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18B1 - 소방용 안전모 - Google Patents

소방용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18B1
KR101477918B1 KR20130093267A KR20130093267A KR101477918B1 KR 101477918 B1 KR101477918 B1 KR 101477918B1 KR 20130093267 A KR20130093267 A KR 20130093267A KR 20130093267 A KR20130093267 A KR 20130093267A KR 101477918 B1 KR101477918 B1 KR 10147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ed
coupling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원
Original Assignee
박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원 filed Critical 박세원
Priority to KR2013009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1/244Means for mounting lamp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의 안정적인 시야 확보와 신호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화재진압시 안전장비로 사용되는 소방용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전자휘슬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후레시의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화재현장에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소방용 안전모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시야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 간의 신호전달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안전모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조명을 이룰 수 있는 후레시와, 소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휘슬을 편리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부재, 결합부재, 후레시, 전자휘슬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안전모에 구비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머리부위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장비의 부착 없이도 작업자의 원활한 시야 확보와 신호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급박한 작업환경에서도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안전모{Safety Helmet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부재를 통하여 안전모에 후레시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전자휘슬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이 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소방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란, 외부충격에 의하여 작업자의 머리부위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자의 머리가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모자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모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도 사용자의 머리를 원활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재 또는 강화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사용자의 머리부위를 감싸며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이러한 안전모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과 구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간단한 작업을 이루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모와, 위험한 작업환경에 노출된 사용자가 착용하여 각종 위험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안전모는 그 형상 및 재질에도 차이를 두어 제작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모가 제안되었으며,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현장에서 작업을 이루어야 하는 소방관의 안전과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한 소방용 안전모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방용 안전모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고자 하는 본연의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어두운 환경에서의 원활한 작업을 이루기 위하여 조명이 구비된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소방관의 안정된 시야 확보를 위하여 조명을 이룰 수 있는 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한 잦은 고장과, 소방용 안전모의 불필요한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로 인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급박한 작업환경에서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각종 신호를 동료에게 전달하기 어려워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화재현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77667(2010.11.1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03516(2012.01.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가 발생 된 화재현장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작업자의 머리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안전모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잡한 구성없이 안전모의 외측에 편리하게 후레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안정적인 시야 확보를 이룰 수 있는 소방용 안전모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성 없이도 안전모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는 소방용 안전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신호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휘슬을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비용증대 없이도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간에 원활한 신호전달을 이룰 수 있는 소방용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진압시 안전장비로 사용되는 소방용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전자휘슬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후레시의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모는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부위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자휘슬의 삽입이 가능하게 내측으로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과 밀착되는 부위에는 관통공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체결공과 관통공을 연결하며 안전모의 일측에 몸체를 고정 결합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시, 상기 체결핀이 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후 체결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과 관통공이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핀의 삽입이 가능하게 관통공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탄성패드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체결핀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체결핀고정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핀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의 관통공 일측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결핀의 삽입이 가능하게 결합공이 구비된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체결핀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내하는 고정공을 갖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후레시의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레시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대향되는 면에 체결핀의 삽입이 가능하게 관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레시거치대는 상기 후레시가 결합되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대에 결합된 후레시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자휘슬의 소리가 외부로 원활하게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과다한 결합을 방지하는 탄성링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내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자휘슬의 외측에는 상기 돌출돌기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측 둘레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구비되고, 상기 전자휘슬의 외측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게 결합되는 숫나산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전자휘슬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안전캡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재현장에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소방용 안전모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시야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 간의 신호전달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안전모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조명을 이룰 수 있는 후레시와, 소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휘슬을 편리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부재, 결합부재, 후레시, 전자휘슬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안전모에 구비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머리부위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장비의 부착 없이도 작업자의 원활한 시야 확보와 신호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급박한 작업환경에서도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용 안전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방용 안전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소방용 안전모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소방용 안전모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안전모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몸체에 통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가 안전모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가 안전모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가 안전모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10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소방용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전자휘슬(3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1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00)에는 후레시(4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합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이때, 상기 안전모(10)는 상기 고정부재(100)가 결합되는 부위에 체결공(10a)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시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자휘슬(300)의 삽입이 가능하게 내측으로 삽입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0a)과 밀착되는 부위에는 관통공(112)이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을 연결하며 안전모(10)의 일측에 상기 몸체(110)를 고정 결합하는 체결핀(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삽입공간(111)은 내측으로 삽입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전자휘슬(300)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관통공(112)은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모(10)에 형성된 체결공(10a)의 일측으로 상기 몸체(110)를 밀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을 연결할 수 있는 체결핀(12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핀(120)은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을 연결하도록 관통 결합된 후, 사용자가 결합된 상태의 체결핀(120) 결합상태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몸체(11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이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탄성패드(130)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패드(130)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으로 몸체(11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안전모(10)와 몸체(110)의 사이에 위치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몸체(110)가 과다하게 결합되어 안전모(10)와 몸체(110)의 밀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위와 같은 탄성패드(130)는 고무, 합성수지, 스폰지와 같이, 탄성력을 형성하면서도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 및 재질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패드(130)는 상기 체결핀(120)의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측 중심부에 관통공(13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으로 몸체(11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의 사이에 탄성패드(130)의 관통공(131)이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131)에 결합되는 체결핀(120)을 통하여 안전모(10)와 몸체(11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되면서도 과다하게 밀착되는 것을 상기 탄성패드(130)를 통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는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공(112)에 삽입된 체결핀(120)을 몸체(110)의 내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핀고정부재(14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체결핀고정부재(140)는 도시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관통공(112)에 결합되는 체결핀(120)이 몸체(110)의 내측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체결핀고정부재(14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공(112)의 일측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상기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결합공(141a)이 마련되어 구성되는 고정원판(141)과, 상기 고정원판(14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12)의 내측 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돌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원판(141)은 도시된 도 4 및 5에서와 같이, 체결핀(120)의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공(141a)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원판(141)의 일측 면이 몸체(110)의 관통공(112)이 형성된 부위 일측으로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원판(141)을 삽입한 후, 상기 고정원판(141)의 결합공(141a)에 체결핀(120)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체결핀(120)이 상술한 고정원판(140)의 결합공(141a), 몸체(110)의 관통공(112), 탄성패드(130)의 관통공(13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안전모(10)의 체결공(10a)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몸체(110)와 안전모(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핀고정부재(140)는 고정원판(14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돌출부(142)를 통하여 상술한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출부(14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원판(14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12)의 내측면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는 상기 결합공(141a)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핀(12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내할 수 있도록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공(142)을 구비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142)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관통공(112) 내측으로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원판(141)이 몸체(1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몸체(110)와 안전모(10)를 체결핀(120)을 통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체결핀고정부재(140)을 통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체결핀고정부재(140)의 사용을 적용하거나 삭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외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후레시(400)의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레시거치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2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몸체(210)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링(211)과, 상기 결합링(21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대향 되게 마주보는 면에는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한 관통공(212a)이 마련되는 돌출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링(211)은 도시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안전모(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의 외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결합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결합링(2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즉, 상기 결합링(211)의 일측이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고, 결합링(211)의 절개된 부위에서는 상기 돌출부(2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212)에는 도시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체결핀(120)이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공(212a)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체결핀(120)의 결합상태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는 지지몸체(210)의 결합강도를 원활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레시거치대(2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후레시(400)의 결합이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레시거치대(220)는 후레시(400)가 결합 가능한 거치홈(221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링(21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221)와, 상기 거치대(2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221)에 결합되는 후레시(40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21)는 상기 결합링(211)의 상부 방향으로 도시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는 상기 거치대(221)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대(221)의 거치홈(221a) 내측으로 상기 후레시(4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결합되는 후레시(4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그 형상 및 재질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거치대(221)는 후레시(400)를 탈착 결합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U'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거치대(221)의 거치홈(221a) 내측으로 결합되는 후레시(4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222)은 상기 거치대(221)에 안착 결합되는 후레시(400)의외측을 감싸며 상기 거치대(2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거치대(221)의 거치홈(221a)에 결합된 후레시(400)가 거치홈(221a)과 분리되는 것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링(222)은 상기 거치대(221)에 결합되는 후레시(400)의 외측을 감싸면서도 거치대(221)와 후레시(40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재질이라면 고무, 합성수지, 면과 같이 다양한 재질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대(221)와 고정링(222)의 결합을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거치대(221)에 고정링(222)을 원활하게 결합할 수 형태라면, 상기 거치대(221)에는 고정링(222)이 결합될 수 있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고정링(222)에는 상기 결합돌기(미도시)에 걸림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안착공(미도시)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몸체(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간(111)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자휘슬(300)을 사용자가 조작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전자휘슬(300)의 소리가 외부로 원활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11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113)은 몸체(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0)로 인하여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200)가 결합되는 부위를 벗어나도록 상기 몸체(11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와 지지몸체(210)의 과다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링(15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링(15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삭제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상기 몸체(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8에서와 같이, 몸체(110)의 내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돌출돌기(114)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전자휘슬(300)의 외측에는 상기 돌출돌기(114)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밀착돌기(310)를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간(111) 내측으로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이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의 유동에 의하여 몸체(110)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간(111) 내측으로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술한 몸체(110)와 전자휘슬(300)의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돌출돌기(114)와 밀착돌기(310)의 구성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결합공간(111) 내측으로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이 안전모(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유동에도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시된 9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 둘레에는 암나사산(115)을 더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전자휘슬(300)의 외측에는 상기 암나사산(115)과 대응되게 결합 될 수 있는 숫나산(320)을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전자휘슬(300)을 파지하여 상기 몸체(110)의 결합공간(111) 내측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암나사산(115)과 숫나사산(320)이 나사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합공간(11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몸체(110)의 결합공간(111) 내측에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이 안전모(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유동에도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는 삽입공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삽입공간(111)에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접캡(116)을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몸체(110)와 전자휘슬(300)의 결합되는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모(10)의 형상 또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몸체(110)와 전자휘슬(300)의 결합방식을 변경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휘슬(300)을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휘슬(300)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리타이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휘슬(300)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모(10)의 일측으로 전자휘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0)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00)에는 후레시(400)의 결합 사용이 가능한 결합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 작업자가 착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원활한 시야확보와 신호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화재 진압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안전모 10a: 체결공
100: 고정부재 110: 몸체
111: 삽입공간 112,131: 관통공
113: 통공 114: 돌출돌기
115: 암나사산 116: 안전캡
120: 체결핀 130: 탄성패드
140: 체결핀고정부재 141: 고정원판
141a: 결합공 142: 고정돌출부
142a: 고정공 150: 탄성링
200: 결합부재 210: 지지몸체
211: 결합링 212: 돌출부
220: 후레시거치대 221: 거치대
221a: 거치홈 222: 고정링
300: 전자휘슬 310: 밀착돌기
320: 숫나사산

Claims (11)

  1. 화재진압시 안전장비로 사용되는 소방용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1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전자휘슬(300)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1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00)에는 후레시(400)의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안전모(10)는 상기 고정부재(100)가 결합되는 부위에 체결공(10a)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전자휘슬(300)의 삽입이 가능하게 내측으로 삽입공간(11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0a)과 밀착되는 부위에 관통공(112)이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을 연결하며 안전모(10)의 일측에 몸체(110)를 고정 결합하는 체결핀(120)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10)와 고정부재(100) 간의 결합시, 상기 체결핀(120)이 몸체(110)의 관통공(112)에 삽입된 후 체결공(10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0a)과 관통공(112)이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관통공(131)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탄성패드(13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112)에 삽입된 체결핀(12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체결핀고정부재(1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고정부재(140)는
    상기 몸체(110)의 관통공(112) 일측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결합공(141a)이 구비된 고정원판(141)과,
    상기 고정원판(14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12)의 내측면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141a)을 관통하는 체결핀(120)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내하는 고정공(142a)을 갖는 고정돌출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후레시(400)의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레시거치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10)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링(211)과,
    상기 결합링(21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대향되는 면에 체결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관통공(212a)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돌출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후레시거치대(220)는
    상기 후레시가 결합되는 거치홈(221a)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21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221)와,
    상기 거치대(2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대(221)에 결합된 후레시(40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용 안전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자휘슬(300)의 소리가 외부로 원활하게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113)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몸체(210)의 과다한 결합을 방지하는 탄성링(15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돌출돌기(114)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자휘슬(300)의 외측에는 상기 돌출돌기(114)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밀착돌기(31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측 둘레에는 암나사산(115)이 구비되어 구비되고,
    상기 전자휘슬(300)의 외측에는 상기 암나사산(115)과 대응되게 결합되는 숫나산(32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삽입공간(111)에 끼움 결합되는 전자휘슬(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안전캡(116)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모.
KR20130093267A 2013-08-06 2013-08-06 소방용 안전모 KR10147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267A KR101477918B1 (ko) 2013-08-06 2013-08-06 소방용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267A KR101477918B1 (ko) 2013-08-06 2013-08-06 소방용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918B1 true KR101477918B1 (ko) 2014-12-30

Family

ID=5268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3267A KR101477918B1 (ko) 2013-08-06 2013-08-06 소방용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73A (ko) 2015-05-12 2016-11-22 박세원 소방 헬멧용 랜턴 거치대
KR20170071951A (ko)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외상성 뇌손상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상성 뇌손상 검출 방법
KR20170125691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26A (ja) * 2006-03-24 2007-10-04 Kenwood Corp ヘルメット
JP3145905U (ja) 2007-10-11 2008-10-30 高橋建設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装着する安全呼掛け装置
JP3158112U (ja) 2009-12-01 2010-03-18 株式会社サンヨー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ヘルメット装着用撮影装置
KR101061638B1 (ko) * 2009-10-20 2011-09-05 김봉이 다기능 안전모듈 장착 첨단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26A (ja) * 2006-03-24 2007-10-04 Kenwood Corp ヘルメット
JP3145905U (ja) 2007-10-11 2008-10-30 高橋建設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装着する安全呼掛け装置
KR101061638B1 (ko) * 2009-10-20 2011-09-05 김봉이 다기능 안전모듈 장착 첨단헬멧
JP3158112U (ja) 2009-12-01 2010-03-18 株式会社サンヨー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ヘルメット装着用撮影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73A (ko) 2015-05-12 2016-11-22 박세원 소방 헬멧용 랜턴 거치대
KR20170071951A (ko)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외상성 뇌손상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상성 뇌손상 검출 방법
KR20170125691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0853B1 (ko) 2016-05-04 2019-05-23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341A (en) Combination head and eye-protective apparatus and goggles
US9486027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adjoining a peripheral with a host wearable device
US9049896B2 (en) Detachable safety goggles for safety helmets
KR101977164B1 (ko) 스마트헬멧
KR101477918B1 (ko) 소방용 안전모
KR101532972B1 (ko)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US11864616B2 (en) Safety helmet with an adapter and process for detachably fastening a module
KR101997546B1 (ko) 안전모 조명장치
KR101951703B1 (ko) 밴드홀더
KR200408961Y1 (ko) 소방용 조명통신보조기구
KR100545754B1 (ko) 보안면
KR20090005526A (ko) 램프가 구비된 신발
KR102465075B1 (ko) Ict기반 다기능 스마트 헬멧
KR20160133273A (ko) 소방 헬멧용 랜턴 거치대
CN214432177U (zh) 一种用于无线佩戴热像仪装置和头盔装置的连接部件
KR20190062348A (ko) 안전모 조명장치
JP2018181421A (ja) 首掛け式照明装置
KR20200042691A (ko) 보안경 장착형 안전모
KR102369864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안전모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102263909B1 (ko) 헤드램프 일체형 안전모
CN210094783U (zh) 一种建筑工程用具有通讯功能的安全帽
CN214127217U (zh) 阻燃抗冲防激光镇暴头盔
KR200486882Y1 (ko) 안전모용 ptt 통신 시스템
KR101327284B1 (ko)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KR20200103403A (ko) 밴드형 안전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