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57B1 -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957B1
KR102309957B1 KR1020150003512A KR20150003512A KR102309957B1 KR 102309957 B1 KR102309957 B1 KR 102309957B1 KR 1020150003512 A KR1020150003512 A KR 1020150003512A KR 20150003512 A KR20150003512 A KR 20150003512A KR 102309957 B1 KR102309957 B1 KR 10230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hiolin
composition
capsule
present
capsu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492A (ko
Inventor
김기영
하수정
김회경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0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캡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psulated Conchiolin}
본 발명은 콘키올린 또는 그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키올린(Conchiolin)은 연체동물의 패각이나 진주를 구성하고 있는 골격성 단백질로 항염증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한국공개특허 2008-0108738; Chul-Won Lee et al.,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Integration of Life, 263, 2007; DONG-ZI SHAO et al., J. Cosmet. Sci., 61, 133-145, 2010).
콘키올린은 약 20kDa 크기의 불용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서 쉽게 응집되거나 침전될 수 있다. 이에 콘키올린을 화장품에 쉽게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이러한 가수분해 콘키올린(Hydrolyzed Conchiolin) 또한 인체에서 안전하며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백질은 가열, 교반, 압력, 진동과 같은 물리적인 자극이나 산, 염기, 유기용매, 요소,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적인 요인에 의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이 함유된 화장품의 장기적인 효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를 위하여, 화장품 업계에서는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 MIS), 마이크로캡슐 (Microcapsules, MIC), 또는 리포좀(Liposome, LIP)을 이용하는 기술, 액정/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여 레티놀을 안정화하는 기술(J.W. Kim et al., Langmuir, 17, 5435-5439, 2001)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콘키올린 단백질의 제형을 안정화하고 저장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을 겔화 고분자와 혼합한 후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화할 경우, 콘키올린의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0.05 내지 10 중량%의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0.05 내지 5M 농도의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반점, 및 검버섯을 포함하는 과색소 침착증(hyperpigmentation), 또는 흑색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콘키올린은 불용성 단백질로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쉽게 응집되거나 침전되어 캡슐화 과정에서 손실이 많으며, 보관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콘키올린을 특정 농도의 겔화 고분자와 혼합한 후 특정 농도의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에 떨어뜨려 제조한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콘키올린의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은 콘키올린에 비하여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콘키올린은 연체동물의 패각이나 진주를 구성하고 있는 골격성 단백질로, 본 발명에서 콘키올린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것을 분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키올린의 가수분해물은 콘키올린에 산 등을 가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말한다. 일 예로 상기 가수분해물은 약산인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한국등록특허 제0884641호), 콘키올린의 본래의 기능,예를 들어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유의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가수분해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가교결합을 하여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교결합을 이루는 겔화 고분자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겔화 고분자는 알진(algin), 카라기난(Carrageenan), 아가(Agar), 만난(Manan), 구아검(Gua gum) 키토산(Chitosan),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플루로닉(Pluronic), 잔탄검(xanthan gum), 타라검(tara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및 겔란(gell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만난은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겔화 고분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채취한 것을 분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과 혼합되는,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겔화 고분자는 용액 총 중량의 0.05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된다. 일 예로, 상기 겔화 고분자는 용액 총 중량의 0.1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겔화 고분자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일정한 형태의 캡슐을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캡슐의 강도가 약해 캡슐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겔화 고분자의 함량이 10 중량%을 초과할 경우 캡슐의 강도가 높아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액은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은, 상기 혼합액에 0.00001 내지 1중량%로 포함된다.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피부 효능을 내기 어렵고 1 중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감 및 향취에 큰 영향을 주어 화장품에 사용하기 부적합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에서 콘키올린은 0.000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방법은 콘키올린 또는 겔화 고분자를 파괴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2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에 떨어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겔화 고분자의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은 0.05 내지 5M 농도인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0.1 내지 1M의 농도일 수 있다. 칼슘클로라이드의 농도는 겔화 고분자의 가교결합, 즉 캡슐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칼슘클로라이드의 농도가 0.05M 이하인 경우 캡슐의 강도가 약해 파손되기 쉬우며, 5M 이상인 경우 캡슐의 강도가 강해 사용성이 좋지 않다.
상기 제조방법은, 제2단계에서 제조된 캡슐을 세척하여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을 제거하는 제3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용액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0 ℃, 40 ℃, 45 ℃, 및 온도가 순환되는 사이클 챔버에서 보관한 후 침전 및 석출 발생여부를 관찰한 결과, 캡슐화하지 않은 콘키올린에 비하여 침전이나 석출 없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표 2), 보관 중의 경시 변화 또한 적어 저장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4).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슐 조성물에 포함되는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은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보습활성,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세럼, 화장연고, 스프레이, 오일젤,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부활초 추출물,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1 ~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0.05 ~ 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영양화장수 또는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부활초 추출물,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의 오일 5 ~ 20 중량% 및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밀납 등의 왁스 3 ~ 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크림은 본 발명의 부활초 추출물,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 ~ 7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센스는 본 발명의 부활초 추출물,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3 ~ 3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팩은 본 발명의 부활초 추출물,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폴리 비닐알코올 5 ~ 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 티탄 등의 안료가 5 ~ 30 중량% 함유된 워시 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슐 조성물에 포함되는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항염증 또는 항산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반점, 및 검버섯을 포함하는 과색소 침착증(hyperpigmentation), 또는 흑색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슐 조성물에 포함되는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은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기미, 주근깨, 반점, 및 검버섯을 포함하는 과색소 침착증(hyperpigmentation), 또는 흑색종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캡슐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과색소 침착증 또는 흑색종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콘키올린은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피부 보습, 항염증, 항산화 또는 미백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화된 콘키올린은, 캡슐화되지 않은 콘키올린에 비하여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이 가열, 교반, 압력, 진동과 같은 물리적인 자극이나 산, 염기, 유기용매, 요소,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적인 요인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를 화장료 제형 내에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이 함유된 캡슐 조성물 제조
먼저, 정제수에 알진(Sodium Alginate) 파우더를 3중량%가 되도록 넣고 Disper Mixer를 사용하여 1500RPM으로 30분간 완전히 분산시켜 알진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알진 분산액에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총 조성물 대비 0.01 중량% 가 되도록 넣고 Disper Mixer를 이용하여 1500RPM으로 10분간 완전히 분산시켰다. 상기 제조된 분산액을 50ml 시린지를 이용하여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에 천천히 떨어뜨려 가교결합 시킴으로써,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한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캡슐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 2, 비교예 1,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캡슐화한 콘키올린 0.01 - - -
캡슐화한 가수분해 콘키올린 - 0.01 - -
콘키올린 - - 10 -
가수분해 콘키올린 - - -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메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글리세린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세테아릴알코올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2 2 2
스쿠알란 5 5 5 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조성물을 0 ℃, 40 ℃, 45 ℃, 사이클 챔버(cycle chamber, -10℃-> 45℃ -> -10℃) 에서 2개월간 보관한 후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는 침전 및 석출 발생 여부에 따라 매우 양호: O, 미량 침전 및 석출: △, 과량 침전 및 석출: X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캡슐화한 콘키올린 또는 캡슐화한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실시예 1, 2의 조성물은 비교예 1, 2의 조성물에 비해 콘키올린 및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침전이나 석출 없이 안정하게 함유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50℃ O O X
45℃ O O X
40℃ O O X O
0℃ O O X O
사이클 챔버 O O X
실온 O O X O
실험예 2. 캡슐화 과정에서 콘키올린 함량의 보존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알진 분산액과, 이를 캡슐화한 캡슐 조성물에 있어서,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 (μg/ml)
콘키올린 알진 분산액 917
캡슐 조성물 901
가수분해 콘키올린 알진 분산액 957
캡슐 조성물 944
그 결과, 알진 분산액을 칼슘클로라이드에 떨어트려 캡슐화시키는 과정에서 단백질(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의 손실양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저장 안정성 확인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콘키올린, 가수분해 콘키올린의 피크면적을 확인하여 농도를 산출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보관한 후, 보관 중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콘키올린
함량
(μg/ml)
실시예2
가수분해 콘키올린
함량
(μg/ml)
비교예1
콘키올린
함량
(μg/ml)
비교예2
가수분해 콘키올린
함량
(μg/ml)
50℃ 78 82 35 41
45℃ 84 85 42 53
40℃ 86 88 51 62
0℃ 90 90 55 68
사이클 챔버 82 82 32 56
실온 89 91 62 75
보관 전 91 92 88 90
경시 변화란 일정 조건 하에서 물질을 보존할 때, 성상, 품질 등이 경시적으로 일으키는 변화를 의미한다. 실험 결과, 상기 표와 같이 캡슐화한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실시예 1, 2의 조성물은 경시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 캡슐화하지 않은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비교예 1, 2 의 조성물은 경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캡슐화한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캡슐화 콘키올린을 제조하기 위한,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및 0.05 내지 10 중량%의 겔화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0.05 내지 5M 농도의 칼슘클로라이드 용액과 혼합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콘키올린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은 상기 혼합액에 0.0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알진, 카라기난, 아가, 만난, 구아검, 키토산, 로커스트빈검, 플루로닉, 잔탄검, 타라검, 타마린드검, 및 겔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알진인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조성물은 콘키올린 또는 가수분해 콘키올린을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제2단계에서 제조된 캡슐을 세척하여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을 제거하는 제3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클로라이드 용액은 0.1 내지 1M의 농도인 것인,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형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캡슐 조성물.
  10. 제9항의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03512A 2015-01-09 2015-01-09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12A KR102309957B1 (ko) 2015-01-09 2015-01-09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12A KR102309957B1 (ko) 2015-01-09 2015-01-09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92A KR20160086492A (ko) 2016-07-20
KR102309957B1 true KR102309957B1 (ko) 2021-10-08

Family

ID=5667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512A KR102309957B1 (ko) 2015-01-09 2015-01-09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789A (ja) 2005-11-16 2007-06-07 Nippon Shokuhin Kako Co Ltd 顆粒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224B2 (ja) * 1991-06-26 1998-09-17 三粧化研株式会社 化粧用品
CN100460013C (zh) * 2006-09-05 2009-02-11 重庆康卫生物科技有限公司 口服重组幽门螺杆菌疫苗及其制备方法
KR20100005861A (ko) * 2008-07-08 2010-01-18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패각류 유래의 수용성 콘키올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81527B1 (ko) * 2011-09-20 2013-07-03 주식회사 이레프 실리콘 겔 조성물 및 이로부터 구형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789A (ja) 2005-11-16 2007-06-07 Nippon Shokuhin Kako Co Ltd 顆粒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92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22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5996156B2 (ja) 美肌用遺伝子発現促進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用組成物及び美肌用組成物
JP2008088123A (ja) 美肌用組成物
JP2008291004A (ja) 美肌用組成物
JP2009256309A (ja) 脂肪代謝改善遺伝子発現促進剤および糖尿病予防関連遺伝子発現促進剤
JP2018177782A (ja) カテキン脂肪酸誘導体の化粧料
JP2008074816A (ja) 生体内抗酸化剤
JP6235779B2 (ja) 葉酸含有組成物及び葉酸の安定化方法
JP2003063926A (ja) 美肌用組成物
WO2015015816A1 (ja) 繊維芽細胞賦活剤
JP2014114216A (ja) エストラジオール生成促進剤
JP6256770B2 (ja) 口腔ケア組成物、錠剤、顆粒状薬剤
JP2008031123A (ja) 肝保護剤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JP2004107245A (ja) 目元のくすみ・クマ・むくみ改善用キット
JP6529119B2 (ja) Nrf2関連遺伝子発現促進剤
JP2017132703A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2309957B1 (ko) 캡슐화한 콘키올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8106023A (ja) エストラジオール生成促進剤
JP7007788B2 (ja) 毛穴目立ち予防・改善剤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JP2008106029A (ja) 生体内脂質過酸化抑制剤
JP2004107242A (ja) 乾燥肌改善用キット
JP6570112B2 (ja) 医薬品の製造方法
JP2016108253A (ja) スキンケア化粧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