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68B1 -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68B1
KR102309468B1 KR1020200160612A KR20200160612A KR102309468B1 KR 102309468 B1 KR102309468 B1 KR 102309468B1 KR 1020200160612 A KR1020200160612 A KR 1020200160612A KR 20200160612 A KR20200160612 A KR 20200160612A KR 102309468 B1 KR102309468 B1 KR 10230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ball
art
art structure
screen
sm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해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밀
Priority to KR102020016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oviding media art by interaction with an audience. A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D ball, which is a light-emitting body; an art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for detachment of the LED ball, a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rtificial structure;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ED ball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and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l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hole of the art structure.

Description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Media art contents providing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s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본 발명은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o a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s and artificial structures.

미디어아트(media art)란‘매체예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미디어는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 매스미디어를 가리킨다. 즉, 미디어아트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것으로서 책이나 잡지·신문·만화·포스터·음반·사진·영화·라디오·텔레비전·비디오·컴퓨터 등 대중에의 파급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단의 형태를 빌려 제작된다. 미디어아트는 대중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매스컴 이론의 영향에 따라 1960년대에 대두하였고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거리미술, 사운드아트, 메일아트 등과도 관련을 맺고 있다.Media art is also called ‘media art’. In general, media refers to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newspapers. In other words, media art is the introduction of mass media, which is a major means of modern communication, into art, and has a large ripple effect on the public such as books, magazines, newspapers, cartoons, posters, records, photos, movies, radio, TV, video, and computers. It is produced by borrowing the form of a means of communication. Media art emerged in the 1960s due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eory, and developed in earnest after the 1970s. He is also involved in street art, sound art, and mail art.

모든 미술작품은 물질적인 매체(media)에 의해 구체화된다는 점에서, 미디어아트라는 용어는 사실 모든 미술작품에 적용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미디어란 말은 ‘대중에게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을 가진 매체(mass media)’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미디어아트는 바로 이러한 대중매체, 즉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사진, 영화, TV, 비디오, 컴퓨터 등 대중에의 파급 효과가 큰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미술에 적용시킨 예술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Since all works of art are embodied by material media, the term media art can actually be applied to all works of art. In modern society, the term media means 'mass media with the purpose of delivering a lot of information to the public'. Therefore, media art in the modern sense can be defined as art applied to art that has a large ripple effect on the public, such as photos, movies, TV, video, and computers, which are the main means of modern communication. can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미디어아트는, 작가에 의해 일방적으로 관객에게 예술 관람을 강요할 뿐이지, 관객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미디어아트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However, in such existing media art, the artist unilaterally forces the audience to view art, but media art by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s not provided.

한국공개특허 10-2012-011079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079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관객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미디어아트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oviding media art by interaction with an audien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발광체인 LED볼;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로서, 상기 LED볼의 탈착될 수 있는 탈착홀이 구비된 아트 구조물; 상기 탈착홀에 탈착되는 LED볼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아트 구조물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LED ball; A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rtificial structure, the art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LED ball;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LED ball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It may include;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상기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아트 구조물 주변으로 스모그를 발생시키는 스모그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의 발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s includes a smog generator for generating smog around the art structure, and the control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LED ball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smog is generated.

상기 제어 단말은,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이 감지되는 경우 아트 구조물 주변으로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를 발생시키며, 상기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이탈이 감지되는 경우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 발생을 중지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terminal generates smog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around the art structure when the coupling of the LED ball is detected in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and when the detachment of the LED ball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is detected, the smog generat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og is stopped by controlling the

상기 아트 구조물이 프로젝터 모듈에 의하여 영상 투사가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단말은, 스크린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art structure is implemented as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by a projector module, the control terminal controls the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hole of the screen to change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differently. Control can be characterized.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복수개의 프로젝터 함체가 스택형으로 쌓아 올려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은, 홀로그램 투사 전용 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or enclosures are stacked in a stack type, and the screen may be characterized as a hologram projection exclusive screen.

상기 아트 구조물이 공기 정화 장치가 구비된 벤치 구조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단말은 공기 정화 상태 정보를 실시간 외부로 전송 전송하며, 원격에서 제어 단말을 통해 미디어 벤치에 구비된 공기 정화 장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art structure is implemented as a bench structure equipped with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e control terminal transmits and transmits air purific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real time, and remotely controls the ai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on the media bench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LED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테마파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by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Therefore,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me park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LED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크린에 다양한 미디어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dia art can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by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LED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자연환경 구조물을 더욱 자연에 동화된 모습의 미디어아트로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as media art in a form more assimilated to nature by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벤치 구조물에 공기 정화 기능 및 원격 제어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the remote control function to the ben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build a comfortabl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무 구조물로 된 아트 구조물에 LED볼을 갖다대거나 결합시에 스모그가 발생되는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무 구조물로 된 아트 구조물에서 LED볼을 이탈시킬 때 스모그 발생이 중지되는 예시 그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과 프로젝터 모듈로 구현된 아트 구조물의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상태 정보를 표시한 그림.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 for natural environments and artificial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figure that smog is generated when the LED ball is brought to or combined with an art structure made of a wood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figure in which smog generation is stopped when the LED ball is separated from the art structure made of a wood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drawings of an art structure implemented with a screen and a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ir purification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무 구조물로 된 아트 구조물에 LED볼을 갖다대거나 결합시에 스모그가 발생되는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무 구조물로 된 아트 구조물에서 LED볼을 이탈시킬 때 스모그 발생이 중지되는 예시 그림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과 프로젝터 모듈로 구현된 아트 구조물의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상태 정보를 표시한 그림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 for natural environments and artificial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or combining an LED ball to an art structure made of a wooden structure. It is an exemplary picture in which smog is generated at the time, and FIG. 3 is an exemplary picture in which smog generation is stopped when the LED ball is separated from the art structure made of a wood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picture of an art structure implemented with a screen and a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icture showing air purification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체인 LED볼(100)과,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로서 LED볼(100)의 탈착될 수 있는 탈착홀이 구비된 아트 구조물(200)과, 상기 탈착홀에 탈착되는 LED볼(100)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300)과, 아트 구조물(200)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아트 구조물(20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LED ball 100, which is a light emitting body, and the LED ball 100 a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rtificial structure can be detachable. The art structure 200 having a detachable hole, the sensing unit 300 for detecting the LED ball 100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and the LED ball 100 in the detachable hole of the art structure 200 are combined or It may include a control terminal 400 that different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departure.

LED볼(100)은, 내부나 표면에 LED 등과 같은 발광체가 마련된 볼로서, 원구 형태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사각체, 삼각체, 육각체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LED볼(100) 내부에는 NFC 태그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NFC 태그를 통하여 LED볼(100)을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LED볼(100)은 티켓으로 활용 가능하여 테마파크 이용 시에 LED볼(100)과 상호작용에 의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LED ball 100 is a ball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body such as an LED on the inside or on the surface, and may have a spherical shape as well as various other rectangular, triangular, hexagonal shapes. An NFC tag may be provided inside the LED ball 100 , and the LED ball 100 may be detected through the NFC tag. For reference, since the LED ball 100 can be used as a ticket, media content can be provided by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100 when using the theme park.

아트 구조물(200)은,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로서, 미장센을 통한 시각적인 아트 구조물(200)이다. 숲/공원 주변에 어루어지는 자연 친화형 하드웨어 하우징 모듈로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인공 나무 구조물, 숲 구조물, 벤치 구조물, 숲의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등의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아트 구조물(200)에는, LED볼(100)의 탈착될 수 있는 탈착홀이 구비된다. 따라서 탈착홀에 LED볼(100)을 갖다 대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탈착을 위한 탈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art structure 200 i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n artificial structure, and is a visual art structure 200 through mise-en-scène. It can be manufactured as an eco-friendly hardware housing module that is arranged around a forest/park. For example, it may be a structure of various types, such as an artificial tree structure, a forest structure, a bench structure, and a screen on which an image of the forest is projected. In addition, the art structure 20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LED ball (100). Therefore, the LED ball 100 can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detachable hole. Desorption means for detachment may be provided.

감지 유닛(300)은, 탈착홀에 탈착되는 LED볼(100)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이다. 예를 들어, LED볼(100)에서 발광되는 광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LED볼(100) 내부에 탑재된 NFC 태그를 감지하는 NFC 리더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0 is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LED ball 100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sensing sensor emitted from the LED ball 100 ,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NFC reader for detecting an NFC tag mounted inside the LED ball 100 .

제어 단말(400)은, 컴퓨터, 서버, 노트북 등으로 구현되어 연산 및 메모리 저장이 가능한 연산 제어 단말(400)이다. 제어 단말(400)은, 아트 구조물(200)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아트 구조물(20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단말(400)은, 아트 구조물(200)과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terminal 400 is an operation control terminal 400 that is implemented in a computer, a serve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and is capable of operation and memory storage. The control terminal 400 may differ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200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100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200 . That is, the control terminal 400 can provide various contents by interaction between the art structure 200 and the LED ball 100 .

이하에서는 이러한 아트 구조물(200)과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 예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interaction between the art structure 200 and the LED ball 100 will be described.

1) 아트 구조물(200)이 인공 나무 구조물로 구현될 때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 예시1) Example of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100 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tree structure

아트 구조물(200)이 인공 나무 구조물로 구현되는 경우, 인공 나무 구조물에 LED볼(100)을 감지하는 탈착홀이 위치한다.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tree structure, a detachable hole for detecting the LED ball 100 is located in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아트 구조물(200)인 인공 나무 구조물 내부 또는 외부 주변으로 스모그를 발생시키는 스모그 발생기를 구비하도록 한다., For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100, a smog generator that generates smog inside or outside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which is the art structure 200, is provided.,

제어 단말(400)은, 아트 구조물(200)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의 발생 여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아트 구조물(200)과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모그 발생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자연환경 구조물을 더욱 자연에 동화된 모습의 미디어아트로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terminal 400 controls whether the smog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100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200 . As described abov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smog i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 structure 200 and the LED ball 100 , the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as media art that is more assimilated to nature.

예를 들어, 제어 단말(4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트 구조물(200)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결합이 감지되는 경우 아트 구조물(200) 주변으로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아트 구조물(200)인 인공 나무 구조물을 관람하는 관람자가, 입장시에 배부받은 LED볼(100)을 인공 나무 구조물의 탈착홀에 갖다대거나 결합시킬 경우, 관람자는 인공 나무 구조물 주변으로 스모그가 발생되어 미디어아트를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terminal 400 controls the smog generator around the art structure 200 when the coupling of the LED ball 100 is detected in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200 as shown in FIG. generate smog. Therefore, when a viewer viewing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which is the art structure 200, brings or combines the LED ball 100 distributed at the time of entry to the detachable hole of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smog is generated around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This will allow you to enjoy media art more realistically.

반면에, 제어 단말(400)은, 도 3과 같이 아트 구조물(200)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이탈이 감지되는 경우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 발생을 중지시킨다. 관람자가 인공 나무 구조물의 탈착홀에 있는 LED볼(100)을 이탈시킬 경우, 스모그 발생을 중지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terminal 400 stops the smog generation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when the detachment of the LED ball 100 is detec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200 as shown in FIG. 3 . When the viewer leaves the LED ball 100 in the detachable hole of the artificial tree structure, smog generation is stopped.

2) 아트 구조물(200)이 스크린으로 구현될 때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 예시2) Example of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100 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 screen

아트 구조물(200)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에 의하여 영상 투사가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단말(400)은, 스크린의 탈착홀에서 LED볼(100)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아트 구조물(200)과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크린에 다양한 미디어아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by a projector modul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terminal 400 determines whether the LED ball 100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hole of the screen. Accordingly, the projector module is controlled to differently control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uch,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edia art on the scree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 structure 200 and the LED ball 100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을 관람하는 관람자가, 입장시에 배부받은 LED볼(100)을 스크린의 탈착홀에 갖다대거나 결합시키는 순간, 스크린에는 LED볼(100)과 연동되는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관람자는 미디어아트를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moment when a viewer viewing the screen brings or combines the LED ball 100 distributed at the time of entry to the detachable hole of the screen, the screen is interlocked with the LED ball 100 . As another image is displayed, the viewer can appreciate the media art more realistically.

참고로, 이러한 스크린은, LCD패널, LED패널, OLED패널 등의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such a scree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igital display panels such as an LCD panel, an LED panel, and an OLED panel.

또는 스크린은, 일반 스크린이 아닌 홀로그램 투사 전용 스크린(메쉬형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야외에서 홀로그램 영상 투사를 위한 스크린 설치 시 빠르게 설치하고 철거가 가능한 전동형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 장치가 포함되어 원격에서 스크린 전동장치 제어 가능(주간에는 철거하고 콘텐츠가 필요한 야간에 설치)하다. 또한 스크린에는 광촉매 코팅제를 도포하여 미세먼지 집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hologram projection dedicated screen (mesh type screen) rather than a general screen.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projector screen device that can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when installing a screen for projecting a holographic image outdoors. A remote controllable control unit is included, allowing remote control of the screen motor (remove during the day and install at night when content is requi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fine dust by applying a photocatalytic coating agent to the screen.

여기서 프로젝터 모듈은, 복수개의 프로젝터 함체가 스택형으로 쌓아 올려진 스택형 프로젝터 함체 구조로서 구현된다. 스택형 프로젝터 함체 구조는, 다수의 프로젝터(함체) 설치 시에 보다 편리하게 쌓아올려 설치 가능하며, 미세먼지 저감필터 장착되며, 함체 간 견고한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해체가 편리하다.Here, the projector module is implemented as a stack type projector enclosur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or enclosure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he stack-type projector housing structure allows for more convenient stacking and installation when installing multiple projectors (enclosures).

3) 아트 구조물(200)이 벤치 구조물로 구현될 때 LED볼(100)과의 상호 작용 예시3) Example of interaction with the LED ball 100 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 bench structure

아트 구조물(200)이 공기 정화 장치가 구비된 벤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치에 LED 스크린 및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영상 콘텐츠 출력이 가능한 미디어 벤치로서 구현되는데, 공기 정화 장치가 포함되어 벤치 주변의 사람들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t structur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bench structure equipped with an air purification device. It is implemented as a media bench that can output video content by including an LED screen and a controller on a bench installed in a park, etc., and an air purification device is included to provide purified air to people around the bench.

공기 저감 장치가 포함된 미디어 벤치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기존 공기정화장치가 포함된 미디어 벤치에서 공기정화장치를 분리한 형태로서, 분리된 공기정화장치는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미디어 벤치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구조물을 결합하여 공기정화장치를 연결할 수도 있다.The media bench including the air reduc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type, and is a form in which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edia bench including the existing ai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separated air purifica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structure. If necessary, only a media bench can be installed, or an air purifier can be connected by combining structures.

또한 아트 구조물(200)이 공기 정화 장치가 구비된 벤치 구조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단말(400)은 공기 정화 상태 정보를 실시간 외부로 전송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제어 단말(400)을 통해 미디어 벤치에 구비된 공기 정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벤치 구조물에 공기 정화 기능 및 원격 제어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 장치가 포함되어 원격에서 영상 업로드 및 재생 제어, 공기 정화장치 제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상태 정보 실시간 전송 가능하여, 도 6과 같이 외부에서 공기 정화 상태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rt structure 200 is implemented as a bench structure equipped with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e control terminal 400 may transmit and transmit the air purific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real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ai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media bench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0 . Therefore, by apply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the remote control function to the ben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build a comfortable environment. A remote control unit is included so that you can remotely control video upload and playback, and control the air purifi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tate informa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air purification stat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 .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LED볼
200: 아트 구조물
300: 감지 유닛
400: 제어 단말
100: LED ball
200: art structure
300: sensing unit
400: control terminal

Claims (6)

발광체인 LED볼;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로서, 상기 LED볼이 탈착될 수 있는 탈착홀이 구비된 아트 구조물;
상기 탈착홀에 탈착되는 LED볼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아트 구조물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단말;
아트 구조물 주변으로 스모그를 발생시키는 스모그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의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
Light-emitting LED ball;
A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rtificial structure, the art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through which the LED ball can be detache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LED ball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hole of the art structure;
a smog generator that generates smog around the art structure;
The control terminal controls whether the smog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이 감지되는 경우 아트 구조물 주변으로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를 발생시키며, 상기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이탈이 감지되는 경우 스모그 발생기를 제어하여 스모그 발생을 중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terminal,
When the coupling of the LED ball is detected in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smog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smog generator around the art structure.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it stops.
발광체인 LED볼;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로서, 상기 LED볼이 탈착될 수 있는 탈착홀이 구비된 아트 구조물;
상기 탈착홀에 탈착되는 LED볼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아트 구조물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아트 구조물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아트 구조물이 프로젝터 모듈에 의하여 영상 투사가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단말은 스크린의 탈착홀에서 LED볼의 결합 또는 이탈 여부에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복수개의 프로젝터 함체가 스택형으로 쌓아 올려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은, 홀로그램 투사 전용 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경 및 인공구조물에 대한 미디어아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
Light-emitting LED ball;
As a natural environment structure or artificial structure, the art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through which the LED ball can be detache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LED ball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hole;
It includes; a control terminal that different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rt structur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hole of the art structure.
When the art structure is implemented as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by a projector module, the control terminal differently control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ball is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hole of the screen. do,
The projector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or enclosures are stacked,
The screen is a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s and artificial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edicated screen for hologram proj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60612A 2020-11-26 2020-11-26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KR102309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612A KR102309468B1 (en) 2020-11-26 2020-11-26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612A KR102309468B1 (en) 2020-11-26 2020-11-26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68B1 true KR102309468B1 (en) 2021-10-07

Family

ID=7860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612A KR102309468B1 (en) 2020-11-26 2020-11-26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6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436A (en)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The out door multi-information booth
KR20120110791A (en) 2011-03-30 2012-10-10 (주)이지위드 Interactive media art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36695A (en) * 2014-09-25 2016-04-05 이주식 System for spreading and public relations of donation culture using modeling
KR20170128753A (en) * 2016-09-28 2017-1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pace devices
KR101867020B1 (en) * 2016-12-16 2018-07-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or muse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436A (en)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The out door multi-information booth
KR20120110791A (en) 2011-03-30 2012-10-10 (주)이지위드 Interactive media art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36695A (en) * 2014-09-25 2016-04-05 이주식 System for spreading and public relations of donation culture using modeling
KR20170128753A (en) * 2016-09-28 2017-1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pace devices
KR101867020B1 (en) * 2016-12-16 2018-07-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or muse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6319B2 (en) Method for projecting image content
CN102484688B (en) Multimedia projection management
US83583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anar image on a curved surface
US7559659B2 (en) Configurable projection device
WO2001013301A3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providing and display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cinemas and theaters
JP2006526231A (en) Portable projector
Lantz A survey of large-scale immersive displays
CN110471355A (en) A kind of venue multiple-terminal control system
US10384144B2 (en) Travel case for portable Pepper's Ghost Illusion setup
KR102309468B1 (en)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ontents
US20100332244A1 (en) Electronic painting
US20150109581A1 (en) Simulated-holographic image display system
US20120327114A1 (e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producing augmented images
KR20190119919A (en) Smart advertisement system
CN102654961A (en) Interactive system based on circular screen, ground screen and sand table screen
CN105549309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4882035A (en) Wall-mounted integrated multimedia teaching equipment and system
US20210233441A1 (en) Self-supporting system and a method for the mass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nd digital advertising in public spaces
Lantz Digital domes and the future of large-format film
US20070252809A1 (en) System and method of direct interaction between one or more subjects and at least one image and/or video with dynamic effect projected onto an interactive surface
US20210224525A1 (en) Hybrid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types of display devices
CN105469725A (en) Laser demonstration box with water curtain
KR101436606B1 (en) Cylindrical Displayed Viewer System
JP2005175644A (en) Video image synthesizer, video image driver for driving video image synthesizer, transparent panel projecting video image of video image synthesizer, and three-dimensional video image system having video image synthesizer, video image driver and transparent panel
Boatright TI DLP® technology for laser TV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