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990B1 - 증류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증류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990B1
KR102307990B1 KR1020210023620A KR20210023620A KR102307990B1 KR 102307990 B1 KR102307990 B1 KR 102307990B1 KR 1020210023620 A KR1020210023620 A KR 1020210023620A KR 20210023620 A KR20210023620 A KR 20210023620A KR 102307990 B1 KR102307990 B1 KR 10230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istilled water
outlet
unit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섭
Original Assignee
김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섭 filed Critical 김만섭
Priority to KR102021002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5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heat ex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증류수 제조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증류수 제조 장치는,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형성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증류수로 응결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로부터 증류수를 유입받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가 일정시간 동안 응결하는 증류수 양은 상기 가열부가 상기 일정시간 동안 형성하는 증기량 이상이다.

Description

증류수 제조 장치{MANUFACTURE APPARATUS OF DISTILLED WATER}
본원은 증류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증류수 제조 장치는 원수를 가열 증발시킨 후 이를 응축시켜서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증류수 제조장치는 통상의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 냉각시키는 응축냉각기와, 상기 응축냉각기에서 냉각된 증류수를 저장하는 증류수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증류수 제조 장치는, 가열장치가 형성한 수증기를 응결관을 통과시키고, 응결관에 냉각팬이 형성하는 송풍을 작용하여 응결관 내부의 증기를 냉각 또는 응결시켰다. 이에 따라, 효율이 낮아 수증기의 상당 부분이 응결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었다. 이에 따라,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측면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648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증류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는,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형성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증류수로 응결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로부터 증류수를 유입받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상기 증기가 통과하는 액화 라인; 및 상기 액화 라인 내부의 증기를 응결하는 냉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증기가 액화 라인을 통과하고, 이때, 액화 라인을 통과하는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냉각 구조체에 의해 증류수로 응결될 수 있으므로, 가열부가 형성한 증기를 외부에 배출시키지 않고 전부 응축 냉각시켜 증류수로 만들 수 있으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가열부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스케일 제거 구조체의 일부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온도 조절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a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증류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정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가열부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 제조 장치의 스케일 제거 구조체의 일부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가열부(1)를 포함한다. 가열부(1)는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부(1)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가열 탱크)(11)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11)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향 개구된 본체(111) 및 뚜껑(112)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112)은 본체(111)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12)이 본체(111)를 덮으면 본체(111)는 폐쇄될 수 있고, 뚜껑(112)이 본체(111)로부터 제거되면 본체(111)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는 탱크(11)와 연통되어 탱크(1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1)에는 공급부(13)와 연통되는 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급구를 통해 공급부(13)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13)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본체(111)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는 탱크(11)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1)에 의해 탱크(11)로 공급된 물은 히터(12)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되며 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냉각부(2)를 포함한다. 냉각부(2)는 가열부(1)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증류수로 응결한다. 예를 들어, 냉각부(2)는 증기가 통과하는 액화 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부(2)는 액화 라인을 통과하는 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응결한는 냉각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를 테면, 냉각 구조체는, 프레온 냉매를 컴프레서에서 압축한 후 감압하여(이를 테면, 응축기, 드라이어, 전자밸브를 거쳐 팽창밸브를 통해 감압) 액화 라인에 공급하여 액화 라인에서 증기가 열교환되어 냉각(액화)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냉각 구조체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이동 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냉매 이동 라인은 액화 라인의 외부에서 액화 라인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이동 라인을 지나는 냉매에 의해 액화 라인 내부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고, 액화 라인을 통과하는 증기는 증류수로 응결될 수 있다. 참고로, 냉매는 냉각수(액화 라인을 통과하는 증기의 적으도 일부를 증류수로 응결시킬 수 있는 온도를 갖는 물)일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체는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이동 라인을 지나면서 온도가 향상된 냉매는 열 교환기에 의해 재 냉각되어 냉매 이동 라인을 다시 지나며 순환할 수 있다. 열 교환기는 프레온 가스를 이용해 냉매를 재냉각 시킬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냉각부에 의해 증류수 응결이 효율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증기가 응결관을 지나고, 응결관의 상측에 냉각팬이 구비되어 냉각팬이 형성하는 송풍에 의해 응결관 내부의 증기를 냉각 및 응결시켰다. 이에 따라, 증기 냉각 효율이 저하되어, 가열부에서 형성되는 증기의 상당 부분이 응결되지 못하고 버려졌다. 반면에, 본 장치에 의하면, 액화 라인을 통과하는 증기가 프레온 냉매에 의해 직접 냉각되어 증류수로 응결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증류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배출부(3)를 포함한다. 배출부(3)는 냉각부(2)로부터 증류수를 유입받아 배출한다. 배출부(3)는 저장탱크(증류수 탱크)(31) 및 배출관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2)로부터 유입된 증류수는 저장탱크(31)에 저장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저장탱크(31)의 증류수는 배출관부(3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배출부(3)는 저장탱크(31) 내의 증류수를 장비로 공급하는 증류수 공급 펌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가열부(1)로 물이 공급되어 물은 가열되어 기화되는 증기(수증기)가 될 수 있고, 증기는 이동관(19)을 따라 냉각부(2)로 이동되어 냉각 응축되어 증류수가 될 수 있고, 증류수는 배출부(3)의 저장탱크(31)로 이동되어 저장탱크(31)에 저장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배출관부(3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2)가 일정시간 동안 응결하는 증류수 양은 가열부(1)가 일정시간 동안 형성하는 증기량 이상이다. 다시 말해, 냉각부(2)는 일정시간동안 가열부(1)가 형성하는 증기량 이상의 양을 응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1)에서 일정시간 동안 형성된 증기 전부가 냉각부(2)에서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부 응결될 수 있어, 가열부(1)에서 형성된 증기가 냉각부(1)에서 응결되지 못해 버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부(1)는 탱크(11)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 구조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11)에서의 물(원수) 가열시, 물의 불순물 등에 의해 스케일이 발생되고 이러한 스케일은 탱크(1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고착될 수 있다. 스케일 제거 구조체(14)는 탱크(11)의 내면의 스케일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1)에는 제거된 스케일이 배출되는 배출구(119)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9)를 통해 제거된 스케일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급구의 위치가 배출구(119)의 위치보다 높도록, 배출구(119)는 탱크(11)의 저면에 형성되고, 공급구는 탱크(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 배출시, 공급구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물로 스케일을 배출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공급되는 물의 배출이 용이해 스케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1)는 저면이 탱크(1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탱크(11)의 저면(바닥면)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9)는 탱크(11)의 저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119)는 탱크(11)의 최저면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스케일이 탱크(11)의 저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부(1)는 스케일 수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 수용부(15)는 탱크(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용부(15)의 상면(상부)은 탱크(11)의 저면(하부)와 맞물리는 형태를 일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용부(15)는 탱크(1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 수용부(15)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탱크(1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용부(15)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배출구(119)는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입구에는 배출구(119)가 상측으로부터 하향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11)의 안정적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된 스케일은 스케일 수용부(15)로 유입될 수 있고, 스케일 수용부(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부(1)는 배출구(119)를 선택적으로 개폐(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16)는 탱크(11)의 중앙(반경 방향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6)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폐부(16)는 실린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또한, 개폐부(16)의 하부는 개폐부(16)의 길이 연장시 배출구(119)에 삽입될 수 있고, 개폐부(16)의 길이 축소시 배출부(119)로부터 이격(탈거)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6)는, 하부가 배출구(119)에 삽입되면 배출구(119)를 폐쇄하고, 하부가 배출구(119)로부터 탈거되면 배출구(119)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6)의 하부는 배출구(119)에 삽입되면 배출구(119)를 폐쇄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배출구(119)의 상부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수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6)의 하부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수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수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 이를 테면,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밀부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개폐부(16)의 하부가 배출구(119)에 삽입되면, 배출구(119)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될 수 있고, 개폐부(16)와 배출구(119) 사이는 탄성을 갖는 재질인 수밀부재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6)에 의한 배출구(119)의 폐쇄가 가능하다. 또한, 수밀부재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개폐부(16)의 배출구(119)에 대한 입출입시 수밀부재가 탄성변형될 수 있으므로, 개폐부(16)의 배출구(119)에 대한 입출입이 가능하다.
또한, 참고로, 개폐부(16)의 상단은 뚜껑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히터(12)는 개폐부(16)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형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2)는 개폐부의 둘레를 감싸며 상하로 연장되는 코일형 유로, 코일형 유로의 일단과 연결되는 공급 유로 및 코일형 유로의 타단과 연결되는 아웃풋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를 통해 열 전달 유체가 공급될 수 있고, 열 전달 유체는 코일형 유로를 통과하여 아웃풋 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열 전달 유체는 공급 유로, 코일형 유로 및 아웃풋 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탱크(11) 내의 물에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열 전달 유체로는 종래에 사용되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유체가 적용될 수 있다.
히터(12)가 개폐부(16)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형 유로를 포함하므로, 탱크(11) 내의 공갑 활용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케일 제거 구조체는, 상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41)은 개폐부(16) 및 히터(12)가 통과하는 중공부(14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판(141)에는 중공부(1411)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중공부(1411) 내측에 개폐부(16)의 적어도 일부 및 히터(1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판(141)은 외츨 둘레부가 탱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 둘레부가 탱크(14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탱크(141)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1)의 벽에는 탱크(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판(141)의 테두리 부분(외측 둘레부)이 탱크(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탱크(11)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141)의 탱크(11)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외측 둘레부)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슬롯에 대해 걸림되는 제1 걸림부(1419)가 구비되고, 상판(141)의 탱크(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내측 둘레부)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슬롯에 대해 걸림되는 제2 걸림부(1418)가 구비되며, 상판(141)의 탱크(11)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외측 둘레부)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롯에 대해 걸림되는 제3 걸림부(14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419) 및 제2 걸림부(1418)에 의해 상판(141)은 내외측으로 위치가 고정되며 탱크(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걸림부(141)는 후술할 연장 부재(142)와 연동되어 상판(141)의 하측에서 상판(141)의 내외측으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141)은 안정적으로 탱크(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걸림부(1419, 418, 1417) 각각은 상판(141)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내지 제3 걸림부(1419, 418, 1417)은 ㄴ자 형상이고 상판(141)과 덧대진 부분과 상판(141)이 볼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걸림부(1419, 418, 1417) 각각은 상판(141)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걸림부(1419, 418, 1417)가 상판(141)으로부터 탈거되면 스케일 제거 구조체(14)는 탱크(11)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케일 제거 구조체는, 복수의 연장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부재(142)는 상판(141)의 내측 둘레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제거 구조체는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탱크(1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스크래퍼(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부재(142)는 탱크(1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판(141)의 하면에는, 각각이 탱크(1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어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의 내외측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49) 복수 개가 상판(141) 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은 복수의 가이드 레일(149)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연장 부재(142)는 서로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므로, 내측으로 소정 이동되어도,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장 부재(142)의 개수,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의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 및 복수의 연장 부재(142)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연장 부재(142)가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 중 최내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연장 부재(142)의 내측으로의 이동 범위는 복수의 연장 부재(142)의 개수,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의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 및 복수의 연장 부재(142)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복수의 연장 부재(142)가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 중 최내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부재(142) 각각의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크래퍼(143)는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며 탱크(11)의 저면의 스케일을 긁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판(141)은 그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연장 부재(142)는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부재(142)의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크래퍼(143)는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되며 탱크(11)의 저면의 스케일을 긁어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 구조체(14)는 상판(141)의 회전과 복수의 연장 부재(142)의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의 내외측 이동을 조합하여 스크래퍼(143)를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시키거나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탱크(11)의 저면의 스케일을 골고루 긁어 탱크(11)의 저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거된 스케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143)는 상판(141)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시 스케일을 긁을 수 있도록, 폭 방향 일측부가 폭 방향 일측을 향할수록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고, 폭 방향 타측부가 폭 방향 타측을 향할수록 상면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래퍼(143)는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시 스케일을 긁을 수 있도록, 내측부가 내측을 향할수록 상면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레퍼(143)의 하면은 탱크(11)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스크래퍼(143)의 하면의 기울기와 탱크(11)의 저면의 기울기는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크래퍼(143)의 하면의 기울기와 탱크(11)의 저면의 기울기는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래퍼(143)가 탱크(11)의 저면을 따라 상판(14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스크래퍼(143)와 탱크(11)의 저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143)의 이동시 스케일이 긁어질 수 있도록, 스크래퍼(143)는 하면이 탱크(11)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1)의 벽 중 전술한 슬롯이 형성되는 부분의 하측 부분(a)은 온도 조절 부재(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부재(13)는 는 내측 플레이트부(1151), 내측 플레이트부(1152)와 겹쳐 배치되는 외측 플레이트부(1152) 및 내측 플레이트부(1151)의 적어도 일부와 외측 플레이트부(1152)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펠티어 효과에 따라 외측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내측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펠티어 소자(1153)를 포함할 수 있다.
펠티어 소자(1153)는 펠티어 효과에 따라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1153)전력이 공급되면 외측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내측부에서 열을 발산할 수 있고, 내측 플레이트부(1151)는 펠티어 소자(1153)의 내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1153)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1153)의 발열을 용이하게 전달(펠티어 소자(1153)에 의한 열의 이동(흡열)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플레이트부(1152)는 펠티어 소자(1153)의 외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1153)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1153)의 흡열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플레이트부(1151) 및 외측 플레이트부(1152)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펠티어 소자(1153)로부터 방출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내측 플레이트부(115)는 물이 가열되는 곳을 감싸는 부재이므로, 세라믹, 스테인레스 등의 소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부(1151)는 펠티어 소자(1153)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고, 외측 플레이트부(1152)는 펠티어 소자(1153)에 의해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115)는 내측 플레이트부(1151)가 하우징부(1)의 내측을 향하고, 외측 플레이트부(1152)가 하우징부(1)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11)의 적어도 일부(온도 조절 부재(115)가 구비되는 부분)는 내면이 내측 플레이트부(1151)이고, 외면이 외측 플레이트부(1152)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탱크(11) 내의 물을 가열하는 열은 내측 플레이트부(1151)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즉, 탱크(11) 내의 물은 내측 플레이트부(1151)가 발산하는 열 및 히터(12)가 발산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2)는 탱크(11)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여 발열하고, 내측 플레이트부(1151)는 탱크(11) 내의 물의 외측에서 발열하므로, 물이 효율적으로 균일하고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펠티어 소자(115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1153)는 전력 공급부(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술한 흡열 및 발열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외측 플레이트부(115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방열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1153)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외측 플레이트부(1152)의 열은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열부
11: 탱크
111: 본체
112: 뚜껑
119: 배출구
12: 히터
13: 공급부
14: 스케일 제거 구조체
141: 상판
142: 연장 부재
143: 스크래퍼
15: 스케일 수용부
16: 개폐부

Claims (6)

  1. 증류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형성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증류수로 응결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로부터 증류수를 유입받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상기 증기가 통과하는 액화 라인; 및
    상기 액화 라인 내부의 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응결하는는 냉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
    상기 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탱크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에는,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공급구 및 제거된 스케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구의 위치가 상기 배출구의 위치보다 높도록, 상기 배출구는 상기 탱크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탱크의 벽에 형성되며,
    상기 탱크는 저면이 상기 탱크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탱크의 저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탱크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하부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개폐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형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일 제거 구조체는,
    상기 개폐부 및 상기 히터가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부가 상기 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 둘레부가 상기 탱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상기 탱크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내측 둘레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판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의 연장 부재;
    상기 복수의 연장 부재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탱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장 부재는 상기 탱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증류수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하면은 상기 탱크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스크래퍼의 기울기와 상기 탱크의 저면의 기울기는 대응되는 것인, 증류수 제조 장치.
KR1020210023620A 2021-02-22 2021-02-22 증류수 제조 장치 KR10230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0A KR102307990B1 (ko) 2021-02-22 2021-02-22 증류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0A KR102307990B1 (ko) 2021-02-22 2021-02-22 증류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990B1 true KR102307990B1 (ko) 2021-09-30

Family

ID=7792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20A KR102307990B1 (ko) 2021-02-22 2021-02-22 증류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9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14U (ko) * 1994-08-26 1996-03-16 이칠상 자동판매기용 가속가열장치
KR100456339B1 (ko) * 2002-09-26 2004-11-09 최원환 증류수 제조장치
KR20080065861A (ko) * 2007-01-10 2008-07-15 조창균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KR200488815Y1 (ko) * 2017-10-11 2019-03-21 최종율 스케일 제거기를 구비한 증류수 제조장치
KR20190119410A (ko) * 2018-04-12 2019-10-22 이문현 증류수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14U (ko) * 1994-08-26 1996-03-16 이칠상 자동판매기용 가속가열장치
KR100456339B1 (ko) * 2002-09-26 2004-11-09 최원환 증류수 제조장치
KR20080065861A (ko) * 2007-01-10 2008-07-15 조창균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KR200488815Y1 (ko) * 2017-10-11 2019-03-21 최종율 스케일 제거기를 구비한 증류수 제조장치
KR20190119410A (ko) * 2018-04-12 2019-10-22 이문현 증류수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7378A1 (en) Two-phase immersion cooling system and method with enhanced circulation of vapor flow through a condenser
KR100695176B1 (ko) 가열 및 냉각 겸용 믹싱 탱크
KR102307990B1 (ko) 증류수 제조 장치
KR2017010326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고성능 제습기
US20120125036A1 (en) Refrigeration system
KR101510504B1 (ko) 증류수 제조장치
US11262117B2 (en) Refrigerator
KR20190128821A (ko) 태양열 히트펌프용 축열조
JP6825615B2 (ja) 冷却システムと冷却器および冷却方法
KR101693804B1 (ko) 빙축열 방식의 냉각장치
US11280556B2 (en) Fast heat-sinking, current stabilization and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ondenser
CN211147409U (zh) 一种新型液冷热管
KR200489423Y1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JP2014096998A (ja) 解凍装置
KR200488815Y1 (ko) 스케일 제거기를 구비한 증류수 제조장치
KR101175094B1 (ko) 응축 장치
KR2008004651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90000926U (ko) 스케일 제거기
KR100443725B1 (ko) 히트파이프를 구비한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
CN110732149B (zh) 一种液相分离提纯装置
JPH02290478A (ja) 直接接触型凝縮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サイクル装置
CN212205117U (zh) 冰箱及其制冷系统
KR101693805B1 (ko)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KR200292766Y1 (ko) 난방부를 구비한 냉방장치
KR200176277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