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17B1 -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17B1
KR102309417B1 KR1020210036375A KR20210036375A KR102309417B1 KR 102309417 B1 KR102309417 B1 KR 102309417B1 KR 1020210036375 A KR1020210036375 A KR 1020210036375A KR 20210036375 A KR20210036375 A KR 20210036375A KR 102309417 B1 KR102309417 B1 KR 10230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ad
heat shielding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김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석 filed Critical 김보석
Priority to KR102021003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9Antislip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7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 E01C23/09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and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smoothing, gr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미끄럼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기존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도로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면서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우수한 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ROAD ANTI-SKID HEAT SHIELDING PAV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미끄럼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도로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면서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우수한 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주거, 상업, 공공시설 등이 늘어나 녹지 면적이 줄어들고, 각종 인공열과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도시 상공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바로 열섬(Heat Island) 현상이라 부른다.
이러한 열섬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도시에 건설되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인공 구조물에 있다. 이 인공 구조물은 낮 동안 태양 에너지를 열로 흡수하고 저장하였다가, 야간이 되면 방출하여 열대야와 도심 열섬 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태양광 중에서도 780 내지 2100㎚ 파장 영역의 근적외선이다. 근적외선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과는 달리 태양광이 열에너지로 변환되기 쉬워, 인공 구조물에 닿으면 열에너지로 변환 및 흡수되며, 그 표면 온도는 60 내지 7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도시부의 도로 등을 중심으로 보행자의 열 환경을 개선하거나 열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노면 온도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포장기술 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미끄럼 방지 포장재는 자동차 안전 및 원활한 주행을 위해 미끄럼 저항성만을 부여한 것이 대부분인데,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함에 따라 주거, 상업 시설들이 늘어나고 녹지 시설이 감소함으로써 여름철 햇빛의 대기열과 인공열에 의해 도심 주변에 기온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녹지 시설이 많은 지역보다 기온이 높아지는 도심의 열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표면의 지열을 낮추고 빛을 분산시켜 도심 열섬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포장 기술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09608호(2020년 09월 23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2094647호(2020년 03월 23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946377호(2019년 1월 31일 등록)
본 발명은 기존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도로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면서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우수한 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도심 열섬 현상을 개선하여 노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포장재 상부의 크랙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칠메타크릴게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으로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50,000~70,000 범위이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Tg(유리전이온도)가 6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를 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와 함께 반응부에서 80~100℃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 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촉진제 0.5~1 중량부 및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시공방법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 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촉진제닐 0.5~1 중량부 및 입도 2~15㎜의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포함하여 포장재를 제조하고, 상기 포장재에 벤조일퍼옥사이드 1~3 중량부를 첨가한 후 도로 상에 롤러로 가압 도포하여 시공하거나, 다수개의 도트 형태의 노즐 분사구를 이용하여 도로에 도포하여 시공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칠메타크릴게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으로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50,000~70,000 범위이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Tg(유리전이온도)가 60℃이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를 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와 함께 반응부에서 80~100℃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도로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면서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우수한 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도심 열섬 현상을 개선하여 노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포장재 상부의 크랙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안료(철흑(鐵黑: Iron Oxide Black)) 2~10 중량부, 첨가제(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촉진제(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0.5~1 중량부) 및 입도 2~15㎜의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에서 상기 알루미나는 햇빛을 반사시켜 표면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설탕은 수분을 흡수하여 내부 기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안료(철흑)는 빛의 차단율(T.S.R(Total Solar Reflectance))이 28% 이상의 효과가 있는 흑색 안료를 선택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기존 도로의 미끄럼 저항성이 향상되며 차열 포장재로서 우수한 차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시공방법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안료(철흑(鐵黑: Iron Oxide Black)) 2~10 중량부, 첨가제(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촉진제(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0.5~1 중량부) 및 입도 2~15㎜의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포함하여 포장재를 제조하고, 상기 포장재에 반응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1~3 중량부를 첨가한 후 도로 상에 롤러로 가압 도포하여 시공하거나, 다수개의 도트 형태의 노즐 분사구를 이용하여 도로에 도포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도트 형태의 노즐 분사구를 이용하여 도트 방식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돌출형태로 시공되므로 미끄럼 방지에 유용하고, 여름, 겨울의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에 의하여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쐐기형 특수롤을 사용하여 도포면을 후처리하게 되면 표면거칠기가 증가하여 미끄럼 방지에 유용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칠메타크릴게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으로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50,000~70,000 범위이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Tg(유리전이온도)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는 도로 표면 도포시 표면에 침투하여 반응개시제에 의해 라디칼 반응(C=C Chain이 - C - C - )에 의해 결합이 형성되어 폴리머로 형성되며 고형화되며 우수한 접착력과 내마모성, 내미끄럼 저항성이 형성되며 견고한 도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하드록시 에칠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 유도체와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주로 2~3가지 이상을 사용함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우수한 물성과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재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하여 수지화됨으로써 우수한 부착 성능을 부여한다.
상기 반응개시제로는 퍼옥사이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퍼옥사이드 화합물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및 쿠펜하이드로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벤조일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는 취급이 용이하며 상온에서 반응이 늦은 관계로 3급 아민을 활용하여 사용하면 급격히 반응 속도를 조절하며 진행할 수 있다.
상기 3급 아민은 디메칠아닐린, 디에틸아닐린 및 N'N-디메틸-P-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3급 아민을 사용함으로써 반응성이 초기에 빠른 속도로 아크릴 반응 속도가 진행되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에 참여하고 아크릴레이트 반응 속도가 늦어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발열에 의해 증발이 생길 우려가 있어 원하는 물성을 얻지 못하므로 균일하게 반응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는 표면층을 형성하여 햇빛을 차단, 반사시켜 열을 분산시켜 도포 표면의 열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철흑(鐵黑: Iron Oxide Black))은 빛의 차단율(T.S.R(Total Solar Reflectance))이 28%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여 표면 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설탕은 도막이 형성된 후 수분을 흡수하여 설탕 성분이 천천히 빠져나가며 수지 도막에 기공을 형성하여 열의 순환을 도와 열을 낮추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특히, 비가 오면 내부에 있는 설탕이 녹아 내부에 기공이 생겨 도막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여름에 도로 표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증점제는 작업성을 위한 점도 조절용과 알루미나, 골재(보크사이트)의 침강 방지제로서 크랙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리카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나, 골재와 같은 큰 입자가 침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현재 규사 등을 사용하는 것을 보크사이트로 교체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보크사이트는 구사보다 내마모성이 강한 알루미늄 옥사이드 성분이 많이 함유됨으로써 내마찰계수가 규사보다 월등히 우수하므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고, 입도가 2~5㎜인 보크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에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와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베이스 수지 제조 방법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를 반응개시제(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와 함께 반응부에서 80~100℃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인 폴리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50,000~70,000, Tg(유리전이온도) 60℃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베이스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 제조방법 >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안료(철흑) 2~10 중량부, 첨가제(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촉진제(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0.5~1 중량부) 및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켜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 및 반응개시제(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를 90℃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켜 공중합체인 폴리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은 50,000~70,000이고 Tg(유리전이온도)는 60℃이다.
상기 공중합체인 폴리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하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5℃ 이하, 70rpm 에서 8시간 동안 용해, 희석하여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80 중량부, 설탕 60 중량부, 안료(철흑) 8 중량부, 증점제(벤토나이트) 2 중량부, 분산제 0.4 중량부, 디메틸아닐린 0.4 중량부, N'N-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키며, 이후 800rpm에서 보크사이트 1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900rpm에서 15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65 중량부, 설탕 90 중량부, 안료(철흑) 4 중량부, 증점제(벤토나이트) 4 중량부, 분산제 0.3 중량부, 디메틸아닐린 0.5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0.3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키며, 이후 800rpm에서 보크사이트 120 중량부를 투입한 후 900rpm에서 15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90 중량부, 설탕 65 중량부, 안료(철흑) 9 중량부, 증점제(벤토나이트) 2 중량부, 분산제 0.4 중량부, 디메틸아닐린 0.5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키며, 이후 800rpm에서 보크사이트 190 중량부를 투입한 후 900rpm에서 15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는데,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20 중량부, 설탕 30 중량부, 안료(철흑) 5 중량부, 증점제(벤토나이트) 2 중량부, 분산제 0.4 중량부, 디메틸아닐린 0.5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키며, 이후 800rpm에서 보크사이트 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900rpm에서 15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디졸버(고속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7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 안료(철흑) 0.5 중량부, 증점제(벤토나이트) 0.5 중량부, 분산제 0.1 중량부, 디메틸아닐린 0.5 중량부 및 N'N-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키며, 이후 800rpm에서 보크사이트 35 중량부를 투입한 후 900rpm에서 15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3과 비교예 1, 2에 따른 포장재의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물성 평가 >
(1) 차열 성능(℃): 15㎜×15㎜ 철판 위에 시료를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일정한 거리에서 120W 적외선 램프를 조사하면서 시료의 표면 중앙에 온도 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시간에 따른 샘플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램프 조사 시간은 평균 5시간으로 측정하였다.
(2) 미끄럼 방지 성능(BPN): KS F2375 방법에 의해 미끄럼 방지 성능을 측정하였다.
(3) 내마모성(㎎): KS M 6080:2009 방법에 의해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규정된 마모시험기에서 회전하는 시편에 연마지 180번과 마모륜이 500g의 하중이 걸리도록 장치한 후 시험방법에 따라 20±1℃에서 200회의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마모 감량을 측정하였다.
(4) 부착 성능: 콘크리트에 약 400㎛ 두께로 시료를 도포하여 건조 후 망치로 깨어보아 콘크리트와 함께 박리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때, 콘크리트 파편에 시료가 잘 부착되어 있는 경우 ◎, 다소 박리가 일어난 경우 ○, 완전히 박리된 경우 X로 표시하였다.
구분 차열성능(℃) 미끄럼방지성능(BPN) 내마모성(mg) 부착성능
실시예 1 58 121 120
실시예 2 57 119 121
실시예 3 55 125 123
비교예 1 62 111 130
비교예 2 63 106 13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른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가 비교예 1, 2에 따른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성능을 부여한 포장재와 비교하여, 차열성능, 미끄럼방지성능,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를 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와 함께 반응부에서 80~100℃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이 50,000~70,000 범위이고, Tg(유리전이온도)가 60℃이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믹서기로 이동시켜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철흑으로 이루어진 안료 2~10 중량부,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디메틸아닐린과 N'N-디메틸-P-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진 촉진제 0.5~1 중량부 및 입도 2~15㎜의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분산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나 분말 50~100 중량부, 설탕 50~100 중량부, 철흑으로 이루어진 안료 2~10 중량부,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증점제 1~5 중량부, 분산제 0.2~0.5 중량부, 디메틸아닐린과 N'N-디메틸-P-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진 촉진제 0.5~1 중량부 및 입도 2~15㎜의 보크사이트 100~200 중량부를 포함하여 포장재를 제조하고, 상기 포장재에 벤조일퍼옥사이드 1~3 중량부를 첨가한 후 도로 상에 롤러로 가압 도포하여 시공하거나, 다수개의 도트 형태의 노즐 분사구를 이용하여 도로에 도포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아크릴 단량체 200~250 중량부를 35℃ 이하에서 용해 희석하여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으로 형성된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50,000~70,000 범위이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Tg(유리전이온도)가 60℃이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0 중량부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를 벤조일퍼옥사이드 0.2 중량부와 함께 반응부에서 80~100℃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도로 미끄럼 방지 차열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20210036375A 2021-03-22 2021-03-22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0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75A KR102309417B1 (ko) 2021-03-22 2021-03-22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75A KR102309417B1 (ko) 2021-03-22 2021-03-22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17B1 true KR102309417B1 (ko) 2021-10-05

Family

ID=7807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75A KR102309417B1 (ko) 2021-03-22 2021-03-22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55B1 (ko) 2022-02-10 2022-05-10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유연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509267B1 (ko) * 2022-06-10 2023-03-15 주식회사 라온피플인더스트리 접착강도 및 내마모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78898B1 (ko) * 2023-05-10 2023-09-18 주식회사 홍서 내구성이 개선된 고기능성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 방법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12B1 (ko) * 2016-04-28 2016-11-16 (주)에이알앤씨 아크릴 에멀젼 바인더와 친수성 유황을 포함하는 포장도로의 유지보수 예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포장도로의 유지/보수 예방 시공 방법
KR20160141185A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아스팔트 도로 포장재용 수지 조성물
KR101936190B1 (ko) * 2018-07-04 2019-01-09 김상운 도로면 발수 침투강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방법
KR101946377B1 (ko) 2018-08-21 2019-02-11 주식회사 현대하이텍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102094647B1 (ko) 2019-10-31 2020-03-31 화성이엔씨(주) 상온포장 가능한 이액형 미끄럼방지 차열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9608A (ko) 2019-03-13 2020-09-23 이민영 열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아스팔트 차열포장재의 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185A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아스팔트 도로 포장재용 수지 조성물
KR101676412B1 (ko) * 2016-04-28 2016-11-16 (주)에이알앤씨 아크릴 에멀젼 바인더와 친수성 유황을 포함하는 포장도로의 유지보수 예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포장도로의 유지/보수 예방 시공 방법
KR101936190B1 (ko) * 2018-07-04 2019-01-09 김상운 도로면 발수 침투강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방법
KR101946377B1 (ko) 2018-08-21 2019-02-11 주식회사 현대하이텍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20200109608A (ko) 2019-03-13 2020-09-23 이민영 열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아스팔트 차열포장재의 포장공법
KR102094647B1 (ko) 2019-10-31 2020-03-31 화성이엔씨(주) 상온포장 가능한 이액형 미끄럼방지 차열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55B1 (ko) 2022-02-10 2022-05-10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유연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509267B1 (ko) * 2022-06-10 2023-03-15 주식회사 라온피플인더스트리 접착강도 및 내마모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78898B1 (ko) * 2023-05-10 2023-09-18 주식회사 홍서 내구성이 개선된 고기능성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 방법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417B1 (ko) 도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도로 차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48777B1 (ko) 도시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차열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94429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US8048218B2 (en) Coating, aqueous coat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coating using the same, and coated article with coating
KR101132207B1 (ko) 도로 노면의 미끄럼방지 및 야간시인성이 개선된 바닥재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바닥재
KR100843271B1 (ko) 차열성 포장 혼합물 및 차열성 포장 방법
KR102094647B1 (ko) 상온포장 가능한 이액형 미끄럼방지 차열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6377B1 (ko)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2389268B1 (ko) 미끄럼방지 및 결빙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134947B2 (ja) シラップ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被覆方法
KR102052162B1 (ko) 노면 포장용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시공 방법
EP2646748B1 (en) Pavement marking composition
CN102477255A (zh) 一种高耐候性玻璃隔热涂料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6190B1 (ko) 보도용 또는 차도용 블럭의 표층부에 사용되기 위한 열섬현상 저감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섬현상 저감 보도용 또는 차도용 블록
KR101522195B1 (ko)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KR100896429B1 (ko)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차열성포장체
KR20120002054A (ko) 열저감 반사도료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KR101251442B1 (ko) 아스팔트 열소성변형 방지를 위한 차열포장재 조성물 및 그 포장공법
KR20110006772A (ko) 차열 도료 조성물
KR101844768B1 (ko) 건축용 포장식 방수 아스팔트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3046286A1 (fr) Revetement supprimant la chaleur solaire
KR102236644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CN113174177A (zh) 一种路用热反射涂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