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514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514B1
KR102309514B1 KR1020200000034A KR20200000034A KR102309514B1 KR 102309514 B1 KR102309514 B1 KR 102309514B1 KR 1020200000034 A KR1020200000034 A KR 1020200000034A KR 20200000034 A KR20200000034 A KR 20200000034A KR 102309514 B1 KR102309514 B1 KR 10230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purification fluid
fluid
ai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133A (ko
Inventor
정찬원
Original Assignee
정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원 filed Critical 정찬원
Priority to KR102020000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5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화 유체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으로 분산 및 확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공기 정화 속도가 향상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화 유체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으로의 분산 및 확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공기 정화 속도가 향상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미세 분진, 유해가스, 잡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구로, 최근 몇 년 사이에 황사와 미세먼지 문제로 인해 깨끗한 공기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크게 늘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정화 방법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게 되는데, 상기 건식에 비하여 습식의 공기청정기는 유해물질과 액체가 결합하여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가습기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흡입부와 토출부를 구비하는데, 이에 따라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부피가 크게되어, 집 안에만 고정되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즉,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에만 사용할 수 있어, 야외 활동 시 정화되지 못한 오염물질이 인체의 심장에 함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휴대가능 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형성되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공기정화 능력이 뛰어난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화 유체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으로 분산 및 확산을 가속화하여 공기 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빠르게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구비되어 휴대성이 높은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H), 상기 하우징(H)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100), 상기 하우징(H)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을 갖는 액상의 정화 유체(F)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200), 상기 수용부(200)에 수용된 상기 정화 유체(F)를 초음파를 통해 기체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화부(300) 및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화 유체(F)를 상기 회전부(100) 방향으로 1차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공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날개가 수평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110),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정화 유체(F)를 함침할 수 있도록 매쉬 형태로 구비되는 필터부재(120) 및 표면에 복수개의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10)와 상기 필터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10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필터부재(120)에 함침된 액체상의 정화 유체(F)와 상기 다공판(400)으로 토출되는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상기 회전부(100)의 상부를 향해 2차 확산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110)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비되며, 양 끝단이 상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재(130)는, 말단이 액상의 상기 정화 유체(F)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주입구(131);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1000)는, 일단이 상기 주입구(131)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화 유체(F)는,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이 강한 미생물인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산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인 친환경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판(400)은, 중앙에 상기 회전부(100)를 유입시키기 위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메인홀(410) 및 상기 메인홀(410)의 둘레를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토출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화부(300)는, 상기 다공판(40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재(310) 및 일단이 상기 수용부(200)을 향하여 연장 현성되고, 상기 타단이 초음파 발생부재(310)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320) 측으로 정화 유체(F)를 이송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2 유체 이송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200)는, 소정의 부피를 보유한 원기둥 형상으로서, 세척이 용이하도록 표면에 방수 접착제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청정기(1000)는,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벨크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 중의 오염 물질과 흡착력을 갖는 액상의 정화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회전부와, 회전부를 통해 주입된 정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저장된 정화 유체를 초음파를 통해 기체 상태인 정화 유체로 변환할 수 있는 기화부와, 정화 유체를 토출하여 회전부 방향으로 1차 확산시킬 수 있는 다공판을 포함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 가져 소형으로 구현 구비될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속도가 빠른 공기청정기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가 복수개의 날개가 수평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매쉬형태로 회전부재 상부면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및 복수개의 다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주입된 액체상의 정화 유체가 필터부재에 함침되어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외부로 토출 및 확산 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를 통해 주입 시 필터부재에 함침된 정화 유체와 다공판을 통해 토출된 정화 유체를 포함하는 정화 유체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와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화 유체를 넓은 범위로 빠르게 확산시켜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2차 확산을 진행시킬 수 있어, 공기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회전부재가 양 끝단이 상하방으로 소정 각도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어, 회전부재의 양 끝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공간에 따라 회전부재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여 2차 확산 범위를 조절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회전부재의 양 끝단을 조절하여 공기청정기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기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일단이 회전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수용부의 내부를 향해 연 장 형성된 이송라인을 더 포함함에 따라, 회전부를 통해 주입된 정화 유체를 수용부 내부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제품 외부에서 회전부를 통해 정화 유체를 원활히 주입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유체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과 흡착력이 우수한 미생물인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산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혹인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 가정 내에서 쌀뜨물로 배양될 수 있는 미생물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화 유체를 손쉽게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공판이 전부가 안착되는 메인홀과 메인홀의 둘레를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토출홀을 포함함에 따라, 수용부의 내부에서 기화부로 인해 생성된 기체 상의 정화 유체를 회전부 측으로 토출시키는 1차 확산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과 흡착력이 강한 기체상의 정화 유체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습의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화부가 초음파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 발생부재와 타단이 초음파 발생부재와 연결되고, 일단이 수용부을 향해 연장 형성됨에 따라, 초음파 발생부재가 생성한 초음파와 진동이 제 2 유체 이송부재를 통해 수용부에 수용된 정화 유체를 전달하여, 기체상의 정화 유체을 통해 공기 정화를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필터식 공기청정기와 전기 집진식 공기청정기 보다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전력소모가 낮을 뿐만 아니라, 가습의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가 소정의 부피를 보유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일정량의 정화 유체를 수용할 수 있어 장 시간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에 방수 접착제가 사용되어 수용부의 세척이 용이하게 되어 제품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청정기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벨크로부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청정기를 사용자의 손이나 팔에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장소나 위치에서 공기청정기를 부착한 채로 사용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 3에 표기된 A-A'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공기청정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0)는, 하우징(H), 회전부(100), 수용부(200), 기화부(300) 및 다공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1000)에 의하면 정화유체를 공기 중으로 빠르게 분산, 확산시켜 빠른 시간 내에 공기 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회전부(100)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과의 흡착력을 갖는 액상의 정화 유체(F)가 주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 물질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담배 연기, 꽃가루, 포름알데히드, 녹농균, 바이러스 임은 물론이다.
하우징(H)은 수용부(200)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보유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청정기(1000)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여러 부품들(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H)은 내부에 스위치, 회로, 건전지, 배터리, 케이블과 같은 부품(미도시)들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H)은 일부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미도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가 고장이 날 경우, 하우징(H)의 일부면은 개방하여 내부의 스위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200)는 상기 하우징(H)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100)로부터 주입된 액상의 정화 유체(F)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후술될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기화부(300)는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200)에 수용된 상기 정화 유체(F)를 초음파를 통해 기체 상태로 변환하여 기체상의 정화 유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될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공판(400)은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화부로 인해 생성된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상기 회전부(100) 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구비되며, 후술될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공판(400)으로 인해 기체상의 정화 유체(F)가 토출되어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1차 확산으로 정의한다.
즉, 회전부(100)를 통해 주입된 액상의 정화 유체(F)는 수용부(200)에 저장되며, 수용부(200)에 저장된 정화 유체(F)는 기화부(300)를 통해 기체 상태의 정화 유체(F)로 상변환되어 다공판(400)을 통해 토출되는 1차 확산을 진행하며, 회전부(100)의 회전에 따라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회전부(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상기 회전부(100)는 회전부재(110), 필터부재(120) 및 커버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회전부재(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날개가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수용된 모터(미도시)나 건전지(미도시)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부재(120)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화 유체(F)를 함침할 수 있는 매쉬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20)는 얇은 플라스틱 줄로 형성되어, 초경량 무게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 시에 최소한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30)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형성 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표면에 복수개의 다공을 보유하며, 상기 회전부재(110)와 상기 필터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소정의 길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30)의 말단에는 정화 유체(F)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주입구(131)를 포함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주입구(131)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주입구(131)를 통해 액체상의 정화 유체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하우징(H)를 개방하여, 상기 하우징(H) 내부의 수용부(200)에 직접적으로 액체상의 정화 유체(F)를 주입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H)의 저면에 별도의 이동관(미도시)를 설치하여, 액체상의 정화 유체(F)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주입구(131)로 액체상의 정화 유체(F)를 수용부(200)를 향해 주입할 시에, 상기 필터부재(120)가 상기 액체상의 정화 유체(F)를 표면에 함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0)는 표면의 복수개의 다공을 보유하여 상기 필터부재(120)의 표면에 함침된 액상의 정화 유체(F)를 토출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필터부재(120)에 함침된 액상의 정화 유체(F)는 회전부(1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100)의 상부를 향해 토출되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20)에 함침된 액체상의 정화 유체(F)와 상기 다공판(400)으로 토출되는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상기 회전부(100)의 상부를 향해 확산시키는 것을 2차 확산이라 정의한다.
상기 2차 확산은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인해, 공기를 와류 시키므로, 정화 유체(F)를 넓은 범위로 빠르게 확신시켜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빠르게 제거하는 특징을 가지며, 상기 1차 확산 보다 범위가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는 상기 1차 확산과 2차 확산을 통하여 액체상의 정화 유체(F)와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공기 중으로 빠르게 확산 및 분산시킬 수 있어, 공기정화 속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회전부재(110)와 상기 필터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필터부재(120)를 상기 회전부재(110)의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져 제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크기와 무게는 상기 필터부재(120)와 커버부재(130)의 무게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크기와 무게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1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인 실리콘, 고무 중 어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비되어, 양 끝단이 상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회전부재(110)는 양 끝단이 상하방으로 소정 각도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어, 사용 공간에 따라 회전부재(110)의 양 끝단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2차 확산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경우, 회전부재(110)의 양 끝단을 수평에 가깝도록 조절하여, 2차 확산 범위를 넓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경우, 회전부재(110)의 양 끝단을 상방을 향하도록 조절하여, 2차 확산 범위를 좁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공간에 따라 회전부재(11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각도는 30도 위로 상향 조정하여, 공기 정화 속도를 최대화 하기 위한 최적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은 물론이다.
또한, 회전부재(110)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기청정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의 사용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 3에 표기된 A-A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공판(400), 기화부(300), 수용부(2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에 사용되는 정화 유체(F)는 액체 상태와 기체상태를 모두 포함하며,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이 강한 미생물인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산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인 친환경 미생물을 사용하여, 일반 가정 내에서 흔히 사용하는 쌀뜨물로 손쉽게 배양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정화 유체(F)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과 흡착력이 우수한 미생물인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산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혹인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 가정 내에서 쌀뜨물로 배양될 수 있는 미생물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화 유체(F)를 손쉽게 구비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다공판(400)은 회전부(100)와 기화부(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메인홀(410)과 토출홀(420)을 포함하여, 상기 기화부(300)로 부터 생성되는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상기 회전부(100) 방향으로 토출하여 1차 확산을 진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홀(410)은 상기 다공판(4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100)가 안착 가능하도록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홀(420)은 상기 메인홀(410)의 둘레를 따라, 불규칙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화부(300)로 부터 생성되는 기체 상의 정화 유체(F)를 충분히 토출할 수 있는 갯수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다공판(400)은 상기 기화부(300)로 인해 생성된 기체 상의 정화 유체(F)를 회전부(100) 측으로 토출시키는 1차 확산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기(1000)의 미작동할 경우에도, 수용부(200)에 수용된 액체 상의 정화 유체(F)가 자연 기화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회전부(100)가 회전함에 따라 확산되는 정화 유체(F)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공기청정기(1000)의 공기 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습의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기화부(300)는 초음파 발생부재(310), 제 2 유체 이송 부재(320) 및 케이스(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초음파 발생부재(310)는 상기 다공판(40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초음파와 진동을 발생시켜 수용부(200)에 수용된 액체 상의 정화 유체(F)를 기체상의 정화 유체(F)로 상변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 유체 이송 부재(320)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200)에 수용된 정화 유체(F)를 향해 연장 현성되고, 상기 타단이 초음파 발생부재(310)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310) 측으로 정화 유체(F)를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유체 이송 부재(320)는 필터와 같은 함습성 소재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케이스(330)는 상기 제 2 유체 이송부재(320)가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310)와 상기 수용부(200)를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유체 이송부재(3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는 습식 방법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어, 종래의 필터식 공기청정기와 전기 집진식 공기청정기 보다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전력소모가 낮을 뿐만 아니라, 가습의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상의 정화 유체(F)보다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이 보다 높일 수 있는 기체 상의 정화 유체(F)를 발생시켜 공기중의 오염물질 정화를 진행할 수 있어, 공기정화 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수용부(200)는 상기 액상의 정화 유체(F)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피를 보유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정 시간 동안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200)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표면에 방수 접착제가 사용되어, 수용부(200)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200)는 3ml의 용량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소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청정기(1000)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0)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의 공기 정화 과정을 정리하자면, 먼저, 사용자는 오염물질과 흡착력이 높은 액상의 정화유체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회전부재(100)의 양끝단의 각도를 조절하고, 주입구(131)를 통해 액상의 정화 유체(F)를 주입하면, 상기 액상의 정화 유체(F)는 필터부재(120)의 표면에 함침됨과 동시에 회전부(100)의 하부에 위치한 수용부(200)에 저장된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부재(310)는 초음파와 진동을 이용하여 액상의 정화 유체(F)의 입자를 분해하여 기체 상태로 변환시켜 기체상의 정화 유체(F)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310)를 통해 생성된 기체상의 정화 유체(F)는 제 2 이송 부재(320)를 따라 이동하여 다공판(400)으로의 기체상의 정화 유체(F)의 토출을 돕는다.
그러므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310)로 인해 액상의 정화 유체는 기체상태로 상 변환되며, 생성된 기체 상의 정화 유체(F)는 상기 다공판(400)을 통해 토출되는 제 1 확산을 진행한다.
또한, 다공판(400)으로 토출된 기체상의 정화 액체(F)와 상기 필터부재(120) 상에 함침된 액체상의 정화 액체(F)는 회전부(100)의 회전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상부의 공기 중으로 넓게 확산되는 2차 확산을 진행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과 흡착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1차 확산과 상기 2차 확산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는 소형으로 구비 가능하면서도 공기 정화 속도가 월등히 향상되는 특징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주로 바닥면에 두고 사용하여, 1차 확산 및 2차 확산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공기청정기의 저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벨크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밸크로부는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벨크로부(600)로 인해 공기청정기를 사용자의 손이나 팔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장소나 위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0)는 밸크로부(600)의 형성 이외에도,단순한 구조로 공기청정기를 구현할 수 있어 소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여, 가벼운 무게로 형성되어 휴대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000)는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커버부재(130)에 구비되는 주입구(131)에서 주입되는 액체상의 정화 유체(F)를 보다 원활히 수용부(200)를 향해 주입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일단이 상기 주입구(131)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주입구(131)를 통해 주입되는 액상의 정화 유체(F)를 상기 수용부(200)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30)의 주입구(131)를 통해 액상의 정화 유체(F)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필터부재(120)에 함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자유자재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정화 유체(F)의 주입이 완료된 후 제거하여, 회전부(100)의 회전 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정화 유체(F)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 후, 설치 방향을 역 방향으로 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유체 이송 부재(500)는 회전부를 통해 주입된 정화 유체(F)를 수용부(2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0)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제품 외부에서 회전부(100)를 통해 정화 유체(F)를 원활히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바, 공기청정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공기청정기
100 : 회전부
110 : 회전부재
120 : 필터부재
130 : 커버부재
131 : 주입구
200 : 수용부
300 : 기화부
310 : 초음파 발생부재
320 : 제 2 유체 이송 부재
330 : 케이스
400 : 다공판
410 : 메인홀
420 : 토출홀
500 : 제 1 유체 이송 부재
600 : 벨크로부
H : 하우징
F : 정화 유체

Claims (10)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을 갖는 액상의 정화 유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정화 유체를 초음파를 통해 기체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화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화 유체를 상기 회전부 방향으로 1차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날개가 수평 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정화 유체를 함침할 수 있도록 매쉬 형태로 구비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필터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다공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필터부재에 함침된 액체상의 정화 유체와 상기 다공판으로 토출되는 기체상의 정화 유체를 상기 회전부의 상부를 향해 2차 확산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비되며, 양 끝단이 상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말단이 액상의 상기 정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일단이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 1 유체 이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체는,
    오염물질과의 흡착력이 강한 미생물인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산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인 친환경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중앙에 상기 회전부를 유입시키기 위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메인홀; 및
    상기 메인홀의 둘레를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토출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부는,
    상기 다공판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재; 및
    일단이 상기 수용부을 향하여 연장 현성되고, 타단이 초음파 발생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부재 측으로 정화 유체를 이송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2 유체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액상의 정화 유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소정의 부피를 보유한 원기둥 형상으로서, 세척이 용이하도록 표면에 방수 접착제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벨크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000034A 2020-01-02 2020-01-02 공기청정기 KR10230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034A KR102309514B1 (ko) 2020-01-02 2020-01-02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034A KR102309514B1 (ko) 2020-01-02 2020-01-02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33A KR20210087133A (ko) 2021-07-12
KR102309514B1 true KR102309514B1 (ko) 2021-10-06

Family

ID=7685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034A KR102309514B1 (ko) 2020-01-02 2020-01-02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35Y1 (ko) * 2005-03-31 2005-08-09 박윤식 향제가 내장된 휴대용 선풍기
KR100666429B1 (ko) 2006-06-22 2007-01-09 (주)제이오비앤피 배가스의 습식처리장치
KR101352776B1 (ko) 2012-01-19 2014-01-15 조금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US20190298877A1 (en) 2018-03-29 2019-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olatile composition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26Y1 (ko) * 1993-09-22 1996-08-16 이해일 공기청정 기능을 겸비한 냉풍기
KR20130115920A (ko) * 2012-04-13 2013-10-22 윤규상 악취제거효과가 우수한 소취제
KR20190021656A (ko)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발향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072755B1 (ko) * 2018-05-15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35Y1 (ko) * 2005-03-31 2005-08-09 박윤식 향제가 내장된 휴대용 선풍기
KR100666429B1 (ko) 2006-06-22 2007-01-09 (주)제이오비앤피 배가스의 습식처리장치
KR101352776B1 (ko) 2012-01-19 2014-01-15 조금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US20190298877A1 (en) 2018-03-29 2019-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olatile composition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33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88B1 (ko)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CN10500398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
CN211476119U (zh) 空气净化模块、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04100401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8269297U (zh) 一种基于负离子的空气净化器
KR102179834B1 (ko) 싸이클론 미스트 분사방식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CN109140641A (zh) 一种室内空气净化增氧加湿装置
CN107355899B (zh) 空气加湿净化器
CN209978210U (zh) 一种办公室桌面用小型空气净化器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309514B1 (ko) 공기청정기
US20060102002A1 (en) Cleaning unit for wet type air cleaner
JP2011047592A (ja) 送風装置及び空気清浄機
CN113203155A (zh) 一种空气加湿净化器
CN113007847A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
CN211204273U (zh) 家居设施式空气净化机
CN107355892B (zh) 室内空气净化加湿器
CN106855263A (zh) 一种能够杀菌和消除病毒的新型室内空气净化器
CN206739460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6786910U (zh) 负离子空气净化组合风柜
CN208720385U (zh) 一种集成电脑的空气净化器
CN111237833A (zh)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油烟机
WO2020098486A1 (zh) 空气净化加湿器
CN204787004U (zh) 一种空气加湿净化器
CN108006845B (zh) 对接可拆卸空气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