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312B1 - 연소기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312B1
KR102309312B1 KR1020200029257A KR20200029257A KR102309312B1 KR 102309312 B1 KR102309312 B1 KR 102309312B1 KR 1020200029257 A KR1020200029257 A KR 1020200029257A KR 20200029257 A KR20200029257 A KR 20200029257A KR 102309312 B1 KR102309312 B1 KR 10230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or
frame
burner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911A (ko
Inventor
강한샘
이동욱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3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7Assembling combustion chamber liners or subpar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는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로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 상기 버너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 상기 승강 틸팅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버너를 회전시키는 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소기 설치 장치{COMBUSTOR INSTA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연소기 설치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기 케이싱에 버너를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터빈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로 발생된 고온의 가스로 터빈을 회전시키는 동력 기관이다. 가스 터빈은 발전기, 항공기, 선박, 기차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및 터빈을 포함한다. 압축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소기로 전달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는 고압 및 고온의 상태가 된다. 연소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해서 연소시킨다.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연소 가스는 터빈으로 배출된다. 연소 가스에 의해 터빈 내부의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동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동력은 발전, 기계 장치의 구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압축기와 터빈의 사이에는 연소기 케이싱이 설치되고, 연소기 케이싱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소기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소기는 각각의 연소기 홀에 삽입되어 가스터빈에 장착되게 된다. 하나의 연소기 케이싱에는 14개 혹은 그 이상의 연소기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개의 연소기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크레인을 사용하거나 리프트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설치 장치는 버너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연소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연소기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는 연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로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 상기 버너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 상기 승강 틸팅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버너를 상기 버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롤링부는 상기 버너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프래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래임은 제1 고리판과 상기 제1 고리판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된 제2 고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고리판에는 상기 버너에 형성된 볼트 머리를 삽입하는 안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홈은 호형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안착 홈에는 복수의 볼트 머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1 고리판의 단부에는 상기 버너에 형성된 볼트 머리를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승강 틸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프래임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된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되며 상기 롤링부와 연결된 이송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롤링부는 상기 이송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프래임과 상기 버너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프래임과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래임을 회전시키는 롤링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롤링 모터 어셈블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프래임을 지지하는 롤링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은 상기 이송 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에 고정되며 호형으로 만곡된 회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지지 프래임은 제1 고리판과 상기 제1 고리판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된 제2 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링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 고리판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 프래임 및 상기 롤링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회피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회전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 프래임의 외주면과 맞닿는 제1 롤러와 상기 지지 프래임의 배면과 맞닿는 제2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지지 프래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롤링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 막대가 삽입된 고정용 홈이 형성된 롤링 고정 프래임과 상기 고정 막대를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조절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제1 고리판과 상기 제2 고리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고정 막대와 상기 제2 고리판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2 고정 막대를 포함하며, 일부의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고정 막대에 결합되고, 나머지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 고정 막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세워져 설치되며 측면에 안내 홈이 형성된 기둥 레일과 상기 승강 틸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승강 틸팅부는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래임과 상기 승강 프래임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는 승강 휠과 상기 승강 프래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틸팅시키는 틸팅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승강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된 체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승강 프래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버너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전도 방지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닥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는 고정 패드와 상기 고정 패드를 승강시키는 조절 막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롤링부에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롤링부에는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롤링부와 상기 연소기 케이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는 보다 용이하게 연소기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롤링부를 포함하므로 버너의 자세를 정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위에서 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아래에서 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 틸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와 롤링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링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프래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링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래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래임과 버너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연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1 실시예를 따르는 가스 터빈(1000)의 열역학적 사이클은 이상적으로는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을 따를 수 있다. 브레이튼 사이클은 등엔트로피 압축(단열 압축), 정압 급열, 등엔트로피 팽창(단열 팽창), 정압 방열로 이어지는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한 후 정압 환경에서 연료를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고온의 연소 가스를 팽창시켜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 후에 잔여 에너지를 담은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 즉, 압축, 가열, 팽창, 방열의 4 과정으로 사이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브레이튼 사이클을 실현하는 가스 터빈(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100), 연소기(1200) 및 터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도 1을 참조하겠지만, 본 발명의 설명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가스 터빈(1000)과 동등한 구성을 가진 터빈 기관에 대해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터빈(1000)의 압축기(110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1100)는 압축기 블레이드(1130)에 의해 압축된 압축 공기를 연소기(1200)에 공급하고, 또한 가스 터빈(1000)에서 냉각이 필요한 고온 영역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압축기(1100)에서 단열 압축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압축기(1100)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과 온도는 올라가게 된다.
압축기(1100)는 원심 압축기(centrifugal compressors)나 축류 압축기(axial compressor)로 설계되는데, 소형 가스 터빈에서는 원심 압축기가 적용되는 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형 가스 터빈(1000)은 대량의 공기를 압축해야 하기 때문에 다단 축류 압축기(1100)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다단 축류 압축기(1100)에서는, 압축기(1100)의 블레이드(1130)는 로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면서 압축된 공기를 후단의 압축기 베인(1140)으로 이동시킨다. 공기는 다단으로 형성된 블레이드(1130)를 통과하면서 점점 더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기 베인(1140)은 하우징(1150)의 내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압축기 베인(1140)이 단을 형성하며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 베인(1140)은 전단의 압축기 블레이드(1130)로부터 이동된 압축 공기를 후단의 블레이드(1130) 측으로 안내한다.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압축기 베인(1140) 중 적어도 일부는 공기의 유입량의 조절 등을 위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1100)는 터빈(1300)에서 출력되는 동력의 일부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100)의 회전축과 터빈(1300)의 회전축은 직결될 수 있다. 대형 가스 터빈(1000)의 경우, 터빈(1300)에서 생산되는 출력의 거의 절반 정도가 압축기(1100)를 구동시키는데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100)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스 터빈(1000)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연소기(1200)는 압축기(1100)의 출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등압 연소시켜 높은 에너지의 연소 가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2는 가스 터빈(1000)에 적용되는 연소기(1200)의 일례를 보여준다. 연소기(1200)는 버너(1220)와 덕트 조립체(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너(1220)는 복수의 노즐(1230), 연소기 헤드(1270), 노즐 케이싱(1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소기(1200)는 가스 터빈(1000)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며, 연소기 케이싱(1210)에 형성된 설치 홀을 통해서 연소 케이싱(1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버너(1220)와 터빈(1300) 사이를 연결하여 고온의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덕트 조립체(1250)의 외면을 따라 압축공기가 흘러서 노즐(1230) 쪽으로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된 덕트 조립체(1250)가 적절히 냉각된다.
덕트 조립체(1250)는 라이너(1251)와 트랜지션피스(1252)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1251)는 연소실(1240)을 형성하는 이너 라이너(1253)와 이너 라이너(1253)를 감싸는 아우터 라이너(125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는 트랜지션피스(1252) 내부 및 이너 라이너(1253)와 아우터 라이너(1254) 사이로 이동하면서, 트랜지션피스(1252)와 라이너(1251)를 냉각할 수 있다.
라이너(1251)는 연소기(1200)의 버너(1220)에 연결되는 관 부재로서, 라이너(1251) 내부의 공간이 연소실(1240)을 형성하게 된다. 라이너(1251)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버너(1220)에 결합되고 라이너(1251)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는 트랜지션피스(1252)에 결합된다.
그리고, 트랜지션피스(1252)는 터빈(1300)의 입구와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가스를 터빈(130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트랜지션피스(125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라이너(1251)와 결합되고, 트랜지션피스(1252)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는 터빈(1300)과 결합된다.
덕트 조립체(1250)의 단부에는 노즐 케이싱(1260)이 결합 설치되고, 노즐 케이싱(1260)에는 노즐들(1230)을 지지하는 연소기 헤드(1270)가 결합 설치된다.
연소기 케이싱(1210)은 복수의 버너(1220)를 감싸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너(1220)는 압축기(1100)의 하류에 배치되며, 환형을 이루는 연소기 케이싱(12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각 버너(1220)에는 수 개의 노즐(1230)이 구비되며, 이 노즐(1230)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공기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연소에 적합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위에서 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아래에서 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2000)는 바닥, 작업대 등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2100), 버너(1220)를 지지대(2100)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2200), 버너(1220)를 연소기 케이싱(1210)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2400)와 버너(1220)를 회전시키는 롤링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2000)는 버너(1220)를 연소기 케이싱(1210)에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지지대(2100)는 바닥판(2110)과 바닥판(2110)에 세워져 설치되며 측면에 안내 홈이 형성된 기둥 레일(2120)과 승강 틸팅부(2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2130)와 기둥 레일(2120)을 지지하는 경사 기둥(2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2110)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판(2110)의 하면에는 바닥판(2110)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닥 롤러(2115)가 설치되고, 바닥판(2110)의 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215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닥판(2110)에는 복수의 바닥 롤러(21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 롤러(2115)는 바닥 브라켓(2113)을 매개로 바닥판(2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브라켓(2113)은 바닥판(2110)에서 하부로 돌출된 바닥 롤러(2115)는 바닥 브라켓(21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롤러(2115)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2150)는 고정 패드(2151)와 고정 패드(2151)를 승강시키는 조절 막대(2152), 조절 막대(2152)를 감싸는 지지관(2153), 및 조절 막대(2152)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215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관(2153)은 바닥판(211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 막대(2152)는 지지관(2153)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관(2153)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다. 고정 패드(2151)는 조절 막대(2152)의 하단에 결합되며 조절 막대(2152)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2154)는 조절 막대(2152)와 연결된 막대 또는 링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손잡이(2154)를 이용하여 조절 막대(21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닥판(2110)에는 4개의 미끄럼 방지부재(2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부재(2150)는 바닥판(2110)의 코너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2150)는 지지대(2100)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고정 패드(2151)가 하부로 이동하면 바닥판(2110)과 바닥 롤러(2115)가 지면에서 상승하여 지지대(2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바닥판(2110)에는 2개의 기둥 레일(2120)이 세워져 설치되며 기둥 레일(2120)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는 안내 홈(2131)이 형성될 수 있다. 기둥 레일(2120)들은 복수의 지지 막대(212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경사 기둥(2140)은 바닥판(2110) 및 기둥 레일(212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경사 기둥(2140)의 하단은 바닥판(2110)에 고정되고, 경사 기둥(2140)의 상단은 기둥 레일(2120)에 고정될 수 있다. 경사 기둥(2140)에는 복수의 수평 바(2142)가 설치되며, 수평 바(2142)는 경사 기둥(214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계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판(2110)에는 버너의 무게에 의하여 지지대(21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부재(2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도 방지부재(2160)는 무게를 갖는 균형추(counter weigh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 방지부재(2160)는 경사 기둥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판(2110)에는 승강 틸팅부(2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2130)가 설치되는데, 승강 실린더(2130)는 유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 실린더(2130)의 상단에는 2개의 스프로킷(2132)이 승강 실린더(2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로킷(2132)에는 체인(2134)이 결합될 수 있다. 체인(2134)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승강 실린더(2130)의 하부에 고정되되 이동하지 않는 부분에 고정되며, 체인(2134)의 타측 단부는 승강 프래임(2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실린더(2130)가 상승하면 체인(2134)이 승강 프래임(2210)을 당겨서 승강 틸팅부(2200)가 상승할 수 있으며, 승강 실린더(2130)가 하강하면 승강 틸팅부(2200)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상 실린더(2130)가 체인(2134)을 매개로 승강 틸팅부(2200)와 연결되면 승강 틸팅부(2200)를 보다 부드럽게 상승시켜서 승강 틸팅부(2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 틸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승강 틸팅부(2200)는 이송부(2400)를 지지대(2100)에 대하여 틸팅시키며, 지지대(210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 틸팅부(2200)는 지지대(21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래임(2210)과 승강 프래임(2210)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안내 홈(2131)에 삽입되는 승강 휠(2230)과 승강 프래임(2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부(2400)를 틸팅 시키는 틸팅 실린더(226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프래임(2210)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둥 레일(212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체인(2134)은 승강 프래임(221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 휠(2230)은 승강 프래임(2210)에 휠 브라켓(2240)을 매개로 고정되며, 휠 브라켓(2240)은 승강 프래임(221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휠 브라켓(2240)은 승강 프래임(2210)에서 기둥 레일(2120)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여 돌출되며 승강 휠(2230)은 휠 브라켓(2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 틸팅부(2200)는 4개의 승강 휠(2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승강 휠(2230)은 안내 홈(2131)에 삽입되어 기둥 레일(212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틸팅 실린더(2260)는 승강 프래임(2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틸팅 실린더(2260)의 상단은 이송부(240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틸팅부(2200)는 이송부(2400)를 x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송부(2400)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래임(2410)이 승강 프래임(2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부(240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래임(2410)이 승강 프래임(22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와 롤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부(2400)는 지지대(2100)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으며, 승강 틸팅부(2200)에 의하여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2400)는 버너(12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연소기 케이싱(1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송부(2400)는 승강 틸팅부(2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프래임(2410)과, 이송 프래임(2410) 상에 설치된 이송 레일(2420)과 이송 프래임(2410)에 고정된 이송 실린더(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400)는 버너(1220)를 연소기 케이싱(1210)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프래임(2410)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송 프래임(2410)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승강 프래임(2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24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 프래임(2410)은 회동 브라켓(2450)을 매개로 승강 틸팅부(2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송 프래임(2410)은 이송 레일(2420)을 지지하는 세로 막대(2412)들과 세로 막대(2412)들을 연결하는 가로 막대(241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레일(2420)은 세로 막대(2412)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잇다.
이송 실린더(2430)는 가로 막대(2413)에 고정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실린더(2430)는 이송 레일(242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이송 레일(2420)의 길이방향으로 롤링부(2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링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프래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롤링부(2500)는 버너(12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CX1,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버너(1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롤링부(2500)는 슬라이딩 프래임(2510), 지지 프래임(2540),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 롤링 고정부재(25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래임(2510)은 이송 레일(2420)에 결합되어 이송 레일(2420)을 따라 이동하며,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 및 지지 프래임(2540)을 지지한다.
슬라이딩 프래임(2510)은 리니어 베어링(2512)을 매개로 이송 레일(242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511)와 슬라이딩 지지부(2511)에 고정되며 호형으로 만곡된 회전 지지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지지부(2511)에는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판(2514)이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지지부(2511)에는 지지 프래임(2540) 및 롤링 고정부재(2530)가 삽입되는 회피 개구(25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피 개구(2516)가 형성되면 지지 프래임(2540) 및 롤링 고정부재(2530)가 슬라이딩 프래임(25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니어 베어링(2512)은 슬라이딩 프래임(25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이송 레일(2420)과 결합된다. 슬라이딩 프래임(2510)에는 복수의 리니어 베어링(2512)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지지판(2514)은 슬라이딩 지지부(25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지지부(2511)에 대하여 세워진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지지부(2513)는 슬라이딩 프래임(2510)의 선단에 고정되며 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대략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지지부(2513)는 측면판(2513a)과 측면판(2513a)에 대하여 세워져 배치된 배면판(2513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513)의 전방에는 지지 프래임(2540)이 삽입되는 지지 홈(2515)이 형성되는데, 지지 홈(2515)은 측면판(2513a)과 배면판(2513b)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홈(2515)에는 지지 프래임(2540)의 외주면과 맞닿는 제1 롤러(2517)와 지지 프래임(2540)의 배면과 맞닿는 제2 롤러(25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래임(2540)은 제1 롤러(2517)와 제2 롤러(2518)에 의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는 슬라이딩 지지부(2511)의 후방 지지판(2514)에 설치되며 롤링 모터(2521)와 롤링 모터(2521)에 연결 설치되며 기어와 베어링을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부재(25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전달부재(2523)의 선단에는 롤링 고정부재(25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는 롤링 고정부재(2530)를 매개로 지지 프래임(25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링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래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래임과 버너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링 고정부재(2530)는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를 매개로 슬라이딩 프래임(2510)에 결합되며 지지 프래임(2540)을 지지한다.
롤링 고정부재(2530)는 슬라이딩 프래임(2510)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롤링 고정 프래임(2531)과 롤링 고정 프래임(2531)에 설치되며 고정 막대(2543)를 감싸는 복수의 클램프(2532)와 클램프(2532)를 회전시키는 조절 레버(253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 고정 프래임(2531)의 폭방향 중앙에는 롤링 모터 어셈블리(252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판(2533)이 세워져 형성되며, 롤링 고정 프래임(2531)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534)가 형성될 수 있다.
롤링 고정 프래임(2531)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각각 2개의 고정용 홈(2536)이 형성되며, 클램프(2532)는 고정용 홈(2536)을 막도록 롤링 고정 프래임(25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용 홈(2536)과 클램프(2532)는 지지 프래임(2540)에 설치된 고정 막대(2543)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2532)에는 연결 링크(2537)를 매개로 조절 레버(2535)가 설치되며, 조절 레버(2535)가 회전하면 연결 링크(2537)가 클램프(2532)를 밀거나 당겨서 클램프(2532)가 롤링 고정 프래임(253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2532)와 조절 레버(2535)를 이용하여 지지 프래임(2540)이 롤링 고정부재(25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프래임(2540)은 버너(1220)와 결합되어 버너(1220)를 지지한다. 지지 프래임(2540)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제1 고리판(2541)과 제2 고리판(2542), 및 제1 고리판(2541)과 제2 고리판(2542)을 연결하는 고정 막대(25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은 상부가 개방되며 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고리판(2542)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은 제2 고리판(254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과 제2 고리판(2542)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 막대(2549)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 및 제2 고리판(2542)의 내측에는 개구(2544)가 형성되며 개구(2544)에는 버너(1220)에 설치된 연료 인젝터(127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래임(2540)은 연료 인젝터(1272)의 방해를 받지 않고 버너(1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에는 버너(1220)에 설치된 볼트 머리(1271)가 삽입되는 복수의 안착 홈(2546)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2546)은 호형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하나의 안착 홈(2546)에는 복수의 볼트 머리(127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리판(2541)의 단부에는 볼트 머리(1271)를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부 홈(2545)이 형성될 수 있다. 단부 홈(2545)은 볼트 머리(1271)를 절반 정도 삽입할 수 있다. 단부 홈(2545)이 형성되면 지지 프래임(2540)이 회전할 때 제1 고리판(2541)이 볼트 머리(1271)를 밀어서 버너(12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리판(2541)에는 버너(1220)의 고정을 위한 지지 바(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용 홀(2547)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막대(2543)는 제1 고리판(2541)과 제2 고리판(254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고정 막대(2543a)와 제2 고리판(2542)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2 고정 막대(254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링 고정 프래임(2531)에는 제2 고리판(2542)이 삽입되는 슬릿(2538)이 형성되며, 제2 고리판(2542)의 하부가 슬릿(2538)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고리판(2541)과 제2 고리판(2542)이 이격 배치되어 제2 고리판(2542)이 슬릿(2538)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슬릿(2538)이 형성되면 지지 프래임(2540)이 롤링 고정 프래임(2531)에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클램프(2532)는 제1 고정 막대(2543a)에 결합되고, 나머지 클램프(2532)는 제2 고정 막대(2543b)에 결합되어 지지 프래임(2540)이 롤링 고정부재(25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기 설치 장치(2000)가 승강 틸팅부(2200), 및 롤링부(2500)를 구비하므로 버너(1220)의 위치와 포지션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버너(1220)를 연소기 케이싱(12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의 롤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는 레이저 조사부(3100)와 거리 측정부(320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롤링부(2500)의 전면에는 레이저 조사부(3100)와 거리 측정부(3200)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100)와 거리 측정부(3200)는 롤링부(2500)에서 연소기 케이싱(1210)을 향하는 전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래임(2540)의 제1 고리판(254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설치판(2548)이 형성되고, 레이저 조사부(3100)와 거리 측정부(3200)는 설치판(2548)에 고정될 수 있다. 롤링부(2500)에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3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 또는 4개의 레이저 조사부(3100)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100)는 연소기 케이싱(1210)을 향하여 레이저(3120)를 조사하며, 특히 연소기가 설치되는 개구(1212)를 감싸는 플랜지(1215)를 향하여 레이저(3120)를 조사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200)는 레이저 조사부(3100)에서 조사된 레이저(3120)가 반사되면 반사된 레이저(3120)를 이용하여 롤링부(2500)와 연소기 케이싱(12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거리 측정부(3200)는 지지 프래임(2540)과 플랜지(121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200)는 레이저 조사부(31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레이저 조사부(3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와 같이 레이저 조사부(3100)가 설치되면 레이저(3120)가 조사된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지지 프래임(2540)의 위치와 경사가 올바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측정부(3200)가 설치되면 지지 프래임(2540)과 연소기 케이싱(1210)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지지 프래임(2540)의 경사각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지지 프래임(2540)과 플랜지(1215)가 평행하면 각각의 거리 측정부(3200)에서 측정된 거리가 동일하나, 지지 프래임(2540)이 플랜지(1215)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면 거리가 상이하게 측정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버너(1220)의 포지션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는 전도 방지부재(350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설치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대(2100)의 바닥판(2110)에는 전도 방지부재(3500)가 설치되며 전도 방지부재(3500)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2110)에는 복수의 전도 방지부재(3500)가 설치되며 전도 방지부재(3500)는 막대 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전도 방지부재(3500)들은 바닥판(2110)의 측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측단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도 방지부재(35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도 방지부재(3500)가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된 금속판 등을 끌어 당겨서 지지대(2100)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21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 방지부재(3500)는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서 지지대(2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가스 터빈 1100: 압축기
1130: 압축기 블레이드 1140: 베인
1150: 하우징 1200: 연소기
1210: 연소기 케이싱 1220: 버너
1240: 연소실 1250: 덕트 조립체
1251: 라이너 1252: 트랜지션피스
1253: 이너 라이너 1254: 아우터 라이너
1270: 연소기 헤드 2000: 연소기 설치 장치
2100: 지지대 2110: 바닥판
2120: 기둥 레일 2130: 승강 실린더
2140: 경사 기둥 2150: 미끄럼 방지부재
2160, 3500: 전도 방지부재 2200: 승강 틸팅부
2160: 전도 방지부재 2200: 승강 틸팅부
2210: 승강 프래임 2230: 승강 휠
2240: 휠 브라켓 2260: 틸팅 실린더
2400: 이송부 2410: 이송 프래임
2420: 이송 레일 2430: 이송 실린더
2500: 롤링부 2510: 슬라이딩 프래임
2520: 롤링 모터 어셈블리 2530: 롤링 고정부재
2540: 지지 프래임 3100: 레이저 조사부
3200: 거리 측정부

Claims (20)

  1. 연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에 있어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
    상기 버너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
    상기 승강 틸팅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버너를 상기 버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롤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롤링부는 상기 버너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프래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래임은 제1 고리판과 상기 제1 고리판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된 제2 고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판에는 상기 버너에 형성된 볼트 머리를 삽입하는 안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홈은 호형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안착 홈에는 복수의 볼트 머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판의 단부에는 상기 버너에 형성된 볼트 머리를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승강 틸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프래임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된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되며 상기 롤링부와 연결된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6. 연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에 있어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
    상기 버너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
    상기 승강 틸팅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버너를 회전시키는 롤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승강 틸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프래임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된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프래임에 고정되며 상기 롤링부와 연결된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이송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프래임과 상기 버너와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프래임과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래임을 회전시키는 롤링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롤링 모터 어셈블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프래임을 지지하는 롤링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래임은 상기 이송 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에 고정되며 호형으로 만곡된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래임은 제1 고리판과 상기 제1 고리판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된 제2 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링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 고리판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 프래임 및 상기 롤링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회피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 프래임의 외주면과 맞닿는 제1 롤러와 상기 지지 프래임의 배면과 맞닿는 제2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래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롤링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 막대가 삽입된 고정용 홈이 형성된 롤링 고정 프래임과 상기 고정 막대를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조절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래임은 제1 고리판과 상기 제1 고리판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된 제2 고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제1 고리판과 상기 제2 고리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고정 막대와 상기 제2 고리판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2 고정 막대를 포함하며,
    일부의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고정 막대에 결합되고, 나머지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 고정 막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3. 연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에 있어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
    상기 버너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틸팅시키는 승강 틸팅부;
    상기 승강 틸팅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너를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버너를 회전시키는 롤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세워져 설치되며 측면에 안내 홈이 형성된 기둥 레일과 상기 승강 틸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틸팅부는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래임과 상기 승강 프래임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는 승강 휠과 상기 승강 프래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틸팅시키는 틸팅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승강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된 체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승강 프래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버너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방지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닥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는 고정 패드와 상기 고정 패드를 승강시키는 조절 막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에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에는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롤링부와 상기 연소기 케이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설치 장치.
KR1020200029257A 2020-03-09 2020-03-09 연소기 설치 장치 KR10230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57A KR102309312B1 (ko) 2020-03-09 2020-03-09 연소기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57A KR102309312B1 (ko) 2020-03-09 2020-03-09 연소기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911A KR20210113911A (ko) 2021-09-17
KR102309312B1 true KR102309312B1 (ko) 2021-10-07

Family

ID=7792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257A KR102309312B1 (ko) 2020-03-09 2020-03-09 연소기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3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12Y1 (ko) * 2013-11-29 2016-02-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소실에 부착된 연소기와 가스터빈 연소실 정렬을 위한 거리측정시스템
JP2016188639A (ja) * 2015-03-12 2016-11-04 アンサルド エネルジア スウィッツァーランド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タービン部品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12Y1 (ko) * 2013-11-29 2016-02-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소실에 부착된 연소기와 가스터빈 연소실 정렬을 위한 거리측정시스템
JP2016188639A (ja) * 2015-03-12 2016-11-04 アンサルド エネルジア スウィッツァーランド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タービン部品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911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224B2 (en) Gas turbine impeller alignment tool and method
US11261759B2 (en) Turbine support structure, turbine and gas turbine using the same
KR20190108955A (ko) 가스 터빈 연료 공급 장치, 이를 구비한 연료 노즐 및 가스 터빈
CN106969378B (zh) 燃烧器组件提升系统
KR102309312B1 (ko) 연소기 설치 장치
KR20190105997A (ko) 파일럿 연료 분사 장치, 이를 구비한 연료 노즐 및 가스 터빈
KR102183508B1 (ko) 지그장치
KR102268660B1 (ko) 연소기 설치 장치
KR102309311B1 (ko) 연소기 설치 방법
KR102207789B1 (ko) 지그장치
KR102268661B1 (ko) 연소기 설치 방법
CN100412322C (zh) 透平机和用于将透平机的导向叶片拆下的工作方法
KR102068305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EP3879079B1 (en) Turbine exhaust unit supporting device, turbine including same, and gas turbine including same
KR102183509B1 (ko) 지그장치
KR102163552B1 (ko) 지그장치
KR100285668B1 (ko) 가스터빈의 연소기용 캔의 분해, 조립장치
KR20190084464A (ko) 가변 베인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073965B1 (ko) 연소기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KR102183507B1 (ko) 지그장치
KR102312715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312979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190044944A (ko) 가스터빈용 h2 연료 주입 시스템
KR102340396B1 (ko) 연소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189310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