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69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369B1
KR102310369B1 KR1020170029843A KR20170029843A KR102310369B1 KR 102310369 B1 KR102310369 B1 KR 102310369B1 KR 1020170029843 A KR1020170029843 A KR 1020170029843A KR 20170029843 A KR20170029843 A KR 20170029843A KR 102310369 B1 KR102310369 B1 KR 10231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inlet guide
guide vane
inlet
orifi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29A (ko
Inventor
신봉근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압축기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입구 가이드 베인,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임펠러 측으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 중에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 사이의 차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 유로와 별도로 상기 전단 지점과 상기 후단 지점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입구 가이드 베인의 동작에 따른 차압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압축기는 회전 운동을 하는 임펠러를 이용하여 유체에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유체가 압축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원심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와 연결되는 기어 유닛과, 기어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에 삽입되어 기어유닛과 연결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회전 운동에너지를 유체에 전달해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임펠러(impeller)와, 임펠러를 지지하는 스크롤과, 스크롤과 결합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에 의해서 압축된 공기는 임펠러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통해 스크롤로 안내된다. 디퓨저는 다수의 베인을 포함하여, 베인과 베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스크롤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디퓨저의 베인은 정해진 각도로 일정하게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 임펠러에서 배출된 공기를 일정하게 배출한다. 그러나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필요성이 생겼고, 유량의 조절을 위해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종래에 존재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는 베인을 회전시켜 흡입 유로를 닫으면, 상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되는 베인을 중심으로 흡입 유로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압은 고압 압축기의 경우, 매우 커져 입구 가이드 베인의 작동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큰 차압에 대응하기 위해 입구 가이드 베인의 엑츄에이터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토크의 전달을 위한 구조물 또한 더욱 강건하게 설계해야 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설계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0-0172745호(2010.07.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을 포함함으로써, 베인의 동작에 따른 차압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압축기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입구 가이드 베인,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임펠러 측으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 중에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 사이의 차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 유로와 별도로 상기 전단 지점과 상기 후단 지점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리피스 채널을 개폐하는 오리피스 채널 밸브 및 상기 오리피스 채널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압축기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입구 가이드 베인,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임펠러 측으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 중에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을 연통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 및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개방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을 포함 함으로써, 베인의 동작에 따른 차압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구 가이드 베인 홀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입구 가이드 베인의 유동 제어 능력이 향상되며, 타이/샤프트(Tie/shaft)와의 교란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관과 입구 가이드 베인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밸브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압축기의 입구 가이드 베인의 개방정도에 따른 공기 유동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공기 유동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밸브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기체 압축기는 흡입관(10), 입구 가이드 베인(20), 임펠러(11), 배출관(12), 및 오리피스 채널(30)을 포함한다.
임펠러(11)를 지지하는 회전축(13)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자와 결합되어 모터 작동시 회전축(13)과 임펠러(11)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11)는 흡입관(10)으로부터 기체를 제공받으며, 고속 회전에 의해 흡입된 기체를 가속 및 압축시킨 후 디퓨저 통로(14)와 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임펠러(11)에 기체가 유입되는 부분이 임펠러 입구가 되고, 임펠러(11)를 통과한 기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임펠러 출구가 된다. 도 1에서 임펠러 입구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방향과, 임펠러 출구로부터 배출된 기체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임펠러(11)와 회전축(13)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 하였지만, 임펠러(11)와 회전축(13)의 설치 방향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관(10)의 외주면에는 고리 모양의 제1 플랜지(15)와 제2 플랜지(16)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5)는 제2 플랜지(16)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플랜지(16)는 제1 플랜지(15)보다 임펠러(1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배출관(12)의 외벽과 제1, 2 플랜지(15, 16)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입구 가이드 베인(20)은 임펠러(11)로 기체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관(10)에 설치되며, 흡입 유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임펠러(11)의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입구 가이드 베인(20)은 베인(21) 및 베인 축(22)을 포함하는 베인부(23)와, 베인부(23)를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21)은 흡입관(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베인(21)을 지지하는 베인 축(22)은 흡입관(10)의 제2 플랜지(16)를 관통하며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베인 축(22)은 흡입관(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인 축(22)의 단부가 제2 플랜지(16)의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인 구동부(24)는 흡입관(10)의 외부, 즉 배출관(12)과 제1, 2 플랜지(15, 16)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인 축(22)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오리피스 채널(30)은 상기 흡입 유로 중에서,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을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채널(30)은 흡입관(10)의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전단의 일 지점과, 후단의 일 지점을 연통하는 "∩"형상의 관일 수 있다.
여기서, 오리피스 채널(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 유로 상의 공기의 유동 특성 및 구조의 설치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오리피스 채널(30)의 길이 및 직경은 입구 가이드 베인(20)이 흡입유로를 닫았을 때, 입구 가이드 베인(20) 전단과 후단 사이의 압력차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체 압축기의 구성에서 흡입관(10)과 입구 가이드 베인(20)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베인(21)은 흡입관(10)의 단면을 복수개로 등분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10)의 단면이 원형일 때, 각각의 베인(21)은 부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21)과 베인 축(22)은 흡입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인(21)은 넓은 상, 하면과 좁은 측면을 포함한다. 베인(21)은 이웃한 베인(21)과 그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할 때 흡입 유로를 닫아 밀폐시킬 수 있고, 이웃한 베인(21)과 상, 하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할 때 흡입 유로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베인(21)의 위치 변화는 베인 축(22)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인 구동부(24)가 베인 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베인(21)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2 에서는 일례로 7개의 베인(21)과 베인 축(22)을 도시하였으나, 베인(21)과 베인 축(22)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베인 구동부(24)는 복수의 베인 축(22)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 링크(25)와, 볼 링크들(25)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링 부재(26)와, 링 부재(26)와 결합되어 링 부재(26)를 회전시키는 링 회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회동부(40)는 레버(41)와 결합되어 레버(4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캠 부재(42)와, 캠 부재(42)와 링 부재(26)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 부재(50)의 일단은 캠 부재(42)의 회전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캠 부재(42)의 회전축(43)은 제1 플랜지(15)를 관통할 수 있으며, 레버(41)가 제1 플랜지(15)의 외측에서 캠 부재(42)의 회전축(43)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부재(50)는 캠 부재(42)에 고정되는 제1 고정볼(51)과, 제1 고정볼(51)에 결합되는 제1 볼 조인트(52)와, 링 부재(26)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볼(53)과, 제2 고정볼(53)에 결합되는 제2 볼 조인트(54)와, 제1 볼 조인트(52)와 제2 볼 조인트(54)를 연결하는 연결축(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 고정볼(51, 53)에는 고정 부재(56)가 결합되어 제1, 2 볼 조인트(52, 54)가 제1, 2 고정볼(51, 53)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으로 레버(41)가 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42) 또한 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 부재(50)를 끌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링 부재(26)가 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전술한 볼 링크(25)의 작용으로 베인 축(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레버(41)가 C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42) 또한 C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 부재(50)를 끌어내릴 수 있다. 따라서 링 부재(26)가 C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술한 볼 링크(25)의 작용으로 베인 축(2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링 부재(26)에 고정된 한 쌍의 스톱 바(stop bar)(61, 62)를 통해 링 부재(26)의 회전량을 제한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톱 바(61, 62)는 이웃한 2개의 볼 링크(25) 사이에서 볼 링크(25)와 동일한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링 부재(26)가 B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스톱 바(61)가 우측의 베인 축(22)에 가로막혀 링 부재(2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26)가 C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좌측에 위치하는 스톱 바(52)가 좌측의 베인 축(22)에 가로막혀 링 부재(2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링 부재(26)의 최대 회전량은 스톱 바(61, 62)와 베인 축(2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스톱 바(61, 62)의 위치변경에 따라 링 부재(26)의 최대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밸브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흡입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입구 가이드 베인(20)을 중심으로, 흡입관(10)의 외측으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전단이 일 지점과, 후단의 일 지점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채널(30)이 없는 경우, 베인(21)을 회전시켜 흡입 유로를 닫으면, 상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되는 베인(21)을 중심으로 흡입 유로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압은 고압 압축기의 경우, 매우 커져 입구 가이드 베인의 작동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큰 차압에 대응하기 위해 입구 가이드 베인의 엑츄에이터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토크의 전달을 위한 구조물 또한 더욱 강건하게 설계해야 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설계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채널(30)이 흡입관(10)의 외측으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전단이 일 지점과, 후단의 일 지점을 연통함으로써,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채널(30)을 개폐하는 오리피스 채널 밸브(70)와 오리피스 채널 밸브(70)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 채널 밸브(70)는 밸브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오리피스 채널(30)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채널 밸브(70)는 오리피스 채널(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밸브(미도시)와 밸브 제어부(8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80)는 오리피스 채널 밸브(7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제어부(80)는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개방정도에 따라 오리피스 채널 밸브(3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제어부(80)는 입구 가이드 베인(21)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부(24)를 제어하는 베인 제어부(27)로부터 베인의 개방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제어부(80)는 베인(21)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여 흡입 유로의 개방면적이 좁아지면, 오리피스 채널 밸브(70)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오리피스 채널 밸브(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압축기의 입구 가이드 베인의 개방정도에 따른 공기 유동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공기 유동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채널(30)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압축기가 베인(21)이 90도 회전한 경우(a), 50도 회전한 경우(b) 및 10도 회전한 경우(c)의 공기 유동분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베인(21)의 회전에 따라 흡입 유로가 좁아지게 되면, 흡입 유로 내의 베인(21)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입관(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입구 가이드 베인(20)을 중심으로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통하는 오리피스 채널(30)이 형성됨으로써, 베인(21)의 회전에 따라 흡입 유로가 좁아지더라도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압력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밸브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3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30a, 30b)은 흡입관(10)의 내부공간(흡입 유로)에 배치되는 베인(21)을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전단의 일 지점과 후단의 일 지점을 상기 흡입관(10)의 외부로 연통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서는 일례로 2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30a, 30b)를 도시하였으나, 오리피스 채널 밸브(30)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30a, 30b)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 70b) 및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 70b)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80)는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개방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 70b)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제어부(80)는 입구 가이드 베인(20)의 개방정도에 반비례하여 개방된 오리피스 채널(30)의 수가 증가되도록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 70b)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제어부(80)는 입구 가이드 베인(21)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부(24)를 제어하는 베인 제어부(27)로부터 베인의 개방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밸브 제어부(80)는 베인(21)이 60도 회전한 경우, 제1 오리피스 채널(30a)이 개방되도록 제1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를 제어할 수 있으며, 베인(21)이 30도 회전한 경우, 제1 및 제2 오리피스 채널(30a, 30b)이 모두 개방되도록 제1 오리피스 채널 밸브(70a) 및 제2 오리피스 채널 밸브(70b)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흡입관
11: 임펠러
12: 배출관
13: 회전축
14: 디퓨저 통로
20: 입구 가이드 베인
21: 베인
22: 베인축
23: 베인부
24: 베인 구동부
25: 볼 링크
26: 링크 부재
27: 베인 제어부
30: 오리피스 채널
40: 링 회동부
50: 링크 부재
70: 오리피스 채널 밸브
80: 밸브 제어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압축기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입구 가이드 베인;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임펠러 측으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 중에서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전단의 지점과 후단의 지점을 연통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개방정도에 반비례하여 개방된 오리피스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게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 및
    상기 입구 가이드 베인의 개방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채널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6. 삭제
KR1020170029843A 2017-03-09 2017-03-09 압축기 KR10231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43A KR102310369B1 (ko) 2017-03-09 2017-03-09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43A KR102310369B1 (ko) 2017-03-09 2017-03-09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29A KR20180103229A (ko) 2018-09-19
KR102310369B1 true KR102310369B1 (ko) 2021-10-07

Family

ID=6371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843A KR102310369B1 (ko) 2017-03-09 2017-03-09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696A (ja) * 2004-02-26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
JP2006002650A (ja) * 2004-06-17 2006-01-05 Toyota Motor Corp 入口ベーンとバイパス制御弁とを連動させた遠心圧縮機
JP2011169230A (ja) 2010-02-18 2011-09-01 Ihi Corp 圧縮機
JP2012036782A (ja) 2010-08-05 2012-02-23 Ihi Corp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2745A1 (en) 2007-04-10 2010-07-08 Elliott Company Centrifugal compressor having adjustable inlet guide va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696A (ja) * 2004-02-26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
JP2006002650A (ja) * 2004-06-17 2006-01-05 Toyota Motor Corp 入口ベーンとバイパス制御弁とを連動させた遠心圧縮機
JP2011169230A (ja) 2010-02-18 2011-09-01 Ihi Corp 圧縮機
JP2012036782A (ja) 2010-08-05 2012-02-23 Ihi Corp 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29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5844A1 (en) Hydraulic turbine system with auxiliary nozzles
US6402465B1 (en) Ring valve for turbine flow control
US7600961B2 (en) Fluid transfer controllers having a rotor assembly with multiple sets of rotor blades arranged in proximity and about the same hub component and further having barrier components configured to form passages for routing fluid through the multiple sets of rotor blades
KR101021827B1 (ko) 원심 압축기
CN101351647B (zh) 用于离心式压缩机的齿轮传动进口导向叶片
US8696299B2 (en) Compressor
CN102341604B (zh) 气体压缩机及气体压缩机的流量控制方法
AU2013376868B2 (en) Centrifugal compressor with extended operating range
EP3277994B1 (en) Energy recovering flow control valves
CN105051363A (zh) 具有能量回收功能的控制阀
KR102540138B1 (ko) 이중 임펠러
JP2006002650A (ja) 入口ベーンとバイパス制御弁とを連動させた遠心圧縮機
CN108060979A (zh) 燃气轮机及其旋流装置
KR102310369B1 (ko) 압축기
US6200094B1 (en) Wave augmented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KR20100100240A (ko) 인렛 가이드 베인을 구비한 기체 압축기
US5435692A (en) Pumps
TWI607185B (zh) 離心式壓縮機之調變機構
JP5974501B2 (ja) ターボ機械の可変静翼機構
EP0636791A1 (en) Regenerative pump control
JP4655603B2 (ja) 遠心圧縮機
KR20200109084A (ko) 인렛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JP7001438B2 (ja) 圧縮機
US11053846B2 (en) Intermediate housing hub comprising discharge flow guiding channels formed by the discharge fins
JP4140406B2 (ja) ターボ形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