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284B1 -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284B1
KR101327284B1 KR1020120057359A KR20120057359A KR101327284B1 KR 101327284 B1 KR101327284 B1 KR 101327284B1 KR 1020120057359 A KR1020120057359 A KR 1020120057359A KR 20120057359 A KR20120057359 A KR 20120057359A KR 101327284 B1 KR101327284 B1 KR 10132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button
side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12005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글의 아웃렌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글을 구성하는 인렌즈의 외측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웃렌즈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가능토록 한 고글의 아웃렌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측면에 스폰지와 외측면에 인렌즈가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부가되는 버튼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착탈부재와; 외측면에 아웃렌즈가 접합되어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아웃렌즈림으로 구성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를 구성하는 버튼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가되는 후크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Out lens fixing apparatus of goggles}
본 발명은 고글의 아웃렌즈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글을 구성하는 인렌즈의 외측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웃렌즈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가능토록 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키, 스카이 다이빙, 패러글라이딩등과 같이 운동이나 취미활동시에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고글의 개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이면에 땀을 흡수하기위한 패드와 양측에 머리에 고정하는 밴드가 결합된 프레임과, 프레임림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는 렌즈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글은 렌즈가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색상이 다른 렌즈로 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기능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본 출원인은 참고문헌(1)과 같이 렌즈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상, 하에 장착된 4개의 클립을 작동시켜 렌즈를 결합 및 분리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0-120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인렌즈의 외측에 아웃렌즈를 더 부가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아웃렌즈의 교환이 가능하여 전방의 시야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측면에 스폰지와 외측면에 인렌즈가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부가되는 버튼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착탈부재와; 외측면에 아웃렌즈가 접합되어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아웃렌즈림으로 구성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를 구성하는 버튼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가되는 후크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삭제
또 상기 아웃렌즈림은 양측에 버튼을 구성하는 후크에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된 버튼을 이용하여 인렌즈의 외측에 아웃렌즈를 용이한 탈, 부착이 가능하여 전방의 시야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 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고글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아웃렌즈를 착탈부재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아웃렌즈가 착탈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아웃렌즈를 착탈부재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아웃렌즈가 착탈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양측에 밴드가 부가된 프레임(5)과, 전면에 렌즈(7)를 접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고글에 사용자의 전방시야를 렌즈의 색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수 있도록 아웃렌즈(4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아웃렌즈(40)를 결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5)의 양측에 마련된 안착홈(3)에 아웃렌즈(40)의 탈, 부착이 가능한 착탈부재(30)를 더 부가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착탈부재(30)는 프레임(5)의 양측에 마련된 안착홈(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23)과, 상기 하우징(23)에 내설되어 아웃렌즈림(35)을 결합 및 분리하는 버튼(26) 및 상기 하우징(23)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버튼(26)의 외부이탈을 차단하는 커버(29)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23)은 핀홀(23a)이 형성된 삽입홈(23b)과, 저면의 중앙에는 고정편(23c)이 부설된 것이다.
상기 핀홀(23a)에는 후술하는 버튼(26)의 저부에 형성된 핀(24b)이 삽입되어 버튼(26)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또 저면에 형성된 고정편(23c)은 프레임(5)의 양측에 부가된 안착홈(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a)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 하우징(23)을 구성하는 삽입홈(21)에 내설되는 버튼(26)은 본체(24)와, 상기 본체(24)의 양측에 호형상을 갖는 탄성편(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4)의 상면에는 “ㄱ”형상의 후크(24a)가 부가되며,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2개의 핀(24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크(24a)는 아웃렌즈(40)를 접합하는 아우렌즈림(35)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편(33)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고, 저면에 형성된 2개의 핀(24b)은 상술한 하우징(23)에 형성된 핀홀(23a)에 삽입되어 버튼(26)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24)의 양측에 형성된 탄성편(25)은 스프링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는 호형상으로 내,외측으로 수축되면서 본체(24)의 전,후이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내부에 버튼(26)이 부설된 하우징(23)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26)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면에 아웃렌즈림(35)을 구성하는 체결편(33)을 안착시키는 커버(29)는 상면에 재치홈(27)이 형성되고, 이 재치홈(27)의 중앙에는 버튼(24)을 구성하는 후크(24a)가 삽입되는 통공(27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튼(26)을 구성하는 후크(24a)에 결합 및 분리되는 아웃렌즈림(35)은 전면에는 아웃렌즈(40)가 일체로 접착되며, 양측에는 통공(33a)이 형성된 체결편(33)이 더 부가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체결편(33)은 커버(29)의 상면에 형성된 재치홈(27)에 안착되어 후크(24a)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렌즈(7)의 외측에 아웃렌즈(4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5)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26)을 구성하는 본체(24)를 내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상면에 형성된 후크(24a)가 외측면에 아웃렌즈(40)가 접합된 아웃렌즈림(35)을 구성하는 체결편(33)에 형성된 통공(33a)에 삽입된다.
이때 본체(24)를 가한 힘을 해제하면, 본체(24)의 양측에 부가된 탄성편(25)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후크(24a)가 체결편(33)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므로서 아웃렌즈(4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 아웃렌즈림(35)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버튼(26)을 구성하는 본체(24)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체결편(33)에서 후크(24a)가 분리되면서 통공(33a)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후크(24a)가 체결편(33)의 중앙에 위치하면 아웃렌즈림(35)이 후크(24a)에서 분리되므로서 프레임(5)에서 아웃렌즈(4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인렌즈(7)의 외측에 착탈부재(30)를 이용하여 프레임(5)에 아웃렌즈(40)를 결합 및 분리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렌즈만을 장착하는 고글도 본 발명에서 예시한 착탈부재(30)를 적용하여 프레임(5)에 렌즈의 착, 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 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3 : 안착홈 5 : 프레임 15 :인렌즈 15 : 인렌즈림 23 : 하우징
24 : 본체 25 : 탄성편 26 : 버튼 29 : 커버 30 : 착탈부재
33 : 체결편 35 : 아웃렌즈림 40 : 아웃렌즈

Claims (3)

  1. 내측면에 스폰지와 외측면에 인렌즈가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부가되는 버튼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착탈부재와; 외측면에 아웃렌즈가 접합되어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아웃렌즈림으로 구성된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를 구성하는 버튼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가되는 후크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렌즈림은 양측에 버튼을 구성하는 후크에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KR1020120057359A 2012-05-30 2012-05-30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KR10132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59A KR101327284B1 (ko) 2012-05-30 2012-05-30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59A KR101327284B1 (ko) 2012-05-30 2012-05-30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284B1 true KR101327284B1 (ko) 2013-11-11

Family

ID=4985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359A KR101327284B1 (ko) 2012-05-30 2012-05-30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2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085U (ko) * 1989-06-30 1991-11-01
JP3106085U (ja) 2004-06-21 2004-12-16 丕林 江 水泳用ゴーグル
US20050015863A1 (en) * 2003-07-02 2005-01-27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US20090276942A1 (en) 2008-05-08 2009-11-12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US7631400B2 (en) 2006-05-05 2009-12-15 Herman Chiang Buckle for swimming gogg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085U (ko) * 1989-06-30 1991-11-01
US20050015863A1 (en) * 2003-07-02 2005-01-27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JP3106085U (ja) 2004-06-21 2004-12-16 丕林 江 水泳用ゴーグル
US7631400B2 (en) 2006-05-05 2009-12-15 Herman Chiang Buckle for swimming goggles
US20090276942A1 (en) 2008-05-08 2009-11-12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400Y1 (ko)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US8029132B1 (en) 3D eyeglasses with detachable front eyeglasses frame
US9155347B2 (en) Helmet with magnetic fixing means for eyewear
US20160377890A1 (en) Exchangeable eye glass members
US20130235330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
US105173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eyewear
JP3212105U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1327284B1 (ko) 고글의 아웃렌즈 탈, 부착장치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JP2015099217A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KR101620203B1 (ko) 스포츠용 고글
KR101594223B1 (ko) 안경의 렌즈 탈착 구조체
FR3066909B3 (fr) Lunettes protectrices et utilisation de lunettes protectrices
KR20120081310A (ko) 모자용 착탈식 안경 고정클립
KR20120054942A (ko) 착용수단 교체형 고글
KR200247415Y1 (ko) 스포츠용 안경의 헤어밴드 착탈구조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JP3118062U (ja) 度付きサングラス
KR20190001602U (ko) 안경걸이용 모자
KR101974778B1 (ko) 착,탈식 장식물을 가진 안경다리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WO2015064875A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KR20140124697A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