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74B1 -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74B1
KR102307874B1 KR1020210029537A KR20210029537A KR102307874B1 KR 102307874 B1 KR102307874 B1 KR 102307874B1 KR 1020210029537 A KR1020210029537 A KR 1020210029537A KR 20210029537 A KR20210029537 A KR 20210029537A KR 102307874 B1 KR102307874 B1 KR 10230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manager terminal
modul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대성
Original Assignee
비코비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코비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코비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mainten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lity maintenance system (1), which comprises: a manager terminal group (100g) including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nd a facility maintenance server (300). The facility maintenance server (300) includes a floor plan registration module (321) for controlling a transceiving unit (310) to allow the manager terminals (100) to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a facility floor plan through the network (200)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or floor plan registration for a facility as shown in FIG. 3 from the manager terminals (100) after log-in by the manager terminal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n existing method that indications are displayed in a handwriting ledger and each upload is performed by a company, basically in a facility such as a building or a structure to diagnose the facility due to cracks and defects, systematization is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worker or managers to perform systematic input and check with a smart device (tablet PC and the like) in a field. Also, an error and workload can be reduced, especially, the workload can be greatly reduced since only an update is required at subsequent works due to the use of initially input content.

Description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 등 시설물에 있어서 균열, 하자 등에 따른 시설물의 진단을 위하여 기존에 수기대장에 표시하고 회사에서 일일이 업로드하던 것을 시스템화해서 현장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스마트기기(태블릿PC 등)에 입력과 확인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asically, for the diagnosis of facilities due to cracks, defects, etc. in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structures, the existing records are displayed in the handbook and uploaded one by one by the company. Therefore, it relates to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systematically performing input and confirmation on smart devices (tablet PCs, etc.) by workers or managers in the field.

기본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 등 시설물에 있어서 균열, 하자 등에 따른 시설물의 진단을 위하여 기존에 수기대장에 표시하고 회사에서 일일이 업로드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수기대장 방법은 업무 로드가 과중하고 효율이 떨어지며 데이터에 오류가 많고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Basically,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structures are marked on the handbook and uploaded one by one by the company for diagnosis of facilities due to cracks and defects. This hand-booking method had a problem that the work load was heavy, the efficiency was low, and the data was error-prone and inaccurat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 방식 및 온라인 방식으로 시설물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echnologi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facilities electronically and online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17816 (2018.02.13)호 "시설물별 성능 평가기준 변경이 가능한 지하구조물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자산관리 프로그램(ASSET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GRAM THAT CAN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Y UNDERGROUND STRUCTURE)"은 자산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기본 정보 및 상기 구조물의 외관조사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포함하는 성능요소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성능 만족, 경과관찰, 상세성능평가 필요 및 긴급대책 중 어느 하나로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기본성능평가 모듈; 및 상기 기본성능평가 모듈에서 도출된 평가 결과가 상세성능평가 필요이면, 상기 구조물 및 성능요소에 따라 상세성능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제시된 기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으로 상세성능평가를 진행하는 상세성능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8-0017816 (2018.02.13) No. "Underground structure asse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hang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facility and an asset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ASSET)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GRAM THAT CAN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Y UNDERGROUND STRUCTURE) is a data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stored in the integrated asset management database and the exterior survey data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ontent analyzed in the data analysis module, evaluation of performance factors including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s performed, and evaluation results are derived as any one of performance satisfaction, progress observation, need for detailed performance evaluation, and emergency measures. basic performance evaluation module;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derived from the basic performance evaluation module requires detailed performance evaluation, detaile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performance factors, and detailed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riteria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resented criteria. It is characterized in its configuration to include an evaluation module.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2249(2012.12.07)호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은 지하매설물에 자기마커를 부착하고 이 자기마커를 탐지하여 그 위치량을 수행하여 DB를 구축하고 나아가 GIS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노리는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42249 (2012.12.07) "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 using magnetic markers" attaches magnetic markers to underground facilities and detects the magnetic markers. It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builds a DB by performing the location amount and further aims at efficient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GIS.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19186 (2017.09.17)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에서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UX 다양성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Variable UX According To Category In Installations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은 무선망을 통한 앱 설치가능한 특징을 활용하여 시스템 운영 초기 및 운영에 관련된 사용자의 편의 요구에 따라 단일앱 혹은 다수의 시설물 종류별 전용앱을 운영하는 방식을 통해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등 시간적인 변화에 따라 효율적으로 스마트기기가 제공하는 관리대상 시설물에 특화된 UX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와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19186 (2017.09.17) "Method Of Providing Variable UX According To Category In Installations Management in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s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 utilizes the feature of installing apps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operate a single app or a dedicated app for each type of facilit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requirements related to the initial system operation and operation. And it provides a structure and method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UX specialized for facilities to be managed provided by smart devices according to time changes such as maintenance.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9371(2012.12.20)호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Magnet Management System)"은 RFID태그 및 바디로 이루어지는 태그유니트와; 상기 RFID태그와 매설물정보를 송수신하는 RFID리더와; 상기 RFID리더와 매설물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와; 상기 RFID리더에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GPS위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 매설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49371 (2012.12.20)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Magnet Management System)" is a tag unit consisting of an RFID tag and a body; an RFID read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FID tag and the buried object; a ser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buried object with the RFID reader; a GPS satellite tha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It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is comprised of including.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관리 정보의 활용면에서 4차 산업의 빅데이터 기반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not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4th industry based on big data in terms of systematic management of information and utiliz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17816 (2018.02.13)호 "시설물별 성능 평가기준 변경이 가능한 지하구조물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자산관리 프로그램(ASSET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GRAM THAT CAN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Y UNDERGROUND STRUCTURE)"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8-0017816 (2018.02.13) "The asse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structures that can change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facility and the asset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ASSET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GRAM THAT CAN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Y UNDERGROUND STRUCTUR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2249(2012.12.07)호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42249 (2012.12.07) "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 using magnetic marker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19186 (2017.09.17)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에서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UX 다양성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Variable UX According To Category In Installations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19186 (2017.09.17) "Method Of Providing Variable UX According To Category In Installations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9371(2012.12.20)호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Magnet Management System)"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49371 (2012.12.20)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Magne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 등 시설물에 있어서 균열, 하자 등에 따른 시설물의 진단을 위하여 기존에 수기대장에 표시하고 회사에서 일일이 업로드하던 것을 시스템화해서 현장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스마트기기(태블릿PC 등)에 입력과 확인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ically, for the diagnosis of facilities according to cracks, defects, etc. in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structures, it is displayed in the existing handbook and uploaded one by one by the company to systematize the items that are uploaded by the operator or This is to provide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administrators to systematically perform input and confirmation on smart devices (such as tablet PCs).

또한, 본 발명은 오류를 줄이고 작업 로드를 줄일 수 있으며, 최초 입력된 내용을 이용하므로 이후 작업시에는 업데이트만 하면 되므로, 작업 로드를 대폭 줄이도록 하기 위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errors and reduce the work load, and since the initially inputted content is used, only an update is required during subsequent work, so to provide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significantly reducing the work loa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관리자단말(100)로 이루어진 관리자단말 그룹(100g), 네트워크(200),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는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로그인 이후 관리자단말(100)로부터 도 3과 같이 시설물에 대한 도면 등록에 대한 요청에 따라 시설물도면에 대한 등록 절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에게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도면등록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ager terminal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nd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I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including a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facility drawing to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a requ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이때, 도면등록모듈(321)은, 관리자단말(100)로 시설물의 대표도면, 시설물의 각층에 대한 도면 등록 선택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r terminal 100 provides a representative drawing of the facility and a drawing registration selection area for each floor of the facility.

또한, 도면등록모듈(321)은, 도면 등록 UI 화면을 제공하는 관리자단말(100)이 모바일단말인 경우 여백조절 및 도면확대에 따른 도면에 대한 여백 및 축소, 확대 기능을 관리자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when the manager terminal 100 that provides the drawing registration UI screen is a mobile terminal, the margin and reduction and enlargement functions for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margin adjustment and drawing enlargemen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provide.

또한, 도면등록모듈(321)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 이루어진 도면 단위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관리자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manager terminal 100 as metadata on the database 330 for the received drawing unit consisting of at least one drawing. .

또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는, 도면등록모듈(321)에 의해 등록되는 도면 단위에 대한 체계관리를 위해서 등록되는 도면 단위의 시설물종류(건축, 교량, 터널, 항만, 항만외곽, 댐, 하구둑, 수문, 제방, 배수펌프장, 상수도, 하수도처리장, 옹벽, 절토사면, 공동구 포함)와, 진단등급분류(정기 안전점검, 정밀 안전점검, 긴급 안전점검, 정밀 안전진단 포함)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뒤, 수신된 선택정보에 맞는 카테고리로 도면 단위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서 분류를 수행하는 체계관리모듈(3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is a facility type (building, bridge, tunnel, harbor, outskirts of port, dam) registered for the system management of the drawing unit registered by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 estuary, sluice, embankment, drainage pumping station, water supply, sewage treatment plant, retaining wall, cut slope, common pit), and category selection for diagnosis classification (including regular safety inspection, precise safety inspection, emergency safety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inspection) A system management module ( 32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 등 시설물에 있어서 균열, 하자 등에 따른 시설물의 진단을 위하여 기존에 수기대장에 표시하고 회사에서 일일이 업로드하던 것을 시스템화해서 현장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스마트기기(태블릿PC 등)에 입력과 확인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for the diagnosis of facilities due to cracks, defects, etc. in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structures, it is displayed in the existing handbook and uploaded one by one by the company to systematize it, and then to the site. Operators or managers can systematically perform input and confirmation on smart devices (tablet PCs, etc.).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은, 오류를 줄이고 작업 로드를 줄일 수 있으며, 최초 입력된 내용을 이용하므로 이후 작업시에는 업데이트만 하면 되므로, 작업 로드를 대폭 줄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errors and reduce the workload, and since the first input is used, only an update is required during subsequent operation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orklo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 중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관리자단말(100)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I screen of the manager terminal 100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관리자단말(100)로 이루어진 관리자단말 그룹(100g), 네트워크(200),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manager terminal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100 , a network 200 ,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 and a big data server 400 . ) may be included.

관리자단말(100)은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 음성 및 영상,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100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and include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phone, and a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phon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hone,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phone,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hone,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hone, MBS (Mobile Broadband System) phone Provides a functio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or voice, video, and content with a server and system including different terminals,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and a big data server 400, including a phone, etc. can receive

그리고,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관리자단말(100)로 이루어진 관리자단말 그룹(100g),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network 20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When the network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P-based IP networks. The network 200 is a manager terminal group 100g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100,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and a big data server 400, and a role of mutually transmitting signals and data between other systems. d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 중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관리자단말(100)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I screen of the manager terminal 100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도면등록모듈(321), 체계관리모듈(322), 과업등록모듈(323), 현장조사모듈(324), 상태평가모듈(325), 보고서제공모듈(326), 견적서제공모듈(327) 및 기타관리모듈(328)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transceiver 310 , a control unit 320 and a database 330 , and the control unit 320 includes a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 system management It may include a module 322, a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a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a status evaluation module 325, a report providing module 326, an estimate providing module 327, and other management modules 328. have.

도면등록모듈(321)은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로그인 이후 관리자단말(100)로부터 도 3과 같이 시설물에 대한 도면 등록에 대한 요청에 따라 시설물도면에 대한 등록 절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에게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performs the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facility drawing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drawing registration for the facility as shown in FIG. 3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after logging in by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the operation to the terminal 100 .

이를 위해, 도면등록모듈(321)은 관리자단말(100)로 시설물의 대표도면, 시설물의 각층에 대한 도면 등록 선택 영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면 등록 UI 화면을 제공하는 관리자단말(100)이 모바일단말인 경우 여백조절 및 도면확대(최대 600%)에 따른 도면에 대한 여백 및 축소, 확대 기능을 관리자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provides not only a representative drawing of the facility, a drawing registration selection area for each floor of the facility to the manager terminal 100, but also the manager terminal 100 providing a drawing registration UI screen. In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the administrator terminal 100 with the functions of margin adjustment and drawing enlargement (up to 600%) for the drawing, as well as reducing and/or magnifying the drawing.

이후, 도면등록모듈(321)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 이루어진 도면 단위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관리자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may stor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manager terminal 100 as metadata on the database 330 for the received draw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drawing.

체계관리모듈(322)은 도면등록모듈(321)에 의해 등록되는 도면 단위에 대한 체계관리를 위해서 등록되는 도면 단위의 도 4와 같은 시설물종류(건축, 교량, 터널, 항만, 항만외곽, 댐, 하구둑, 수문, 제방, 배수펌프장, 상수도, 하수도처리장, 옹벽, 절토사면, 공동구)와, 진단등급분류(정기 안전점검, 정밀 안전점검, 긴급 안전점검, 정밀 안전진단)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뒤, 수신된 선택정보에 맞는 카테고리로 도면 단위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is a facility type (building, bridge, tunnel, harbor, outskirts of port, dam, Network category selection information for estuary bank, sluice gate, embankment, drainage pumping station, water supply, sewage treatment plant, retaining wall, cut slope, common pit) and diagnostic class classification (regular safety inspection, precise safety inspection, emergency safety inspection, precise safety diagnosis)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200 , it is possible to classify drawing units into categories suitable for the received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database 330 .

뿐만 아니라, 체계관리모듈(322)은 도 4에서의 외관조사, 추가조사, 결함내용에 대해서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도 5와 같은 분류에 따라 추가로 수신되는 정보에 대해서 도면 단위에 대해서 추가정보(외관조사, 추가조사, 결함내용, 평가단위, 평가기준 등)로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도면 단위에 대한 선택정보와 추가정보가 포함된 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for appearance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defect contents in FIG. 4 . Then, by inserting additional information (appearance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defect content, evaluation unit, evaluation standard, etc.) for the drawing unit for the information additionally receiv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s shown in FIG. 5, selection of one drawing unit Cel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

과업등록모듈(323)은 시설물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과업 등록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의 요청을 수신하여 과업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시설물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과업 등록은 도 6과 같이 기본적으로 건물이나 시설물 등 시설물에 있어서 균열, 하자 등에 따른 시설물의 진단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기존에 수기대장에 표시하고 회사에서 일일이 업로드하던 것을 시스템화해서 현장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스마트기기(태블릿PC 등)에 입력과 확인 등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도면등록모듈(321) 및 체계관리모듈(322)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과업등록모듈(323), 현장조사모듈(324), 상태평가모듈(325), 보고서제공모듈(326), 견적서제공모듈(327) 및 기타관리모듈(328)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과 연동을 통해 시설물의 관리 및 유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may perform a task registration procedure by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for task registration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task registration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is basically the process of setting the project name for the diagnosis of facilities according to cracks and defects in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facilities, as shown in FIG. It can be systematized so that workers or managers can systematically input and check smart devices (such as tablet PCs) in the field, and it i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and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operation, as well as the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field survey module 324, status evaluation module 325, report providing module 326, estimate providing module 327 and other management modules 328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enabl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to be performed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s performed.

현장조사모듈(324)은 도 7과 같이 각 등록된 프로젝트에 대한 현장조사정보를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현장조사정보에 대한 등록을 수행한 동일하거나 다른 관리자단말(100)에 대한 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receives field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project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7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330, as well as the same or different registration of field investigation information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100 .

여기서, 현장조사정보는 체계관리모듈(322)에 의해 수신된 추가정보 중 외관조사, 추가조사, 그리고 사진 및 메모(도 8 내지 도 11 참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현장조사정보로 3차원 스캐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eld surve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n exterior survey, an additional survey, and photos and memos (refer to FIGS. 8 to 11 ) amo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 Meanwhile, the field survey information may include 3D scanning information.

이를 위해 관리자단말(100)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레이저 기반의 3차원 스캐너와 연결된 형태로 작동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nager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 form connected to a laser-based 3D scann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여기서 3차원 스캐너는 물체의 3차원 형태를 측정하기 위해 방법이다. 3차원 스캐닝은 레이저를 발사하여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시간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관리자단말(100)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객체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터치입력된 객체에 대해서 영상 인식 기반으로 시설물 객체로 인식된 객체에 대해서 구분 표시가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고 관리자에 의해 확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3차원 스캐너는 인식된 객체를 대상 객체로 하여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Here, a 3D scanner is a method to measure the 3D shape of an object. 3D scanning can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from the time it fires a laser and returns to hit the object. To this end, in a state in which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manager terminal 100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image of the object touch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for the object designated by the manager on the touch screen When a classification mark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for an object recognized as a facility object based on recognition and a confirmation input is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the 3D scanner performs 3D scanning using the recognized object as the target object to perform 3D scann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즉, 3차원 스캐너는 대상 객체에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제공하는데, 3차원 스캐너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를 기반으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설물인 피사체를 향하여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깊이 정보가 포함된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That is, the 3D scanner generates 3D scann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3D scanning on the target object and provides i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3D scanner is based on a Laser Range Finder (LRF), Using a laser range finder, laser light is emitted toward a subject, which is a facility, and the laser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is received to generate 3D scanning information including depth information.

이에 따라 관리자단말(100)은 3차원 스캐너에 의해 생성되는 3차원 스캐닝 정보에 대해서 입체 형상을 이루는 전체 및 부분의 경계선, 평면과 곡면을 포함하는 전체의 형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3차원 좌표(x,y,z) 별로 포인트화를 수행한 뒤, 포인트화된 3차원 스캐닝 정보인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nager terminal 100 set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x, After performing pointization for each y, z), it is possible to generate point cloud information, which is pointized three-dimensional scanning information.

이후, 관리자단말(100)은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 중 연속되지 않은 포인트가 발생하는 포인트 좌표를 탐지하여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각 탐지된 좌표와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에 대한 하나의 균열에 대한 연속적인 영역을 "탐지 단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manager terminal 100 detects the point coordinates at which non-continuous points occur among the preset intervals in the point cloud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image tag serial number" for the detected coordinates, each detected coordinate and the "image A continuous area for one crack for "tag serial number" can be stored as "detection unit information".

관리자단말(100)은 실시간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Ultra High Definition 기반의 카메라와 연결된 카메라 구동부에 대한 팬/필트/요잉을 통한 촬영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의 균열 및 하자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뒤, 이미지를 메모리 장치 상에 저장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100 transmits a shooting command through pan/fil/yaw to the camer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Ultra High Definition-based camera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s detected in real time, and after acquiring the image of the cracks and defective parts of the facility , the image may be stored on the memory device.

관리자단말(100)은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균열의 폭과 깊이 정보에 대해서개별적인 연산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각 균열 및 하자의 개수와 각 균열 및 하하의 폭과 깊이에 대한 균열 체적인 공동(cavity) 체적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100 not only performs individual calculations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width and depth of cracks for one facility, but also the number of cracks and defects and the number of cracks and the crack volume for the width and depth of each crack and the lower part of the cavity. ) can be operated on the volume.

이후, 관리자단말(100)은 각 공동에 대한 개수와 체적에 따른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각 개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공사단가, 그리고 각 공동에 대한 기준 체적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체적의 가감에 따라 공사단가의 증감을 연산하여 생성된 견적정보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manager terminal 100 can calculate the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and volume for each cavity, and according to the preset construction unit price for each number, and addition or subtraction of the preset volume based on the reference volume for each cavity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estimated information network 200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nstruction unit cost.

상태평가모듈(325)은 도 12와 같이 현장조사모듈(324)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된 현장조사정보에 포함된 외관조사, 추가조사, 그리고 사진 및 메모에 따라 상태평가를 자체적으로 수행하여 상태평가정보를 프로젝트명의 도면 단위에 해당하는 객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condition evaluation module 325 performs condition evaluation by itself according to the appearance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photos and memos included in the field investig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330 by the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as shown in FIG. 12 . Thus, status evaluation information can be individually created for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rawing unit of the project name.

상태평가모듈(325)은 확정된 상태평가정보 중 외관조사(및 추가조사 포함) 각 파라미터에 대한 각 분류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상에서 시설물 객체별로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330)상에 기록할 수 있다.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confirms the score of each classification item for each parameter of the appearance investigation (and additional investigation) among the confirmed stat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big data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for each facility object. Thus, it can be recorded on the database 330 .

상태평가모듈(325)은 외관조사 및 추가조사 외에 빅데이터 서버(400) 상에서의 축척된 사진과 현장조사에서의 사진에 대한 영상 인식기반의 비교 분석에 따라 변성 정도를 제 1 상태 보조정보로 생성하고 각 메모에 대한 키워드 추출 방식과 구문 분석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변성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키워드 전후의 미리 설정된 구문 내에서의 변성 정도를 나타내는 단어 추출을 통해 추출된 단어에 따른 변성 정보를 제 2 상태 보조정보로 생성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점수의 총합에 대해서 제 1 상태 보조정보 및 제 2 상태 보조정보를 각각 제 1 및 제 2 가중치로 멀티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연산된 최종 정량적 수치로 각 객체에 대한 상태평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generates the degree of degeneration as the first state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recognition-bas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mulated photos on the big data server 400 and the photos in the field survey, in addition to the external investigation and the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degen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keywords indicating the pre-set denaturation according to the keyword extraction method and syntax analysis for each memo and the words extracted through word extrac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degeneration within the preset syntax before and after the keyword as second status auxiliary information , and multiplexing the first and second state auxiliary inform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for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item, respectivel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of each object with the final quantitative value calcula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상태평가모듈(325)은 평가당시 해당사항이 없어 평가가 불가능한 항목인 N/A(Not Applicable) 항목에 대해서 "총배점 × 평점 ÷ 평가항목 배점"의 연산을 통해 결측(N/A) 값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converts the N/A (Not Applicable) item, which is an item that cannot be evaluated because there is no applicable item at the time of evaluation, as a missing (N/A) value through the calculation of “total score × rating ÷ evaluation item score”. can be processed

이후, 상태평가모듈(325)은 상태평가정보에 따라 레벨(Level) 판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레벨 판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performs a level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state evalu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performed level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each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 can be controlled

보고서제공모듈(326)은 도 13과 같이 상태평가모듈(325)에 의해 생성된 객체에 대한 상태평가정보를 각 프로젝트별로 하나의 데이터 패킷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패킷화된 보고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보고서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port providing module 326 performs one data packetization of the stat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generated by 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for each project as shown in FIG. 13 to convert the data packetized report information into the database 330 In addition to storing the data on the terminal 10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extract the stored re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

견적서제공모듈(327)은 도 14와 같이 상태평가정보에 따른 각 시설물의 객체별로 대가산출, 설계대가, 일위대가 및 참고자료를 포함하는 견적서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저장된 견적서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stimate providing module 327 generates estimate information including price calculation, design cost, first-class cost, and reference data for each object of each facility according to the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4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330 as well as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extract the quote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

기타관리모듈(328)은 시스템 문의, 업체관리 및 버전관리로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앱 상에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의 질의와,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해 관리되는 업체에 대한 관리정보, 그 밖에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앱에 대한 버전 관리를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20)를 통해 각 관리자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other management module 328 is a system inquiry, company management, and version management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to a query whe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ice is provided o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app, and to each manager terminal 100 . Management information on companies managed by the company and other services for online management of version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apps may be provided to each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 .

한편, 도 15는 각 관리자단말(100)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초기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UI screen of each manager terminal 100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이러한 각 구성요소의 구동에 의해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은 기존의 수기로 작성시의 오류를 줄이고 작업 로드(load)를 줄일 수 있으며, 최초 입력된 내용을 이용하므로 이후 작업시에는 업데이트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By driving each of these components,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can reduce errors in writing by hand and reduce the work load. This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 100 : 관리자단말
100a : 관리자단말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도면등록모듈
322 : 체계관리모듈 323 : 과업등록모듈
324 : 현장조사모듈 325 : 상태평가모듈
326 : 보고서제공모듈 327 : 견적서제공모듈
328 : 기타관리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빅데이터 서버
1: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00: manager terminal
100a: administrator terminal group 200: network
300: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10: transceiver
320: control unit 321: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2: system management module 323: task registration module
324: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5: condition evaluation module
326: report providing module 327: quotation providing module
328: other management module 330: database
400: big data server

Claims (5)

복수의 관리자단말(100)로 이루어진 관리자단말 그룹(100g), 네트워크(200),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는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도면등록모듈(321), 체계관리모듈(322), 과업등록모듈(323), 현장조사모듈(324), 상태평가모듈(325), 보고서제공모듈(326), 견적서제공모듈(327)을 포함하며,
도면등록모듈(321)은,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로그인 이후 관리자단말(100)로부터 도 3과 같이 시설물에 대한 도면 등록에 대한 요청에 따라 시설물도면에 대한 등록 절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에게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관리자단말(100)로 시설물의 대표도면, 시설물의 각층에 대한 도면 등록 선택 영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면 등록 UI 화면을 제공하는 관리자단말(100)이 모바일단말인 경우 여백조절 및 도면확대에 따른 도면에 대한 여백 및 축소, 확대 기능을 관리자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 이루어진 도면 단위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관리자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며,
체계관리모듈(322)은,
도면등록모듈(321)에 의해 등록되는 도면 단위에 대한 체계관리를 위해서 등록되는 도면 단위의 건축, 교량, 터널, 항만, 항만외곽, 댐, 하구둑, 수문, 제방, 배수펌프장, 상수도, 하수도처리장, 옹벽, 절토사면 및 공동구를 포함하는 "시설물종류"와, 정기 안전점검, 정밀 안전점검, 긴급 안전점검 및 정밀 안전진단을 포함하는 "진단등급분류"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뒤, 수신된 선택정보에 맞는 카테고리로 도면 단위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서 분류를 수행하며,
외관조사, 추가조사, 결함내용에 대해서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분류에 따라 추가로 수신되는 정보에 대해서 도면 단위에 대해서 외관조사, 추가조사, 결함내용, 평가단위 및 평가기준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로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도면 단위에 대한 선택정보와 추가정보가 포함된 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며,
과업등록모듈(323)은,
시설물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과업 등록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단말(100)의 요청을 수신하여 과업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도면등록모듈(321) 및 체계관리모듈(322)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뿐만 아니라, 과업등록모듈(323), 현장조사모듈(324), 상태평가모듈(325), 보고서제공모듈(326), 견적서제공모듈(327) 및 기타관리모듈(328)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등록 연동을 통해 시설물의 관리 및 유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현장조사모듈(324)은,
각 등록된 프로젝트에 대한 현장조사정보를 관리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현장조사정보에 대한 등록을 수행한 동일하거나 다른 관리자단말(100)에 대한 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제공하는 현장조사정보로 체계관리모듈(322)에 의해 수신된 추가정보 중 외관조사, 추가조사, 그리고 사진 및 메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현장조사정보로 3차원 스캐닝 정보를 포함시키며,
현장조사모듈(324)이 현장조사정보로 3차원 스캐닝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관리자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레이저 기반의 3차원 스캐너와 연결된 형태로 작동하며,
3차원 스캐닝은 레이저를 발사하여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시간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관리자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관리자단말(100)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객체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터치입력된 객체에 대해서 영상 인식 기반으로 시설물 객체로 인식된 객체에 대해서 구분 표시가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고 관리자에 의해 확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3차원 스캐너는 인식된 객체를 대상 객체로 하여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며,
3차원 스캐너는 대상 객체에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제공하는데, 3차원 스캐너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를 기반으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설물인 피사체를 향하여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깊이 정보가 포함된 3차원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며,
관리자단말(100)은,
3차원 스캐너에 의해 생성되는 3차원 스캐닝 정보에 대해서 입체 형상을 이루는 전체 및 부분의 경계선, 평면과 곡면을 포함하는 전체의 형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3차원 좌표(x,y,z) 별로 포인트화를 수행한 뒤, 포인트화된 3차원 스캐닝 정보인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로 생성하며,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 중 연속되지 않은 포인트가 발생하는 포인트 좌표를 탐지하여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각 탐지된 좌표와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에 대한 하나의 균열에 대한 연속적인 영역을 "탐지 단위 정보"로 저장하며,
실시간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Ultra High Definition 기반의 카메라와 연결된 카메라 구동부에 대한 팬/필트/요잉을 통한 촬영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의 균열 및 하자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뒤, 이미지를 메모리 장치 상에 저장하며,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균열의 폭과 깊이 정보에 대해서개별적인 연산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각 균열 및 하자의 개수와 각 균열 및 하하의 폭과 깊이에 대한 균열 체적인 공동(cavity) 체적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각 공동에 대한 개수와 체적에 따른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각 개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공사단가, 그리고 각 공동에 대한 기준 체적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체적의 가감에 따라 공사단가의 증감을 연산하여 생성된 견적정보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태평가모듈(325)은,
현장조사모듈(324)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된 현장조사정보에 포함된 외관조사, 추가조사, 그리고 사진 및 메모에 따라 상태평가를 자체적으로 수행하여 상태평가정보를 프로젝트명의 도면 단위에 해당하는 객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확정된 상태평가정보 중 외관조사(및 추가조사 포함) 각 파라미터에 대한 각 분류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상에서 시설물 객체별로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330)상에 기록하며,
외관조사 및 추가조사 외에 빅데이터 서버(400) 상에서의 축척된 사진과 현장조사에서의 사진에 대한 영상 인식기반의 비교 분석에 따라 변성 정도를 제 1 상태 보조정보로 생성하고 각 메모에 대한 키워드 추출 방식과 구문 분석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변성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키워드 전후의 미리 설정된 구문 내에서의 변성 정도를 나타내는 단어 추출을 통해 추출된 단어에 따른 변성 정보를 제 2 상태 보조정보로 생성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점수의 총합에 대해서 제 1 상태 보조정보 및 제 2 상태 보조정보를 각각 제 1 및 제 2 가중치로 멀티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연산된 최종 정량적 수치로 각 객체에 대한 상태평가정보로 생성하며,
평가당시 해당사항이 없어 평가가 불가능한 항목인 N/A(Not Applicable) 항목에 대해서 "총배점 × 평점 ÷ 평가항목 배점"의 연산을 통해 결측(N/A) 값으로 처리하고,
상태평가정보에 따라 레벨(Level) 판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레벨 판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보고서제공모듈(326)은,
상태평가모듈(325)에 의해 생성된 객체에 대한 상태평가정보를 각 프로젝트별로 하나의 데이터 패킷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패킷화된 보고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보고서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견적서제공모듈(327)은,
상태평가정보에 따른 각 시설물의 객체별로 대가산출, 설계대가, 일위대가 및 참고자료를 포함하는 견적서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저장된 견적서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
I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1) comprising a manager terminal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and a big data server (400),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It includes a transceiver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nd a database 330, and the control unit 320 includes a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a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a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and a field survey module 324. ), including a status evaluation module 325, a report providing module 326, and a quotation providing module 327,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After logging in by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manager terminal 100 performs the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facility drawing through the network 2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the drawing for the facility as shown in FIG. 3 to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When the manager terminal 100 is a mobile terminal, which provides a representative drawing of a facility and a drawing registration selection area for each floor of the facility, as well as a drawing registration UI screen, when the manager terminal 100 i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margin adjustment and drawing enlargement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provide a blank, reduction, and enlargement function for the drawing to the manager terminal 100,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manager terminal 100 as metadata on the database 330 for the received drawing unit consisting of at least one drawing,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For system management of drawing units registered by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constructions, bridges, tunnels, harbors, outskirts of ports, dams, estuaries, sluices, embankments, drainage pump stations, water supply, sewage treatment plants, Category selection information for “type of facility” including retaining walls, cut slopes and common pits, and “diagnosis classification” including regular safety inspection, precise safety inspection, emergency safety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inspection through the network 2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drawing unit is classified into a category suitable for the received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database 33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for appearance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defect contents, the information received additional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is measured in drawing units. By inserting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ppearance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defect content, evaluation unit, and evaluation criteria for one drawing unit, cell information including selectio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one drawing unit is generated and the database 330 stored on the
The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is,
By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for task registration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task registration procedure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drawing registration module 321 and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the task registration module 323, the field survey module 324, the status evaluation module 325, the report providing module 326, the estimate It enables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to be performed through registration interlocking with operations performed by the provision module 327 and other management modules 328,
The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field survey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project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330, according to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same or different manager terminal 100 that has registered the field survey information Controls the transmitter/receiver 310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and provides field survey information for exterior surveys, additional surveys, and photos and memos amo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322 information, including 3D scanning information as field survey information,
In order for the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to include 3D scanning information as field investigation information, the manager terminal 100 includes:
It operates in a form connected to a laser-based 3D scanner through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3D scanning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time it takes to hit the object and return to the object by emitting a laser,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manager terminal 100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manager terminal 100 A classification mark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for an object recognized as a facility object based on image recognition for an object touched according to a touch input for an object designated by the manager on the touch screen, and confirmation input is performed by the manager In this case, the 3D scanner generates 3D scann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3D scanning with the recognized object as the target object,
The 3D scanner generates 3D scann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3D scanning on the target object and provides i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3D scanner is based on a Laser Range Finder (LRF), the laser distance Using a measuring device, the laser beam is emitted toward the object, which is a facility, and the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received to generate 3D scanning information including depth information,
The manager terminal 100 is
For the 3D scann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3D scanner, pointization is performed by preset 3D coordinates (x, y, z) for the entire shape including the boundary lines of the whole and parts that make up the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plane and curved surfaces. After performing, it is generated as point cloud information, which is pointized three-dimensional scanning information,
Detects point coordinates where non-consecutive points occur among preset intervals in point cloud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image tag serial number" for the detected coordinates, and one for each detected coordinate and "image tag serial number" stores the continuous area for cracks as "detection unit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 shooting command through pan/fil/yaw to the camer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Ultra High Definition based camera for the coordinates detected in real time, images of cracks and flaws in the facility are acquired, and then the images are stored on the memory device. stored in
In addition to performing individual calculations on the width and depth information of cracks for one facility, the number of cracks and defects and the cavity volume, which is the crack volume for the width and depth of each crack and lower part, are calculated. carry ou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and volume for each cavity, and calculat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nstruction unit cost according to the preset construction unit price for each number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reset volume based on the reference volume for each cavity. transmitted to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estimated information network 200,
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is
By the field investigation module 324, the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eld investig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330, and the condition evaluation is performed on its own according to the external investig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photos and notes, and the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drawing unit of the project name. created individually for each object,
Among the confirmed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the score of each classification item for each parameter of the appearance investigation (and additional investigation) is checked for each facility object on the big data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hen on the database 330. record,
In addition to the appearance investigation and additional investigation, the degree of degeneration is generated as the first state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recognition-bas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mulated pictures on the big data server 400 and the pictures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and keyword extraction for each memo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ntax analysis, degen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keyword extracted in advance and the word representing the degree of degeneration in the pre-set phrase before and after the keyword is extracted as second state auxiliary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state auxiliary information are multipli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scores for each object, and the final quantitative value calculated is generated as state evaluation information for each object,
At the time of evaluation, N/A (Not Applicable), which is an item that cannot be evaluated because there is no applicable item at the time of evaluation, is treated as a missing (N/A) value through the calculation of “total score × rating ÷ evaluation item score”,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level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status evaluation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performed level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each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report providing module 326,
In addition to storing the data packetized report information in the database 330 by performing one data packetization of the state evaluation information for the object generated by the state evaluation module 325 for each project, each manager terminal 100 )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extract stored re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quotation providing module 327,
Estimate information including price calculation, design cost, first-class cost, and reference data for each object of each facility according to the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as well as the network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200),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extract the stored estim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시스템 문의, 업체관리 및 버전관리로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앱 상에서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의 질의와, 각 관리자단말(100)에 의해 관리되는 업체에 대한 관리정보, 그 밖에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앱에 대한 버전 관리를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20)를 통해 각 관리자단말(100)에게 제공하는 기타관리모듈(32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및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320,
Inquiries when receiving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rvices on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app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system inquiry, company management and vers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companies managed by each manager terminal 100 Other management module 328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other services for online management of version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apps to each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9537A 2021-03-05 2021-03-05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KR102307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37A KR102307874B1 (en) 2021-03-05 2021-03-05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37A KR102307874B1 (en) 2021-03-05 2021-03-05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874B1 true KR102307874B1 (en) 2021-10-05

Family

ID=780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37A KR102307874B1 (en) 2021-03-05 2021-03-05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87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54B1 (en) 2021-12-14 2023-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s inside a cavity using an autonomous moving object and a multi-degree-of-freedom manipulator,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17541028A (en) * 2024-01-09 2024-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ressing plate
CN117908495A (en) * 2024-03-12 2024-04-19 苏州昊信精密科技有限公司 Flexible high-precision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based on multiple sens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722A (en)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How to Write Meeting Minutes for Multi-party Conference System
KR101656499B1 (en) * 2015-11-30 2016-09-22 한동현 System for management of fire extinguish equipment
KR102036792B1 (en) *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KR102204016B1 (en)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722A (en)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How to Write Meeting Minutes for Multi-party Conference System
KR101656499B1 (en) * 2015-11-30 2016-09-22 한동현 System for management of fire extinguish equipment
KR102036792B1 (en) *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KR102204016B1 (en)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2249(2012.12.07)호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A Magnetic Applied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9371(2012.12.20)호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Magnet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19186 (2017.09.17)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에서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UX 다양성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Variable UX According To Category In Installations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17816 (2018.02.13)호 "시설물별 성능 평가기준 변경이 가능한 지하구조물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자산관리 프로그램(ASSET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GRAM THAT CAN CHANG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Y UNDERGROUND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54B1 (en) 2021-12-14 2023-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s inside a cavity using an autonomous moving object and a multi-degree-of-freedom manipulator,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17541028A (en) * 2024-01-09 2024-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ressing plate
CN117541028B (en) * 2024-01-09 2024-04-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ressing plate
CN117908495A (en) * 2024-03-12 2024-04-19 苏州昊信精密科技有限公司 Flexible high-precision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based on multiple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874B1 (e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114301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fleet of drones for data collection
Mirzaei et al. 3D point cloud data processing with machine learning for construction and infrastructure applica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mar et al. Data acquisition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progress tracking
US11443394B2 (en) Blockchain based building action management
CN102136162B (en) A kind of power transmission line polling system
Randall Construction engineering requirements for integrating laser scanning technology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170345317A1 (en) Dynamic routing based on captured data quality
CN104567985A (en)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000949B1 (en)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US201501127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orksite
CN112381356A (en) Completion acceptance method, completion acceptance system, server and storage medium for engineering project
AU2016303789A1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13111144A (en) Room marking method and device and robot movement method
KR1020565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acility by using Machine Vision
CN104731986A (en) Handheld type terminal system for bridge information detection
KR101606002B1 (en)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Ba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US11593538B2 (en) Verification, modification, and/or validation of an infrastructure design document via improved collaboration between on site devices and remote devices
Zamani et al. Simulation-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arthmoving operations using computer vision
CN115496399B (en)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foundation pit survey task instant updating and distributing method and system
JP2021021288A (en) Road da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293526B1 (en) Facility maintenance system using 3D scann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US20230392498A1 (en) Emissions estimations at a hydrocarbon operation location using a data-driven approach
US201501125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ueling in a worksite
AU20152019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