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544B1 -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544B1
KR102309544B1 KR1020160053536A KR20160053536A KR102309544B1 KR 102309544 B1 KR102309544 B1 KR 102309544B1 KR 1020160053536 A KR1020160053536 A KR 1020160053536A KR 20160053536 A KR20160053536 A KR 20160053536A KR 102309544 B1 KR102309544 B1 KR 10230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illars
beams
alo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6193A (en
Inventor
백성열
Original Assignee
(주)디큐브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큐브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디큐브파트너스
Publication of KR2017006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들,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단부가 기둥의 측면에 접합되어 기둥들을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고, 기둥과 모멘트 접합되어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보들,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기둥을 중심으로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제1연결보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보들 및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브라켓 설치 후 철골보를 얹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접합부가 복잡하고 시공성이 낮았던 기존과는 달리 브라켓이 불필요한 구조로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가 단순하여 시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을 제거하는 추가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pilla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ends are join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illars to connect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beams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direction,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aced apart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lumn around the column,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beams join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column is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column as the center, it provides a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including a concrete beam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bove, unlike the existing structure where the junction was complicated and the workability was low because it was installed in a way that the cheolgol beam was placed after the bracket was installed, the bracket was unnecessary. Since no process is required,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접합부가 단순하여 시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양방향 모멘트 골조구성을 가짐으로써 내진, 내풍 성능 확보가 가능한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lumn and a beam of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bracket, and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of the building is simple, so that constructability is high, and it is bidirectional. It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of a building that can secure seismic and wind-resistance performance by having a moment fram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역타공법에서는 본 건축물의 영구기둥이 되는 H형강 철골의 본부재를 선시공하고, 상기 본부재에 철골보 등의 수평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부재로 하여금 흙막이벽의 배면토압 및 역타과정 중의 시공하중(보와 슬래브의 자중 및 장비 등의 작업하중 등, 역타 시공 중 발생하는 하중을 의미한다)을 지지하게 하면서 작업을 진행한다.
In general, in the reverse drilling method of the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main member of the H-shaped steel frame, which becomes the permanent pillar of the main building, is pre-constructed, and horizontal members such as steel beams are installed in the main member, so that the horizontal member is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retaining wall. The work proceeds while supporting the construction load during the reverse driving process (meaning the load generated during the reverse driving construction, such as the self-weight of beams and slabs and the working load of equipment, etc.).

이러한 역타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512호는 영구기둥과 거더부재 사이에 이를 연결시키는 브라켓부재를 설치한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As 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such a reverse punching metho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29512 discloses a horizontal structural frame structure for construction in which a bracket member connecting it is installed between a permanent column and a girder member and a basement using the sam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has been disclos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브라켓 설치로 인한 기둥과 보의 접합부가 복잡하여 시공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건축 구조물을 완성 후 브라켓을 다시 제거해야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기 및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and beam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bracket is complicated, and thus the workability is low. There was a problem.

또한, 상기 종래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타설 중에는 보가 단순접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낮으며 강성이 낮아 처짐 방지 성능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1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is low because the beam is simply joined during pouring, the sagging prevention performance is low due to the low rigidity,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relatively low because the beam is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또한 종래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1방향으로만 모멘트 골조가 형성되어 상기 1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에 대해서는 모멘트 골조가 형성되지 않아 해당 방향에 대해서는 내진 및 내풍 성능을 확보할 수 없어, 내진, 내풍에 저항하지 않는 지하 골조에 대해서만 주로 활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ior art, the moment frame is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moment frame is not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so seismic and wind resistance performance cannot be secured in that direction.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mainly used only for non-resisting underground frames.

또한, 상기한 종래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브라켓 위에 철골보가 연속되게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 방향이 일자로 연속되어야만 하는 구조적 제약으로 인하여 기둥열이 불규칙한 이형 평면에는 적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has a problem of low applicability to a deformed plane with an irregular column column due to structural restrictions in which the beam direction must be continuous since the cheolgol beam must b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bracke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51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9512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이 불필요한 구조로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가 단순하여 시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을 제거하는 추가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고 양방향 모멘트 골조를 구현할 수 있어 양방향 내진, 내풍 성능 구현이 가능하고, 보 설치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비정형 건축물에도 적용이 용이한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lumn and a beam of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bracket, and the junction between the column and the beam is simple, so the workability is high, and an additional process of removing the bracket Since there is no need for this,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construction costs, and it has high structural stability and can implement a bi-directional moment frame,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bi-directional seismic and wind-resistanc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of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들,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기둥의 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기둥과 모멘트 접합되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보들,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보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보들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lumn and a beam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beams whose ends are join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illars to connect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moment-bonded with the pillars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edoe arranged, spaced apart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pillar with respect to the pillar,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eams joined to the first connection beam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beams facing the pillar as the center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column is buri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rete beam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하게 세워지고 철골보로 이루어진 기둥, 철골보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의 양 측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접합되고, 상기 기둥과 모멘트 접합되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연결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철골보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보와 강접합 또는 전단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보들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는 콘크리트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tically erected and made of cheolgolbo and is made of cheolgolbo and is joined to both sides of the colum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moment bonded to the column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pair of first connecting beam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lum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column, and made of cheolgolbo, a pair of first connecting beam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through a steel connection or shear joint It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column is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connecting beams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column as the cent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rete beam forming a momen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기둥들을 설치하는 단계, 횡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의 양 측면에 제1연결보들을 설치하되, 상기 제1연결보들의 각 단부를 상기 기둥의 측면에 접합하여 상기 기둥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는 단계, 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제2연결보들을 배치하고, 상기 제2연결보들의 단부 또는 측면부를 상기 제1연결보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둥들을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는 SRC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SRC보들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보들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ing a plurality of pilla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nstalling first connecting beams on both sides of the pillar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Connecting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by joining each end of the connecting beams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illars, placing second connecting beams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pillars around the pilla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nding the ends or side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s to the first connecting beams,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columns ar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center of the columns, so that the columns ar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beam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SRC beams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and forming a slab by pouring concrete over the first connecting beams so that the SRC beams are connected.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브라켓 설치 후 철골보를 얹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접합부가 복잡하고 시공성이 낮았던 기존과는 달리 브라켓이 불필요한 구조로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가 단순하여 시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을 제거하는 추가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First, unlike the existing structure in which the junction was complicated and the workability was low as it was installed in a way that the cheolgolbeam was placed after the bracket was installed, the bracket was unnecessary. Since there is no such th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둘째, 1방향으로만 모멘트 골조 구현이 가능한 종래기술과는 달리, 양방향 모멘트 골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양방향 내진, 내풍 성능 구현이 가능하다.
Second,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moment frame can be implemented only in one direction, since it can implement moment frame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eismic resistance and wind resistance in both directions.

셋째, 브라켓의 상부의 보를 강접으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꺽은 형태와 같은 경사가 있는 형태의 구현이 어려워 기둥열이 1자 형태의 정형적인 평면에서만 적용을 할 수 밖에 없는 종래와는 달리 제1연결보와 제2연결보의 전단접합이 가능하므로 기둥열이 일직선이 아닌 어긋난 경우에도 전단접합을 통하여 자유롭게 SRC보를 구성할 수 있어, 거의 모든 형태의 평면에 적용 가능하고 비정형 건축물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Third, since the beam on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must be formed by steel welding,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shape with an inclination such as a bent shape. Because shear joining of the 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is possible, even if the column columns are not straight, the SRC beam can be freely formed through shear joining, so it can be applied to almost all types of flat surfaces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irregular buildings.

넷째, 기둥과 제1연결보와의 연결을 강접합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단접합에 의한 타설 중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처짐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켜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urth,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umn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is strongly jo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lection that may occur during pouring due to the existing shear joint, as well as improve the defl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building. Structur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의 주요골조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에서 제1연결보와 SRC보로 인한 양방향 모멘트골조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에서 제4연결보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의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frames of a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moment frame configuration due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SRC beam in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rth connecting beam is joined in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FIG. 1;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to 11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building using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FIG. 1;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of FIG. 1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는, 복수개의 기둥(100)들과, 제1연결보(200)들과, 제2연결보(300)들과, 제3연결보(400)들과, 콘크리트보(5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illar and a beam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s 100 , a first connection beam 200 , and a second connection It includes beams 300 , third connecting beams 400 , and concrete beams 500 .

상기 기둥(100)들은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둥(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CFR 또는 일반 H형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횡 방향과 종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은 서로 직각방향을 이루는 방향이 아닌 통상적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경사진 다양한 방향도 가능함을 뜻한다.
The pillars 1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lumn 100 may be made of CFR or general H-be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 to a general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a direction formi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shown, meaning that various inclined directions are possible.

상기 제1연결보(200)들은 상기 기둥(100)들 사이 각각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기둥(100)의 상부 측면에 단부가 접합(도 6의 B참조)되어 상기 기둥(100)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한다.
The first connecting beams 200 are dispos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pillars 100, and their ends are joined to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pillars 100 (see B of FIG. 6) to form the pillars 10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여기서, 상기 기둥(100)과 상기 제1연결보(200)는 강접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처짐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골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llar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re rigidly joined to prevent sagging during concrete pouring, and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한편, 도면에서 상기 제1연결보(200)는 H형강보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100)과 일반 철골보 접합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다양한 골조 및 접합구조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보(200)는 도면에서 상기 기둥(100) 사이에 와이드 보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여러 개의 부재를 일직선으로 접합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is formed of an H-shaped steel beam, and is connected to the column 100 through a general cheolgolbo joint. Of course. In addition, although the connecting beam 200 is shown in the drawing as a wide beam between the pillars 10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nect and connect several members in a straight line as an embodiment.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상기 제1연결보(200)가 종래와 같이 브라켓의 상면으로 얹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기둥(100)의 측면에 강접합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브라켓과 같은 접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 및 공사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00)과 상기 제1연결보(200)가 강접합하기 때문에 타설 중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not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s in the prior art, but is strongly joi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100. Therefore, a separate member for bonding, such as a bracket, is unnecessary, so tha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construction costs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olumn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re strongly jo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that may occur during pouring,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performance.

상기 제2연결보(300)들은,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게 인접 배치된다. 상기 제2연결보(300)는 상기 제1연결보(200)들 사이 각각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연결보(200)의 측면과 접합된다(도 7의 C참조). 도면에서, 상기 제2연결보(300)는 철골보 구조의 상기 제1연결보(200)와 동일하게 H형강 철골보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계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pillar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s 200, respectively, and both ends are join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see C of FIG. 7 ). In the drawings,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shows the case of applying the H-beam steel cheolgolbo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of the cheolgolbo structure, but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한편, 상기 제2연결보(300)는 상기 제1연결보(200)와 강접합 또는 전단접합 중 접합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2연결보(300)와 상기 제1연결보(200)를 강접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키고 및 모멘트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2연결보(300)와 상기 제1연결보(200)를 전단접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도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보(200)와 상기 제2연결보(300)의 전단접합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에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may select a joint type among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nd a rigid joint or a shear joint.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can be rigidly welded to improve structural rigidity and form a moment structure, as well as to form a moment structure with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may also b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by shear bonding. Here, the point of forming various types of structures by shear bonding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3연결보(400)는,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기둥(100)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에 각각 접합되어 상기 제2연결보(300)의 처짐 및 향후 슬래브(510) 등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join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100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beam ( 300) and serves to suppor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future slab 51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4연결보(410)는, 상기 기둥(100)과 인접하게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기둥(100)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에 각각 접합되어, 상기 제2연결보(300)의 처짐과 상기 콘크리트보(500)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fourth connecting beam 410 is dispos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illar 100 , and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pilla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y are respectively joined to 300 , and serve to support the defl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and the horizontal load of the concrete beam 500 .

여기서, 상기 제3연결보(400)와 상기 제4연결보(410)는 각각 단부가 상기 제2연결보(300)의 측면으로 전단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치간격 및 개수 등은 건축물의 구조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Here,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ourth connecting beam 410 are preferably each e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through shear bond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pacing and number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design of the building.

상기 콘크리트보(500)는 상기 기둥(100)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100)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며(도 2참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크리트보(500)는 상기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RC(Reinforced Concrete)보 또는 SRC(Steel Reinforced Concrete)보를 적용할 수 있다.
The concrete beam 50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pillar 100 is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facing the pillar 100 as the center (see FIG. 2), and the bell It serves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direction. The concrete beam 500 may be RC (Reinforced Concrete) beam or SRC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uilding.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상기 기둥(100)에 대하여 상기 제1연결보(200)를 통한 횡 방향 모멘트골조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보(500)를 통한 종 방향 모멘트 골조를 이루어 양방향 모멘트 골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횡 방향 및 종 방향 모두에 대한 내진, 내풍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내진, 내풍에 저항하지 않는 지하 골조를 비롯하여 지상층 골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forms a moment fram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with respect to the column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concrete beam 500 It is designed to implement a two-way moment frame by forming a moment frame. Therefore,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can secure seismic and wind-resistance performance in both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nd thus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underground structure that does not resist earthquake and wind resistance, as well as an above-ground structure.

한편,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보(200)와 상기 제2연결보(300)가 전단 접합을 통하여 접합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상기한 전단접합을 통하여 상기 기둥(100)의 배열이 어긋나 평면상으로 비정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of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may be joined through shear bonding. Therefore,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can be applied to a building having an irregular shape in plan view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columns 100 is misaligned through the shear bonding described above.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기둥(100)들은 도 1과는 달리 종 방향 열에 대하여 어긋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둥열이 지그재그 형태의 비정형을 이루고 있다.
In contrast to this, referring to FIG. 4 , the pillars 100 are arranged to be shifted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olumn, unlike in FIG. 1 , so that the columnar column forms an irregular zigzag shape.

이러한 경우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상기 제2연결보(300a)의 단부와 상기 제1연결보(200)의 측면을 전단 접합을 통하여 연결하고(A부분), 이러한 전단접합을 통하여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제1연결보(200)에 대하여 상기 제2연결보(300)를 종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한다. 그러면,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의 자유로운 형태의 건축구조물에도 동일한 두께의 상기 콘크리트보(500)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connects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a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through shear bonding (part A), and the same interval through this shear bonding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is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to have a . Then, as shown, the concrete beam 500 of the same thickness can be formed even in an atypical, free-form building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기둥 보 연결구조는 상기 제1연결보(200)와 상기 제2연결보(300)가 전단접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단접합으로 인한 다양한 평면형태의 구조물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최근의 건축물의 대부분 비정형임을 고려할 때 그 적용성이 상당히 높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since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can be shear-joined, it is also variously applied to various planar structures due to such shear bonding. It can be applied, an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cent buildings are atypical, their applicability will be quite high.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5 to 11 ,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기둥(100)들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둥(100)은 CFR 또는 일반 H형강을 적용한다.
First, as shown in FIG. 5 , a plurality of pillars 10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t this time, the column 100 applies CFR or general H-beam steel.

그런 다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0)의 양 측면에 제1연결보(200)들을 접합하여 상기 기둥(100)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보(200)는 단부가 상기 기둥(100)의 측면에 강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접합부의 단순화 및 구조적 성능과 시공 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connecting beams 200 are joined to both sides of the pillar 100 to connect the pillars 100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ere,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100 through a strong joint, thereby simplifying the joint and improving structural performance and stability during constru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보(200)들을 서로 접합한 후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연결보(300)들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둥(100)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100)의 양측에 인접하게 제2연결보(300)들을 종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연결보(300)들의 단부를 상기 제1연결보(200)에 전단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보(300)들 사이공간은 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콘크리트보(500)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2연결보(300)의 사이 간격은 콘크리트보(500)의 설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After bonding the first connecting beams 200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are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 To this end, second connecting beams 30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pillar 100 with respect to the pillar 100 , and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Shear bonding to the beam 200 . Her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is a part where concrete is poured later and the concrete beam 500 is form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is in the design of the concrete beam 50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상기 기둥(100)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들 사이에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3연결보(400)들을 이격되게 설치하여, 타설 중 상기 제2연결보(300)의 처짐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3연결보(400)는 양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의 측면으로 전단 접합한다.
Next, as shown in FIG. 8 ,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beams 40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positioned between the neighboring pillars 100 . , to prevent sagging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during pouring, and to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pouring concrete. Both end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re shear-bonded to th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adjacent to each other.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상기 제3연결보(400)의 설치와 함께 이 과정에서 상기 제4연결보(5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연결보(400)와 상기 제4연결보(500)는 건축물의 수평하중이나 보의 처짐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와 배치 간격 등을 달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ourth connecting beam 500 may be installed in this process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uilding. Meanwhile,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ourth connecting beam 500 may be different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load of the building or the deflection of the beam.

한편, 상기 제1연결보(200)에 대하여, 시공 중의 하중은 상기 기둥(100)으로부터 상기 제2연결보(300)와 만나는 짧은 부분이 지지하고, 영구하중은 상기 제2연결보(300)들 사이 상기 제1연결보(200)의 나머지 긴 부분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 the load during construction is supported by a short portion meeting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from the column 100 , and the permanent load is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 The remaining long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00 is supported between them.

이 후, 상기 기둥(100)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들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보(500)를 형성하여 상기 기둥(100)들을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고, 슬래브(510)를 형성한다.
After that, a concrete beam 50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facing the pillar 100 as the center to connect the pillars 100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ab ( 510) is formed.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기둥(10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의 하부 플랜지에 제1데크부(610)를 설치하고, 상기 기둥(100)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의 상부 플랜지에 제2데크부(620)를 설치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00은 상기 제1데크부(610)와 상기 제2데크부(620)를 통칭하는 데크부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9 , first, a first deck part 610 is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facing with the pilla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located between the pillars 100 . A second deck part 620 is install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00 . Here, an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600 denotes a deck uni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first deck unit 610 and the second deck unit 620 .

이렇게 상기 제1데크부(610)와 제2데크부(620)의 설치를 완료하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보(500)를 위하여 상기 제1데크부(610)의 상측으로 상기 기둥(100)들의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철근(700)들을 이격되게 배근한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deck part 610 and the second deck part 620 is comple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0 , the pillar is moved upward of the first deck part 610 for the concrete beam 500 .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700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0).

그런 다음,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0)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300)들 사이 공간인 상기 제1데크부(610)의 상측으로 상기 기둥(100)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보(5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보(5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데크부(620)의 상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RC(Reinforced Concrete)모멘트 골조의 슬래브(510)를 형성한다. 도 12는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의 콘크리트보(500)와 슬래브(5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콘크리트보(500)는 상기 기둥(100)이 매립되고 철근(700)이 배근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래브(510)는 상기 콘크리트보(500)와 연결된다.
Then, as shown in FIG. 11 , the pillar 100 is embedded i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ck part 610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300 facing the pillar 100 as the center.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concrete beam 500 . And by pouring concret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eck portion 6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crete beam 500, a slab 510 of a reinforced concrete (RC) moment frame is forme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crete beam 500 and the slab 510 after the concrete is cured by the above process. formed and the slab 510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beam 500 .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기둥 200 : 제1연결보
300, 300a : 제2연결보 400 : 제3연결보
410 : 제4연결보 500, 500a : 콘크리트보
510 : 슬래브 610 : 제1데크부
620 : 제2데크부 700 : 철근
100: pillar 200: first connecting beam
300, 300a: second connecting beam 400: third connecting beam
410: fourth connecting beam 500, 500a: concrete beam
510: slab 610: first deck part
620: second deck 700: reinforcing bar

Claims (13)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들;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기둥의 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기둥과 모멘트 접합되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보들;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보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보들;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a plurality of pilla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beams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n end joi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illar to connect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moment-bonded to the pillar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beam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lumn with respect to the column, and join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column is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column as the center, and a concrete beam is formed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보는, 철골보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과 철골보 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beam is formed of cheolgolbo, and th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hrough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cheolgolb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보와 상기 제2연결보는 각각 철골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보는 상기 제1연결보에 강접합 또는 전단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are each formed of a cheolgol 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through a steel joint or a shear j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들은 상기 종 방향 열에 대하여 어긋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보는, 상기 제1연결보와 전단접합을 통하여 연결되어, 종 방향 열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 상기 기둥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연결보와 상기 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pillars are respectively arranged to b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olumn,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through shear bonding,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corresponds to the pillar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olumn. and th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보는, RC보 또는 SRC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rete beam is a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RC beam or an SRC beam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기둥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에 각각 접합되는 제3연결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connecting beam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each of which is join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am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at both end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제2연결보에 각각 접합하는 제4연결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7. The method of claim 6,
Column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which is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es a fourth connecting beam having both ends joined to the adjacent second connecting beam with the column interposed therebetween
수직하게 세워지고 철골보로 이루어진 기둥;
철골보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의 양 측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접합되고, 상기 기둥과 모멘트 접합되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연결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철골보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보와 강접합 또는 전단접합을 통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보들; 및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모멘트 골조를 이루는 콘크리트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구조
pillars erected vertically and made of cheolgolbo;
A pair of first connecting beams made of cheolgolbo and join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oth sides of the column, and the moment is joined to the column to form a moment fram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pair of second connecting beam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lum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column, and made of cheolgolb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through a steel junction or shear junction; and
Concrete beams forme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pillars are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pillars as the center, and forming a momen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am connection structure
횡 방향 및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기둥들을 설치하는 단계;
횡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의 양 측면에 제1연결보들을 설치하되, 상기 제1연결보들의 각 단부를 상기 기둥의 측면에 접합하여 상기 기둥들을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는 단계;
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기둥의 양측에 인접하게 제2연결보들을 배치하고, 상기 제2연결보들의 단부 또는 측면부를 상기 제1연결보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 공간에 상기 기둥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둥들을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하는 SRC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SRC보들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보들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Installing a plurality of pilla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nstalling first connecting beams on both sides of the pillar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ing each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s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illars to connect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disposing second connecting beams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lumn with the center of the colum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nding end or side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pillars are embed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facing the pillars as the center, forming SRC beams connecting the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 slab by pouring concrete over the first connecting beams so that the SRC beams are connec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RC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보의 하부 플랜지에 제1데크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데크부의 상측으로 상기 기둥들의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제1데크부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forming the SRC beam,
Installing a first deck part on the lower fl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facing with the pillar interposed therebetween;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s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ck portion;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eck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둥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의 상부 플랜지에 제2데크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SRC보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데크부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forming the slab,
Installing a second deck portion on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positioned between the pillars;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eck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RC bea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RC보들을 형성하기 전, 이웃하는 상기 기둥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3연결보들을 배치하고, 상기 제3연결보의 양단부를 상기 제2연결보에 접합하여 상기 제3연결보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Before forming the SRC beams,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beams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neighboring pillar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ing beams.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ttaching to the connecting beam and installing the third connecting beam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RC보들을 형성하기 전,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제2연결보들 사이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4연결보들을 배치하고, 상기 제4연결보의 양단부를 상기 제2연결보에 접합하여 상기 제4연결보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Before forming the SRC beams, a plurality of fourth connecting beam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beam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pilla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both ends of the fourth connecting beam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ams.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ttaching to the beam and installing the fourth connecting beam
KR1020160053536A 2015-12-04 2016-04-29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KR1023095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2695 2015-12-04
KR1020150172695 2015-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93A KR20170066193A (en) 2017-06-14
KR102309544B1 true KR102309544B1 (en) 2021-10-07

Family

ID=5921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36A KR102309544B1 (en) 2015-12-04 2016-04-29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5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442B1 (en) * 2017-06-23 2022-01-07 심남주 Coupling structure of column and girder having single girder in lateral direction, double girder in backward direction and concrete part around the column
KR102142304B1 (en) * 2018-04-26 2020-08-10 주식회사 포스코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wide beam and floor structure
KR102277253B1 (en) * 2020-11-26 2021-07-13 코오롱이앤씨 주식회사 Rapid construction process Rahmen structur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utilizing the CTS sla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23B1 (en) * 2007-03-28 2008-09-04 박무용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antilever type steel frame
KR101034399B1 (en) * 2008-02-18 2011-05-16 (주)바로건설기술 Drop Panel Structure Of Lattice-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36659B1 (en) * 2014-06-11 2015-07-1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estressed steel composit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45B1 (en) 2013-09-09 2016-03-21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The horizontal structural frame and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23B1 (en) * 2007-03-28 2008-09-04 박무용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antilever type steel frame
KR101034399B1 (en) * 2008-02-18 2011-05-16 (주)바로건설기술 Drop Panel Structure Of Lattice-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36659B1 (en) * 2014-06-11 2015-07-1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estressed steel composi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93A (en)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544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JP6764642B2 (en)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eismic isolation structure
JP6836835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JP6550319B2 (en) Column with braces
JP2016148144A (en) Pc rampway building structure
JP6654428B2 (en) Building method using reverse construction method
JP2016528407A (en) Deflection prevention beam for construction of earth retaining facilities
JP6368551B2 (en)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JP4964528B2 (en) Floor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structure
JP6849491B2 (en) 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585142B2 (en) Tower structure structure, composite reinforc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reinforcing material
KR101297110B1 (en) Concrete filled tube
JP6372604B1 (en) Lightweight embankment structure
KR101193796B1 (en) Seismic Reinforcing Method of Column & Girder Frame
JP2017082548A (en) Concrete foundation joint member and pile structure
KR101707376B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beam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529241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JP6752006B2 (en) Fixed structure of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JP7316910B2 (en) building
JP6300228B2 (en) Flat slab structure
JP5989597B2 (en) Temporary seismic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uring construction of seismic isolation for existing frame
KR102452802B1 (en) A construction method to use the seismic resistant precast concrete members
KR102108622B1 (en) Support structure of temporary strut for construction period reduction
JP6232190B2 (en) Joint components, concrete placement methods, concrete structures
JP2012112095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placing concrete in contact with hardened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