)의 상면에는 한쌍의 측벽(23, 25)으로 규정되는 수로(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물(W)은 수로(27)를 통해 감지기(10)의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도 5 참조).
추가적으로, 방수 커버(20)는 전술한 설치 커버(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덮개부(29)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탄성 후크(24)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 후크(24)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방수 커버(20)가 설치 커버(30)에 결합 시에 탄성 후크(24)는 설치 커버(30)의 중앙홀(33)로 들어가 설치 커버(30)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방수 커버(20)와 설치 커버(30)는 결합될 수 있다.
돌기부(27)는 덮개부(2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어 천장으로부터 나온 감지기선(90)이 관통홀(26)을 통과한 후 덮개부(29)의 배선공(21)을 지나 감지기(10)의 회로에 배선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20)와 설치 커버(30)가 결합 시에 돌기부(27)는 설치 커버(30)의 중앙홀(33)을 지날 수 있다.
배선 커버(40)는 천장으로부터 나온 감지기선(90)을 감지기(10)의 회로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도 2 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A)하면서 감지기선(90)이 상방으로 꺾이도록 하여 물(W)이 감지기선(90)을 따라 외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부재이다.
배선 커버(40)는 둘레에 천장으로부터 나온 감지기선(90)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통공(43) 및 내부에 통공(43)과 연통되며 방수 커버(20)의 돌기부(27)를 수용하는 수용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43)은 배선 커버(40)의 둘레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감지기선(90)은 통공(43)을 지나 배선 커버(40)의 수용공(41)으로 들어오고, 방수 커버(20)의 내부를 지나 감지기(10)의 회로에 배선될 수 있다.
또한, 통공(43)은 내측면이 배선 커버(40)의 외측으로 하방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물이 통공(43) 주변으로 이동하더라도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배선 커버(40)의 외측으로 흐르게 되어 물(W)이 감지기(10)로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 커버(40)는 방수 커버(20)의 돌기부(27)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지기선(90)이 상방으로 꺾이도록 하여 물(W)이 감지기선(90)을 따라 외측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와 같이, 배선 커버(40)의 통공(43) 및 수용공(41)을 통과한 감지기선(90)이 감지기(10)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선 커버(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감지기선(90)은 상방으로 꺾이면서 들어올려지고, 배선 커버(40)의 외측에 위치한 감지기선(90)의 부분은 배선 커버(40)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B)일 수 있다.
따라서, 물(W)이 감지기선(90)으로 이동하더라도 물(W)은 배선 커버(40)의 외측으로 흐르게 되어 감지기(10)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감지기선(90)은 배선 커버(40)가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여 감지기선(90)이 꺾인 상태로 있게 할 수 있다.
감지기선(90)은 전선(70) 및 전선(70)을 감싸는 피복(80)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기(10)에 사용되는 피복(80)은 비교적 무겁고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어 소성이 강할 수 있다.
따라서, 꺾인 감지기선(90)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기선(90)은 배선 커버(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6 및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를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가 감지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는, 천장이 콘크리트(115)로 된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마감 천장(12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성으로는 설치 커버(30), 방수 커버(20) 및 배선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커버(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의 설치 커버(30)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으나, 다만 설치 커버(30)는 천장매입복스(60) 대신에 마감 천장(120)에 접하면서 필요할 경우 고정 수단에 의해 마감 천장(120)에 결속될 수 있다.
방수 커버(20) 및 배선 커버(4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의 방수 커버(20) 및 배선 커버(40)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주변 구조물과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의 설치 형태를 보면, 콘크리트(115)에 천장매입복스(60) 및 감지기선(90)이 매설되고, 매설된 감지기선(90)이 콘크리트(115)를 나와 마감 천장(120)으로 내려온 후 배선 커버(40)의 통공(43) 및 수용공(41)을 통과하여 감지기(10)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선(90)이 감지기(10)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선 커버(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감지기선(90)은 상방으로 꺾이면서 들어올려지고, 배선 커버(40)의 외측에 위치한 감지기선(90)의 부분은 배선 커버(40)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이고, 동시에 감지기선(90)은 배선 커버(40)가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상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기(10)뿐만 아니라 CCTV와 같은 화상정보 제공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화상정보 제공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며, 천장으로부터 나온 설치기구선이 화상정보 제공장치의 회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50)와 동일한 구성의 방수 커버체가 천장에 설치된 화상정보 제공장치에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어 물로부터 화상정보 제공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감지기 20: 방수 커버
30: 설치 커버 40: 배선 커버
50: 감지기용 방수 커버체 60: 천장매입복스
70: 전선 80: 피복
90: 감지기선 100: 전선관
110: 콘크리트 천장 115: 콘크리트
120: 마감 천장

Claims (8)

  1. 천장에 설치되며 중앙홀이 형성된 설치 커버;
    물이 천장 설치기구에 닿지 않도록 상기 천장 설치기구를 덮으며 배선공이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과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커버에 결합된 방수 커버; 및
    둘레에 상기 천장으로부터 나온 설치기구선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통공 및 내부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배선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 및 수용공을 통과한 상기 설치기구선이 상기 천장 설치기구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 커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설치기구선은 상방으로 꺾이면서 들어올려지고, 상기 배선 커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설치기구선의 부분은 상기 배선 커버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이고,
    동시에 상기 설치기구선은 상기 배선 커버가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통공은 내측면이 상기 배선 커버의 외측으로 하방 경사진 형태인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는 측벽으로 규정되는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물은 상기 수로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콘크리트 천장이고,
    상기 콘크리트에 천장매입복스 및 상기 설치기구선이 매설되고,
    상기 설치 커버는 상기 천장매입복스에 결합되는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은 콘크리트로 된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마감 천장이고,
    상기 콘크리트에 천장매입복스 및 상기 설치기구선이 매설되고,
    매설된 상기 설치기구선이 상기 마감 천장으로 내려와 상기 통공 및 수용공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 설치기구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 커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설치기구선은 상방으로 꺾이면서 들어올려지고, 상기 배선 커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설치기구선의 부분은 상기 배선 커버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이고,
    동시에 상기 설치기구선은 상기 배선 커버가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설치 커버는 상기 마감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설치기구는 감지기인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설치기구는 화상정보 제공장치인 것인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KR1020210001869A 2021-01-07 2021-01-07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KR10231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869A KR102310473B1 (ko) 2021-01-07 2021-01-07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869A KR102310473B1 (ko) 2021-01-07 2021-01-07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473B1 true KR102310473B1 (ko) 2021-10-08

Family

ID=7811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869A KR102310473B1 (ko) 2021-01-07 2021-01-07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4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1B1 (ko) * 2008-09-19 2009-10-05 김경남 천장 매입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16612B1 (ko) * 2016-03-23 2017-03-14 박득재 전기기구용 방수캡
KR20190131950A (ko) * 2018-05-18 2019-11-27 박득재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1B1 (ko) * 2008-09-19 2009-10-05 김경남 천장 매입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16612B1 (ko) * 2016-03-23 2017-03-14 박득재 전기기구용 방수캡
KR20190131950A (ko) * 2018-05-18 2019-11-27 박득재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937B1 (ko) 방수기능이 강화된 돔형 감시카메라 구조
US6226939B1 (en) Downlighter cover
KR20070116048A (ko) 광전식 연기 감지기
US10139099B2 (en) Light ring loudspeaker system
EP1146492B1 (en) Multi-sensor
KR102310473B1 (ko) 천장 설치기구용 방수 커버체
US4510488A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US20150084517A1 (en) Motion Detection System
JP457279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2308260B1 (ko)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JP5023933B2 (ja) 屋外用照明装置
JP4995380B2 (ja) 制御システム
WO2016085128A1 (ko) 출입 감지 장치
KR100923976B1 (ko) 스피커 커버 및 이를 갖는 스피커 장치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JP7227716B2 (ja) 火災検出装置
JP2009211327A (ja) 点灯装置及び煙感知器
KR102153254B1 (ko) 이물질 부착 방지 구조의 카메라 장치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JP2007332630A (ja) フエンス用機器取り付け装置及びフエンス
ES2236405T3 (es) Sensor de interiores con adaptador de montaje.
KR200455495Y1 (ko) 부가기기 고정장치
JP2011230874A (ja) エスカレータ監視装置
KR100776354B1 (ko) 화장 프레임
KR102499415B1 (ko) 누수 방지용 파이프 라인을 구비한 제어 함체 및 이를 구비한 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