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772B1 -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772B1
KR102309772B1 KR1020190114488A KR20190114488A KR102309772B1 KR 102309772 B1 KR102309772 B1 KR 102309772B1 KR 1020190114488 A KR1020190114488 A KR 1020190114488A KR 20190114488 A KR20190114488 A KR 20190114488A KR 102309772 B1 KR102309772 B1 KR 10230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 air
opening
hole
closing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145A (ko
Inventor
허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밀리
Priority to KR102019011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7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를 순환하는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판에 응집되게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효과를 향상됨으로써 반려동물의 털을 모두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Rapid drying equipment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를 순환하는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판에 응집되게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나 독신가구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많은 이유로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키워지는 개나 고양이 말고도 기타 다른 포유류나 파충류와 양서류 등이 반려동물로 많이 선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는 폐쇄된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같이 오픈된 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청결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이에 자주 목욕을 시켜 냄새와 악취 제거 및 털에 포함된 여러 해로운 입자들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반려동물을 목욕시킨 후에 털을 충분히 말리지 않으면, 반려동물의 특성상 몸을 심하게 흔들어 물기를 털어내고 이 때 털과 물들이 주변에 비산되기 때문에 수건이나 드라이기로 반려동물의 털을 모두 말려주어야 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반려동물을 수건으로 닦는 동안 반려동물이 저항하는 경우가 많아 양육자와 반려동물 모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많고, 또한, 반려동물 건조시 털 등이 날리거나 수분이 주변에 튀는 경우가 많아 반려동물을 건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내부를 순환하는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판에 응집되게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8호 (2015.03.24.)
본 발명은 내부를 순환하는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판에 응집되게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가열시켜 온풍(h1)을 생성하는 온풍기(110)가 내부에 설치된 온풍생성부(100)와, 상기 온풍생성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반려동물(1)이 수용되는 펫수용부(230)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온풍생성부(100)는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h1)을 송풍부(240)로 배출하는 배출구(120)와,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펫수용부(230)로 유입된 온풍(h3)을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구(130)와, 온풍생성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공기(w)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1관통공(140)과, 제1관통공(140)을 감싸면서 온풍생성부(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1관통공(14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재(150)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제1관통공(14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w)를 정화하는 제1필터(160)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구(1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온풍(h3)을 정화하는 제2필터(17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펫수용부(23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투명유리 재질의 도어(210)와, 상기 펫수용부(230)의 하측에 형성되되, 송풍부(240) 내부의 온풍(h2)을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공(221)이 형성된 착탈식의 발판(220)과,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온풍(h2)을 유입하여 펫수용부(230)로 배출하는 송풍부(240)와,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펫수용부(230)의 온풍(h3)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관통공(250)과, 제2관통공(250)을 감싸면서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2관통공(25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재(260)와, 펫수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x)를 측정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1기준값(m1) 이상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고,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2기준값(m2) 이하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는 이산화탄소센서(2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300)는 제습부(3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311) 및 열을 방출하는 방열면(312)이 상하로 구비된 열전소자(310)와, 상기 열전소자(310)의 흡열면(311)에 면접촉되어, 온풍(h2)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m)이 응결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냉각판(320)과, 상기 열전소자(310)의 방열면(312)에 면접촉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330)과, 상기 방열판(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방열판(330)의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340)과, 상기 냉각판(320)의 상부에 설치되되, 냉각판(320)에 응결되는 수분(m)을 흡수하는 제습제(351)를 내부에 포함하는 부직포 재질의 제습팩(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효과를 향상됨으로써 반려동물의 털을 모두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2관통공이 폐쇄된 상태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2관통공이 개방된 상태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이산화탄소 센서의 동작에 의해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산소 센서의 동작에 의해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내부를 순환화는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판에 응집되게 함으로써 제습효과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2관통공이 폐쇄된 상태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제1,2관통공이 개방된 상태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이산화탄소 센서의 동작에 의해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산소 센서의 동작에 의해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는 온풍생성부(100)와, 상기 온풍생성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풍생성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온풍생성부(100)는 온풍을 생성하는 부분으로서, 온풍기(110), 배출구(120), 유입구(130), 제1관통공(140), 제1개폐부재(150), 제1필터(160), 제2필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풍기(110)에 대해 설명한다. 온풍기(110)는 온풍생성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온풍생성부(10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온풍(h1)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온풍기(110)는 히터와 송풍기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 후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풍(h1)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온풍(h1)은 30~40℃ 정도의 고온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온풍기(110)로 유입되는 공기는 후술할 유입구(130)를 통과한 온풍(h3)이거나, 또는 후술할 제1관통공(140)을 통과한 외부공기(w)일 수 있다.
배출구(120)는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h1)이 송풍부(240)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유입구(130)는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펫수용부(230)로 유입된 온풍(h3)이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h1)은 배출구(120)를 통하여 송풍부(240)로 배출되고, 송풍부(240)를 순환하는 온풍(h2)은 후술할 유입공(221)을 통하여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되고,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된 온풍(h3)은 유입구(130)를 통하여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도 2는 제1,2관통공이 폐쇄된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관통공(14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관통공(140)은 온풍생성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공기(w)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는 내부에 온풍(h1,h2,h3)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온풍기(11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내부를 순환하는 온풍(h1,h2,h3)은 시간이 지날 수록 탁해지기 때문에, 펫수용부(230)에 위치한 반려동물(1)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적절한 환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40)를 통하여 신선한 외부공기(w)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후술할 제2관통공(250)을 통하여 탁해진 내부 온풍(h3)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제1,2관통공이 개방된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개폐부재(15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개폐부재(150)는 제1관통공(140)을 감싸면서 온풍생성부(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1관통공(14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제1개폐부재(150)는 온풍기(110)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관통공(140)을 폐쇄시키거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제1관통공(14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방 또는 폐쇄는 이산화탄소센서(270) 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필터(160)에 대해 설명한다. 제1필터(160)는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w)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필터(160)는 외부공기(w)가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될 때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제2필터(170)에 대해 설명한다. 제2필터(170)는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구(1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온풍(h3)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필터(170)는 온풍(h3)이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될 때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 반려동물(1)의 털이나 이물질이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본체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200)는 반려동물(1)이 수용되는 펫수용부(230)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로 도어(210), 발판(220), 송풍부(240), 제2관통공(250), 제2개폐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210)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210)는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펫수용부(23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어(210)를 열고 펫수용부(230) 내부로 반려동물(1)을 넣은 후 도어(210)를 닫고 온풍기(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펫수용부(230) 내부에 수용된 반려동물(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210)의 재질로는 투명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지 아니한다.
발판(220)에 대해 설명한다. 발판(220)은 반려동물(1)이 올라설 수 있도록 펫수용부(2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발판(220)에는 유입공(2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부(240) 내부의 온풍이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발판(22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판(220)은 착탈식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지 아니한다.
송풍부(240)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부(240)는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온풍을 유입하여 펫수용부(23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h1)은 배출구(120)를 통하여 송풍부(240)로 배출되고, 송풍부(240)를 순환하는 온풍(h2)은 유입공(221)을 통하여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된다.
제2관통공(2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관통공(250)은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펫수용부(230)의 온풍(h3)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40)을 통하여 신선한 외부공기(w)가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제2관통홀(250)을 통하여 펫수용부(230)의 탁해진 온풍(h3)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제2개폐부재(260)에 대해 설명한다. 제2개폐부재(260)는 제2관통공(250)을 감싸면서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2관통공(25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개폐부재(150)와 마찬가지로, 제2개폐부재(260) 또한 온풍기(110)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관통공(250)을 폐쇄시키거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제2관통공(25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산화탄소센서(2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산화탄소센서(270)는 펫수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x)를 측정하여(S100),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1기준값(m1) 이상일 때(S200),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고(S300),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2기준값(m2) 이하일 때(S500),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S600).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1기준값(m1) 이상일 때, 알람을 먼저 울려서 수동개폐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도록 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가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2000ppm 이상일 때, 반려동물(1)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준값(m1)을 1000ppm 으로 설정하고, 제2기준값(m2)을 2000ppm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농도(x)가 2000ppm 이상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하여(S400) 이산화탄소 농도(x)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x)가 1000ppm 이하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하여(S700) 내부 에너지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즉,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2000ppm 사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1,2기준값(m1,m2)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려동물(1)의 크기, 나이, 질병유무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전송받은 제1,2개폐부재(150,260)는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함으로써, 외부공기(w)가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펫수용부(230) 내부의 온풍(h3)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전송받은 제1,2개폐부재(150,260)는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함으로써, 온풍(h1,h2,h3) 만으로 내부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은 산소 센서의 동작에 의해 제1,2관통공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산소센서(2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산소센서(280)는 펫수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산소농도(y)를 측정하여(S110), 측정된 산소농도(y)가 제3기준값(m3) 이하일 때(S210),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고(S310), 측정된 산소농도(y)가 제4기준값(m4) 이상일 때(S510),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S610).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산소농도(y)가 제3기준값(m3) 이하일 때, 알람을 먼저 울려서 수동개폐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도록 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가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가 18% 이하일 때, 반려동물(1)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3기준값(m3)을 18% 으로 설정하고, 제4기준값(m4)을 22% 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산소 농도(x)가 18% 이하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하여(S410) 이산화탄소 농도(x)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x)가 22% 이상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하여(S710) 내부 에너지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즉,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18~22% 사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3,4기준값(m3,m4)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려동물(1)의 크기, 나이, 질병유무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습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부(300)는 본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습부(300)는 열전소자(310), 냉각판(320), 방열판(330), 냉각팬(340), 제습팩(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제1,2관통공이 폐쇄된 상태의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열전소자(3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310)는 제습부(300)의 내부에 형성되되, 흡열면(311) 및 방열면(312)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다.
열전소자(310)는 펠티어 소자라고도 하는데, 열전소자(310)에 전원을 넣어주면 한쪽 면은 열을 흡수하고, 다른 쪽 면은 열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열을 흡수하는 면을 흡열면(311), 열을 방출하는 면을 방열면(312)이라고 정의한다.
냉각판(320)에 대해 설명한다. 냉각판(320)은 상기 열전소자(310)의 흡열면(321)에 면접촉되는 부분이다. 열전소자(310)의 흡열면(321)은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흡열면(321)에 면접촉되는 냉각판(320)은 차가워지게 된다. 상기 냉각판(32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냉각판(320) 상부를 지나는 온풍(h2)이 냉각판(320)에 접촉하면, 냉각판(32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결로현상에 의해 냉각판(320) 표면에 수분(m)이 응결된다. 이렇게 수분(m)이 응결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온풍(h2)은 유입공(221)을 통하여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된다.
결국, 냉각판(320)에 수분(m)이 응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습기능에 의해 반려동물(1)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방열판(330)에 대해 설명한다. 방열판(330)은 상기 열전소자(310)의 방열면(322)에 면접촉되는 부분이다. 열전소자(310)의 방열면(322)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방열면(322)에 면접촉되는 방열판(330)은 뜨거워지게 된다. 상기 방열판(33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냉각팬(340)에 대해 설명한다. 냉각팬(340)은 상기 방열판(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방열판(330)의 열을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습팩(350)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팩(350)은 제습부(3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습제(351)가 포함되어 있어 냉각판(320)에 응결되는 수분(m)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습팩(350)은 주로 냉각판(320)에 응결되는 수분(m)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므로, 냉각판(3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제습팩(350) 내부에 포함되는 제습제(351)는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능이 강한 염화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카겔, 숯 등 제습기능을 가진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습제(351)를 감싸는 제습팩(350)은 습기가 잘 통과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온풍생성부
110 : 온풍기
120 : 배출구
130 : 유입구
140 : 제1관통공
150 : 개폐부재
160 : 제1필터
170 : 제2필터
200 : 본체부
210 : 도어
220 : 발판
221 : 유입공
230 : 펫수용부
240 : 송풍부
250 : 제2관통공
260 : 개폐부재
270 : 이산화탄소센서
280 : 산소센서
300 : 제습부
310 : 열전소자
311 : 흡열면
312 : 방열면
320 : 냉각판
330 : 방열판
340 : 냉각팬
350 : 제습팩
351 : 제습제
h1,h2,h3 : 온풍
m1 : 제1기준값
m2 : 제2기준값
m3 : 제3기준값
m4 : 제4기준값
w : 외부공기
x : 이산화탄소농도
y : 산소농도
S1 : 제1,2관통공 개방신호
S2 : 제1,2관통공 폐쇄신호

Claims (3)

  1. 공기를 가열시켜 온풍(h1)을 생성하는 온풍기(110)가 내부에 설치된 온풍생성부(100);
    상기 온풍생성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반려동물(1)이 수용되는 펫수용부(230)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온풍생성부(100)는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온풍기(110)에서 생성된 온풍(h1)을 송풍부(240)로 배출하는 배출구(120)와,
    온풍생성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펫수용부(230)로 유입된 온풍(h3)을 온풍생성부(100)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구(130)와,
    온풍생성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공기(w)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1관통공(140)과,
    제1관통공(140)을 감싸면서 온풍생성부(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1관통공(14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재(150)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제1관통공(14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w)를 정화하는 제1필터(160)와,
    온풍생성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구(1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온풍(h3)을 정화하는 제2필터(170)를 포함하고,

    상기 온풍기(110)는 히터와 송풍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펫수용부(23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투명유리 재질의 도어(210)와,
    상기 펫수용부(230)의 하측에 형성되되, 송풍부(240) 내부의 온풍(h2)을 펫수용부(230)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공(221)이 형성된 착탈식의 발판(220)과,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온풍(h2)을 유입하여 펫수용부(230)로 배출하는 송풍부(240)와,
    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펫수용부(230)의 온풍(h3)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관통공(250)과,
    제2관통공(250)을 감싸면서 본체부(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이산화탄소센서(270)에서 전송되는 개폐신호(S1,S2)에 따라 제2관통공(25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재(260)와,
    펫수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x)를 측정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1기준값(m1) 이상일 때 알람을 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고,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x)가 제2기준값(m2) 이하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는 이산화탄소센서(270)와,
    펫수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부(200) 내부 공기 중의 산소농도(y)를 측정하여, 측정된 산소농도(y)가 제3기준값(m3) 이하일 때 알람을 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제1,2관통공(140,250)을 개방시키는 신호(S1)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고, 측정된 산소농도(y)가 제4기준값(m4) 이상일 때 제1,2관통공(140,250)을 폐쇄시키는 신호(S2)를 제1,2개폐부재(150,260)에 전송하는 산소센서(2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300)는
    제습부(3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311) 및 열을 방출하는 방열면(312)이 상하로 구비된 열전소자(310)와,
    상기 열전소자(310)의 흡열면(311)에 면접촉되어, 온풍(h2)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m)이 응결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냉각판(320)과,
    상기 열전소자(310)의 방열면(312)에 면접촉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330)과,
    상기 방열판(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방열판(330)의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340)과,
    상기 냉각판(320)의 상부에 설치되되, 냉각판(320)에 응결되는 수분(m)을 흡수하는 제습제(351)를 내부에 포함하는 부직포 재질의 제습팩(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제(351)는
    염화칼슘, 실리카겔, 숯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4488A 2019-09-18 2019-09-18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KR10230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88A KR102309772B1 (ko) 2019-09-18 2019-09-18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88A KR102309772B1 (ko) 2019-09-18 2019-09-18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45A KR20210033145A (ko) 2021-03-26
KR102309772B1 true KR102309772B1 (ko) 2021-10-07

Family

ID=7525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88A KR102309772B1 (ko) 2019-09-18 2019-09-18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759A1 (ko) * 2022-11-18 2024-05-23 (주)오토일렉스 동물용 인큐베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38A (ja) 2004-09-03 2006-03-16 Shivas Techno Kk ペット洗浄乾燥機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982B2 (ja) * 1996-07-05 2001-07-11 株式会社東京メニックス 動物収容箱
JPH10150877A (ja) * 1996-11-22 1998-06-09 Tokyo Menitsukusu:Kk ペットその他動物等の収容箱
KR101609560B1 (ko) * 2014-07-22 2016-04-06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200476748Y1 (ko)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170057018A (ko) * 2015-11-16 2017-05-24 코웨이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38A (ja) 2004-09-03 2006-03-16 Shivas Techno Kk ペット洗浄乾燥機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45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6768A (en) Infra-red and ultra-violet air purifying apparatus
KR100577214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JP6550142B2 (ja) 愛玩動物用乾燥装置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2309772B1 (ko)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20150057659A (ko) 제습기 및 제어방법
JP3186982B2 (ja) 動物収容箱
KR20180079538A (ko) 반려동물 냉난방 방석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102292899B1 (ko) 반려동물 쾌속건조장치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RU239161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перги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2463935B1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100433929B1 (ko) 위생신발장
KR20018765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021366B1 (ko) 소금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20210017344A (ko)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070093788A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17604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2360606B1 (ko) 스마트 펫 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