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110B1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110B1
KR102310110B1 KR1020190167047A KR20190167047A KR102310110B1 KR 102310110 B1 KR102310110 B1 KR 102310110B1 KR 1020190167047 A KR1020190167047 A KR 1020190167047A KR 20190167047 A KR20190167047 A KR 20190167047A KR 102310110 B1 KR102310110 B1 KR 10231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stle
chinstrap
user
chin stra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681A (ko
Inventor
심용수
심상우
심지원
Original Assignee
심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용수 filed Critical 심용수
Priority to KR102019016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5/00Whistl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외측에 착용하게 되는 본체, 본체에 연결 설치하며, 본체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턱끈, 턱끈에 연결 설치하며, 턱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턱끈 조절클립, 턱끈 조절클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호각을 포함하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모{Safety helme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근로자나 소방의 직무를 담당하는 소방관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화재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나 건강장애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래(飛來), 낙하(落下), 감전(感電), 추락(秋落)으로부터 근로자나 소방관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최후 수단으로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머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착용자의 머리부위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산업현장이나 화재사고시 상호간의 의사 소통이나 응급상황에서 사람들을 부르는 구조신호용 및 호신용으로 사용이 가능 인명 구조를 위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호각 등을 불어서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이러한, 호각은 목에 걸거나 걸이끈을 이용하여 근로자나 소방관의 호주머니에 소지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사용하게 된다.
이같이, 호각을 근로자의 신체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고 또는 근로자나 소방관의 작업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근로자나 소방관이 호각을 챙기지 않거나 분실될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안전모에 별도의 호각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호각을 수납한 케이스를 장착 구비하는 안전모는, 케이스를 안전모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스가 안전모에 돌출된 상태로 클립을 통해 연결 설치됨으로써, 작업 중에 충돌로 인해 이탈이 쉽게 발생하여 이에 따른 분실 또는 파손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가 안전모 상에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근로자나 소방관으로 하여금 2차 피해발생 및 작업 공간에서 사용방법의 번거로움으로 인한 작업 방해가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호각을 삽입할 수 있게 한 케이스가 장착된 안전모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2975호(2010.03.1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근로자나 소방관이 호각을 쉽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외측에 착용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하며, 본체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턱끈, 상기 턱끈에 연결 설치하며, 턱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턱끈 조절클립, 상기 턱끈 조절클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호각을 포함하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호각의 일측에 결합 설치하며, 저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착탈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판부의 내측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자력재를 구비하고, 상기 턱끈 조절클립은, 상기 턱끈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턱끈연결홈이 형성된 끈연결판부와, 상기 끈연결판부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면에는 걸림홈에 대응되게 결합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호각연결판부 및, 상기 호각연결판부의 내측에 설치하며, 상부자력재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자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각의 타측에 결합 설치하며, 턱끈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타측연결홈이 형성된 타측연결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는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턱끈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사용자의 머리에 본체를 착용한 상태로 유지하는 턱끈을 구비하고, 턱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턱끈 조절클립에 호각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호각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가 필요없이 호각을 효율적으로 휴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호각이 턱끈 조절클립에 연결 배치되게 한 바, 비상시 호각을 즉시 입으로 위치시켜 사용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호각 부분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안전모는, 본체(100), 턱끈(200), 턱끈 조절클립(300), 호각(4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 외측에 착용하게 되는 부분이다. 즉,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도록 감싸게 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 외측을 감싸도록 머리에 삽입되도록 반구형 단면을 가진다. 여기서,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재(도면미도시) 및,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 배치되는 머리고정대(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턱끈(200)은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즉, 턱끈(200)은 사용자의 턱을 감싼상태로 밀착되면서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본체(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턱끈(200)의 양단은 본체(1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턱끈(200)은 한 쌍의 띠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띠는 버클이나 클립과 같은 착탈부재(210)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에는 사용자의 턱에 밀착 배치되게 하는 동작 또는,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 턱끈(200)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턱끈 조절클립(300)은 턱끈(200)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턱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턱끈 조절클립(300)은 턱끈(200)의 길이를 조절되게 하면서 턱끈(200)이 사용자의 턱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배치되게 하여, 본체(100)에 충격이나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머리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턱끈 조절클립(300)은 끈연결판부(310), 호각연결판부(320), 하부자력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끈연결판부(310)는 본체(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턱끈(200)에 연결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끈연결판부(310)는 턱끈(200)을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턱끈연결홈(3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턱끈연결홈(311)은 턱끈(200)을 연결시, 턱끈(200)의 연결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각연결판부(320)은 끈연결판부(310)의 일측에 일체상태로 연결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호각연결판부(320)의 상부에는 이후 설명될 호각(400)의 착탈판부(410)를 안착상태로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호각연결판부(320)의 상면에는 호각(400)의 착탈판부(410)에 형성된 걸림홈(411)에 대응되게 결합하는 걸림돌기(3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321)는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턱끈(200)을 사용자의 턱에 밀착시, 턱끈(200)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걸림돌기(321)가 턱끈(200)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경우, 걸림홈(411)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턱끈(200)의 당김힘에 의해 호각연결판부(320)와 호각(400)의 착탈판부(4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호각연결판부(320)의 내측에는 하부자력재(33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하부공간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되며, 하부공간부는 호각연결판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 커버판(도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자력재(330)는 호각연결판부(320) 상부에 호각(400)의 착탈판부(410)를 안착 배치시, 착탈판부(410)의 내측에 설치하는 상부자력재(420)와 자력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이다. 이러한, 하부자력재(330)는 호각연결판부(32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공간부에 삽입태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하부자력재(33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각(400)은 사용자의 입에 물은 상태로 불 경우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호각(400)은 비상 상황시 사용자를 쉽게 소리를 발생할 수 있도록 턱끈 조절클립(300)의 호각연결판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호각(400)은 호각연결판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착탈판부(410)와 상부자력재(420)를 구비한다.
상기 착탈판부(410)는 호각(400)의 측면부 일측에 일체 상태로 연결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착탈판부(410)는 턱끈 조절클립(300)의 끈연결판부(310) 상부에 안착상태로 배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착탈판부(410)의 저면, 즉 끈연결판부(310)의 상면에 마주되는 면부에는 걸림돌기(321)를 대응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3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홈(411)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411)은 앞서 설명한 걸림돌기(321)와 마찬가지로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턱끈(200)을 사용자의 턱에 밀착시, 턱끈(200)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턱끈(200)을 사용자의 턱에 밀착시 호각(400)의 입에 물리는 단부가 사용자의 입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착탈판부(410)와 호각연결판부(320)의 결합 또는 결합해체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각을 쉽게 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착탈판부(410)의 내측에는 상부자력재(42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상부공간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되며, 상부공간부는 착탈판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판(도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걸림홈(411)의 일측 단부 및 걸림돌기(321)의 일측 단부에는 턱끈(200)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대응되게 결합하는 원형 수평단면을 가지는 걸림단부(321a,4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자력재(420)는 턱끈 조절클립(300)의 호각연결판부(320) 상에 착탈판부(410)를 안착 배치시, 호각연결판부(320) 내측에 설치한 하부자력재(330)와 자력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이다. 이러한, 상부자력재(420)는 착탈판부(41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공간부에 삽입상태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부자력재(42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호각(400)의 타측에는 본체(100)의 타측에 연결되거나 착탈부재(210)와 연결되는 턱끈(200)과 연결하기 위한 타측연결판부(43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타측연결판부(430)에는 턱끈(200)을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타측연결홈(43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타측연결홈(431)은 턱끈(200)을 연결시, 턱끈(200)의 연결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비상시 호각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본체(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호각(400)은 턱끈 조절클립(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턱끈 조절클립(300)의 호각연결판부(320)에 호각(400)의 착탈판부(410)를 안착 배치되게 하여, 하부자력재(330)와 상부자력재(420)의 자력을 통한 부착으로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걸림돌기(321)와 걸림홈(411)의 체결을 통해 턱끈(200)의 당김힘에 의한 이탈없이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만약, 사용자가 호각(40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호각(400)의 착탈판부(310)를 턱끈 조절클립(300)의 호각연결판부(320) 상방으로 이격되게 이동되게 하면서 걸림돌기(321)와 걸림홈(411)의 상호 체결상태를 해제되게 한다. 그러면, 호각(400)은 턱끈 조절클립(300)에서 이탈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호각(400)을 입에 물은 상태에서 불어 소리를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는, 사용자의 머리에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로 유지하는 턱끈(200)을 구비하고, 턱끈(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턱끈 조절클립(300)에 호각(40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호각(400)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가 필요없이 효율적으로 호각을 휴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호각(400)이 턱끈 조절클립(300)에 연결 배치되게 한 바, 비상시 호각(400)을 즉시 입으로 위치시켜 사용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턱끈
300: 턱끈 조절클립 310: 끈연결판부
320: 호각연결판부 330: 하부자력재
400: 호각 410: 착탈판부
420: 상부자력재 430: 타측연결판부

Claims (4)

  1. 사용자의 머리 외측에 착용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하며, 본체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턱끈;
    상기 턱끈에 연결 설치하며, 턱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턱끈 조절클립;
    상기 턱끈 조절클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호각;
    상기 호각의 일측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자력재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착탈판부;
    상기 호각의 타측에 결합 설치하며, 턱끈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타측연결홈이 형성된 타측연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턱끈 조절클립은, 상기 턱끈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턱끈연결홈이 형성된 끈연결판부, 상기 끈연결판부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면에는 걸림홈에 대응되게 결합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호각연결판부, 상기 호각연결판부의 내측에 설치하며, 상부자력재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자력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는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턱끈의 당김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턱끈을 사용자의 턱에 밀착시 호각의 입에 물리는 단부가 사용자의 입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착탈판부와 호각연결판부의 결합 또는 결합해체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각을 쉽게 불 수 있게 하는 안전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67047A 2019-12-13 2019-12-13 안전모 KR10231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47A KR102310110B1 (ko) 2019-12-13 2019-12-13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47A KR102310110B1 (ko) 2019-12-13 2019-12-13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81A KR20210075681A (ko) 2021-06-23
KR102310110B1 true KR102310110B1 (ko) 2021-10-08

Family

ID=7659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47A KR102310110B1 (ko) 2019-12-13 2019-12-13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873A (ja) * 2003-10-20 2005-05-19 Shunsuke Kametani 多機能ヘルメット
JP5396201B2 (ja) * 2009-09-02 2014-01-22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及び帯紐用バックル
KR101990908B1 (ko) * 2018-01-04 2019-06-20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휘슬이 장착된 버클
CN209391189U (zh) * 2018-12-18 2019-09-17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一种磁吸扣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873A (ja) * 2003-10-20 2005-05-19 Shunsuke Kametani 多機能ヘルメット
JP5396201B2 (ja) * 2009-09-02 2014-01-22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及び帯紐用バックル
KR101990908B1 (ko) * 2018-01-04 2019-06-20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휘슬이 장착된 버클
CN209391189U (zh) * 2018-12-18 2019-09-17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一种磁吸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81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2778T3 (es) Casco
US4817596A (en) Helmet for use with respirator mask
US5581819A (en) Protective headgear and abutment plate thereof
US5044016A (en) Protective helmet assembly including releasable head retaining assembly
KR100492208B1 (ko) 보호용 헬멧의 서스펜션 시스템
US3373444A (en) Safety attachment for hard headgear
EP2950893B1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harness assembly
KR101532972B1 (ko)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US20070016998A1 (e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US20190008228A1 (en) Integrated non-conflicting headge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KR102310110B1 (ko) 안전모
KR101193617B1 (ko) 걸이를 갖는 안전모
JP2010084314A (ja) 頭保護用帽子
US3068865A (en) Air supply and fire extinguishing helmet
JP5540138B2 (ja) ヘルメット
KR20080070305A (ko) 경찰용 방석모
KR101477918B1 (ko) 소방용 안전모
KR200491608Y1 (ko)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KR102009002B1 (ko) 시설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JP5307573B2 (ja) ヘルメット装着具
KR102049070B1 (ko) 안전모용 걸이구
KR20110108167A (ko) 안전모
KR200464007Y1 (ko) 안전 용접헬멧
KR20090007655U (ko) 안전모
JP3206528U (ja) 人体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