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03B1 -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03B1
KR102310003B1 KR1020210087541A KR20210087541A KR102310003B1 KR 102310003 B1 KR102310003 B1 KR 102310003B1 KR 1020210087541 A KR1020210087541 A KR 1020210087541A KR 20210087541 A KR20210087541 A KR 20210087541A KR 102310003 B1 KR102310003 B1 KR 10231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area
noise
shiel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영
Original Assignee
양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영 filed Critical 양재영
Priority to KR102021008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로부터 3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에 인가된 3상의 전원을 유도하여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차폐부재는,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2중 구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갭을 두고 상기 제1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REJUVENATOR SOUND CLINIC INCLUDING NOISE SHIELDING FUNCTION OF ELECTRONIC EQECTRONIC EQUIPMENT}
아래 실시예들은 전자장비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절연효과를 통해 노이즈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장애파차단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포함한 전기전자제품들은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필요에 따라 정류하여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전원라인을 따라 유입되는 상용교류전원은 저주파수의 정현파임에 따라 이 전력신호를 매개로 불요전자파인 노이즈 등이 함께 전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러한 노이즈는 타 제품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시킴에 따라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노이즈 필터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노이즈 필터는 통상적으로 인덕터(L) 및 커패시터(C)로써 구성되어서, "노이즈"라고 하는 불필요한 신호의 주파수를 기타의 신호로부터 판별함으로써 전원 주파수 등의 신호만을 기기측에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노이즈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10㎑이상이고, 상용 전원 주파수는 60㎐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3186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0939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3584 호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56363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비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절연효과를 통해 노이즈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는 전원공급부로부터 3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에 인가된 3상의 전원을 유도하여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차폐부재는,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2중 구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갭을 두고 상기 제1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1 차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실드부와, 상기 제2 권선부와 상기 제2 차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부는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1 차폐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2 차폐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제1 실드부는 상기 제1 권선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2 권선부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차폐부재는, 상기 3상의 전원이 입력되어 노이즈가 발생되어 1상이 결상되더라도 상기 전자장비로 안정적인 1상의 전원을 출력하고, 0℃~50℃의 온도와, 0%~94%의 습도를 갖는 환경에서 120db common mode와 60db normal mode에서 잡음을 감쇄하고, 6,000V까지 전압을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장애파차단변환기의 설계도면 또는 상기 장애파차단변환기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설계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으로 문서화하는 방법은,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상기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 상기 참조 블록과 상기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을 제1 PDF 파일 및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PDF 파일 및 상기 제2 PDF 파일의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비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장애파차단변환기를 구비함으로써, 절연효과를 통해 노이즈를 차단하여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2중으로 이루어진 절연차폐를 구비함으로써, 입력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성 노이즈(Noise)를 차폐할 수 있어 회로의 안정성에 매우 기여하여 노이즈로부터 전자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2중으로 이루어진 절연차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출력측에서 역류(Feed Back)되는 노이즈(Noise)를 감쇄 혹은 자연감쇄시켜 입력측으로의 간섭을 줄임으로써 회로 및 전원소자에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게 하여 소자파손 등을 크게 줄여 고장빈도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의 설계도면 또는 장애파차단변환기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설계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로부터 제1 권선부(11)를 통해 전압이 인가되고, 제1 권선부(11)에 인가된 전압이 제2 권선부(12)를 통해 유도되어 전자장비(3)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권선부(11)와 제2 권선부(12) 사이에 절연차폐부재(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차폐부재(2)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절연차폐부재(2)는 제1 차폐부(20)와 제2 차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부(20)와 제2 차폐부(22)는 제1 권선부(11)와 제2 권선부(12) 사이에 2중 구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차폐부(20)와 제2 차폐부(22)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절연)을 두어 쇼트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차폐부재(2)는 제1 권선부(11)와 제2 권선부(12) 사이의 쇼트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단자를 통해 2상 또는 3상(R상, S상, T상)의 전원이 입력되고, 출력단자로 입력된 2상 또는 3상(R상, S상, T상)의 입력된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2중 구조의 절연차폐부재(2)에 의해 입력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성 노이즈(Noise)를 차폐할 수 있어 회로의 안정성에 매우 기여하여 노이즈로부터 전자장비(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입력단자를 통해 2상 또는 3상(R상, S상, T상)의 전원이 입력되고, 출력단자로 입력된 2상 또는 3상(R상, S상, T상)의 입력된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2중 구조의 절연차폐부재(2)에 의해 출력측에서 역류(Feed Back)되는 노이즈(Noise)를 감쇄 혹은 자연감쇄시켜 입력측으로의 간섭을 줄임으로써 회로 및 전원소자에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게 하여 소자파손 등을 크게 줄여 고장빈도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차폐부재(2)는 비철금속 예를 들어, 구리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2중 구조의 절연차폐부재(2)는 제1 권선부(11)와 제2 권선부(12)의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어 제1 권선부(11)에 인가된 고압이 제2 권선부(12)로 전달되거나 또는 제2 권선부(12)로 유도된 고압이 제1 권선부(1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2중 구조의 절연차폐부재(2)가 전원공급부(1)와 전자장비(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입력과 출력 사이의 절연효과를 통해 노이즈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2중 구조의 절연차폐부재(2)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장비(3) 즉, 엘리베이터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전압이 발생하여 전자장비(3) 측의 전류가 역류되거나, 전자장치(3) 측의 이상전원이 역류되어 전원공급부(1)로 인가되는 노이즈(Noise)를 감쇄 혹은 자연감쇄시켜 입력측으로의 간섭을 줄임으로써 회로 및 전원소자에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게 하여 소자파손 등을 크게 줄여 고장빈도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출력단자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전자장비(3)는 의료기기, 방송기기, 음향장비, 실험장비, 생산라인을 제어하는 정밀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장애파차단변환기(2)를 구비함으로써, 3상(R상, S상, T상)의 전원이 입력되어 노이즈가 발생되어 1상이 결상되더라도 출력단으로 안정적인 1상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장애파차단변환기(2)는 외부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과전압으로부터 전자장비(3)를 보호하고, 잡음을 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50℃의 온도와, 0%~94%의 습도를 갖는 환경에서 120db common mode와 60db normal mode에서 잡음을 감쇄하고, ANSI/IEEE C62.41를 만족하여 써지 6,000V까지 전압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애파차단변환기(2)는 실드부재(24, 2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파차단변환기(2)는 제1 권선부(11)와 제1 차폐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실드부(24)와, 제2 권선부(12)와 제2 차폐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부(24)는 제1 권선부(1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 실드부(26)는 제2 권선부(1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드부(24)는 제1 권선부(11) 및 제1 차폐부(20)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실드부(26)는 제2 권선부(12) 및 제2 차폐부(22)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드부재(24, 26)는 비철금속 예를 들어, 구리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실드부재(24, 26)는 접지에 연결되어 절연차폐부재(2)와 더불어 입력과 출력 사이의 절연효과를 통해 노이즈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파차단변환기의 설계도면 또는 장애파차단변환기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설계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장애파차단변환기의 설계도면 또는 장애파차단변환기가 포함된 전자장비의 설계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열람하여 판단 동작에 채용하고, 판단의 결과물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서버 및 단말 중 어느 하나 단독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서버 및 단말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 및 단말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다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소정 거리 이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유,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개체들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통신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카(smart car)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101 단계에서,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DWG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이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102 단계에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DWG 파일의 전체 영역에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있어, 참조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획득 이후, S103 단계에서,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의 외부 테두리는 노란색 및 2mm 굵기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통해 도면 폼이 설정되었으므로,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는 노란색 및 2mm 굵기이며,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이외에 노란색 및 2mm 굵기의 외부 테두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추가로 인식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면, S1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을 추가로 포함시킨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되는 영역이 참조 블록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획득 이후, S103 단계에서,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또 다른 하나인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면, S102 단계로 되돌아가,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3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모두 획득할 때까지 S102 단계 및 S103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04 단계에서, 장치는 획득된 이미지 각각을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장치는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장치는 출력된 각각의 PDF 파일을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DWG 파일(200)에는 복수의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WG 파일(200)에는 제1 도면 및 제2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1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2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다.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동일한 색 및 동일한 굵기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도면의 영역은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고, 제2 도면의 영역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1 도면의 영역과 제2 도면의 영역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도면의 영역이 상이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조 블록(230)은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참조 블록(230)의 크기가 설정되면,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를 인식하고, 참조 블록(230)의 면적,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사이의 공간을 확인하여,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여백(231),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여백(232),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 여백(233),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여백(234)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 각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의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참조 블록(230)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이 참조 블록(230)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는데 있어,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측에 제1 여백(231)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좌측에 제2 여백(232)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하측에 제3 여백(233)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우측에 제4 여백(234)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01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1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3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
S303 단계 이후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1 도면의 도면명이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는 “931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401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2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
S403 단계 이후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는 “931” 다음 번호인 “932”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S405 단계 이후, S406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까지 포함하는 제1 도면의 영역에 대한 제1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까지 포함하는 제2 도면의 영역에 대한 제2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면적을 기준 면적으로 설정하여 제2 면적과 비교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면적과 제2 면적의 비교를 통해, 제2 도면의 영역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적이 10m2인 경우, 장치는 제2 면적이 10m2 이하로 확인되면, 제2 도면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면적이 10m2 초과 20m2 이하로 확인되면, 제2 도면의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면적이 20m2 초과 30m2 이하로 확인되면, 제2 도면의 영역을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도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데 있어, 제2 면적이 10m2 초과하는 경우, 좌측 상단을 기준으로 10m2 까지 포함되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의 하단부터 10m2 까지 포함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영역에 대한 제1 면적을 기준 면적으로 설정하고, 제2 도면의 영역이 기준 면적 보다 넓지 않은 경우, 제2 도면의 영역 전체를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2 도면의 영역이 기준 면적 보다 넓은 경우, 기준 면적을 통해 제2 도면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2 도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는 분할된 영역 별로 각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면의 영역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장치는 제1 영역의 상하좌우에 여백까지 포함된 영역을 통해 제2-1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영역의 상하좌우에 여백까지 포함된 영역을 통해 제2-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는 분할된 영역 별로 획득된 이미지 각각을 페이지 별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장치는 제2-1 이미지를 1페이지에 배치하고, 제2-2 이미지를 2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S505 단계에서 제2 도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도면의 영역이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되었기 때문에,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장치는 제2 이미지를 제1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장치는 S507 단계 또는 S509 단계에서 배치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제2 PDF 파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페이지에 제2-1 이미지가 배치되어 있고, 2페이지에 제2-2 이미지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장치는 1페이지에 배치된 제2-1 이미지와 2페이지에 배치된 제2-2 이미지를 변환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1페이지에 제2 이미지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장치는 1페이지에 배치된 제2 이미지를 변환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0)는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10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1)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0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0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100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장치(1000)는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거나,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02)는 학습 중인 또는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된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장치(1000)와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장치(1000)는 동일할 수도 있고 개별적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전원공급부로부터 3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에 인가된 3상의 전원을 유도하여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차폐부재는,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2 권선부 사이에 2중 구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갭을 두고 상기 제1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권선부측에 배치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차폐부재는,
    상기 3상의 전원이 입력되어 노이즈가 발생되어 1상이 결상되더라도 상기 전자장비로 안정적인 1상의 전원을 출력하고,
    0℃~50℃의 온도와, 0%~94%의 습도를 갖는 환경에서 120db common mode와 60db normal mode에서 잡음을 감쇄하고, 6,000V까지 전압을 보호하는,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부와 상기 제1 차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실드부와, 상기 제2 권선부와 상기 제2 차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부는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1 차폐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2 차폐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게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제1 실드부는 상기 제1 권선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2 권선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3. 삭제
KR1020210087541A 2021-07-05 2021-07-05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KR10231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41A KR102310003B1 (ko) 2021-07-05 2021-07-05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41A KR102310003B1 (ko) 2021-07-05 2021-07-05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03B1 true KR102310003B1 (ko) 2021-10-07

Family

ID=7811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41A KR102310003B1 (ko) 2021-07-05 2021-07-05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104U (ko) * 1989-11-28 1991-08-02
KR19980056363A (ko) 1996-12-28 1998-09-25 이준영 변압기
JP3079486U (ja) * 2001-02-07 2001-08-17 サンエー電機株式会社 変圧器
KR200343466Y1 (ko) * 2003-12-03 2004-03-02 김정수 전력선용 차폐변압기
KR100909396B1 (ko) 2007-10-04 2009-07-24 주식회사 경인전자 인버터용 플럭스 노이즈 차폐 트랜스포머
KR20140033584A (ko) 2012-09-06 2014-03-19 학교법인 두원학원 전동압축기용 인버터장치
KR101429464B1 (ko) * 2014-06-09 2014-08-13 주식회사 미주파워텍 노이즈 차폐 기능을 가지는 전력용 변압기
KR20200031866A (ko) 2018-09-17 2020-03-25 한국광기술원 휴대용 살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104U (ko) * 1989-11-28 1991-08-02
KR19980056363A (ko) 1996-12-28 1998-09-25 이준영 변압기
JP3079486U (ja) * 2001-02-07 2001-08-17 サンエー電機株式会社 変圧器
KR200343466Y1 (ko) * 2003-12-03 2004-03-02 김정수 전력선용 차폐변압기
KR100909396B1 (ko) 2007-10-04 2009-07-24 주식회사 경인전자 인버터용 플럭스 노이즈 차폐 트랜스포머
KR20140033584A (ko) 2012-09-06 2014-03-19 학교법인 두원학원 전동압축기용 인버터장치
KR101429464B1 (ko) * 2014-06-09 2014-08-13 주식회사 미주파워텍 노이즈 차폐 기능을 가지는 전력용 변압기
KR20200031866A (ko) 2018-09-17 2020-03-25 한국광기술원 휴대용 살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7104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794B1 (ko)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56945B2 (en) Processing method for leakage pow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854013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02437B1 (ko) 모션 센싱 방법 및 그 사용자 기기
US100550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damage to touch area of electronic device
US20130325460A1 (en) Method of provid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5393258B (zh) 用于提供对图形处理单元的安全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US2019000675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loop antenna
KR102271044B1 (ko)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EP2806358B1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pplication
KR20150135837A (ko) 디스플레이 운용 전자장치 및 방법
KR102206053B1 (ko)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50062096A1 (en) Method for display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24814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attached state of cover
KR102310003B1 (ko) 전자장비의 노이즈 차폐기능을 갖는 장애파차단변환기
AU2014293863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593462B2 (en) Inductor device
US20190392169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50050200A (ko) 출력 데이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23192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304649A1 (en) Trusted user interaction
US20150254436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521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and computing objects
US8782315B2 (en) Expansion car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adio system
KR2015009156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