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85B1 -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985B1
KR102309985B1 KR1020200045466A KR20200045466A KR102309985B1 KR 102309985 B1 KR102309985 B1 KR 102309985B1 KR 1020200045466 A KR1020200045466 A KR 1020200045466A KR 20200045466 A KR20200045466 A KR 20200045466A KR 102309985 B1 KR102309985 B1 KR 10230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bile phone
control
light emitt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102020004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표면에 표현된 도안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대한 원하는 발광형태의 광방출이 이루어지도록 됨은 물론, 필요시 소정공간에 위치된 각각의 휴대폰 케이스들에 대한 발광패턴을 무선제어를 통해 조절하여 원하는 발광형태를 구현하여 심미감을 극대화함으로써, 특히, 공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을 수납하도록 수용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된 발광소자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된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제어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wireless control}
본 발명은, 휴대폰(핸드폰, 스마트폰 등)을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을 개선하여 표면에 표현된 도안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대한 원하는 발광형태의 광방출이 이루어지도록 됨은 물론, 필요시 소정공간에 위치된 각각의 휴대폰 케이스들에 대한 발광패턴을 무선제어를 통해 조절하여 원하는 발광형태를 구현하여 심미감을 극대화함으로써, 특히, 공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핸드폰, 스마트폰 등)은 휴대폰 케이스를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떨어뜨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게 되어 잇다.
이러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크게 측면을 보호하는 범퍼 케이스와 측면과 후면을 보호하는 하드케이스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은 범퍼 케이스와 하드 케이스 방식으로, 상기 범퍼 케이스 및 하드 케이스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유연한 합성수지나 고형 젤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범퍼 케이스 및 하드 케이스는 내부에 결합되는 휴대폰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역할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 아이템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에서 하드 케이스에 특히 적용된다.
한편 근자에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예컨대, 신용카드, 교통카드, 포인트 카드 등)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키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케이스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5564호(명칭: 수납된 카드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2013.05.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휴대폰 케이스로서, 상기 휴대폰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패널부와 상기 체결패널부에 체결된 상기 휴대폰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체결패널부의 일측에 절첩되게 형성되고, 일면에 카드수납부를 갖는 보호패널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납부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카드수납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수납슬릿의 전방에는 카드 또는 지폐를 압압하여 임의적으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탄성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카드수납슬릿의 전방 소정의 위치에서 끝단까지 외피와 내피로 형성하여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탄성부재를 고정 결합하여 된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4885호(명칭: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014.06.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능키 및 카메라용 홀이 형성되고, 휴대폰이 수납되는 수납부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휴대폰의 수납부보다 작은 사이즈로 상기 본체에 관통형성되어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상기 본체의 이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카드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본체의 이면 가장자리에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와 대응되게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내측면에 형성되는 로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후크에 대해 상기 로커가 로킹 및 언로킹되는 로킹부; 상기 본체 이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수용되고, 상기 후크 가압에 의해 상기 후크로부터 상기 로커의 언로킹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버를 임의각도로 개방시키는 소바;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0954호(명칭: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2015.02.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의 좌·우 측면 및 배면에는 커버와 분리 및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을 밀폐하고 수납된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인출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슬라이드 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에 끼움 인출 레버가 결합되어 상하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를 인출공으로 밀어내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6045호(명칭: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2016.10.1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바닥면을 감싸는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부 외측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한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는 후면 커버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카드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카드를 안착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홈이 형성된 인출식 카드 수납체; 상기 인출식 카드 수납체와 이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 혹은 후면 커버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식 카드 수납체가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걸려 고정되는 걸림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걸리도록 삽입되어 있는 인출용 카드 수납체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식 카드 수납체에 형성된 인출용 미세돌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대량생산에 불리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와 같이, 표면에 표현된 도안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대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심미감을 극대화하도록 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을 수납하도록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부착되며 표면에 도안이 형상화되고 광을 방출하도록 된 발광부가 구비된 필름지가 적층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거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본체의 일부위에 노출되면서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제어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도록 된 발광소자가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는, 투광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인가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되되; 상기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사이에는, 도광성기능을 가지는 연결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4885호(2014.06.3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4885호(2014.06.3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0954호(2015.02.1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6045호(2016.10.19.)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는, 본체에 스위치에 의해 발광이 구현됨에 따라, 공연 등과 같은 연출행위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악공연, 연극공연 등과 같이 소정공간에서 연출하도록 된 문화행사 등에서, 프로그램화된 발광패턴을 구현하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035753호(명칭: 휴대폰 케이스/2019.10.17.)을 개량하여, 표면에 표현된 도안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대한 원하는 발광형태의 광방출이 이루어지도록 됨은 물론, 필요시 소정공간에 위치된 각각의 휴대폰 케이스들에 대한 발광패턴을 무선제어를 통해 조절하여 원하는 발광형태를 구현하여 심미감을 극대화함으로써, 특히, 공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는,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을 수납하도록 수용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된 발광소자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된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제어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의 표면에 표현된 발광수단에 대하여 외부의 무선제어를 통해 발광시키도록 되어 필요시 소정공간(공연공간)에 위치된 각각의 휴대폰케이스들에 대한 발광패턴을 원하는 발광형태로 구현하도록 됨에 따라,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소정공간(공연공간)에서 연출시 제어장치를 통해 공연 관람자의 각각의 휴대폰케이스들을 무선제어하여 공연연출에 적용하여 연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는,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100)을 수납하도록 수용공간부를 가지는 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용공간부에 상기 휴대폰(100)이 수용고정되면서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휴대폰(100)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2)의 배면에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거울판(3)이 부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울판(3)의 표면에는 선택된 '도안'이 형성된 '투명성재질'로 이루어져 '투명성'을 가지는 필름지(31)가 적층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2)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거울판(3)을 통해 '거울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거울판(3)의 표면에 표현된 상기 필름지(31)를 통해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4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4)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된 발광소자(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41)의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발광소자(5)가 발광하게 되어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발광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광소자(5)는, 각각의 다른 '발광색'을 기지는 다수개가 각각 구비되어 선택된 '발광색'을 각각 선택적으로 방출하여 원하는 '발광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광소자(5)는, 'LED 발광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전원공급부(41)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발광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방출되는 '광'을 상기 발광수단(6)이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여 원하는 '발광현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광수단(6)은, '투광성수지'로 이루어져 '도광성'을 가지며 일부위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부위에서의 '광방출'을 통해 '발광연출'을 구현하도록 된 발광몸체(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방출된 빛을 '투광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발광몸체(61)에서 인가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발광소자(5)가 발광하게 되고,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발광몸체(61)가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몸체(61)의 발광을 통해 원하는 '발광현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발광수단(6)은, 상기에서 발광몸체(61)와 상기 발광소자(5)의 사이에 구비되며 '도광성'기능을 가지는 도광연결체(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광연결체(62)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발광몸체(61)로 전달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연결체(62)는, '광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광연결체(62)는,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도광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에서, 상기 제어수단(4)은, 외부의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된 무선수신부(42)와; 상기 무선수신부(42)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41)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5)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제어연산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소정공간(공연공간)에서 상기 본체(2)의 표면에 표현된 상기 발광몸체(61)에 대하여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5)의 '발광패턴'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생성 및 무선송신하도록 된 제어장치(300)를 통해 발신되는 '무선통신 제어데이터의 송수신망'을 형성하도록 된 별도의 상기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4)의 상기 무선수신부(42)를 통해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수신부(42)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어연산부(43)를 통해 연산된 연산데이터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5)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300)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5)의 발광패턴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발광연출'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소정공간(공연공간)에서 발광연출시 상기 제어장치(300)를 통해 공연 관람자의 각각의 휴대폰 케이스(1)들에 구비된 각각의 발광소자(5)들을 무선제어하여 '공연연출'에 적용하여 연출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4)에는, 상기 제어장치(300)와의 '무선통신주파수'를 동조화하여 무선송수신하도록 된 '동조회로'를 가지는 동조기(4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동조기(44)를 통해 상기 소정공간(공연공간)에 입장할 때, 상기 제어장치(300)와 동조시켜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휴대폰 케이스 100 : 휴대폰
200 : 무선통신망 300 : 제어장치
2 : 본체 21 : 수용홈
3 : 거울판 31 : 필름지
4 : 제어수단 41 : 전원공급부
42 : 무선수신부 43 : 제어연산부
44 : 동조기 5 : 발광소자
6 : 발광수단 61 : 발광몸체
62 : 도관연결체

Claims (1)

  1. 개방된 전면을 통해 휴대폰(100)을 수납하도록 수용공간부를 가지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4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4)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된 발광소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수단(4)은, 외부의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된 무선수신부(42)와, 상기 무선수신부(42)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41)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5)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제어연산부(43)를 가지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5)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되며 '투광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일부위가 상기 본체(2)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구비되어 '광방출'을 통해 '발광연출'을 구현하도록 된 발광몸체(61)를 구비하는 발광수단(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4)에는,
    상기 발광소자(5)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생성 및 무선송신하도록 된 제어장치(300)에서 발신되는 '무선통신주파수'를 동조화하도록 된 동조기(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20200045466A 2020-04-14 2020-04-14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230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66A KR102309985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66A KR102309985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985B1 true KR102309985B1 (ko) 2021-10-06

Family

ID=7807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466A KR102309985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885U (ko) 2013-02-26 2014-09-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톱밸브 기능을 구비한 셀프 클로징 밸브
KR20150000954U (ko) 2013-08-23 2015-03-05 양용은 우산을 효율적으로 진열하기 위한 우산 판매대
KR101822968B1 (ko)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KR20190059626A (ko) * 2017-11-23 2019-05-31 이현우 휴대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885U (ko) 2013-02-26 2014-09-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톱밸브 기능을 구비한 셀프 클로징 밸브
KR20150000954U (ko) 2013-08-23 2015-03-05 양용은 우산을 효율적으로 진열하기 위한 우산 판매대
KR101822968B1 (ko)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KR20190059626A (ko) * 2017-11-23 2019-05-31 이현우 휴대폰케이스
KR102035753B1 (ko) * 2017-11-23 2019-11-26 (주) 폰플라자 휴대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753B1 (ko) 휴대폰케이스
KR101777337B1 (ko) 분리 및 조합이 가능한 메이크업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11432641B2 (en) Retractable storage system
US20240155781A1 (en) On-device accessory management system
US20140128132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US20200169283A1 (en) Case and shell for a smart phone
CN111901467A (zh) 带电池和铰链的单件式外壳
KR102251057B1 (ko) 휴대폰케이스
KR200478280Y1 (ko)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309985B1 (ko) 무선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101494760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CN210431578U (zh) 一种执法记录仪
KR102241300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72675B1 (ko) 휴대폰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102241299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70048752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2325198B1 (ko) 다이어리식 led발광 휴대폰케이스
KR200470996Y1 (ko)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
CN102849541B (zh) 限位按钮结构及绕线盘
KR200480627Y1 (ko) 카드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수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80049770A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101953836B1 (ko) 광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