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93B1 -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 Google Patents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93B1
KR102307893B1 KR1020200182594A KR20200182594A KR102307893B1 KR 102307893 B1 KR102307893 B1 KR 102307893B1 KR 1020200182594 A KR1020200182594 A KR 1020200182594A KR 20200182594 A KR20200182594 A KR 20200182594A KR 102307893 B1 KR102307893 B1 KR 10230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entrance
octopus
installation surface
ma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부
Original Assignee
박기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부 filed Critical 박기부
Priority to KR102020018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에 안착되고, 내부의 서식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몸체부와, 문어 및 해수가 출입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출입구와, 제1출입구와 대응되도록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출입구 및, 양측이 몸체부의 일측면과 설치면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Artificial structure for spawning and growth of octopus}
본 발명은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어의 생육 및 산란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수산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폐선,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인공어처를 수중으로 투하하여 어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어류 등이 은신 및 서식하거나 해조류 등이 부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해조류 등을 먹이로 하는 어패류(전복, 소라 등)의 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어업 증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문어의 경우는 중국해, 한국, 캘리포니아 남쪽, 아메리카 북서쪽 태평양 연안, 알래스카 연안 등에 폭 넓게 서식 및 분포하고 있으며, 그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어의 개체수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부화나 인공 양식 등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문어의 특이한 생태적 특성으로 인해 큰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하였다.
때문에, 연안 어장 등에는 문어의 산란 및 서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으며, 인공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제작되어 수중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인공 구조물은 대부분 시멘트 등의 구조물을 이용해 제작하므로 유해 물질이 바다로 유입될 염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문어의 체내에 유해물질이 축적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공 구조물은 대부분 자중에 의해 수중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해류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외력에 의해 설치 위치가 변경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501호(2014년 02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의 양측에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문어 및 해수의 출입이 용이하고, 자연석을 이용하므로 유해 물질이 해수로 유입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중에 견고하게 설치되므로 해류의 영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은 설치면에 안착되고, 내부의 서식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몸체부와, 문어 및 해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출입구와, 상기 제1출입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출입구 및, 양측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면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입구는 상기 제2출입구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출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수평하게 삽입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수 체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설치면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설치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수 체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수 체결부재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2수 체결부재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홀이 수직하게 관통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제1수 체결부재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암 체결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제2수 체결부재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양측에 제1출입구와 제2출입구를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문어가 출입할 수 있고,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자연석을 이용하므로 유해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조류와 패류 등이 생장할 수 있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므로 문어의 생육 및 산란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수중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해류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해 설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에 곡면부가 형성되므로 어망, 낚시 바늘 등이 걸리지 않아 해양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1수 체결부재와 브라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2수 체결부재와 브라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1가압관과 제2가압관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브라켓의 제1연결부가 몸체부의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거치홈과 브라켓의 걸림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거치홈과 브라켓의 걸림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미끄럼방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미끄럼방지판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서 한 쌍의 몸체부를 일체로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1수 체결부재와 브라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2수 체결부재와 브라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제1가압관과 제2가압관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브라켓의 제1연결부가 몸체부의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거치홈과 브라켓의 걸림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거치홈과 브라켓의 걸림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미끄럼방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미끄럼방지판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서 한 쌍의 몸체부를 일체로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은 몸체부(100)와,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 및, 다수의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수중의 설치면(암석 등, 10)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문어(대문어, 소문어 등)가 서식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의 서식공간(110)이 형성되고, 서식공간(110)은 몸체부(100)의 하부로 개방되며, 서식공간(110)은 대문어의 서식 및 산란에 적합한 공간(500 ㅧ400 m/m)을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현무암 등의 자연석을 가공하여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고,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 곡면부(120)가 형성되며, 몸체부(100)의 하단은 설치면(10)에 안착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서식공간(110)의 상부는 몸체부(100)의 곡면부(120)와 대응되도록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는 측면이 원주를 형성하고 곡면부(120)는 반구 형상을 가지므로, 해류에 의한 외력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해류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몸체부(1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를 자연석(현무암 등)으로 적용하는 경우 몸체부(100)의 표면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므로 해조류 등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석을 사용하는 경우 유해물질이 해양으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측면에는 후술 될 고정부(4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130)이 더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홀(130)은 몸체부(100)의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시켜 후술 될 고정부(400)를 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는 도 13에서처럼 다수가 측방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0)들의 마주하는 일측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몸체부(100)를 연결하는 경우 몸체부(100)들의 대향되는 방향에 체결홀(130)이 각각 형성시키고, 한 쌍의 체결홀(130)에 후술 될 고정부(400)를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출입구(200)는 문어(대문어 등) 및 해수가 출입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서식공간(110)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출입구(200)의 하부는 몸체부(100)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출입구(200)는 대문어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150 ㅧ 150 m/m)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출입구(300)는 문어(소문어 등) 및 해수가 출입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서식공간(110)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출입구(300)는 제1출입구(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출입구(200)는 제2출입구(30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형성하며, 제2출입구(300)는 소문어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50 ㅧ 50 m/m)을 형성할 수 있다.
한다. 여기서 제2출입구(300)의 하부는 몸체부(100)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를 설치면(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설치면(10)이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가 양 방향에서 문어 및 해수의 출입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는 양측을 수직하게 형성시키고, 상측을 수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나, 제2출입구(3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고정부(400)는 양측이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설치면(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수중으로 투입된 몸체부(100)는 설치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부(400)에 의해 수중의 설치면(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고정부(400)의 결합력에 의해 수중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0)는 일단이 체결홀(130)에 수평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수 체결부재(410)와, 일단이 설치면(10)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설치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수 체결부재(420)와,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연결부(431)와, 제1연결부(43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연결부(432)와, 제1수 체결부재(410)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관통홀(431a)과, 제2수 체결부재(420)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홀(432a)이 수직하게 관통되는 브라켓(430)과, 제1관통홀(431a)을 통과한 제1수 체결부재(4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1연결부(431)를 몸체부(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암 체결부재(440) 및, 제2관통홀(432a)을 통과한 제2수 체결부재(420)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연결부(432)를 설치면(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암 체결부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 체결부재(41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제1수 체결부재(410)의 전단(삽입 방향)에는 더 큰 직경을 갖는 제1대직경부(411)가 형성되고,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대직경부(411)와 제1수 체결부재(410)의 사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 체결부재(410)는 전단이 체결홀(13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몸체부(100)의 측부로 돌출된다.
또한, 제1수 체결부재(410)의 외부에는 제1가압관(460)이 결합될 수 있고, 제1가압관(460)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1가압관(460)의 폭 방향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압관(46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제1절개부(46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수 체결부재(410)와 제1가압관(46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처럼 제1수 체결부재(410)의 전단을 체결홀(13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시키는 경우, 제1수 체결부재(410)와 체결홀(130)의 사이에 삽입 간격이 형성되고, 제1가압관(460)을 체결홀(130)의 입구를 통해 삽입 간격으로 삽입시켜 제1수 체결부재(410)의 외부에 제1가압관(460)을 위치시킨다.
이후, 원통 형상을 갖는 공구(미도시)의 선단을 체결홀(130)의 입구를 통해 삽입 간격으로 수평하게 삽입시킨 후, 공구의 후단을 전방으로 타격하여 제1가압관(460)을 체결홀(130)의 결합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이때 제1가압관(460)의 전단이 테이퍼부와 밀착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1가압관(460)의 전단이 제1절개부(461)에 의해 외부로 벌지면서 체결홀(13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가압관(460)의 전단이 체결홀(130)과 제1대직경부(411)의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제1가압관(460)과 제1수 체결부재(410)가 체결홀(13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도 8에서처럼 체결홀(130)이 형성되고, 제1연결부(431)의 일측면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14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40)은 제1연결부(431)의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지하므로, 외력에 의해 제1연결부(431)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연결부(431)의 상단에는 도 9와 10에서처럼 걸림단(433)이 몸체부(10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걸림단(433)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거치홈(15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단(433)은 거치홈(150)은 수평하게 삽입되므로, 외력에 의해 제1연결부(431)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수 체결부재(42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제2수 체결부재(420)의 하단(삽입 방향)에는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대직경부(421)가 형성되고,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대직경부(421)와 제2수 체결부재(420)의 사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수 체결부재(420)는 전단이 설치면(10)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상단이 설치면(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제2수 체결부재(420)의 외부에는 제2가압관(470)이 결합될 수 있고, 제2가압관(470)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2가압관(470)의 폭 방향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압관(47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제2절개부(47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2수 체결부재(420)와 제2가압관(47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처럼 제2수 체결부재(420)의 전단을 체결홀(13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시키는 경우, 제2수 체결부재(420)와 체결홀(130)의 사이에 삽입 간격이 형성되고, 제2가압관(470)을 체결홀(130)의 입구를 통해 삽입 간격으로 삽입시켜 제2수 체결부재(420)의 외부에 제2가압관(470)을 위치시킨다.
이후, 원통 형상을 갖는 공구(미도시)의 선단을 체결홀(130)의 입구를 통해 삽입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시킨 후, 공구의 후단을 전방으로 타격하여 제2가압관(470)을 체결홀(130)의 결합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이때 제2가압관(470)의 전단이 테이퍼부와 밀착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2가압관(470)의 전단이 제2절개부(471)에 의해 외부로 벌지면서 체결홀(13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가압관(470)의 전단이 체결홀(130)과 제2대직경부(421)의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제2가압관(470)과 제2수 체결부재(420)가 체결홀(13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브라켓(430)의 제1연결부(431)는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것으로, 제1연결부(431)의 제1관통홀(431a)을 통해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이 관통 결합된다. 여기서 제1관통홀(431a)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430)의 제2연결부(432)는 제1연결부(43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90도 등)되는 것으로, 설치면(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안착되고, 제2연결부(432)의 제2관통홀(432a)을 통해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이 관통 결합된다.
제1암 체결부재(440)는 제1관통홀(431a)을 통과한 제1수 체결부재(4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1연결부(431)를 몸체부(1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제1암 체결부재(440)는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제1너트(441)와,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제1너트(441)와 제1연결부(431)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와셔(442) 및,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제1너트(441)와 제1와셔(442)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프링 와셔(44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너트(441)를 제1수 체결부재(410)의 후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스프링 와셔(443)가 제1수 체결부재(410)의 전후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1스프링 와셔(443)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1너트(441)와 제1연결부(431)가 긴밀하게 밀착된다.
제2암 체결부재(450)는 제2관통홀(432a)을 통과한 제2수 체결부재(420)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연결부(432)를 설치면(10)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제2암 체결부재(450)는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제2너트(451)와,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너트(451)와 제2연결부(432)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와셔(452) 및,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너트(451)와 제2와셔(452)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스프링 와셔(45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너트(451)를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2스프링 와셔(453)가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스프링 와셔(453)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2너트(451)와 제2연결부(432)가 긴밀하게 밀착된다.
한편,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도 11과 12에서처럼 링 형상의 미끄럼방지판(5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판(500)은 서식공간(110)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미끄럼방지판(500)의 하부에는 다수의 안착핀(510)이 돌출될 수 있다. 안착핀(510)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판(500)은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520)에 의해 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미끄럼방지판(500)에는 체결부재(520)의 일단이 수직하게 관통되어 몸체부(100)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를 설치면(10)에 안착시키는 경우, 미끄럼방지판(500)이 설치면(10)에 안착되고, 안착핀(510)의 하단이 설치면(10)에 좁은 면적으로 밀착되므로 몸체부(100)가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안착핀(510)의 하단을 설치면(10)에 일정 깊이로 삽입시켜 몸체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하 설명될 시공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먼저, 지상 또는 선상 등에서 몸체부(100)의 체결홀(130)들에 제1수 체결부재(410)와, 제1가압관(460)과, 브라켓(430)과, 제1암 체결부재(440)를 결합시킨 후, 제1수 체결부재(410)와, 제1가압관(460)과, 브라켓(430)과, 제1암 체결부재(440)가 결합된 몸체부(100)를 선박에 선적한 후 해상의 설치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해상의 설치 위치에서 제1수 체결부재(410)와, 제1가압관(460)과, 브라켓(430)과, 제1암 체결부재(440)가 결합된 몸체부(100)를 해상으로 투입시킨 후, 몸체부(100)를 수중의 설치면(10)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수 체결부재(420)의 전단을 체결홀(13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시키고, 제2수 체결부재(420)와 체결홀(130)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간격을 통해 공구(미도시)의 선단을 삽입시킨 후, 공구의 후단을 전방으로 타격하여 제2가압관(470)을 체결홀(130)의 결합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이후, 제2연결부(432)의 제2관통홀(432a)을 통해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을 수직하게 관통 결합시키고,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제2스프링 와셔(453)와, 제2와셔(452)를 결합시킨 후,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제2너트(451)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즉, 제2너트(451)를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2스프링 와셔(453)가 제2수 체결부재(420)의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스프링 와셔(453)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2너트(451)와 제2연결부(432)가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설치면(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 제2수 체결부재(420)가 제2연결부(432)를 지지하게 되므로, 몸체부(100)가 수중의 설치면(100)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몸체부(100)의 양측으로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가 노출되므로 문어가 서식공간(110)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으며,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가 대응되게 위치되므로 해수를 양 방향으로 소통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몸체부(100)의 양측에 제1출입구(200)와 제2출입구(300)를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문어가 출입할 수 있고,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자연석을 이용하므로 유해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조류와 패류 등이 생장할 수 있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므로 문어(대문어 등)의 생육 및 산란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수중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해류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해 설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100)에 곡면부(120)가 형성되므로 어망, 낚시 바늘 등이 걸리지 않아 해양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설치면 100: 몸체부
110: 서식공간 120: 곡면부
130: 체결홀 140: 안착홈
150: 거치홈 200: 제1출입구
300: 제2출입구 400: 고정부
410: 제1수 체결부재 411: 제1대직경부
420: 제2수 체결부재 421: 제2대직경부
430: 브라켓 431: 제1연결부
431a: 제1관통홀 432: 제2연결부
432a: 제2관통홀 433: 걸림단
440: 제1암 체결부재 441: 제1너트
442: 제1와셔 443: 제1스프링 와셔
450: 제2암 체결부재 451: 제2너트
452: 제2와셔 453: 제2스프링 와셔
460: 제1가압관 461: 제1절개부
470: 제2가압관 471: 제2절개부
500: 미끄럼방지판 510: 안착핀
520: 체결부재

Claims (5)

  1. 설치면에 안착되고, 내부의 서식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몸체부;
    문어 및 해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출입구;
    상기 제1출입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식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출입구; 및
    양측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면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수평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수 체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설치면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설치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수 체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수 체결부재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2수 체결부재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홀이 수직하게 관통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제1수 체결부재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암 체결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제2수 체결부재의 일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상단에는 걸림단이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단이 수평하게 삽입되도록 거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입구는 상기 제2출입구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출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KR1020200182594A 2020-12-23 2020-12-23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KR10230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94A KR102307893B1 (ko) 2020-12-23 2020-12-23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94A KR102307893B1 (ko) 2020-12-23 2020-12-23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893B1 true KR102307893B1 (ko) 2021-10-01

Family

ID=7860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94A KR102307893B1 (ko) 2020-12-23 2020-12-23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8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808B1 (ko) * 2022-06-03 2023-07-10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인공어초
KR102598668B1 (ko) * 2022-08-12 2023-11-07 주식회사 비에스건설 수중 생물 어초
KR102601444B1 (ko) * 2022-08-24 2023-11-14 (주)해동 수상생태계의 조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고정화담체가 구비된 삼각 블록어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79A (ko) * 2002-11-30 2003-01-09 하석홍 인공어초
KR20150000335U (ko) * 2013-07-12 2015-01-22 이창엽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101695682B1 (ko) * 2015-09-10 2017-01-12 서갑석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과 이 제작방법
KR101874483B1 (ko) * 2017-10-17 2018-07-04 주식회사 해건 문어 및 해삼 증식 다기능 블럭
KR101923855B1 (ko) * 2018-05-21 2018-11-29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황토 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산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79A (ko) * 2002-11-30 2003-01-09 하석홍 인공어초
KR20150000335U (ko) * 2013-07-12 2015-01-22 이창엽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101695682B1 (ko) * 2015-09-10 2017-01-12 서갑석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과 이 제작방법
KR101874483B1 (ko) * 2017-10-17 2018-07-04 주식회사 해건 문어 및 해삼 증식 다기능 블럭
KR101923855B1 (ko) * 2018-05-21 2018-11-29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황토 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산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808B1 (ko) * 2022-06-03 2023-07-10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인공어초
KR102598668B1 (ko) * 2022-08-12 2023-11-07 주식회사 비에스건설 수중 생물 어초
KR102601444B1 (ko) * 2022-08-24 2023-11-14 (주)해동 수상생태계의 조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고정화담체가 구비된 삼각 블록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893B1 (ko)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
Nedimyer et al. Coral tree nursery©: an innovative approach to growing corals in an ocean-based field nursery.
KR101213463B1 (ko) 포자 보호가 강화된 바다숲 조성장치
US6464429B2 (en) Artificial reef module for coral reef remediation
McKenzie et al. Alien species alert: Didemnum vexillum Kott, 2002: Invasion, impact, and control
Benoit-Bird et al. Controlled and in situ target strengths of the jumbo squid Dosidicus gigas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acoustic scattering sources
He Gillnets: gear design, fishing performance and conservation challenges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Wong et al. Observations on the Activity and Life History of the Scavenging IsopodNatatolana borealisLilljeborg (Isopoda: Cirolanidae) from Loch Fyne, Scotland
KR102108338B1 (ko) 천연 해조장 조성을 위한 양성줄 결속장치
JP3114373U (ja) 人工浮魚礁
KR101722714B1 (ko) 원형 다기능 어초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101695682B1 (ko)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과 이 제작방법
CN209314615U (zh) 一种装配式环保鱼礁构件
KR200494458Y1 (ko)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KR102324582B1 (ko) 굴 양식용 패각
US20030196369A1 (en) Artificial fishing lure
JP2009131214A (ja) ルアー
KR102003184B1 (ko) 황토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KR100841394B1 (ko) 육각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JP2007006768A (ja) 人工魚礁及び人工魚礁連結体
JP2020061951A (ja) 潜行姿勢で沈降可能な擬餌
JP2003235392A (ja) プラスチック潜水遊泳盤型魚礁
US11122782B1 (en) System for cultivating oy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