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45B1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945B1
KR102309945B1 KR1020217005062A KR20217005062A KR102309945B1 KR 102309945 B1 KR102309945 B1 KR 102309945B1 KR 1020217005062 A KR1020217005062 A KR 1020217005062A KR 20217005062 A KR20217005062 A KR 20217005062A KR 102309945 B1 KR102309945 B1 KR 10230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user terminal
value
magnetic fiel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수
심상우
Original Assignee
심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용수 filed Critical 심용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4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7/00Measuring gravitational fields or waves; Gravimetr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7/02Details
    • G01V7/04Electric, photoelectric, or magnetic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자력측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자계 센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 된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을 포함하는 3축 지자계 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내장된 지자계 센서를 활용하는 활선 감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별도의 활선 감지 기기가 없어도 주변의 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활선작업이란 선로가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작업 및 정상적인 정전절차를 거치지 않은 정전된 선로에서의 작업을 의미한다. 배전 활선작업은 고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선로나 기기에서 배전 활선전공이 활선공구 및 활선장비를 사용하여 활선작업공법 및 안전작업수칙에 따라 시행하는 작업을 뜻한다.
국내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무정전 작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활선 재해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2016년부터 2018년 까지 3년간 감전 사고는 1600여명에 달하고 사망자는 54명에 달할 정도로 활선으로 인한 재해는 안전 사고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편에 속하고 있다.
활선 작업 근로자는 고압의 전선에 노출되는 위험한 활선 작업을 수행하지만, 그 위험성에 대비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장치는 열악한 형편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로써,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폰에 스마트폰 케이스 모양의 활선 감지 기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번거로움과 별도의 활선 감지 기기를 구매해야 하는 등의 비용 발생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활선 감지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활선 작업을 진행 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통하여 별도의 활선 감지 기기를 구매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활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통신 기능을 통하여 위험 구역 공유 및 접근 금지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주변에 인지 하지 못한 활선에 의한 감전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자력측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자계 센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 된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을 포함하는 3축 지자계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축 지자계 값에서 상기 X축 지자계 값, 상기 Y축 지자계 값, 상기 Z축 지자계 값을 X, Y, Z 라고 할 때,
Figure 112021020389267-pct00001
을 통하여, 상기 자력측정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하여,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를 수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하여, 측정 지점의 상기 활선 자력 정보 및 활선 근접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자력 측정값이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알람을 작동하도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값은 상기 활선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거리 및 상기 활선에 흐르는 전기의 전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알람은, 진동, 경고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카메라 플래시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방법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알람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을 공유하거나, 타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지자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자력측정 값으로 변환하되,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지자계 센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 된 상기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을 포함하는 3축 지자계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통하여 종래에 는 반드시 필요로 했던 별도의 부속 장비 없이 활선을 감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주변에 감지 하지 못한 활선에 대한 위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활선에 의한 감전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따르는 활선 감지 장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고압전선 송전탑과 고압전선 송전탑에서의 자기장을 측정 값을 보여주는 이미지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지자계 센서 (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타 사용자 단말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단말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자계 센서(Geo-magnetic sensor)(140)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데 X축, Y축, Z축 3축에 대한 지자기를 uT(마이크로테슬라)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계 센서(140)은 자기저항 효과 또는 홀 효과를 이용하는 센서로 자기장에 따라 반도체 또는 금속재료의 저항이 변하는 현상을 통하여 자기장과 저항의 관계로부터 지자기를 유추하거나, 반도체 재료에 자기장의 수직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게 되면, 자기장과 전류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압을 홀전압이라 하고, 이를 측정하여 역으로 자기장을 유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 된 지자계 센서(140)는 3차원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력, 자기력을 측정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변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고압 전선의 영향으로 변회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고압선의 존재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은 우선,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지자계 센서(140)를 통하여 지자계 센서(140) 측정 값을 수집 할 수 있다. (S510) 지자계 센서(140)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 할 수 있다.
이 때, 수집되는 지자계 센서(140)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으로 이루어진 3축 지자계 센서(140) 값일 수 있다.
수집 된 지자계 센서(140) 값을 자력 측정 값으로 변환 할 수 있다. (S520)
사용자 단말(100)의 지자계 센서(140)를 통하여 측정되고 수집 된 지자계 센서(140) 값은 기 설정된 자력 측정 변환식에 대입되어 자력 측정 값으로 변환 될 수 있다.
이 때, 자력 측정 변환식은 아래 [수학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21020389267-pct00002
을 통하여 수집 된 지자계 센서(140) 측정 값을 자력 측정 값으로 변환 할 수 있으며, X, Y, Z는 지자계 센서(140) 값으로서 상세하게 X는 X축 지자계 값, Y는 Y축 지자계 값, Z는 Z축 지자계 값 일 수 있다.
이 때, 변환 된 자력 측정 값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으로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를 수치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으로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 및 활선 근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활선 자력 정보는 측정 지점에서의 활선의 자력 정도에 대한 정보 일 수 있으며, 활선 근접 정보는 측정 지점에서 활선까지의 거리 정보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을 통하여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를 제공할 때, 그래프 또는 직관적으로 위험신호 또는 안전신호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하여 제공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 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알람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S530)
여기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자력 측정 값이 기준 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는 고압 전선의 송전탑과 고압 전선 송전탑의 자기장을 측정한 데이터로, 도 4는 고압 전선의 송전탑과 고압 전선 송전탑의 자기장 측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고압 전선의 송전탑과 고압 전선 송전탑의 자기장을 측정한 데이터는 송전선 거리에 따른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현장 측정 평균값 및 송전선거리에 따른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연중 평균 추정 값을 기초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송전선 거리에 따른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현장 측정 평균값은 아래 [표1]과 같으며, 표 1에서 가로 축은 사용자 단말(100)과 활선과의 거리를 의미하고, 세로 축은 활선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0389267-pct00003
송전선거리에 따른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연중 평균 추정 값은 아래 [표2]와 같으며, 표 2에서 가로 축은 사용자 단말(100)과 활선과의 거리를 의미하고, 세로 축은 활선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0389267-pct00004
기준 값은 활선과 사용자 단말(100)간의 거리 및 활선에 흐르는 전기의 전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기준 값이 3으로 설정된 경우, 위의 표1 및 표2에서 사선 패턴이 표시된 부분의 수치는 기준 값 이상이므로 사선 패턴이 표시된 거리 및 전압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알림은 진동, 경고음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카메라의 플래시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방법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활선이 감지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타 객체(타 사용자 단말, 타 스마트워치, 또는 서버 등)로 공유하거나 타 객체가 활선이 감지된 지역에 접근 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해당 객체의 단말로 제공 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이 감지한 자력 측정 값을 일정 수치를 기준으로 자력 등급을 나누어 자력 등급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작동하는 알람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력 등급이 높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알람 소리를 최대치로 작동 하거나, 진동과 알람을 동시에 울리는 방식으로 경고 알람을 등급에 따라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 신호를 수집하여, 근접한 위치에 복수의 신호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거나, 인접한 위치에 있는 타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활선 작업은 적어도 2명 이상의 인원이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으로써, 활선이 감지 된 상황에서 적어도 2명 이상의 인원이 근접한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 알람을 통하여 타 사용자 단말(100)로 복수의 인원이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감지된 활선의 자력 측정 값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 된 시간의 자력 값을 저장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는 자기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된 자기장의 크기를 포함한 질병을 유발하는 요소를 추적하여 상관관계에 있는 질병 유발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위험 수준에 올라있는 작업자에 알람을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자에게 건강정보가 위험한 수준에 올라있는 사용자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선의 자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작업자의 업무시간과 작업하는 동안의 자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서버로 전송 하면 일상생활에서의 자력 상태에 대한 기준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자력 상태에 대한 기준 값과 작업자가 활선 작업을 위하여 활선에 접근하는 경우의 자력값은 변화가 생기므로, 측정된 자력의 변화를 통하여 작업자의 업무 시작 및 업무 종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자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작업자가 업무시간 동안 작업자에게 노출된 자력값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기 입력 또는 자동추출을 통해 수집하여 자력노출 값과 자력노출 시간에 따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각 사용자마다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질병이 발생한 경우, 다른 사용자들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산재 영향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서버가 수집한 빅데이터에 의하면, 타 사용자들의 경우, 6년간 200uT의 활선 자력에 주4회 노출된 이후, 심박수 변화나 고혈압 등의 질병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사용자가 6년간 250uT의 활선 자력에 주5회 노출된 이후에 백혈병 등이 발병했다면, 기존 타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한 빅데이터를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타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스마트워치 혹은 사용자 단말(스마트폰)로 제공해줄 수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측정한 자력값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한 업무 종류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업무 별로 평균 자력값이 수집될 수 있다. 이 후, 동일한 업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자력 값보다 훨씬 높은 자력값이 수신되는 경우, 과도한 전자파에 노출된 우려가 있으므로, 알림이나 경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작업 중단 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의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자력측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측정한 상기 자력측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종류를 입력 받아 저장하여 각 업무 별로 상기 자력측정 값의 평균 값을 수집하고, 동일한 업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자력 값보다 훨씬 높은 상기 자력측정 값이 수신되는 경우, 과도한 전자파에 노출된 것을 판단하여, 알림 및 경고를 통하여 작업 중단요청을 알리는 단계; 및
    (d)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GPS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GPS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GPS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감지된 활선의 자력 측정 값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 된 시간의 자력 값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가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 된 시간의 자력 값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업데이트하되, 다른 사용자들의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된 시간의 자력 값과 비교함으로써 위험 수준에 올라있는 사용자의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하여,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를 수치로 제공하되, 측정 지점의 상기 활선 자력 정보 및 활선 근접 정보를 그래프, 위험신호 및 안전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알람은, 진동, 경고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카메라 플래시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방식인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을 타 단말로 전송하거나, 타 단말이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타 단말에 경고 알람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한 자력 측정 값을 일정 수치를 기준으로 자력 등급을 나누어 자력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작동하는 알람을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지자계 센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 된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을 포함하는 3축 지자계 값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축 지자계 값에서 상기 X축 지자계 값, 상기 Y축 지자계 값, 상기 Z축 지자계 값을 X, Y, Z 라고 할 때,
    Figure 112021020389267-pct00005

    을 통하여, 상기 자력측정 값을 추출하는 것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자력 측정값이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알람을 작동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것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은 상기 활선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거리 및 상기 활선에 흐르는 전기의 전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지자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의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을 자력측정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자력측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경보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측정한 상기 자력측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종류를 입력 받아 저장하여 각 업무 별로 상기 자력측정 값의 평균 값을 수집하고, 동일한 업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자력 값보다 훨씬 높은 상기 자력측정 값이 수신되는 경우, 과도한 전자파에 노출된 것을 판단하여, 알림 및 경고를 통하여 작업 중단요청을 알리는 단계; 및
    (d)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GPS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GPS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GPS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감지된 활선의 자력 측정 값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 된 시간의 자력 값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가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 된 시간의 자력 값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업데이트하되, 다른 사용자들의 자력에 노출된 시간 및 노출된 시간의 자력 값과 비교함으로써 위험 수준에 올라있는 사용자의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하여, 측정 지점의 활선 자력 정보를 수치로 제공하되, 측정 지점의 상기 활선 자력 정보 및 활선 근접 정보를 그래프, 위험신호 및 안전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알람은, 진동, 경고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카메라 플래시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는 방식인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을 타 단말로 전송하거나, 타 단말이 상기 활선이 감지된 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타 단말에 경고 알람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한 자력 측정 값을 일정 수치를 기준으로 자력 등급을 나누어 자력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작동하는 알람을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지자계 센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 된 지자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지자계 센서 측정 값은 X축 지자계 값, Y축 지자계 값, Z축 지자계 값을 포함하는 3축 지자계 값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217005062A 2021-02-08 2021-02-08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KR10230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1622 WO2022169008A1 (ko) 2021-02-08 2021-02-08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945B1 true KR102309945B1 (ko) 2021-10-08

Family

ID=7860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62A KR102309945B1 (ko) 2021-02-08 2021-02-08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9945B1 (ko)
WO (1) WO20221690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020A (ko) * 2017-07-26 2019-02-08 한국전력공사 웨어러블 활선 접근 경보 기기
KR102159505B1 (ko) * 2020-03-03 2020-09-24 대명지이씨(주) 활선 감지 스마트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420B1 (ko) * 2013-08-02 2014-11-19 박성용 사용자위험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474232Y1 (ko) * 2013-08-27 2014-08-2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휴대폰을 활용한 활선 검지 및 경보 장치
ES2879851T3 (es) * 2016-12-12 2021-11-23 Safeguard Equipment Inc Dispositivo de advertencia de detección de energí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020A (ko) * 2017-07-26 2019-02-08 한국전력공사 웨어러블 활선 접근 경보 기기
KR102159505B1 (ko) * 2020-03-03 2020-09-24 대명지이씨(주) 활선 감지 스마트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9008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612B2 (en) Method for responding to a detected fall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180165938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309946B1 (ko) 스마트 워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JPWO201513319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76131B2 (en) Video collection system, video collection server, video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31985A (ko) 모바일 기기와 협력하여 위험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58600B2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マスキング処理方法
KR20160050992A (ko) 구조정보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9852601B1 (en) Close range monitoring
CN109800656B (zh) 定位方法及相关产品
CN110602646A (zh) 社区人员活动路径追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309945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CN213457742U (zh) 一种焊接作业监控系统
KR101017925B1 (ko) Cctv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9287A (ko)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태그 시스템
CN115953815A (zh) 基建现场的监测方法及装置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177408B1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情報取得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60090049A (ko) 차량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6282960B2 (ja) 情報プッシュ方法および装置
JP6807247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7124510B (zh) 一种智能终端的安全监测方法及装置
CN207665106U (zh) 一种智能装备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