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59B1 - 농축산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산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59B1
KR102308459B1 KR1020210002383A KR20210002383A KR102308459B1 KR 102308459 B1 KR102308459 B1 KR 102308459B1 KR 1020210002383 A KR1020210002383 A KR 1020210002383A KR 20210002383 A KR20210002383 A KR 20210002383A KR 102308459 B1 KR102308459 B1 KR 10230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tting
food
coupling par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영
Original Assignee
김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영 filed Critical 김완영
Priority to KR102021000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물 절단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식품을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하고 절단부(130)를 향해 단속적으로 수평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식품투입부(110)와, 식품투입부(110)의 일측에 구비하여 식품을 한 단위씩 안착하고 절단날(138)을 수직 구동하여 식품을 이분할 또는 다분할하도록 구비하는 절단부(130)와, 절단부(130)의 일측에서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향해 기설정된 거리로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식품위치설정부(140)와, 절단부(130)의 타측에서 배출부(16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통과하여 배출부(160)의 선단까지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푸쉬부(150)와, 절단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 및 분할된 식품 조각을 일괄 수집하여 적재함(161)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배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각종 식품을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자동으로 절단 및 분할하여 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축산물 절단장치{AGRICULTURAL PRODUCT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축산물 절단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 및 물성을 가지는 각종 식품을 투입하고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절단 및 분할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식품 절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농축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산물이나 어류 등의 식품을 준비 혹은 가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식품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가정에서와 같이 소량의 식품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칼은 사용 과정에서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특히 단단한 식품의 경우 사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인지하여 절단용 칼날을 힌지 작동하는 작두 타입의 절단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1709382 호에는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되어 상면에는 장공부를 형성하는 받침대와, 장공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도록 받침대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하는 힌지부와, 선단부에는 힌지부에 힌지 결합하는 통공부를 형성하고 말단부에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통공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여 하단부의 날부가 장공부의 일측면 상부 모서리와 엇갈리면서 받침대에 적재된 식품을 절단하는 절단칼을 포함하는 식품 절단장치를 구성한다.
한편, 식품을 전문적으로 가공하는 업소나 공장에서와 같이 대량의 식품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식품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식품 절단장치는 주로 띠톱이나 원형톱날을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하여 식품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48427 호에는 본체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 형성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에 관통되도록 무한 궤도상으로 회전자재 되게 설치되는 띠톱으로 이루어지고, 띠톱에 대해 절단 대상물을 밀어 넣어 가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냉동 식품 절단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72146 호에는 절단기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휠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면에 톱날을 갖는 띠톱날을 포함하는 회전띠톱날장치와, 절단기 본체 상에 장착되어 좌우 왕복 이동하는 식품 적재함과, 본체의 휠 몸체 뒤편에 설치되어 적재함이 띠톱날에 의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식품이 띠톱날을 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적재함을 급정지시키는 후방푸쉬안전장치와, 적재부의 상단면과 평행하거나 높게 설치되어 적재된 식품이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처짐방지안전장치와, 회전띠톱날장치, 후방푸쉬안전장치, 적재함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식품초고속절단기를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709382 호 (2017.02.2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48427 호 (2010.04.09)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72146 호 (2019.04.24)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9 - 0000768 호 (2019.03.26)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식품을 절단하기 위하여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거나, 절단용 칼날을 힌지 작동하는 수동 절단장치, 또는 띠톱이나 원형톱날을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하는 자동 식품 절단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칼은 각종 냉동식품이나 단단한 식품의 경우 사용성이 매우 낮으며 사실상 가정이나 소규모 업소 등 소량의 식품 절단 작업에 적합한 한계가 있다.
또한, 칼날을 힌지 작동하는 작두 타입의 절단장치는 칼에 비해 비교적 사용성이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표면이 매끄러운 식품, 크기가 큰 식품의 경우 칼날에 식품이 밀려나가거나 절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품 가공 공장과 같은 대량의 식품 절단 작업에 주로 이용되는 띠톱이나 원형톱날을 탑재하는 자동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식품을 톱날에 밀어넣어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단단하거나 크기가 큰 식품도 고속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질감이 무른 식품이나 과채류 등은 절단면이 고속 톱날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어 주로 냉동식품류의 절단 작업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식품 절단장치는 식품을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수회에 걸쳐 절단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안전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식품을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하고 절단부(130)를 향해 단속적으로 수평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식품투입부(110)와,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일측에 구비하여 식품을 한 단위씩 안착하고 절단날(138)을 수직 구동하여 식품을 이분할 또는 다분할하도록 구비하는 절단부(130)와,
상기 절단부(130)의 일측에서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향해 기설정된 거리로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식품위치설정부(140)와,
상기 절단부(130)의 타측에서 배출부(16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통과하여 배출부(160)의 선단까지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푸쉬부(150)와,
상기 절단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 및 분할된 식품 조각을 일괄 수집하여 적재함(161)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배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각종 식품을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자동으로 절단 및 분할하여 배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투입하고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절단 및 분할하여 배출하는 농축산물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절단날의 종류나 분할 개수, 절단 강도 등의 절단 조건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적용 범위를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각종 농축산물이나 어류 등 식품의 종류나 질감, 크기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물성을 가지는 식품의 절단작업에 적용 가능하여 신속하고 정갈하게 목적하는 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식품을 투입하고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절단 및 분할하여 배출하는 농축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130)를 중심으로 식품투입부(110) 및 식품위치설정부(140)와, 푸쉬부(150) 및 배출부(160)를 배치하도록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식품투입부(110)는 식품을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하고 절단부(130)를 향해 단속적으로 수평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식품투입부(110)는 구동수단을 탑재하는 예컨대 소정의 벨트컨베이어로 구성하여 후술하게 될 절단부(130)의 일측에서 일방향으로 수평 구동하여 식품을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식품투입부(110)는 절단부(130)에 의한 작업이 진행되는 상태에 따라서 전진 및 일시정지 상태로 단속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작업 대상이 되는 식품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구동 상태를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식품투입부(110)에 배치되는 식품은 한 단위씩 일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하여 후술하게 될 차단부(120)에 의한 투입 상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단부에 구비하는 차단부(120)는 절단부(130)에 식품이 한 단위식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차단부(120)는 절단부(130)에 진입하는 식품을 한 단위씩 감지하여 진입차단바(121)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식품투입부(110)의 구동을 단속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120)에는 감지제어수단(122)을 구비하여 상기 식품투입부(110)에서 상기 절단부(130)로 한 단위의 식품이 통과시 이를 감지하고 진입차단바(12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진입차단바(121)는 상기 감지제어수단(122)과 연동하여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상기 절단부(130)의 경계부에서 식품과 식품 사이의 이격 공간상으로 진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진입차단바(121)는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상면에서 직각 범위로 구동하는 힌지바 타입, 또는 식품투입부(110)의 상면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슬라이딩바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제어수단(122)은 상기 진입차단바(121)가 차단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구동 상태를 일시정지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비하며, 절단부(130)에 의한 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 구동 재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단부(130)는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일측에 구비하여 식품을 한 단위씩 안착하고 절단날(138)을 수직 구동하여 식품을 이분할 또는 다분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단부(130)는 상기 식품투입부(110)로부터 이송받은 식품을 하방 스트로크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하여 목적하는 형태로 분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절단부(130)는 상, 하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31) 상에 절단판(132), 스트로크바(134), 절단체(136)를 탑재하여 구성한다.
상기 절단판(132)은 프레임(131)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동일 높이에 구비하고 중앙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단홈(133)을 배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절단판(132)은 상기 식품투입부(110)에 상응하는 규격을 형성하는 판상으로 마련하며 식품투입부(110)와 연속성을 가지도록 동일 높이에서 프레임(131) 상에 구비한다.
상기 절단판(132)에 구비하는 절단홈(133)은 후술하게 될 절단체(136)의 종동 시 절단날(138)을 수용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절단력을 증대하도록 마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절단홈(133)은 목적하는 절단 형태에 따라서 절단날(138)과 연계하여 다양한 배치 구조를 형성해야 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단판(132)의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상 6개소에 배치되는 절단홈(133)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이한 배치 구조의 절단홈(133)을 형성하는 다수의 절단판(132)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취사선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트로크바(134)는 절단판(132)의 상측 중앙에 설치하여 수직 구동하고 하단에는 제1결합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바(134)는 소정의 구동수단, 예컨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모터, 서보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발생하여 하측 절단판(132)의 중앙부를 향해 종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바(134)는 후술하게 될 식품위치설정부(140)와 연동하여 식품위치설정부(140)가 식품을 상기 절단판(132)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 후진한 상태에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스트로크바(134)의 종동 거리 및 스트로크는 작업 대상이 되는 식품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스트로크바(134)의 하단에 구비하는 제1결합부(135)는 후술하게 될 절단체(136)의 제2결합부(137)와 체결 관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35)를 볼트 구조로 형성하여 하기 제2결합부(137)를 암수 방식으로 체결하고 너트 형태의 소정의 잠금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착탈식 체결 관계를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단체(136)는 상단에는 제1결합부(135)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137)를 구비하고 제2결합부(137)를 중심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절단날(138)을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절단체(136)는 상기 스트로트바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절단판(132)을 향해 종동하고 식품을 절단 및 분할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절단체(136)의 상단에 구비하는 제2결합부(137)는 상기 스트로크바(134)의 제1결합부(135)와 체결 관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137)를 너트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부(135)에 암수 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착탈식 체결 관계를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37)를 중심으로 배치하는 절단날(138)은 예컨대 1/2분할에 적합한 일자형, 혹은 다양한 각도에서 다분할에 적합한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목적하는 방식으로 식품을 절단 및 분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단판(132) 및 절단체(136)는 각각의 절단홈(133) 및 절단날(138)의 개수 및 배치 구조가 상이한 임의의 다수를 구비하되, 상기 절단홈(133) 및 절단날(138)이 상호 동일한 조합을 이루는 절단판(132) 및 절단체(136) 세트를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131) 및 제1결합부(135)에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식품위치설정부(140)는 상기 절단부(130)의 일측에서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향해 기설정된 거리로 진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식품위치설정부(140)는 상기 차단부(120)가 절단부(130)에 식품이 진입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절단부(130)를 향해 구동하여 절단판(132)의 중앙에 식품을 위치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식품위치설정부(140)에는 상기 차단부(120)와 연동하고 상기 절단부(130)에 진입하는 식품의 측면에 접촉하여 절단부(13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비하는 스톱바(141)를 포함한다.
상기 스톱바(141)는 식품의 양 측면부를 감싸면서 중심부로 유도하도록 예컨대 '<' 형상으로 구비하며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및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스톱바(141)는 작업 대상이 되는 식품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서 작동 거리를 설정하여 진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푸쉬부(150)는 상기 절단부(130)의 타측에서 배출부(16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통과하여 배출부(160)의 선단까지 진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푸쉬부(150)는 상기 절단부(130)에 의한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단부(130)를 향해 구동하여 절단판(132) 상에 절단 및 분할된 식품 조각들을 하기 배출부(160)를 향해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푸쉬부(150)에는 상기 절단부(130)와 연동하고 상기 절단부(130)의 절단판(132) 상에 잔존하는 식품 조각 일체를 일괄 푸쉬하도록 구비하는 푸쉬패널(151)을 포함한다.
상기 푸쉬패널(151)은 식품 조각을 모아서 배출부(160)로 유도하도록 예컨대 '∧'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하단부를 상기 절단판(132)의 표면에 최대한 근접하여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절단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 및 분할된 식품 조각을 일괄 수집하여 적재함(161)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절단부(130)에 의한 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푸쉬부(150)로부터 식품 조각들을 공급받아 적재함(161)으로 배출하도록 구비하며, 예컨대 구동수단을 탑재하는 소정의 벨트컨베이어 또는 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축산물 절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절단 대상 식품(1)을 투입하여 절단 및 분할,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식품투입부(110), 차단부(120), 식품위치설정부(140), 절단부(130), 푸쉬부(150), 및 배출부(160)로 이루어지는 농축산물 절단장치를 구성한다.
예컨대, 식품(1)을 6분할로 절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절단부(130)에서 절단날(138)이 6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체(136)의 제2결합부(137)를 스트로크바(134)의 제1결합부(135)에 결합하여 장착하고, 그에 상응하여 절단홈(133)이 6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판(132)을 프레임(131) 상에 장착한다.
또한, 해당 식품(1)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서 구동 속도 및 거리, 스트로크 등의 조건을 장치의 각부를 조작하여 설정한다.
상기 식품투입부(110)에 식품(1)을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절단부(130)를 향해 수평으로 구동하여 투입한다.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단부에 설치하는 상기 차단부(120)의 감지제어수단(122)이 한 단위의 식품(1)이 통과됨을 감지하면 진입차단바(121)를 구동하여 다음 식품(1)의 진입을 차단하고 식품투입부(110)의 구동을 일시 정지한다.
상기 식품위치설정부(140)의 스톱바(141)가 상기 절단부(130)의 절단판(132)을 향해 전진하여 진입하는 식품(1)에 접촉하고 절단판(132)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후 후진한다.
상기 절단부(130)의 스트로크바(134)를 하향 구동하고 강력한 스트로크에 의해 절단체(136)의 절단날(138)이 식품(1)을 수직으로 6분할한다. 상기 절단날(138)은 절단홈(133)에 의해 식품(1)을 절단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절단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50)가 절단판(132)을 향해 전진하고 상기 절단판(132) 상에 6분할로 절단된 식품(1) 조각 일체는 배출부(160)로 이송되고 적재함(161)을 향해 배출된다.
상기 푸쉬부(150)가 원위치하면 상기 차단부(120)의 진입차단바(121)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식품투입부(110)는 구동을 재개하여 상기 절단부(130)로 다음 식품(1)을 투입하며,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하여 식품(1)을 절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절단장치는 식품의 종류, 분할 개수, 절단 강도 등의 절단 조건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식품의 종류나 질감, 크기 등에 구애받지 않고 목적하는 형태 및 개수로 절단 및 분할할 수 있는 농축산물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각종 농축산물이나 어류 등 다양한 종류 및 물성의 식품에 포괄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갈하게 목적하는 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절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식품
110: 식품투입부 120: 차단부
121: 진입차단바 122: 감지제어수단
130: 절단부 131: 프레임
132: 절단판 133: 절단홈
134: 스트로크바 135: 제1결합부
136: 절단체 137: 제2결합부
138: 절단날 140: 식품위치설정부
141: 스톱바 150: 푸쉬부
151: 푸쉬패널 160: 배출부
161: 적재함

Claims (3)

  1. 식품을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하고 절단부(130)를 향해 단속적으로 수평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식품투입부(110)와,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일측에 구비하여 식품을 한 단위씩 안착하고 절단날(138)을 수직 구동하여 식품을 이분할 또는 다분할하도록 구비하는 절단부(130)와,
    상기 절단부(130)의 일측에서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향해 기설정된 거리로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식품위치설정부(140)와,
    상기 절단부(130)의 타측에서 배출부(16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부(130)의 상면을 통과하여 배출부(160)의 선단까지 진출입하도록 구비하는 푸쉬부(150)와,
    상기 절단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 및 분할된 식품 조각을 일괄 수집하여 적재함(161)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배출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투입부(110)의 단부에는,
    절단부(130)에 진입하는 식품을 한 단위씩 감지하여 진입차단바(121)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식품투입부(110)의 구동을 단속하도록 구비하는 차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위치설정부(140)에는,
    차단부(120)와 연동하고 상기 절단부(130)에 진입하는 식품의 측면에 접촉하여 절단부(13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비하는 스톱바(141)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130)는,
    프레임(131)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식품투입부(110)와 동일 높이에 구비하고 중앙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단홈(133)을 배치하는 절단판(132)과,
    절단판(132)의 상측 중앙에 설치하여 수직 구동하고 하단에는 제1결합부(135)를 구비하는 스트로크바(134)와,
    상단에는 제1결합부(135)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137)를 구비하고 제2결합부(137)를 중심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절단날(138)을 배치하는 절단체(136)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판(132) 및 절단체(136)는,
    각각의 절단홈(133) 및 절단날(138)의 개수 및 배치 구조가 상이한 임의의 다수를 구비하되, 절단홈(133) 및 절단날(138)이 상호 동일한 조합을 이루는 절단판(132) 및 절단체(136) 세트를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131) 및 제1결합부(135)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02383A 2021-01-08 2021-01-08 농축산물 절단장치 KR10230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83A KR102308459B1 (ko) 2021-01-08 2021-01-08 농축산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83A KR102308459B1 (ko) 2021-01-08 2021-01-08 농축산물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459B1 true KR102308459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383A KR102308459B1 (ko) 2021-01-08 2021-01-08 농축산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4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68B1 (ko) * 2006-06-30 2007-09-17 권영준 비닐 포장대 절단 장치
KR20090044223A (ko) * 2007-10-31 2009-05-07 경기도농업기술원 채소수확기
KR200448427Y1 (ko) 2008-05-07 2010-04-09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배출 슈트가 구비된 냉동 식품절단기
KR20160147309A (ko) * 2015-06-15 2016-12-23 김동화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KR101709382B1 (ko) 2014-12-10 2017-02-22 김완영 식품 절단장치
CN106625817A (zh) * 2015-10-30 2017-05-10 福泉市云溪纸业 带有输送装置的圆筒卫生纸切断机
KR20190000768U (ko) 2019-03-15 2019-03-26 (주) 프라임 엔지니어링 복합절단기
KR101972146B1 (ko) 2011-03-03 2019-04-24 정운조 식품초고속자동절단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68B1 (ko) * 2006-06-30 2007-09-17 권영준 비닐 포장대 절단 장치
KR20090044223A (ko) * 2007-10-31 2009-05-07 경기도농업기술원 채소수확기
KR200448427Y1 (ko) 2008-05-07 2010-04-09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배출 슈트가 구비된 냉동 식품절단기
KR101972146B1 (ko) 2011-03-03 2019-04-24 정운조 식품초고속자동절단기
KR101709382B1 (ko) 2014-12-10 2017-02-22 김완영 식품 절단장치
KR20160147309A (ko) * 2015-06-15 2016-12-23 김동화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CN106625817A (zh) * 2015-10-30 2017-05-10 福泉市云溪纸业 带有输送装置的圆筒卫生纸切断机
KR20190000768U (ko) 2019-03-15 2019-03-26 (주) 프라임 엔지니어링 복합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444B2 (en) Rotary apparatus for cutting a food product
US2195879A (en) Slicing machine
CN107030795B (zh) 一种木料自动刨削加工设备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SE438110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spanskerande sonderdelning av timmerstockar
US3190326A (en) Chipper apparatus
US4782729A (en) Animal fiber cutting machine
CN109046660B (zh) 一种适用于块状冻肉绞碎机
US2931401A (en) Trim saw apparatus
KR102308459B1 (ko) 농축산물 절단장치
KR100726211B1 (ko) 냉장육 다이서
CN116117880B (zh) 一种山楂食品加工用自动切片装置
US3273617A (en) High speed mechanism for segmenting crinkle cut vegetables
WO2016148660A1 (en) The cassava cutting machine with a centrifugal force two blade system
US3654978A (en) Powered cutter apparatus
US3077215A (en) Meat cubing machine
US6390160B2 (en) Chopping machine
CN210850375U (zh) 一种萝卜切条装置
US3148720A (en) Liver slicing machine
KR101781467B1 (ko)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US3614970A (en) Meat cubing machine
CN213592980U (zh) 便于推送调节使用的蔬菜切块设备
CN217016887U (zh) 一种肉类食品加工用粉碎装置
US2525949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files
CN215202267U (zh) 一种果蔬分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