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63B1 - 동적 입체형 교구 - Google Patents

동적 입체형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63B1
KR102308463B1 KR1020210022605A KR20210022605A KR102308463B1 KR 102308463 B1 KR102308463 B1 KR 102308463B1 KR 1020210022605 A KR1020210022605 A KR 1020210022605A KR 20210022605 A KR20210022605 A KR 20210022605A KR 102308463 B1 KR102308463 B1 KR 102308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magnet
dynamic
moving block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2021002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63B1/ko
Priority to EP22158202.6A priority patent/EP4057258A3/en
Priority to US17/695,590 priority patent/US202300053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8Picture books with additional toy effects, e.g. pop-up or slide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y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습할 내용이 표출된 교습 부재를 이동시킬 시에 회전하는 동적 움직임에 의해서 영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한 문자 교습 또는 동화구연을 보다 다체롭게 할 수 있어서, 영유아 어린이의 무한한 호기심과 풍부한 상상력을 자극하여 왕성한 학습력을 채워줄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하여 싫증나지 않게 하고, 매번 사용하더라도 항상 새로운 교구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집중력을 발휘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하며, 그럼에도 구조는 간단하고 조작은 쉬우며 움직임도 정확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동적 입체형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자석(23)을 교습판(1)의 아래에서 조종간(2)으로 움직이게 하고, 교습 부재(4)를 결합한 상태로 교습판(1)의 위에 올려놓는 이동 블록(3)에는 제1 자석(23)에 이끌리게 할 인력 요소와, 인력 요소의 일측 방향에서 제1 자석(23)에 척력을 작용시킬 제2 자석(32)을 설치하여서,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동적 입체형 교구{DYNAMIC THREE DIMENSIONAL TEACHING DEVICE}
본 발명은 교습할 내용이 표출된 교습 부재를 이동시킬 시에 회전하는 동적 움직임에 의해서 영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한 문자 교습 또는 동화구연을 보다 다체롭게 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구조는 간단하고 조작은 쉬우며 움직임도 컨트롤할 수 있는 동적 입체형 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기초적인 문자를 교습하기 위해서 그림책, 동화책, 카드, 스티커, 퍼즐 등의 교구를 사용하고, 문자 교습은 물론이고 언어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화구연을 위한 교구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구는 영유아 및 어린이의 왕성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여, 쉽게 싫증을 내게 하고, 집중력과 지구력이 떨어뜨려서, 교습 효과를 크게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재미, 흥미, 호기심, 신기함을 주지 못하는 교구를 사용한 학습방법은 영유아 및 어린이가 좋아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기싫어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주입식 교습을 억지로 시키는 것이 되어서, 영유아 및 어린이의 무한한 학습 욕구를 채워줄 수 없었다.
따라서, 영유아 및 어린이에게 교습할 때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영유아 및 어린의 왕성한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할 수 있고,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어 신나고 재미가 있는 놀이용 교구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며, 학습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력과 습득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교구로서, 공개특허 제10-2020-0065242호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는 동화책을 배경으로 한 스테이지 상의 등장인물 인형을 스테이지 저부에 배치한 인용 작동구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여기서, 등장인물 인형에는 금속 소재가 부착되고, 인용 작동구는 자석이 구비되어서, 등장인물 인형을 인용 작동구에 의한 자석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등장인물 인형을 회전시키지 못하여, 등장인물 인형을 이용한 교습 효과에 한계가 있다. 즉, 문자를 관련 도안(또는 이미지, 사진, 캐릭터, 모형 등등)과 연관시켜 교습하여야 하므로, 등장인물 인형을 움직이며 문자 및 도안을 번갈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등장인물 인형를 이동 중에 회전시켜야 하는 데, 그렇게 할 수 없다.
회전 가능한 교구로서, 공개특허 제10-2004-0019808호의 교육자료는 문자, 수자, 분수표, 다각형, 원, 선, 선분, 점선 등을 인쇄한 대전체를 부착할 수 있는 원반을 자석이 내장된 반구를 저부에 구비하게 형성하여 비자성체판에 올려놓고, 자석을 비자성체판과 평행하지 않게 내장한 필기구(1)를 이용하여 비자성체판 아래에서 이동시켜 원반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반구의 중심점에서 벋어난 지점이 접점을 이루고, 이동할 시에 마착력이 작용하여,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원반을 이동할 시에 회전하므로, 원반에 부착한 대전체의 인쇄 내용을 변화시키는 점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자석의 자기력 또는 접촉 저항에 의해 회전속도가 달라지고, 무작위로 회전하여 회전수도 조절하기 어렵고, 회전각도 조절하기 어려워서, 인쇄 도안을 회전시킴에 따라 다르게 보여주는 용도의 학습에만 제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교습자가 문자와 관련 도안을 번갈아가며 보여주며 교습시킬 수는 없다.
회전 가능한 다른 형태의 교구로서, 공개특허 제10-2003-0062804호의 놀이기구는 놀이판 위에 올려놓는 동작유니트의 하단에 자석을 설치하고, 놀이판의 아래에 배치한 자석을 회전시켜, 동작유니트를 회전각 조절하며 회전시킬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놀이판 아래의 자석과 동작유니트의 자석은 서로 다른 극끼지 마주하게 하여서, 회전각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자석의 회전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도 커지고, 교습자 한 사람이 복수의 동작유니트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없으며, 회전을 위한 추가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하기도 불편하므로, 교습용보다는 놀이기구에 적합하여, 문자 교습용으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KR 10-2020-0065242 A 2020.06.09. KR 10-2004-0019808 A 2004.03.06. KR 10-2003-0062804 A 2003.07.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는 간단하면서 동적 교습구를 이동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호 연관시킬 교습 내용을 입체형의 동적 교습구로 연속 표출하거나 또는 동적 교습구의 자세를 바꾸어 교습 내용을 다체롭게 표현하며, 이를 통해 문자 및 문자 연관 도안을 연관시키는 교습 또는 동적 움직임을 이용한 동화구연 놀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유아 어린이의 무한한 호기심과 풍부한 상상력을 자극하여 왕성한 학습력을 채워줄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하여 싫증나지 않게 하고, 매번 사용하더라도 항상 새로운 교구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집중력 발휘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할 수 있는 동적 입체형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적 입체형 교구에 있어서, 교습판(1); 서로 다른 극성의 상향 자극면(231)과 하향 자극면을 구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23)을 상기 교습판(1)의 저면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조종간(2); 상기 교습판(1)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인력을 작용시킬 인력 요소와, 인력 요소의 일 측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척력을 작용시킬 제2 자석(32)을 구비하여, 제1 자석(23)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척력이 작용하도록 회전할 수 있게 한 이동 블록(3); 및 상기 이동 블록(3)에 결합하는 교습 부재(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력 요소는 자석에 붙는 금속 피스(33)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피스(33)는 상기 제2 자석(32)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이극 자극면(321)에 붙여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력 요소는 상기 제2 자석(32)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이극 자극면(3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력 요소는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극면을 상기 교습판(1)을 향하게 한 제3 자석(34)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동극 자극면(322)이 상기 인력 요소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동극 자극면(322)을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교습판(1)의 상면과 각을 이루도록 상기 이동 블록(3)에 설치한 판 형상의 자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습 부재(4)를 상기 이동 블록(3)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수단(3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 수단(31)은 상기 이동 블록(3)의 측면 중에,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측면과,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측면에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종간(2)은 상기 제1 자석(23)을 고정한 테두리의 안쪽을 절개하여 홀(221)을 조성하고, 교습판(1) 외측으로 노출시킨 손잡이(21)를 구비한 판 형태로 구성한 것이고, 상기 교습판(1)은 저면의 일 지점과 연결부재(12)로 이어진 보조판(11)과의 사이에 상기 조종간(2)를 개재하여, 홀(221)에 관통한 연결부재(12)에 의해 상기 조종간(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습판(1)의 일측 변에는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부재(4)를 탈부착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책장(13)이 마련되어, 상기 교습판(1)을 덮은 책장(13) 위에 상기 이동 블록(3)을 올려놓고 상기 조종간(2)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습판(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블록(3) 및 교습 부재(4)을 넣어둘 수납장(14)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종간(2)을 저면에 배치한 교습판(1)을 적어도 2개 이상 이어붙여, 펼친 상태에서 각각의 교습판(1) 위에 상기 이동 블록(3)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부재(4)를 탈부착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책장(13)을 상기 교습판(1)의 이어진 부분에 일 변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자석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력 아니면 척력만 사용하는 종래기술과 상이하게 자석의 설치 형태를 달리하는 간단한 방식을 사용하여 인력과 척력을 동시 작용하게 함으로써, 동적 교습구(4)를 이동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상이한 작용을 하여, 실제처럼 자연스럽고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동적 캐릭터를 구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문자에 연관된 도안, 이미지, 캐릭터, 모형 등을 문자에 연계시켜 교습할 수 있고, 보다 실감할 수 있는 동화를 구연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으며, 조작 방식도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간편하여 교습자가 사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교습 준비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조종간(2)의 이동에 따라 이동 블록(3)이 이동하며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교습판(1)의 투시도(a) 및 분해도(b).
도 4는 이동 블록(3)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조종간(2)에 고정한 제1 자석(23)에 이끌리는 이동 블록(3)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이동 블록(3)의 변형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교습을 위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교습 내용을 달리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동화구연을 위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수납장(14)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2개 교습판(1)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책장(13) 없이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책장(13) 없이 2개 교습판(1)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음도 분명하므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잘 알려진 부품, 기능, 구조, 방법, 전형적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구성요소와 이를 이용한 교습의 준비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교습 준비를 완료한 이후, 조종간(2)을 조작함에 따라 이동 블록(3)이 이동하며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교습판(1)에 결합한 조종간(2)을 설명하기 위해서 교습판(1)을 투시도(a) 및 분해도(b)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교습판(1)의 상면에 올려놓은 이동 블록(3)을 조종간(2)의 조작에 따라 이동 회전시키기 위해서, 이동 블록(3)의 내부에 수용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는 책장(13)이 마련되어 있는 교습판(1)과, 교습판(1)의 저면에 배치한 조종간(2)과, 교습판(1)의 상면에 올려놓는 이동 블록(3)과, 이동 블록(3)에 결합한 교습 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교습판(1)은 상기 이동 블록(3)을 상면에 올려놓은 후, 상기 조종간(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판 형태를 갖추고,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판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교습 내용이 상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내용이 표출하기 위한 교습 부재를 탈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교습판(1)은 일측 변에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책장(13)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교습판(1) 상면을 책장(13)으로 덮은 후, 책장(13) 위에 상기 이동 블록(3)을 올려놓더라도 상기 조종간(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책장(13)에는 다양한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적 입체형 교구는 책장이 모인 책의 형상이 될 수 있고, 또는 낱장의 교습판(1)에 조종간(2)이 결합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교습판(1)의 저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상향 자극면(231)과 하향 자극면을 구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23)이 배치된다. 즉, 제1 자석(23)은 N극 및 S극 중에 어느 한 극을 갖는 자극면을 상향 자극면(231)으로 하여 상기 교습판(1)의 저면과 접촉되게 하거나 또는 매우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한 극을 갖는 자극면을 하향 자극면으로 하여 하부로 향하게 한다. 즉, 상향 자극면(231)에 의한 자기력이 교습판(1)을 향해 작용되게 하고, 하향 자극면에 의한 자기력은 교습판(1)을 향해 미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자석(23)은 교습자에 의해 상기 교습판(1)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데, 이를 위해서 상기 조종간(2)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종간(2)은 상기 교습판(1)의 저면에 겹쳐지는 겹침 부분(22)과, 상기 교습판(1)의 일 측변(실시 예 도면에서는 하부측 변)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1)를 구비한 판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겹침 부분(22)은 상기 제1 자석(23)을 테두리를 따라 고정하고, 테두리 안쪽은 절개하여 홀(221)이 조성된다. 물론, 상기 제1 자석(23)은 겹침 부분(22)의 테두리에 홀 또는 홈을 조성한 후 삽입 고정하여서, 겹침 부분(22) 위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습판(1) 저면의 일 지점과 연결부재(12)로 이어져 연결부재(12)만큼 간극을 두고 상기 교습판(1)에 겹쳐지는 보조판(11)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조종간(2)이 홀(221)에 연결부재(12)를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교습판(1)과 보조판(11) 사이에 개재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종간(2)은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든 연결부재(12)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고, 교습판(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교습판(1)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종간(2)의 손잡이(21)를 잡고 움직여 상기 조종간(2)을 이동시키면, 상기 조종간(2)의 겹침 부분(22)에 설치한 상기 제1 자석(23)은 상향 자극면(231)이 교습판(1)과 접촉 또는 근접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여서, 교습판(1)의 상면에 작용하는 상향 자극면(231)의 자기력 세기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교습판(1), 보조판(11) 및 책장(13)은 얇은 두께의 종이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아니한 책표지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교습판(1) 저면에 부착되고 끈이 달려 있는 부분과, 상기 보조판(11)의 상면에 부착되며 끈을 관통시켜 상기 보조판(11) 저면에서 매듭지게 할 부분으로 분리되어서, 고정 끈을 매듭지어 상기 교습판(1)과 보조판(11)을 상기 조종간(2)을 개재한 상태로 겹쳐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12)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교습판(1)과 보조판(11)을 이어지게 하며 간극을 갖게 할 수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스냅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홀(221)은 원형으로 조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홀(221)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직경의 원형 평단면을 갖게 조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능하면 교습판(1)의 저면에서 제1 자석(23)의 이동 범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조성하면 좋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지만, 상기 교습판(1)과 보조판(11) 사이 중에 상기 손잡이(21)를 노출시킨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테두리측에 적어도 조종간(2)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교습판(1) 및 보조판(11)을 종이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조종간(2)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러한 스페이서는 상기 교습판(1) 및 보조판(11) 중에 어느 하나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에 점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교습판(1)과 보조판(11) 사이에 개재한 상기 조종간(2)은 손잡이(21)를 잡은 손을 움직여 평면 상에서 허용되는 다양한 운동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종간(2)에 설치한 제1 자석(23)도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직선 이동시킬 수 있고, 곡선으로 그리며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1 자석(23)를 복수 개 설치한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제1 자석(23)이 서로 다른 운동을 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1 자석(23)을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고 나머지 제1 자석(23)을 원을 그리며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습판(1), 보조판(11) 및 책장(13)은 종이로 구성하여 책표지를 갖춘 책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종이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평평한 판 형태를 갖추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어 나무 판재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구성하여 책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3)은 상기 교습판(1)의 상면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상기 교습 부재(4)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수단(31)을 외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이끌리게 하는 인력을 작용시킬 인력 요소와,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척력을 작용시킬 제2 자석(32)을 내부에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력 요소는 상기 이동 블록(3)에서 상기 교습판(1)에 면접하는 바닥면을 향해 인력이 작용하게 하여서 상기 이동 블록(3)의 직립 자세를 안정시키도 한다.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인력 요소의 일 측에 배치하여, 상기 인력 요소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 방향에서 척력이 작용하게 한다.
도 4에 도시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블록(3)은 수직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게 하여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부위를 대향하게 구비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습 부재(4) 중에 인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도 쉽게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 블록(3)의 양 경사진 부위의 외면에는 상기 교습 부재(4)를 점착시키기 위한 탈부착 수단(31)이 부착되어 있고, 양 경사진 부위 중에 어느 한쪽 경사진 부위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자석(32)을 부착하여서, 상기 제2 자석(32)의 자극면(321, 322)이 상기 교습판(1)의 상면과 면접한 밑면 부위와 예각으로 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자석(32)은 밑면 부위를 향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바라보는 면을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이극 자극면(321)으로 하고, 이극 자극면(321)과 반대되는 면을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동극 자극면(322)으로 하는 판 형상의 자석으로 구성되고, 동극 자극면(322)을 상기 이동 블록(3)의 일측 경사진 부위의 내면에 부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력 요소는 자석에 붙는 금속 피스(33)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자석(32)의 이극 자극면(321)에 붙여 놓아서 상기 이동 블록(3)의 밑면에 근접하게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자석(23)에 붙으려는 강한 인력에 받게 하여, 상기 이동 블록(3)이 상기 조종간(2)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제1 자석(23)에 이끌려 상기 교습판(1)의 상면 상에서 이동하게 하다. 이때의 상기 금속 피스(33)는 이극 자극면(321)의 자기력에 의해 붙여 있게 되므로, 도 4에 예시한 볼트나 짧은 금속관처럼 어떤 형태이든 자석에 붙는 재질이면서 상기 이동 블록(3)의 내부에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면 어떤 것이라도 괜찮다.
그리고, 상기 제2 자석(32)의 동극 자극면(322)은 인력 요소로 사용되는 금속 피스(33)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면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 금속 피스(33)에 의한 인력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한 척력이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3)은 상기 조종간(2)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자석(23)에 이끌려 이동할 시에, 상기 제2 자석(32)이 설치된 부위를 뒤쪽으로 한 자세로 취하며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이동 블록(3)은 상기 제2 자석(32)이 설치된 부위와 반대되는 방향의 면을 정면으로 하며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각을 달리하며 회전하고, 이동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정면이 이동 방향을 향하게 한 자세를 취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조종간(2)에 고정한 제1 자석(23)에 이끌리는 이동 블록(3)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예시적으로 정지 상태의 이동 블록(3)이 이동할 시에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하는 이동 블록(3)의 회전 방향을 보여준다. 도 5는 교습판(1) 및 조종간(2)을 생략하고 도시하여, 제1 자석(23)에 이끌려 이동하는 이동 블록(3)의 자세를 보다 자세히 볼 수 있게 하였다.
도 5(a)에 도시한 이동 블록(3)에서 제2 자석(32)을 설치한 부위가 향하는 방향은 이동 블록(3)을 교습판(1) 위에 올려놓을 시의 이동 블록(3)의 자세 또는 이동 후 정지시켰을 시에 정진 직전의 이동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석(3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 자석(23)을 이동시키면, 이동 블록(3)은 제2 자석(32)에 의한 척력이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작용하므로, 제1 자석(23)을 이끌려 이동하지만 회전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도 5(c,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석(32)과 반대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제1 자석(23)을 이동시키면, 이때의 이동 방향과 도 5(b)의 이동 방향 사이의 각도 차이만큼 회전한다. 예시적으로 시계 방향의 각도로 설명하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 회전시킬 수 있고,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 회전시킬 수 있고,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270°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 각도는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이동 블록(3)이 회전하는 이유는 이동 블록(3)이 제1 자석(23)에 의해 이끌려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동 블록(3)과 교습판(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약간 뒤처지게 되어서, 제2 자석(32)에 의해서 제1 자석(23)에 가해지는 척력이 증가하므로, 금속 피스(33)에 의한 인력으로 이끌려 가면서 제2 자석(32)이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힘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이동 블록(3)의 변형으로서, 상기 금속 피스(33)를 상기 이동 블록(3)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2 자석(32)의 이극 자극면(321)이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상기 인력 요소의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이극 자극면(321)은 교습판(1)과 접하는 이동 블록(3)의 밑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바라보게 되므로, 상기 제2 자석(32)의 동극 자극면(322)에 의한 척력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인력을 작용시켜서, 일측 방향에서 척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이동 블록(3)을 상기 제1 자석(23)에 이끌리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금속 피스(33)를 설치하지 아니하면, 인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므로, 자기력이 강한 제2 자석(32)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극 자극면(321)과 이동 블록(3) 밑면 사이의 각을 작게 하여 인력을 강하게 하면, 동극 자극면(322)에 의한 척력이 약해지므로, 자기력이 약한 제2 자석(32)을 사용하면서 충분한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게 하려면 상기 금속 피스(33)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른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금속 피스(33)를 상기 이동 블록(3)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 자석(32)의 이극 자극면(321)에 의한 인력을 받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굳이 내부 바닥면에 고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자석(32)의 이극 자극면(321)에 자기력으로 붙어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금속 피스(33)를 설치하면, 상기 제2 자석(32)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동극 자극면(322)과 교습판(1) 사이를 예각의 각을 이루도록 설치하더라도, 충분한 인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이동 블록(3)의 형태를 도면에 예시한 바와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이동 블록(3)의 또다른 변형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 블록(3)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 피스(33)를 설치하지 않고, 대신에, 내부 바닥면에 제3 자석(34)을 설치한다. 이때의 제3 자석(34)은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극면을 내부 바닥면을 향하게 설치한다. 즉, 상기 인력 요소는 제3 자석(3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을 향한 강한 인력을 작용시키지만, 제2 자석(32)와 제3 자석(34)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므로, 제3 자석(34)을 견고하게 고정설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블록(3)의 외면에 설치하는 탈부착 수단(31)은 교습 부재(4)를 점착 방식이 아닌 끼움 방식으로 탈부착하게 구성되며, 예시적으로 밑면에 이어지면서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판 형상의 구성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탈부착 수단(31)은 점착 방식의 구성 및 끼움 방식의 구성을 모두 갖추게 하거나, 다른 방식의 예로서 교습 부재(4)에 설치하거나, 이동 블록(3)의 형태를 변형하여 이동 블록(3)의 상면에 설치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이동 블록(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습 부재(4)을 결합한 상태로 제1 자석(23)의 위에 놓이도록 교습판(1)에 올려놓아서, 도 2(a)에 도시한 상태로 되게 한 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1)를 잡고 조종간(2)을 움직여서, 이동하며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사용 상태도를 살펴보면, 그림 이미지를 인쇄한 교습 부재(4)와 그림 이미지의 영어 단어와 알파벳 글자를 인쇄한 교습 부재(4)를 2개 탈부착 수단(31)에 나눠 점착시킨 이동 블록(3)을 교습판(1)에 올려놓고, 도 5(a) 상태에서 이동 중에 도 5(d) 상태로 180°회전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교습한다. 이를 통해, 그림 이미지와 영어 단어 및 알파벳을 이동 블록(3)의 동적 움직임에 의해 번갈아가며 보여줌으로써,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호기심을 일으키며 흥미를 자극하는 문자 교습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잡이(21)을 잡아 당겨 이동 블록(3)을 직선 운동시킨 사용 상태도만 보여주지만, 이동 블록(3)을 특정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제1 자석(23)은 손잡이(21)를 잡은 손의 움직임에 따라 직선 운동, 곡선 운동, 회전 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므로, 제1 자석(23)에 이끌리는 이동 블록(3)도 직선 운동, 곡선 운동, 회전 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 블록(3)이 어떠한 운동을 하든 제2 자석(32)이 설치된 부위와 반대되는 부위를 정면으로 하는 자세는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1 자석(23)이 매우 작은 원을 그리도록 운동시키면, 이동 블록(3)은 거의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블록(3)에 교습 부재(4)를 결합함으로써, 교습 부재(4)를 이용한 문자 교습 방법 또는 동화 구연 방법을 교습자에 의해 다양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블록(3)은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자석(23)에 이끌려 회전할 시에 제2 자석(32)을 설치한 부분을 뒤로 하도록 회전하므로, 제2 자석(32)이 설치된 부분의 외면 또는 제2 자석(32)이 설치된 부분의 외면과 반대되는 외면에는 표식을 새겨놓아서, 이동 중 회전시켜 표출할 교습 내용에 맞게 교습 부재(4)를 부착하게 하는 것이 좋다.
도 7 내지 도 9는 다양한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13)을 한장씩 교습판(1) 위에 덮으며 교습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예시적으로 영어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 한글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 및 동화구연 내용이 인쇄된 책장을 순차적으로 넘기며 교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영어 단어, 알파벳 및 영어 단어와 연관된 그림 이미지가 인쇄된 책장(13)으로 교습판(1)을 덮은 후,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교습 부재(4)를 결합한 이동 블록(3)을 교습판(1)을 덮은 책장(13)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조종간(2)을 조작하여 이동 블록(3)을 이동시키며 회전시켜서, 책장(13)에 인쇄되어 정적으로 고정된 영어 교습 내용과 더불어 이동 블록(3)에 결합한 교습 부재(4)의 영어 교습 내용을 동적으로 움직이며 교습할 수 있다.
도 8은 영어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13) 위에 한글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13)을 덮고, 한글 교습 내용이 인쇄된 교습 부재(4)를 결합한 이동 블록(3)을 책장(13)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장(13)에는 교습 부재(4)를 스티커 형태로 구성하여 점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에 결합하는 교습 부재(4)는 하부를 이동 블록(3)에 끼움 결합한 인형 형상의 교습 부재(4)와, 그림 이미지를 인쇄한 부분과 한글을 인쇄한 부분의 중간을 인형 형상의 교습 부재(4)의 목 부분에 걸쳐지게 한 판 형상의 교습 부재(4)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종간(2)으로 교습 부재(4)를 이동시키면 인형 형상의 교습 부재(4)는 인형이 이동 방향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이동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고, 인형이 회전하여 그림 이미지 및 한글을 교대로 보여주는 모습도 연출할 수 있다.
도 9는 한글 교습 내용이 인쇄된 책장(13) 위에 동화 내용이 인쇄된 책장(13)을 덮은 후, 동화 내용이 나오는 캐릭터 이미지가 인쇄된 교습부재(4)를 결합한 이동 블록(3)을 책장(13)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조종간(2)을 조작하여 이동 블록(3)을 이동시킴으로써, 캐릭터를 이동시켜 동화 내용을 연출하는 동화구연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이동 블록(3)은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측면과,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측면에 각각 상기 탈부착 수단(31)을 구비하여서, 180°회전시켜 보여주는 데 최적화된다. 하지만, 이동 블록(3)의 각 측면에 탈부착 수단(31)을 설치하여서 조종간(2)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회전 각도별로 보여줄 교습 부재(4)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다양한 변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수납장(14)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교습판(1)에 연결된 상기 보조판(11)의 저면에는 상기 교습 부재(4) 및 이동 블록(3)을 넣어둘 수납장(14)이 설치된다.
도면에서 보여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책표지를 갖춘 책 형태로 구성되므로, 수납장(14)은 상기 보조판(11)의 아래를 받쳐주는 책표지를 상면에 고정하며 일 측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서랍장 케이스(141)와, 서랍장 케이스(141)의 개방된 곳으로 인입 및 인출하도록 서랍장 케이스(14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한 서랍(14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습을 위해 사용할 다양한 교습 부재(4)와 다수 개의 이동 블록(3)을 서랍(142)에 넣어 두어, 정리 정돈은 물론이고 이동하며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교습 부재(4)를 분실하지 아니하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2개 교습판(1)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동적 입체형 교구는 조종간(2) 및 보조판(11)을 결합한 교습판(1)을 양 책표지 부분에 각각 설치하여 2개를 구비하고, 2개 교습판(1) 사이에 책장(13)을 구비한 책의 형태를 갖춘다.
이에 따라, 2개 교습판(1) 위에서 각각 노출되는 책장(13) 위에 교습 부재(4)를 결합한 이동 블록(3)을 올려놓고 2개 조종간(2)을 조작하여 동적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영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보여주는 양 책장 모두에 대해 흥미를 자극하며 교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책장(13) 없이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동적 입체형 교구는 책장(13)을 구비하지 아니하여, 교습판(1), 조종간(2) 및 보조판(11)을 결합한 판 형태를 갖추므로, 교습판(1) 위에만 관심을 갖게 하여 교습판(1) 상면에 올려놓고 움직이는 이동 블록(3)에 결합한 교습 부재(4)에 집중시켜 교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티커 방식으로 교습판(1) 상면에 직접 탈부착하는 교습 부재(4)를 사용하여서, 다양한 내용의 교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동적 입체형 교구의 사시도로서, 책장(13) 없이 2개 교습판(1)을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동적 입체형 교구는 조종간(2) 및 보조판(11)을 결합한 2개의 교습판(1)을 이여붙여 이음 부위를 접을 수 있게 하므로, 2개 교습판(1)을 펼쳐지게 한 상태에서 교습 부재(4)를 결합한 이동 블록(3)을 각각의 교습판(1) 위에 올려놓고 움직이며 교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교습판 11 : 보조판 12 : 연결부재
13 : 책장 14 : 수납장
2 : 조종간 21 : 손잡이 22 : 겹침 부분
221 : 홀 23 : 제1 자석 231 : 상향 자극면
3 : 이동 블록 31 : 탈부착 수단 32 : 제2 자석
321 : 이극 자극면 322 : 동극 자극면 33 : 금속 피스
34 : 제3 자석
4 : 교습 부재

Claims (15)

  1. 교습판(1);
    서로 다른 극성의 상향 자극면(231)과 하향 자극면을 구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 자석(23)을 상기 교습판(1)의 저면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조종간(2);
    상기 교습판(1)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인력을 작용시킬 인력 요소와, 인력 요소의 일 측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에 척력을 작용시킬 제2 자석(32)을 구비하여, 제1 자석(23)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척력이 작용하도록 회전할 수 있게 한 이동 블록(3); 및
    상기 이동 블록(3)에 결합하는 교습 부재(4);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교습판(1)의 상면과 각을 이루고,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동극 자극면(322)이 상기 인력 요소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3)에 설치한 판 형상의 자석으로 구성된
    동적 입체형 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요소는
    자석에 붙는 금속 피스(33)로 구현된
    동적 입체형 교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스(33)는
    상기 제2 자석(32)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이극 자극면(321)에 붙여놓는
    동적 입체형 교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요소는
    상기 제2 자석(32)에서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이극 자극면(321)에 의해 구현된
    동적 입체형 교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요소는
    상기 제1 자석(23)의 상향 자극면(231)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극면을 상기 교습판(1)을 향하게 한 제3 자석(34)으로 구현된
    동적 입체형 교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32)은
    상기 동극 자극면(322)을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설치한
    동적 입체형 교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습 부재(4)를 상기 이동 블록(3)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수단(31)을 포함한
    동적 입체형 교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31)은
    상기 이동 블록(3)의 측면 중에,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측면과, 상기 제2 자석(32)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측면에 구비하는
    동적 입체형 교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간(2)은
    상기 제1 자석(23)을 고정한 테두리의 안쪽을 절개하여 홀(221)을 조성하고, 교습판(1) 외측으로 노출시킨 손잡이(21)를 구비한 판 형태로 구성한 것이고,
    상기 교습판(1)은
    저면의 일 지점과 연결부재(12)로 이어진 보조판(11)과의 사이에 상기 조종간(2)를 개재하여, 홀(221)에 관통한 연결부재(12)에 의해 상기 조종간(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동적 입체형 교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습판(1)의 일측 변에는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부재(4)를 탈부착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책장(13)이 마련되어, 상기 교습판(1)을 덮은 책장(13) 위에 상기 이동 블록(3)을 올려놓고 상기 조종간(2)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
    동적 입체형 교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습판(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블록(3) 및 교습 부재(4)을 넣어둘 수납장(14)이 구비된
    동적 입체형 교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간(2)을 저면에 배치한 교습판(1)을 적어도 2개 이상 이어붙여, 펼친 상태에서 각각의 교습판(1) 위에 상기 이동 블록(3)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한
    동적 입체형 교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교습 내용을 인쇄하거나 교습 부재(4)를 탈부착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책장(13)을 상기 교습판(1)의 이어진 부분에 일 변을 고정시킨
    동적 입체형 교구.
KR1020210022605A 2021-02-19 2021-02-19 동적 입체형 교구 KR10230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05A KR102308463B1 (ko) 2021-02-19 2021-02-19 동적 입체형 교구
EP22158202.6A EP4057258A3 (en) 2021-02-19 2022-02-23 Dynamic three dimensional teaching device
US17/695,590 US20230005379A1 (en) 2021-02-19 2022-03-15 Dynamic three dimensional teaching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05A KR102308463B1 (ko) 2021-02-19 2021-02-19 동적 입체형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463B1 true KR102308463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605A KR102308463B1 (ko) 2021-02-19 2021-02-19 동적 입체형 교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05379A1 (ko)
EP (1) EP4057258A3 (ko)
KR (1) KR102308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86B1 (ko) * 2022-05-12 2022-10-11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5024A1 (en) * 2020-11-24 2022-05-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nsforming static two-dimensional images into immersive computer-generated content
US20220327944A1 (en) * 2021-04-13 2022-10-13 Task-Tiles LLC Sensory educational assembly including expandable and collapsible button assemblies
CN114272628A (zh) * 2021-12-24 2022-04-05 中山大学 一种可变形的磁性贴纸及其制作方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04A (ko) 2002-01-19 2003-07-28 하영균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놀이기구
KR20040019808A (ko) 2002-08-30 2004-03-06 박연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자료
KR20200065242A (ko) 2018-11-30 2020-06-09 민광윤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04A (ko) 2002-01-19 2003-07-28 하영균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놀이기구
KR20040019808A (ko) 2002-08-30 2004-03-06 박연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자료
KR20200065242A (ko) 2018-11-30 2020-06-09 민광윤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KR102172853B1 (ko) * 2018-11-30 2020-11-02 민광윤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86B1 (ko) * 2022-05-12 2022-10-11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WO2023219211A1 (ko) * 2022-05-12 2023-11-16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7258A3 (en) 2022-11-30
EP4057258A2 (en) 2022-09-14
US20230005379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463B1 (ko) 동적 입체형 교구
Rambli et al. Fun learning with AR alphabet book for preschool children
CN201283217Y (zh) 六十六拼板
Inomjonovna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AKING TOYS FROM CLAY AND PLASTICLINE IN PRESCHOOL EDUCATIONAL ORGANIZATION
KR101258559B1 (ko) 유아용 이야기 교구 세트
Kim et al. A study to empower children to design movable tactile picture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mir et al. Presenting Physics Content and Fostering Creativity in Physics among Less-Academically Inclined Students through a Simple Design-Based Toy Project
JP3114654U (ja) ダーツゲーム具
Mishra et al. Designing learning through learning to design
Nasi et al. Pomelo, a collaborative education technology interaction robot
Hansel Creative block play: A comprehensive guide to learning through building
Luongo-Orlando The Cornerstones to Early Literacy
Cho et al.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rough Korean Picture Books
Hart et al. Making math visible
KR102453686B1 (ko) 놀이형 학습 교구
CN212998392U (zh) 一种磁悬浮玩具
Fayose CHILDREN, TEACHERS AND LIBRARIANS; DEVELOPING LIBRARY AND INFORMATION CONSCIOUS CHILDREN
Yau et al. Using toys to teach science
Troutman Positioning Play as Abolition
SWARGIARY Specialized Teachers: Angels Among Us
Prozesky et al. The Montessori approach to integrating technology
JP6249541B1 (ja) 水に浮かぶ表示媒体
Plunkett et al. Play, Craft, Design, Feel: Engaging Students and the Public with Victorian Culture
Orellana et al. TRANSFORFVING TEACH| N| FVULTILINGUAL COIMIIVI UNITIES
Urakova GAMES OR SERIOUS LESSONS?-ON THE EXAMPLE OF LITERATURE LES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