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805B1 -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805B1
KR101693805B1 KR1020150152566A KR20150152566A KR101693805B1 KR 101693805 B1 KR101693805 B1 KR 101693805B1 KR 1020150152566 A KR1020150152566 A KR 1020150152566A KR 20150152566 A KR20150152566 A KR 20150152566A KR 101693805 B1 KR101693805 B1 KR 10169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tank
heat
cooling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훈
김형규
김진섭
이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5015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는 빙축열조, 냉각수단, 얼음형성부, 교반 임펠러, 음용수관 및 탈빙방지수단을 포함하며, 탈빙방지수단에 의하여 얼음형성부로부터 얼음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며, 빙축수의 교반성능이 저해되지 않음과 동시에, 빙축열조 내부에 형성된 얼음이 이탈되어 빙축열조 내부의 빙축수의 교반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COOLING DEVICE USING ICE THERMAL STORAGE SYSTEM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ICE RELEASE}
본 발명은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빙축수의 교반성능이 저해되지 않음과 동시에, 빙축열조 내부에 형성된 얼음이 이탈되어 빙축열조 내부의 빙축수의 교반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도나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통하여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상온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수를 냉각시킨 냉수 또는 음용수를 가열한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는 저수형 냉각장치 또는 직수형 냉각장치 등이 있다.
저수형 냉각장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여 냉수탱크 내부에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설치하거나 냉수탱크의 외면에 증발기를 접촉 배치하고, 음용수를 냉수탱크 내부에 저장하여 음용수를 직접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직수형 냉각장치는 음용수가 흐르는 음용수관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하고, 이러한 음용수관을 냉각하는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음용수가 음용수관을 흐르며 냉각되어 공급되는 방식이다. 즉, 음용수의 공급 시에 냉수가 형성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직수형 냉각장치로 근래에는, 얼음 또는 차가운 유체가 저장된 빙축열조에 음용수관을 통과시켜 빙축열조 내부에 저장된 얼음과 빙축수, 또는 차가운 유체와 음용수관을 통과하는 음용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빙축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빙축열조의 얼음과 빙축수를 이용하는 냉각장치의 경우 음용수 공급 시 상기한 열교환에 의하여 빙축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고, 온도 상승에 의하여 얼음이 녹아 빙축수 상부로 떠오르며, 이에 의하여 교반장치와 얼음이 충돌하고, 충돌에 의하여 교반장치의 회전이 방해되거나 교반장치가 손상되거나 충돌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교반장치 주변에 커버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커버는 별도의 조립 구조가 필요하고, 커버로 인하여 교반성능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빙축수의 교반성능이 저해되지 않음과 동시에, 빙축열조 내부에 형성된 얼음이 이탈되어 빙축열조 내부의 빙축수의 교반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는 빙축수가 저장되는 빙축열조; 상기 빙축열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빙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형성하는 얼음형성부; 상기 빙축열조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하강 배치되는 교반 임펠러; 음용수가 상기 빙축열조 내부를 지나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음용수관; 및 상기 얼음이 얼음형성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빙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빙방지수단은,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측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빙축수 유출입구가 형성되는 탈빙방지커버일 수 있다.
상기 얼음형성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탈빙방지수단은 상기 핀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인 탈빙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은 흡열부 및 발열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
상기 얼음형성부는 상측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용수관은, 상기 교반 임펠러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다수 회 두르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에 의하면, 빙축수의 교반성능이 저해되지 않음과 동시에, 빙축열조 내부에 형성된 얼음이 이탈되어 빙축열조 내부의 빙축수의 교반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형성부에 의한 얼음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100)는 빙축열조(110), 냉각수단(120), 얼음형성부(130), 교반 임펠러(140) 및 음용수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빙축열조(110)는 내부 저장공간을 가지는 일반적인 형상의 용기일 수 있다. 상기 빙축열조(110)의 저장공간에는 빙축수(111)가 저장된다. 상기 빙축수(111)는 일반적인 물일 수 있다.
상기 빙축열조(110)의 하부에는 냉각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냉각수단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후 설명할 얼음형성부(130)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소자(120) 또는 컨프레샤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열전소자(120)일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0)는 흡열부(121) 및 발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120)는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여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흡열부(121)로부터 흡수한 열을 발열부(122)로 전달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흡열부(121)는 저온, 상기 발열부(122)는 고온의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열전소자(120)는 흡열부(121)가 상측, 발열부(122)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열부(121)는 얼음형성부(130)와 결합되어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열을 흡수한다.
상기 얼음형성부(130)는 상기 빙축열조(1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 저장공간의 빙축수(111)와 맞닿고, 상기 냉각수단과 결합된다. 상기 냉각수단이 열전소자(120)인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는 상기 흡열부(121)에 의하여 흡열되어 매우 저온의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12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빙축수(111)는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얼어 나가게 된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측면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의한 얼음이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얼음형성부(130)는 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빙축수(111)와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상기 빙축수(111)를 용이하게 냉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에는 교반 임펠러(140)가 배치된다. 즉, 상기 교반 임펠러(140)는 상기 빙축열조(110)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하강 배치되어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빙축열조(110)의 상부는 빙축열조 뚜껑(180)에 의하여 덮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반 임펠러(140)는 상기 빙축열조 뚜껑(18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빙축열조 뚜껑(180)은 상기 교반 임펠러(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 모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임펠러(14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의 빙축수(111)가 교반되며, 상기 교반에 의하여 상기 빙축열조(110) 상부 및 하부의 빙축수(111)의 온도 차이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빙축열조 뚜껑(180)에는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에 상기 빙축조(111)를 주입하기 위한 빙축수 주입홀(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에는 음용수관(150)이 배치된다. 상기 음용수관(150)은 음용수가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를 지남으로써 냉각되어 이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용수관(150)은 입수부(151), 냉각부(152) 및 출수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용수관(150)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상기 입수부(151)를 따라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부(152)에 의하여 냉각된 후 상기 출수부(153)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냉각부(152)는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에서 다층 적층되되, 상기 적층에 의하여 측벽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벽형상이란 상기 냉각부(152)가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에서 상기 빙축수(111)의 상하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수관(150)의 냉각부(152)는, 상기 교반 임펠러(140)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다수 회 두르되, 수직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상기 측벽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 임펠러(140)가 빙축열조(110) 상부로부터 하강 배치되고, 상기 음용수관(150)이 측벽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빙축수(111)의 상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의 상기 빙축수(111)의 교반이 원활하여 상부 및 하부의 빙축수(111)의 온도차가 원활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교반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된 얼음형성부(130)에 인접한 빙축수(111)는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다시 냉각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것에 의하여, 상하부의 빙축수(111)의 온도차가 감소하게 되며, 빙축수(111) 상하부의 평균 온도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음용수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부에는 제 1 온도센서(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온도센서(160)는,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얼음을 감지한다.
상기 얼음형성부(130)가 상기 빙축수(111)를 계속적으로 냉각하는 경우, 상기 교반 임펠러(140) 또는 상기 음용수관(150)와 근접한 빙축수(111)까지 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반 임펠러(140)가 회전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음용수관(150) 내부의 음용수까지도 얼게 되어 음용수관(150)이 막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온도센서(160)는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되는 얼음을 감지함으로써, 일정 양 이상의 얼음 형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빙축열조(110)의 외부 둘레면에는 상기 빙축열조(110)와 상기 빙축열조(110) 외부 사이의 단열을 위하여 단열부재(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90)에 의하여 빙축수(111)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냉각수단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이 열전소자(120)인 경우, 열전소자(120)의 발열부(122)는 방열부(1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170)는 방열부재와 냉각팬(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발열부(122)의 열을 방산하는 장치로서, 히트 파이프(171)이거나 워터자켓 및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수냉쿨러일 수 있다.
상기 히트 파이프(171)는 감압 밀폐 파이프 내부의 작동유체가 연속적으로 기체 및 액체 간의 상변화 과정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양단 사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파이프 내부에 작동유체를 넣고 상기 히트 파이프(171)일측 말단을 가열하면 상기 작동유체가 증기로 되어 타측 말단으로 흐르고, 상기 타측 말단에서 방열하여 상기 작동유체가 액체로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일측 말단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일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타측 말단으로 열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히트 파이프(171)는 상기 발열부(122)로부터 상기 빙축열조(110) 외부 측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트 파이프(171)의 일측 말단은 상기 발열부(122)와 결합되며, 타측 말단은 상기 빙축열조(110) 외부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 의하여 상기 발열부(122)의 열이 상기 히트파이프(171)의 타측 말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타측 말단에서 방열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방열을 위하여 상기 냉각팬(172)은, 상기 히트파이프(171)의 타측 말단과 상기 빙축열조(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조(110)로부터 상기 히트 파이프(171) 타측 말단의 방향으로 냉각풍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빙축열조(110)의 온도는 주변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상기 방향의 냉각풍 공급에 의하여 상기 방열이 보다 원활하고 일어날 수 있다.
보다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상기 히트 파이프(171)의 타측 말단에는 방열핀(173)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히트 파이프(171)가 상기 발열부(122)로부터 교대로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히트 파이프(171)가 각각 냉각팬(172), 또는 냉각팬(172) 및 방열핀(173)과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빙축열조(110) 내부의 상부에는 제 2 온도센서(16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센서(161)는 상기 빙축열조(110) 상부의 빙축수(111)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 2 온도센서(161)에 의하여 측정된 빙축수(111)의 온도와 상술한 제 1 온도센서(160)에 의하여 측정된 빙축수(111)의 온도의 차이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교반 임펠러(140)의 회전하여 상기 빙축수(111)가 교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에 의하여 상하부의 상기 빙축수(111)의 온도차는 소정 값 미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에 의하여 상기 하부의 빙축수(111)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된 얼음의 양이 감소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 1 온도센서(160)는 상기 얼음의 양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냉각수단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의 빙축수(111) 온도차 및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된 얼음의 양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상기 빙축수(111)의 온도 및 상기 얼음의 양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함으로써, 음용수의 이용에 따른 음용수의 냉각에 대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얼음형성부(130)에는 얼음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부에는 교반 임펠러(14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형성부(130)로부터 이탈되게 되면, 상기 교반 임펠러(140)와 상기 얼음이 충돌할 수 있고, 상기 충돌에 의하여 상기 교반 임펠러(140)의 회전이 방해되거나 상기 교반 임펠러(140)가 손상되거나 충돌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100)는 탈빙방지수단(200)을 포함하며,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 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형성부에 의한 얼음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의 (a) 를 참조하면, 얼음형성부(130)의 상측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 상측면 중앙부분과 맞닿는 빙축수가 상기 얼음형성부(130) 상측면 주변으로부터 열을 가장 많이 흡수당하게 되므로, 얼음(132)의 상측면이 불균일한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 1 온도센서(160)에 의한 얼음감지가 다소 부정확할 수 있고, 상기 얼음의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얼음(132)이 교반 임펠러(140)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이후 설명할 탈빙방장커버와 상기 얼음 간에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측면을 'U'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중앙부분과 맞닿는 빙축수가 가장 많은 열을 흡수당한다 하더라도, 상기 얼음(132)의 상측면은 균일하고 편평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은 탈빙방지커버(210)일 수 있다.
상기 탈빙방지커버(210)은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측면을 감싸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을 위하여 상기 탈빙방지커버(210)는 측면부(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212)는 상기 빙축열조(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탈빙방지커버(210)는 상기 얼음형성부(130)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되는 얼음의 양을 고려하여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탈빙방지커버(210)에는 빙축수 유출입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빙축수 유출입구(211)는 상기 얼음형성부(130)에 형성된 얼음과 인접한 빙축수와 상부의 빙축수의 교반이 원할하게 일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빙축수 유출입구(21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홀에 의한 것일 수 있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달리 메쉬 형상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빙축수가 원활하게 유출입되고, 상기 얼음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 빙축수 유출입구(21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빙방지수단은 상술한 핀(131) 방식의 얼음형성부(140)에 형성되는 걸림턱(220)일 수 있다.
상기 얼음형성부(1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핀(131)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131)의 상부 말단에는 걸림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20)은 수평방향 또는 상기 핀(131)의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탈빙방지에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림턱(220)은 상기 핀(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100 :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110 : 빙축열조
120 : 열전소자
130 : 얼음형성부
140 : 교반 임펠러
150 : 음용수관
200 : 탈빙방지수단
210 : 탈빙장지커버
220 : 걸림턱

Claims (6)

  1. 빙축수가 저장되는 빙축열조;
    상기 빙축열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빙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형성하는 얼음형성부;
    상기 빙축열조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하강 배치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교반 임펠러;
    음용수가 상기 빙축열조 내부를 지나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음용수관; 및
    상기 얼음이 얼음형성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빙방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탈빙방지수단은,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측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빙축수 유출입구가 형성되는 탈빙방지커버이거나,
    상기 얼음형성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핀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이며,
    상기 탈빙방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교반 임펠러의 회전 방해, 상기 교반 임펠러의 손상 및 교반 임펠러와 얼음의 충돌소음이 방지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흡열부 및 발열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인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형성부는 상측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관은, 상기 교반 임펠러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다수 회 두르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KR1020150152566A 2015-10-30 2015-10-30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KR10169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66A KR101693805B1 (ko) 2015-10-30 2015-10-30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66A KR101693805B1 (ko) 2015-10-30 2015-10-30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805B1 true KR101693805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566A KR101693805B1 (ko) 2015-10-30 2015-10-30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3016A (ja) * 1995-05-18 1996-11-29 Daikin Ind Ltd 氷蓄熱装置
JP2001074281A (ja) * 1999-09-02 2001-03-23 Sanken Setsubi Kogyo Co Ltd 氷蓄熱装置
JP2001348097A (ja) * 2000-06-07 2001-12-18 Daikin Ind Ltd 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20050089435A (ko) * 2004-03-05 2005-09-08 최연홍 음식물 냉온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3016A (ja) * 1995-05-18 1996-11-29 Daikin Ind Ltd 氷蓄熱装置
JP2001074281A (ja) * 1999-09-02 2001-03-23 Sanken Setsubi Kogyo Co Ltd 氷蓄熱装置
JP2001348097A (ja) * 2000-06-07 2001-12-18 Daikin Ind Ltd 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20050089435A (ko) * 2004-03-05 2005-09-08 최연홍 음식물 냉온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220B1 (ko) 온디맨드 음료수 쿨러
KR20180102706A (ko) 냉각탑을 채용한 냉각장치를 위한 써모싸이폰 냉각기
JP2016519274A5 (ko)
KR101176564B1 (ko) 세라믹층이 형성된 빙축시스템을 이용한 정수기용 냉수 열교환기
KR20170083399A (ko) 빙축열을 이용한 냉각 유닛
EP3220080B1 (en) Cold end heat exchanging device and semiconductor refrigerator
JP2011511256A (ja) 二重冷却構造に構成された多面的均一連続急冷装置
KR20180039987A (ko)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06524286A (zh) 油汀取暖器
KR101693804B1 (ko) 빙축열 방식의 냉각장치
KR101383024B1 (ko) 분리형 수조를 갖는 음용수 순간 냉각 장치
KR101693805B1 (ko) 탈빙방지구조를 가지는 빙축열 냉각장치
RU2349852C1 (ru) Гравитационная тепловая труба
CN106136828A (zh) 榨汁机
CN208194378U (zh) 一种反应釜冷却系统
JP2004522126A (ja) 震動式熱交換装置
KR101849473B1 (ko) 냉풍기
CN215216761U (zh) 一种半导体水冷装置
KR2014000086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기
RU2295855C1 (ru) Установка охлаждения молока
KR20200001489U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101713977B1 (ko) 콜드트랩
KR20140000909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기
JP4904856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2036926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