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64B1 -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364B1
KR102310364B1 KR1020140168915A KR20140168915A KR102310364B1 KR 102310364 B1 KR102310364 B1 KR 102310364B1 KR 1020140168915 A KR1020140168915 A KR 1020140168915A KR 20140168915 A KR20140168915 A KR 20140168915A KR 102310364 B1 KR102310364 B1 KR 10231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gum
packaging container
food composition
malto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793A (ko
Inventor
김수환
박찬웅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6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섭취 편의성을 향상시킨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농도, 고점성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저온의 물에도 용이하게 용해되며, 포장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수거가 용이한 인삼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인삼 농축액 조성물, 홍삼 농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Ginseng composition with good solubility}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섭취 편의성을 향상시킨 인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농도, 고점성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저온의 물에도 용이하게 용해되며, 포장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수거가 용이한 인삼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인삼 농축액 조성물, 홍삼 농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삼의 지금까지 알려진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과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및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홍삼은 생인삼(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수삼을 찐 후 건조과정에서 갈색화 반응, 즉 갈변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띠게 된다. 인삼의 여러 가지 종류 중에서도 홍삼은 백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산화 억제 및 항산화 활성, 알코올해독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에서 홍삼은 백삼보다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재 많은 홍삼 농축액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 농축액 제품들은 유리병 용기에 담겨 판매가 되고 있으며 기호에 따라 물에 용해시켜 섭취하거나 바로 섭취하고 있다. 유리병에 담긴 홍삼 농축액 제품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제품의 형태이지만 휴대성이 떨어지고 섭취시 스푼으로 떠먹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홍삼 농축액을 파우치와 같은 1회분용 용기에 포장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취할 때 용기에 잔류하는 양이 많아 버려지는 내용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에 용해시켜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편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농도, 고점도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수거가 용이하고 휴대성이 높으며, 또한 저온에서도 용해가 용이하여 섭취 편의성이 향상된 인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 농축액;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다당체와 점증제를 2:3 내지 3:2의 중량비로 함유하여 점도가 45,000 내지 65,000cps인 인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인삼 조성물은 고농도 및 고점성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소용량 포장에도 적합하여 휴대성이 개선되었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실온 또는 저온에서도 용해가 가능하여, 특별히 온도에 제한되지 않으면서 용매에 쉽게 용해되므로 섭취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농축액 제형으로서 식품, 약제,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2에서 사용한 소용량 포장 용기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 농축액;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로서, 특히 고점도의 인삼 조성물, 구체적으로 점도가 45,000 내지 65,000cps인 인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어떠한 것이라도 관계 없으나, 홍삼, 백삼, 흑삼, 산삼, 장뇌삼 및 산양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백삼은 수삼, 즉 원형을 유지한 생인삼을 말하고,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과정에서 갈변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흑삼은 홍삼을 더 여러 번 찌고 건조하여 흑색으로 변화한 인삼을 말한다. 산삼은 자생 인삼을 말하며, 장뇌삼은 심어서 기른 산삼을 말한다.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하에서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인삼이다.
상기 인삼은 고형분 함량이 60중량% 이상인 인삼 농축액인 것일 수 있다. 특히 고형분 함량이 60중량%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 농축액의 기준규격에 따르면 농축액 중 고형분의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고형분 함량이 90중량% 초과일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제조 공정상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축액의 손실이 많아지므로 적절하지 않다.
상기 인삼 농축액은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인삼, 홍삼 등의 근에 물과 주정과 같은 추출 용매를 혼합한 후 추출기에 넣고 65~75℃에서 9~11시간 동안 3~5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500~700mmHg, 온도 65~75℃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수용성 다당체는 물에 용해가 쉬운 다당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은 녹말의 불완전 가수분해로 생성된 탄수화물로 이당류인 말토오스나 단당류인 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기 직전의 덱스트린이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 옥수수전분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소화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어 인간이 소화하기 어렵고, 점성이 낮으며 설탕의 1/10의 감미도를 가지고, 투명성과 용해성이 높다.
말토덱스트린 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2,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1,500일 수 있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1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5,00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2,500일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분자 구조식을 하기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16069282-pat00001
상기 점증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해양 식물 유래의 아가(Agar), 알지네이트(Alginates), 카라기난(Carrageenan), 퍼셀라란(Furcellaran), 육상 식물 유래의 구아검(Guar gum), 아라빅검(Gum Arabic), 트라칸스검(Gum tracanth), 카라야검(Karaya gum), 펙틴(Pectin), 미생물 다당류 유래의 덱스트란(Dextran), 겔란검(Gellan gum), 람산검(Rhamsan gum), 웰란검(Welan gum), 산탄검(Xanthan gum), 마이크로파이버 셀룰로스(Microfibrous cellulose), 다당류 유래의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메틸 셀룰로스(Methyl Cellulose; MC),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프로필렌글리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Hydroxypropyl guar) 및 변성 녹말(Modified starch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육상 식물 유래의 점증제인 구아검, 아라빅검, 트라칸스검, 카라야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특히 펙틴일 수 있다.
용도에 따라 당류를 첨가하여 물성을 표준화시키거나 산도조절의 목적으로 완충제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펙틴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물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의 대표적인 것으로, 식품에 응고제, 증점제, 안정제, 고화방지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펙틴은 에스터화 정도에 따라 고메톡실펙틴(HM)과 저메톡실펙틴(LM)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펙틴의 성질은 에스터화 정도, 아마이드산 정도, 갈락튜론산 함유량 및 분자량 등에 따라 다르다. 펙틴의 증점력과 겔화력은 산과 에스터의 균형에 따라 다른데, 산이 50%를 넘지 않거나 또는 비에스터화된 펙틴의 경우 칼슘이온으로 겔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LM, PM펙틴 모두 산성(pH 1 ~7)조건에서 안정적이며, LM 펙틴은 겔 상태가 깨지기 쉬운 성질(gel-brittle)을 가지며, PM 펙틴은 전단속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점도를 나타내는 뉴턴 유체(Newtonian) 성질 또는 탄력적인 겔 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인삼 농축액 0.1 내지 80중량부, 수용성 다당체 0.01 내지 80중량부, 및 점증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삼 농축액 50 내지 70중량부, 수용성 다당체 0.01 내지 10중량부, 및 점증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삼 농축액이 상기 범위로 함유될 때 인삼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면서 경제적이며,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가 상기 범위로 함유될 때 조성물의 점도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용해성이 우수하면서 용기로부터 수거가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수용성 다당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말토덱스트린을 0.01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용성 다당체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의 범위로 말토덱스트린 및/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이 함유될 때 수용성 다당체의 용해성과 점도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당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인삼 조성물은 45,000 내지 65,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45,000 내지 65,000cps의 범위 는 시중에 판매되는 홍삼농축액의 점도 정도 수준으로 점증제 및 다당체가 함유 되는 조성물과 홍삼농축액 제품의 점도 수준은 유사하지만 점증제 및 다당체가 함유된 조성물이 용해가 더 쉽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상기 점도를 달성하게 되는데, 특히 수용성 다당체와 점증제의 조합 비율을 조절한다. 또한, 원하는 조성물의 점도를 얻기 위하여는 수용성 다당체와 점증제 중 어느 한 쪽이 과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를 2:3 내지 3:2의 중량비로 함유한다. 수용성 다당체가 상기 범위보다 많이 함유되면 점도가 너무 낮아지고, 수용성 다당체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함유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용해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온, 실온 및 고온 용매 가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온이라 함은 2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저온이라 함은 상기 실온보다 낮은 온도를 의미하고, 고온이라 함은 상기 실온보다 높은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물, 알코올 등을 의미한다. 즉, 본원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고온뿐만 아니라, 실온 및 저온에서도 용해성이 우수하여 쉽게 용매 가용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장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어, 특히 소용량 포장 제품에도 적당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약제,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식품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추출 탱크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농축액(Rg1+Rb1=6mg/g이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홍삼 농축액 70g, 말토덱스트린(이에스푸드 사) 1g 및 펙틴(오렌지 껍질) 1.5g을 혼합한 후, 이를 적당량의 물에 용해하여 전체 중량을 100g으로 하였다. 이때 당도는 82±2 브릭스(brix)였으며, 점도는 55,500cps였다.
[ 실시예 2]
추출 탱크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농축액(Rg1+Rb1=6mg/g이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홍삼 농축액 70g,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마쯔다니 사) 1g 및 펙틴 1.5g을 혼합한 후, 이를 적당량의 물에 용해하여 전체 중량을 100g으로 하였다. 이때 당도는 81±2 브릭스(brix)였으며, 점도는 56,300cps였다.
[ 비교예 1]
추출 탱크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농축액(Rg1+Rb1=6mg/g이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홍삼 농축액 100g을 취하였으며, 이때 당도는 80±2 브릭스(brix)였고, 점도는 54,500cps였다.
[ 비교예 2]
홍삼 대신 백삼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백삼 농축액(Rg1+Rb1=6mg/g이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백삼 농축액 100g을 취하였으며, 이때 당도는 81±2 브릭스(brix)였고, 점도는 55,100cps였다.
[ 비교예 3]
추출 탱크에 원료 홍삼 500g을 투입하고 물과 주정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매 1.5L를 추출기에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4회 반복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250mesh 여과기로 가압식 여과하고, 그 액을 감압 농축기에 옮겨 600mmHg, 온도 70℃에서 고형분 함량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키고, 살균탱크에 옮겨 83℃에서 20분간 스팀 살균하여 홍삼 농축액(Rg1+Rb1=6mg/g이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홍삼 농축액 70g, 말토덱스트린(이에스푸드 사) 1g 및 잔탄검 1.5g을 혼합한 후, 이를 적당량의 물에 용해하여 전체 중량을 100g으로 하였다. 이때 당도는 82±2 브릭스(brix)였으며, 점도는 59,500cps였다.
[ 시험예 1] 용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3의 각각의 용해 특성을 측정하였다.
대표적 용매인 물의 온도를 10℃, 25℃, 85℃로 변화시키면서, 각 온도에서 5분간 200 rpm으로 교반하여 용해의 정도를 판단했다. 용해를 판단하는 기준은 투명 용기 바닥과 벽면에 농축액이 남아 있지 않고 균일하게 섞이는 것을 말한다. 각 온도에서의 용해 정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해조건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0℃ 소량의 침전물 소량의 침전물 다량의 침전물 다량의 침전물 소량의 침전물
25℃ 소량의 침전물 소량의 침전물 다량의 침전물 다량의 침전물 소량의 침전물
85℃ 완전 용해 완전용해 완전 용해 완전 용해 완전용해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 비교예 3은 저온, 실온 및 고온에서 대부분 용해된 반면, 비교예 1 및 2는 10℃에서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며, 25℃에서도 여전히 다량의 침전물이 존재하고, 85℃에 이르러서야 용해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조성물은 기존의 홍삼 농축액과 비교해 용매의 온도에 대한 영향이 적어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적절한 온도에서 즐기기에 적당하다.
[ 시험예 2] 수거 용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3의 조성물 각각을 도 1과 같은 형태의 소용량 포장 용기에 포장한 후,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평평한 선반위에 제품을 충전한 소포량 용기를 고정해 두고 20kg의 추를 이용해 입구를 제외하고 2분 동안 유지한 후 배출된 양을 측정하였고 용기내 잔류량은 처음 무게를 측정하여 잔류양을 계산하였다.
이는 고농도의 물질을 충전하게 되면, 용기에 잔류량이 많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식이므로, 다당체와 점증제를 첨가한 조성물의 경우 점도는 유사하지만 수거가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소용량 포장 용기(블리스팩 사)에 해당 조성물을 각각 3.5g 씩 충전하고, 이를 평평한 선반 위에 고정하였다. 고정시킨 용기 위 입구를 제외한 부분에 20kg의 추를 올려놓고 2분 동안 유지한 후, 배출된 양을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잔류량을 계산하였다.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충전한 물품 10개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측정하였으며, 이의 평균값을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잔류양 (g) 0.5±0.2 0.4±0.2 1.8±0.4 0.9±0.3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휴대 및 섭취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소용량 포장할 경우 일반적인 홍삼 농축액의 경우 내용물 수거 진행이 힘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실시예 1 및 2)의 경우 점도는 기존 홍삼 농축액과 동일하지만 수거가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증제로서 펙틴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3)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비하여 수거 용이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인삼 농축액;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인삼 농축액, 수용성 다당체 및 점증제는 70:1:1.5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점도가 45,000 내지 65,000cps인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분자량이 100 내지 1,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아가(Agar), 알지네이트(Alginates), 카라기난(Carrageenan), 퍼셀라란(Furcellaran), 구아검(Guar gum), 아라빅검(Gum Arabic), 트라칸스검(Gum tracanth), 카라야검(Karaya gum), 펙틴(Pectin), 덱스트란(Dextran), 겔란검(Gellan gum), 람산검(Rhamsan gum), 웰란검(Welan gum), 산탄검(Xanthan gum), 마이크로파이버 셀룰로스(Microfibrous cellulose),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Carboxy Methyl Cellulose), 메틸 셀룰로스(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프로필렌글리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Hydroxypropyl guar) 및 변성 녹말(Modified starch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펙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휴대성 및 섭취 편의성을 갖는 소용량 포장 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로부터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한 인삼 식품 조성물.
  10. 일회용 포장 용기에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인삼 식품 조성물을 충전한 인삼 제품.
KR1020140168915A 2014-11-28 2014-11-28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KR10231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15A KR102310364B1 (ko) 2014-11-28 2014-11-28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15A KR102310364B1 (ko) 2014-11-28 2014-11-28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93A KR20160064793A (ko) 2016-06-08
KR102310364B1 true KR102310364B1 (ko) 2021-10-08

Family

ID=5619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15A KR102310364B1 (ko) 2014-11-28 2014-11-28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3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95B1 (ko) * 2004-12-13 2006-12-15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58B1 (ko) * 2009-12-09 2012-04-24 (주)바이오제닉스 올리고머 복합체의 형성을 통한 난/불용성 활성물질의 가용화 방법
KR101394763B1 (ko) * 2011-05-31 2014-05-15 (주)아모레퍼시픽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95B1 (ko) * 2004-12-13 2006-12-15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93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52754B2 (en) Flowable liquid composition
CN105380924B (zh) 一种壳寡糖胶囊剂及其制备方法
CN103549562B (zh) 一种速溶姜汤粉及速溶姜汤
CN104152521A (zh) 牡丹花粉蛋白多肽,及制备方法和应用
US20200029609A1 (en) Method for producing preparation containing thickening polyssaccharide
KR101671146B1 (ko)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N107581343A (zh) 一种枸杞多糖颗粒的制备方法
JP2016208895A (ja) 液状増粘剤
JP6836820B1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17835A (zh) 一种枸杞多糖软糖及其制备方法
KR102310364B1 (ko)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JP5090848B2 (ja) 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394763B1 (ko)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조성물
CN109275912A (zh) 胶原蛋白食品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7047804A1 (ja) 増粘多糖類含有製剤の製造方法
KR20180092205A (ko) 분말벌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09502A (ko) 식물 농축 입자
KR20200126207A (ko) 알긴산의 함량이 증진된 갈조류 효소 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924486B2 (ja) 食品組成物
JP6261798B1 (ja) 食品組成物
CN109315662A (zh) 一种沙棘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724844A (zh) 多糖类水凝胶在制备红薯粉丝增稠剂中的应用
JP6950999B1 (ja) グミ状可食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061622B2 (ja) ハトムギエキス含有液状組成物
Balasundaresan A Review Of Selective Natural Polymers Used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