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16B1 -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16B1
KR102204016B1 KR1020200091831A KR20200091831A KR102204016B1 KR 102204016 B1 KR102204016 B1 KR 102204016B1 KR 1020200091831 A KR1020200091831 A KR 1020200091831A KR 20200091831 A KR20200091831 A KR 20200091831A KR 102204016 B1 KR102204016 B1 KR 102204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sidewall
facility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현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9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3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uses a 3D drawing to perform safety management for a facility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allowing a management server to use a plan separation diagram, which is generated by manually sketch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 separated by sidewalls, and sidewall photos, which is generated by capturing the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to generate a 3D drawing representing the 3D shape of the facility; allowing a mobile device used by an on-site inspector to receive the 3D drawing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 the same through a 3D viewer; allowing the mobile device to generate damage coordinate values on the 3D drawing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in the facility and damage information about damage based on input of the on-site inspector; allowing the mobile device to correlate the damage coordinate values and the damage information to transmits the correl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s a result of an on-site inspection; and allowing the management server to generate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including a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representing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and the da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Description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도면을 사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afety management on a facility using a three-dimensional drawing.

일반적으로 시설물(facility)은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건설된다.In general, facilities are construct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use and purpose.

이러한 시설물은 설계오류, 지반침하와 같은 자연환경의 변화, 사용에 따른 노후화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These facilities may be defectiv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design errors,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ground subsidence, and aging due to use.

따라서 거주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시설물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필요하다.Therefore, for the safety of residents, regular safety inspections of facilities are required.

특히 공공건물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물의 경우, 법적으로 안전관리에 강제성을 두고 있으므로 해당 시설물은 의무적으로 정기적인 안전점검을 받아야만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acilitie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public buildings, safety management is legally enforced, so the facility must undergo regular safety inspections.

종래에는 현장 점검자가 종이 도면을 사용하여 현장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를 수기로 기록하며, 추후에 점검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점검 결과를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a field inspector performed on-site inspection using a paper drawing, recorded the inspection result by hand, and then input the inspection result to a computer to manage the inspection result.

최근에는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현장 점검의 수행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안전점검 결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at can effectively manage safety inspection results by directly transmitting the results of field inspections to a management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그러나 시설물은 입체적인 3차원 형상임에 반해 종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2차원 도면을 사용하여 안전점검 수행 결과를 관리하므로, 2차원 도면으로는 하자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표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ile the facility has a three-dimensional 3D shape, the conventional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manages the safety inspection result using a 2D drawing,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xpress the location of a defect with a 2D draw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3차원 도면을 사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safety management for facilities using a 3D drawing.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에서, 관리 서버가 시설물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수기로 스케치한 평면 분리도 및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측벽들을 촬영한 측벽 사진들을 사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현장 점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도면을 수신하여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현장 점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3차원 도면 상의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에 대한 손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현장 점검 결과로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및 상기 손상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한다.In order to achiev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hree-dimensional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 separated by sidewalls. A three-dimensional drawing represent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acility is generated using a hand-sketched plan separation diagram and sidewall photos taken of the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and a mobile device used by the field inspector is The 3D drawing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ed through a 3D viewer, an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damage coordinate value on the 3D drawing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damage has occurred in the facility, and Generate damage information for the damage, the mobile device correlates the damage coordinate value and the damage information to each other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as a field inspection result, an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n-site inspection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result, a three-dimensional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amage and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including the da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 사진은, 서로 직교하는 기준 길이의 가로 기준자 및 상기 기준 길이의 세로 기준자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자가 상응하는 측벽에 부착되고, 상기 상응하는 측벽에 존재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부재 별로 상기 표준 부재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가 상응하는 표준 부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측정자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응하는 측벽을 촬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idewall photograph, a length measurer including a horizontal reference ruler of a reference length and a vertical reference ruler of the reference length that is orthogonal to each other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sidewall, and a predefined one exists on the corresponding sidewall. In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standard member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standard member for each standard member, it may b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corresponding sidewall so that the length measurer is located at the center.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 분리도에서 상기 측벽들에 대응되는 분리 라인들과 상기 측벽 사진들 사이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길이 측정자에 기초하여 상기 상응하는 측벽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가로 길이 및 상기 세로 길이를 갖는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상응하는 측벽에 존재하는 표준 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표준 부재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분리도에서의 상기 분리 라인들의 위치 및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에 대해 생성되는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상기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3D drawing by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receiv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sidewalls and the sidewall photos in the plan separation view, and the length measurer included in the sidewall photo Estimating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wall based on,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having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the corresponding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andard member present on the sidewall, inserting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ndard member type from among standard member images stored in advance into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and the planar separation And generating the 3D drawing by combining the 3D sidewall images generated for each of the sidewall photo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paration lines and the matching information.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과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 라인들 각각에 동일한 값으로 부여된 일련 번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serial numbers assigned with the same value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and each of the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상기 표준 부재는 문, 창문, 및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ard member may include doors, windows, and pillars.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응하는 측벽의 상기 가로 길이 및 상기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3D sidewall image includes: loading a 3D standard sidewall image previously stored internally,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wall. Thus, it may include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길이 측정자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코드가 부착된 상기 표준 부재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 부재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크기가 조절된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inserting the standard member image into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may include loading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tandard member from among the internally pre-stored standard member images, included in the sidewall photo. Estimating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attached based on the length measurer, adjusting the size of the standard member image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and And inserting the size-adjusted standard member imag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3D sidewall im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점검자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3차원 도면을 확대, 축소, 및 회전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점검자가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3차원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상기 손상 좌표값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을 촬영한 손상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점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 이미지를 상기 손상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generating, by the mobile device, the damage coordinate value and the damage information, enlarges, reduces, and reduces the 3D drawing displayed through the 3D viewer based on the control of the field inspector. When the field inspector select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on the 3D drawing displayed through the 3D viewer,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int in the 3D drawing are damaged. Generating as a coordinate value, displaying a screen for inputting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a damage image photographing the damage, and the damage input by the field inspector And storing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the damage image as the damag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손상 좌표값에 상응하는 위치에 손상 마크를 표시하여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손상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손상 정보에 대한 링크(link)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고 상기 링크가 삽입된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과 상기 손상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generating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by the management server comprises displaying a damage mark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amage coordinate value included in the field inspection result in the 3D drawing, Generating a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linking to the damage information )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and correlating the damage information with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link is inserted And generating the report as a result of the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은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제공되는 평면 분리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제공되는 측벽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3차원 도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바일 장치가 손상 좌표값 및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n view provided in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idewall pictur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3D drawing generated by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damage coordinate values and damage information by a mobile device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generated by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have been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set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은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안전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를 누적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shown in FIG. 1 performs on-site safety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and accumulates and manages the inspection results.

도 1에는 시설물(11)이 빌딩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설물(11)은 주택, 아파트, 학교 등과 같은 임의의 건축물일 수 있다.1 illustrates that the facility 11 is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acility 11 may be any structure such as a house, an apartment, a school, or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00) 및 모바일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00 and a mobile device 200.

모바일 장치(200)는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점검을 수행하는 현장 점검자에 의해 사용된다.The mobile device 200 is used by a field inspector who performs a field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관리 서버(100)와 모바일 장치(2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ny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5G, LTE, LTE-Advanced, WCDMA, HSPA, GSM, CDMA2000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에 상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correspon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5G, LTE, LTE-Advanced, WCDMA, HSPA, GSM, CDMA2000, and the lik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인터넷에 상응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correspond to the Internet.

모바일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시설물(1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facility 11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상기 현장 점검자는 모바일 장치(200)에 표시되는 시설물(1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를 모바일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The on-site inspector may perform on-site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based on information on the facility 11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200 and input the inspection result to the mobile device 200.

모바일 장치(200)는 상기 입력된 점검 결과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the input check result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점검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하여 저장된 점검 결과를 사용하여 시설물(11)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inspection result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generate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for the facility 11 by us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inspection results.

도 1에는 예시적으로 모바일 장치(200)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장치(2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1 illustrates that the mobile device 200 is a smart ph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any mobil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또한, 도 1에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모바일 장치(20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연결되어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점검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장치들(200)이 관리 서버(100)에 연결되어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1 illustrates that one mobil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perform on-site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but th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field,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o perform on-site inspection of the facility 11.

도 2는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3차원 도면 생성부(130),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 3차원 도면 데이터베이스(150), 및 점검 결과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a standard image database 140, a 3D drawing database 150, and a check result database. It may include 160.

제어부(110)는 관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은 도 1 및 2에 도시된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shown in FIG. 3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shown in FIGS. 1 and 2.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과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and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반적으로 시설물(11)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설물(11)에 대한 설계 도면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order to perform the safety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a design drawing of the facility 11 is required.

그런데 시설물(11)이 오래된 건축물인 경우 시설물(11)에 대한 설계 도면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when the facility 11 is an old building, a design drawing for the facility 11 may not exist.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은 시설물(11)에 대한 설계 도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설물(11)에 대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afety management on the facility 11 even when the design drawing for the facility 11 does not exist. I can.

시설물(11)은 복수의 측벽들에 의해 복수의 개별 공간들로 분리될 수 있다.The facility 1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by a plurality of sidewalls.

시설물(1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수기로 스케치한 평면 분리도(PSD)가 사전에 준비될 수 있다.A plan separation diagram (PSD)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11 are separated by the plurality of sidewalls may be prepared in advance.

예를 들어, 상기 현장 점검자가 시설물(11)에 방문하여 시설물(1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수기로 스케치하고, 상기 스케치를 스캔하여 평면 분리도(PSD)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n-site inspector visits the facility 11 and manually sketches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11 are separated by the plurality of sidewalls, and scans the sketch to A degree of separation (PSD) can be created.

상기 생성된 평면 분리도(PSD)는 3차원 도면 생성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The generated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may b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도 4는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제공되는 평면 분리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n view provided in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도 4에는 예시적으로 두 개의 개별 공간들이 일곱 개의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4 shows a state in which two individual spaces are separated by seven side walls by way of examp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 각각은 평면 분리도(PSD)에서 상응하는 분리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may be represented by a corresponding separation line in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분리도(PSD)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분리 라인들 각각에 부여된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may include a serial number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idewalls.

도 4에는 예시적으로 상기 일곱 개의 측벽들에 대응되는 일곱 개의 분리 라인들 각각에 001, 002, 003, 004, 005, 006, 007의 일련 번호가 부여된 것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that serial numbers of 001, 002, 003, 004, 005, 006, and 007 are assigned to each of the seven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ven sidewalls by way of example.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 분리도(PSD)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만을 간략히 나타내며,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존재하는 문, 창문 등과 같은 부재의 위치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briefly shows only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are separated by the plurality of sidewalls, such as doors and windows existing in the plurality of sidewalls. It may not include the position of the member.

한편, 시설물(11)에 대한 2차원 설계 도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2차원 설계 도면이 평면 분리도(PSD)로서 3차원 도면 생성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2D design drawing for the facility 11 exists, the 2D design drawing may b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as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시설물(1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측벽들 각각을 촬영한 측벽 사진들(WPIC)이 사전에 준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sidewall photos (WPIC) photographing each of the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11 may be prepared in advance.

예를 들어, 상기 현장 점검자가 시설물(11)에 방문하여 시설물(1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 각각을 촬영하여 측벽 사진들(WPIC)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te inspector may visit the facility 11 and photograph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11 to generate sidewall photos (WPIC). .

상기 생성된 측벽 사진들(WPIC)은 3차원 도면 생성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The generated sidewall photos WPIC may b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도 5는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제공되는 측벽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idewall pictur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기준 길이의 가로 기준자(21) 및 상기 기준 길이의 세로 기준자(22)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자(20)를 촬영하고자 하는 측벽(SW)의 중앙에 부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length measurer 20 including a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having a reference length that i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reference ruler 22 having the reference length is at the center of the side wall SW to be photographed. Can be attached.

이 때, 가로 기준자(21)는 지면과 평행하고, 세로 기준자(22)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길이 측정자(20)를 측벽(SW)의 중앙에 부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may be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vertical reference ruler 22 may b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ide wall SW so that the length measurement ruler 22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또한, 측벽(SW)에 존재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부재 별로 상기 표준 부재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31)를 상응하는 표준 부재(30)에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code 31 indicating the standard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standard member 30 for each predefined standard member existing on the side wall SW.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준 부재는 문, 창문, 및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ndard member may include a door, a window, and a pillar.

도 5에는 예시적으로 표준 부재 중의 하나인 문(30)이 측벽(SW)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In FIG. 5, the door 30, which is one of the standard members,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SW.

이 경우, 문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31)가 문(30)의 중앙에 부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code 31 representing the door may b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door 30.

식별 코드(31)는 부재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코드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31 may be an arbitrary code capable of indicating the type of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코드(31)는 QR 코드에 상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31 may correspond to a QR cod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코드(31)는 상기 표준 부재 별로 부여된 색깔을 갖는 식별표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31 may be an identification table having a color assigned to each standard member.

예를 들어, 문에는 노란색 식별표가 부착되고, 창문에는 파란색 식별표가 부착되고, 기둥에는 초록색 식별표가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a yellow identification tag may be attached to a door, a blue identification tag may be attached to a window, and a green identification tag may be attached to a colum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측정자(20)가 측벽(SW)의 중앙에 부착되고, 측벽(SW)에 존재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부재 별로 상기 표준 부재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31)가 상응하는 표준 부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길이 측정자(2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측벽(SW)을 촬영하여 측벽 사진(WPIC)이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ength measurer 20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ide wall SW, and the identification code 31 indicating the standard member corresponds to each of the predefined standard members present on the side wall SW. In a state attached to the standard member, the side wall SW may be photographed so that the length measurer 2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a side wall photograph WPIC may be generated.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시설물(11)에 포함되는 복수의 측벽들(SW) 각각을 촬영하여 측벽 사진들(WPIC)을 생성할 수 있다.The sidewall pictures WPIC may be generated by photograp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SW included in the facility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평면 분리도(PSD)에서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 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측벽들 각각에 대응되는 측벽 사진들(WPIC) 사이의 매칭 정보(M_I)가 3차원 도면 생성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pictures of the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and sidewall pi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Matching information M_I between (WPIC) may be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 분리도(PSD)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분리 라인들 각각에 일련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 serial number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idewalls in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또한,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응되는 측벽 사진들(WPIC) 각각에 상응하는 분리 라인에 부여된 일련 번호와 동일한 일련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serial number as the serial number assigned to the separation li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WPIC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idewalls may be assigned.

이 경우, 매칭 정보(M_I)는 측벽 사진들(WPIC) 각각과 측벽 사진들(WPIC)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 라인들 각각에 동일한 값으로 부여된 상기 일련 번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tching information M_I may include the serial numbers assigned with the same value to each of the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WPIC and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WPIC.

도 2는 평면 분리도(PSD), 측벽 사진들(WPIC), 및 매칭 정보(M_I)가 관리 서버(100)의 외부로부터 3차원 도면 생성부(130)에 직접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평면 분리도(PSD), 측벽 사진들(WPIC), 및 매칭 정보(M_I)를 수신할 수도 있다.FIG. 2 shows that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sidewall photos (WPIC), and matching information (M_I) are directly provided to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from the outside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but thi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may receive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sidewall photos (WPIC), and matching information (M_I)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시설물(1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수기로 스케치한 평면 분리도(PSD),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측벽들을 촬영한 측벽 사진들(WPIC), 및 평면 분리도(PSD)에 포함되는 상기 분리 라인들과 측벽 사진들(WPIC) 사이의 매칭 정보(M_I)에 기초하여 시설물(11)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3DD)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00).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is a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11 are separated by the plurality of sidewalls by hand, and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Based on the sidewall photos (WPIC) photographing the sidewalls to be separated, and matching information (M_I) between the separation lines and the sidewall photos (WPIC) included in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A three-dimensional drawing (3DD)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generated (step S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는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 및 상기 표준 부재들 각각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andard image database 140 may pre-store a 3D standard sidewall image and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ndard members.

이 경우,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 및 상기 표준 부재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를 사용하여 3차원 도면(3DD)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3D drawing (3DD) by using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stored in the standard image database 140 and the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ndard members. can do.

구체적으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들(WPIC) 각각에 대해, 측벽 사진(WPIC)에 포함되는 길이 측정자(20)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측벽(SW)의 실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for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WPIC, based on the length measurer 20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WPIC, the actual width and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wall SW. You can estimate the length.

예를 들어, 길이 측정자(20)에 포함되는 가로 기준자(21) 및 세로 기준자(22)는 상기 기준 길이를 가지므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WPIC) 상에서의 측벽(SW)의 가로 길이와 가로 기준자(21)의 길이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측벽(SW)의 실제 가로 길이를 추정하고, 측벽 사진(WPIC) 상에서의 측벽(SW)의 세로 길이와 세로 기준자(22)의 길이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측벽(SW)의 실제 세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and the vertical reference ruler 22 included in the length measurer 20 have the reference length,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horizontal length of (SW)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the actual horizontal length of the side wall SW is estimated, and the vertic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of the side wall SW on the side wall photograph (WPIC) are estimated. The actual vertical length of the side wall SW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lengths of the rulers 22.

이후,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를 로딩하고, 측벽(SW)의 상기 추정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정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갖는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loads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from the standard image database 140, and based on the estimated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of the sidewall SW,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By expanding or reducing the size of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a 3D sidewall image having the estimated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may be generated.

또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WPIC)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31)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측벽(SW)에 존재하는 표준 부재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may determine the type of standard member present on the corresponding sidewall SW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31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WPIC.

예를 들어,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WPIC)에 식별 코드(31)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별 코드(3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식별 코드(31)를 인식하여 식별 코드(31)가 나타내는 표준 부재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code 31 is included in the sidewall photo (WPIC),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31 is included, the identification code 31 is By recognition, the type of the standard member indicat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31 can be determined.

이후,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may load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tandard member among the standard member images stored in the standard image database 140 and insert it into the 3D sidewall image. .

일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WPIC)에 포함되는 길이 측정자(20)에 기초하여 식별 코드(31)가 부착된 상기 표준 부재의 실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actual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31 is attached based on the length measurer 20 included in the sidewall photograph (WPIC). Can be estimated.

예를 들어, 길이 측정자(20)에 포함되는 가로 기준자(21) 및 세로 기준자(22)는 상기 기준 길이를 가지므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WPIC)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측벽 사진(WPIC)에서 상기 표준 부재를 구분한 후, 측벽 사진(WPIC) 상에서의 상기 표준 부재의 가로 길이와 가로 기준자(21)의 길이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부재의 실제 가로 길이를 추정하고, 측벽 사진(WPIC) 상에서의 상기 표준 부재의 세로 길이와 세로 기준자(22)의 길이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부재의 실제 세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and the vertical reference ruler 22 included in the length measurer 20 have the reference length, the 3D drawing generator 130 uses an image for a sidewall photograph (WPIC). After performing processing to classify the standard member in a side wall photograph (WPIC),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eference ruler 21 on the side wall photograph (WPIC), The actual horizontal length may be estimated, and the actual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may be estimated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reference ruler 22 on the sidewall photograph (WPIC).

이후,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로딩하고, 상기 표준 부재의 상기 추정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정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갖는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loads the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tandard member from the standard image database 140, and based on the estimated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the The standard member image having the estimated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may be generated by expanding or reducing the standard member image to adjust the size of the standard member image.

이후,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서 식별 코드(3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may insert the size-adjusted standard member imag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31 in the 3D sidewall image.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들(WPIC) 각각에 대해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가 삽입된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the 3D sidewall image in which the standard member image is inserted for each of the sidewall photos WPIC.

이후,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평면 분리도(PSD)에서의 상기 분리 라인들의 위치 및 상기 분리 라인들과 측벽 사진들(WPIC) 사이의 매칭 정보(M_I)에 기초하여 측벽 사진들(WPIC) 각각에 대해 생성되는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3차원 도면(3DD)을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includes sidewall photos (M_I)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eparation lines in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and matching information M_I between the separation lines and the sidewall photos WPIC. A 3D drawing 3DD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3D sidewall images generated for each of the WPIC).

예를 들어,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측벽 사진들(WPIC)에 대해 생성되는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들 각각을 동일한 일련 번호를 갖는 분리 라인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들을 조합함으로써 3차원 도면(3DD)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3D drawing generation unit 130 combines the 3D sidewall images by arranging each of the 3D sidewall images generated for sidewall photos (WPIC) at a position of a separation line having the same serial number. By doing so, a three-dimensional drawing (3DD) can be generated.

3차원 도면 생성부(130)는 생성된 3차원 도면(3DD)을 3차원 도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The 3D drawing generator 130 may store the generated 3D drawing 3DD in the 3D drawing database 150.

도 6은 도 2의 3차원 도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3차원 도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3D drawing generated by the 3D drawing generator of FIG. 2.

도 6에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평면 분리도(PSD)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3차원 도면(3DD)이 도시된다.6 illustrates a three-dimensional diagram 3DD generated based on the plane separation diagram PSD illustrated in FIG. 4 by way of example.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3차원 도면(3DD)에서 두 개의 개별 공간들에 포함되는 측벽들(SW)은 표준 부재로서 문 및 창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In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3DD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6, the side walls SW included in the two separate spaces are shown as including a door and a window as standard members.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현장 점검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사용하여 시설물(11)에 대해 현장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on-site inspector may perform on-site inspection on the facility 11 using the mobile device 200.

이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에 시설물(11)에 대한 3차원 도면(3DD)을 요청하고, 관리 서버(100)에 포함되는 제어부(110)는 3차원 도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시설물(11)에 대한 3차원 도면(3DD)을 독출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모바일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200 requests a 3D drawing (3DD) for the facility 11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control unit 110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is a 3D drawing database 150 ), a 3D drawing (3DD) of the facility 11 may be rea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모바일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시설물(11)에 대한 3차원 도면(3DD)을 수신하여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200).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a 3D drawing (3DD) of the facility 11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display it through a 3D viewer (step S200).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3차원 도면(3DD)을 자유롭게 확대, 축소, 및 회전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11)에서 현재 점검을 수행하고 있는 위치에 상응하는 3차원 도면(3DD) 상의 지점을 쉽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Since the on-site inspector can freely enlarge, reduce, and rotate the 3D drawing (3DD) through the 3D viewer, the 3D drawing (3D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urrently being inspected at the facility 11 You can easily and accurately find the spot.

상기 현장 점검자가 시설물(11)에서 손상이 발생한 것을 발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상기 현장 점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설물(11)에서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3차원 도면(3DD) 상의 손상 좌표값(COOR) 및 상기 손상에 대한 손상 정보(DMI)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00).When the on-site inspector finds that damage has occurred in the facility 11, the mobile device 200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3D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amage in the facility 11 based on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of the image and the damage information DMI for the damage (step S300).

도 7은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바일 장치가 손상 좌표값 및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damage coordinate values and damage information by a mobile device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7에는 모바일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현장 점검자가 상기 손상의 손상 좌표값(COOR) 및 상기 손상에 대한 손상 정보(DMI)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200 to allow the field inspector to input a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of the damage and damage information (DMI) of the damage.

상기 현장 점검자가 시설물(11)에서 손상이 발생한 것을 발견하는 경우, 상기 현장 점검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3차원 도면(3DD)을 확대, 축소, 및 회전하여 3차원 도면(3DD) 상에서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on-site inspector finds that damage has occurred in the facility 11, the on-site inspector enlarges, reduces, and rotates the 3D drawing (3DD) displayed through the 3D viewer as shown in FIG. 7.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has occurred may be selected on the 3D drawing 3DD.

이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3차원 도면(3DD)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손상 좌표값(COOR)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200 may generate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int in the 3D drawing 3DD as a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는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을 촬영한 손상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mobile device 200 may display a screen for inputting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a damage image photographing the damage. have.

상기 현장 점검자가 상기 손상의 유형을 입력하는 창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미리 정의된 손상 유형들을 표시하고,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표시된 손상 유형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on-site inspector selects a window for inputting the type of damage, the mobile device 200 displays predefined damage types, and the on-site inspector may select one of the displayed damage types.

상기 미리 정의된 손상 유형들은 균열, 파손, 박리, 누수, 변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defined damage types may include cracking, breakage, delamination, leakage, deformation,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손상의 유형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eld inspector may directly input the type of damage.

한편, 상기 현장 점검자가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을 입력하는 창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미리 정의된 손상 발생 원인들을 표시하고,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표시된 손상 발생 원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n-site inspector selects a window for inputting the cause of the damage, the mobile device 200 displays predefined causes of damage, and the field inspecto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causes of damage. I can.

상기 미리 정의된 손상 발생 원인들은 설계 오류, 내력 부족, 지반 침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defined causes of damage may include design errors, lack of strength, ground subsidence,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손상 발생 원인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eld inspector may directly input the cause of the damage.

한편, 상기 현장 점검자는 상기 손상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손상의 크기를 입력하는 창에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on-site inspector may measure the size of the damage and input it in a window for inputting the size of the damage.

또한, 상기 현장 점검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사용하여 상기 손상을 직접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손상 이미지를 사진입력 창에 입력할 수 있다.Further, the field inspector may directly photograph the damage using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n input the photographed damage image into a photo input window.

모바일 장치(200)는 상기 현장 점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 이미지를 손상 정보(DMI)로서 저장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store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the damage image input by the field inspector as damage information (DMI).

이후, 모바일 장치(200)는 손상 좌표값(COOR) 및 손상 정보(DMI)를 서로 연관시켜 현장 점검 결과(CR)로서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00).Thereafter, the mobile device 200 may correlate the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and the damage information DMI to each other and transmit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CR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step S400).

상기 현장 점검자가 시설물(11)에서 복수의 손상들을 발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상기 현장 점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손상들 각각에 대해 현장 점검 결과(CR)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 점검 결과들(CR)을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on-site inspector finds a plurality of damages in the facility 11, the mobile device 200 generates and generates a field inspection result (C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mages based on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The field inspection results (CR)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관리 서버(100)에 포함되는 통신부(12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손상 좌표값(COOR) 및 손상 정보(DMI)를 포함하는 현장 점검 결과(CR)를 수신하는 경우, 현장 점검 결과(CR)를 제어부(110)에 제공하고, 제어부(110)는 현장 점검 결과(CR)를 점검 결과 데이터베이스(160)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CR) including the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and the damage information (DMI) from the mobile device 200,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CR ) To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CR in the inspection result database 160.

한편, 제어부(11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점검 결과(CR)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및 상기 손상에 대한 손상 정보(DMI)를 포함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00).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three-dimensional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iagram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amage and damage information (DMI) for the damage based on the field inspection result (CR)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may be generated (step S500).

도 8 및 9는 도 1의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generated by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IG. 1.

도 8 및 9에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의 일 예가 도시된다.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of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iagram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10.

제어부(110)는 점검 결과 데이터베이스(160)에 누적하여 저장된 현장 점검 결과들(CR)을 독출하고, 독출된 현장 점검 결과들(CR) 각각에 대해, 3차원 도면(3DD)에서 현장 점검 결과(CR)에 포함되는 손상 좌표값(COOR)에 상응하는 위치에 손상 마크를 표시하여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reads the field inspection results CR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inspection result database 160, and for each of the read field inspection results CR,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 The three-dimensional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may be generated by displaying a damage mark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amage coordinate value COOR included in CR).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현장 점검 결과들(CR)에 상응하는 상기 손상 마크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손상 마크는 복수의 현장 점검 결과들(CR) 각각에 대한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amage mar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n-site inspection results (CR) from each other, the damage mark is a serial numb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on-site inspection results (CR). Can include.

도 8 및 9에는 예시적으로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이 두 개의 현장 점검 결과(CR)에 상응하는 두 개의 손상 마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8 and 9, the three-dimensional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iagram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wo damage marks corresponding to two on-site inspection results (CR).

한편, 제어부(110)는 현장 점검 결과(CR)에 포함되는 손상 정보(DMI)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at least a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DMI included in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C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도 8 및 9에는 예시적으로 제어부(110)가 손상 정보(DMI) 중에서 손상 유형을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한 것으로 도시된다.8 and 9, for example, it is shown that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the type of damage in the damage information DMI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또한, 제어부(110)는 손상 정보(DMI)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에 대한 링크(link)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insert a link for all items included in the damage information DMI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예를 들어,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 상기 손상 유형에 손상 정보(DMI)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에 대한 링크(link)가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a link for all items included in the damage information (DMI) may be inserted in the damage type display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이후, 제어부(110)는 손상 정보(DMI) 중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고 상기 링크가 삽입된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과 손상 정보(DMI)를 서로 연관시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로서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t least a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DMI) and generates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by associating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and the damage information (DMI) into which the link is inserted. I can.

따라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의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 상기 손상 유형이 클릭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을 통해 상기 손상 마크에 상응하는 현장 점검 결과(CR)에 포함되는 손상 정보(DMI)의 세부 사항들이 제공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amage type display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of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is clicked, as shown in FIG. 9, a pop-up window corresponding to the damage mark is displayed. Details of damage information (DMI) included in the field inspection result (CR)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로부터 생성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는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손상이 발생한 위치 및 손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gener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damage and the damage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따라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를 검토하는 관리자는 시설물(11)의 어느 위치에 어떤 유형의 손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쉽고 빠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r reviewing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can easily and quickly and clearly grasp whether any type of damage has occurred at any location of the facility 11.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 및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은 시설물(11)에 대한 설계 도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설물(11)에 대한 3차원 도면(3DD)을 생성하고, 3차원 도면(3DD)을 사용하여 현장 점검 결과(CR)를 생성하며, 생성된 현장 점검 결과(CR)에 기초하여 3차원 도면(3DD) 상에서 손상이 발생한 위치 및 손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D_RPT)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and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esign drawings for the facility 11 Even if it does not exist, a 3D drawing (3DD) is generated for the facility 11, and a site inspection result (CR) is generated using the 3D drawing (3DD), based on the generated site inspection result (CR). Thus,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D_RPT) tha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damage on the 3D drawing (3DD) can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 및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은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0 and the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11: 시설물 20: 길이 측정자
21: 가로 기준자 22: 세로 기준자
30: 표준 부재 31: 식별 코드
100: 관리 서버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3차원 도면 생성부
140: 표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50: 3차원 도면 데이터베이스
160: 점검 결과 데이터베이스 200: 모바일 장치
300: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11: Facility 20: Length measurer
21: horizontal ruler 22: vertical ruler
30: standard member 31: identification code
100: management server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3D drawing generation unit
140: standard image database 150: 3D drawing database
160: check result database 200: mobile device
3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9)

관리 서버가 시설물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별 공간들이 측벽들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수기로 스케치한 평면 분리도 및 상기 복수의 개별 공간들을 분리하는 상기 측벽들을 촬영한 측벽 사진들을 사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현장 점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도면을 수신하여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현장 점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3차원 도면 상의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에 대한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현장 점검 결과로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및 상기 손상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사진은,
서로 직교하는 기준 길이의 가로 기준자 및 상기 기준 길이의 세로 기준자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자가 상응하는 측벽에 부착되고, 상기 상응하는 측벽에 존재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부재 별로 상기 표준 부재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가 상응하는 표준 부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측정자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응하는 측벽을 촬영하여 생성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3 of the facility by using a plan separation diagram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manually sketche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 separated by sidewalls, and sidewall photos taken of the sidewalls sepa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drawing representing a dimensional shape;
Receiving, by a mobile device used by a field inspector, the 3D drawing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ing it through a 3D viewer;
Generating, by the mobile device, a damage coordinate value on the 3D drawing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damage has occurred in the facility and damage information on the damage based on an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Transmitting, by the mobile device, the damage coordinate value and the damag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s a result of on-site inspection; And
And genera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including the damage information and a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based on the field insp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he sidewall photo,
A length measurer including a horizontal reference ruler of a reference length and a vertical reference ruler of the reference length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s attached to a corresponding sidewall, and an identification code representing the standard member for each predefined standard member existing on the corresponding sidewall In a state attached to a corresponding standard member,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corresponding sidewall so that the length measurer is located at the cent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 분리도에서 상기 측벽들에 대응되는 분리 라인들과 상기 측벽 사진들 사이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길이 측정자에 기초하여 상기 상응하는 측벽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가로 길이 및 상기 세로 길이를 갖는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상응하는 측벽에 존재하는 표준 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표준 부재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분리도에서의 상기 분리 라인들의 위치 및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에 대해 생성되는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상기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3D drawing by the management server comprises:
Receiving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sidewalls and the sidewall pictures in the plan separation view;
Estimating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wall based on the length measurer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having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Determining a type of standard member present on the corresponding sidewal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Inserting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standard member from among the internally stored standard member images into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And
A 3D based facility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3D drawing by combining the 3D sidewall images generated for each of the sidewall photo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paration lines and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plan separation view Safety management meth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과 상기 측벽 사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 라인들 각각에 동일한 값으로 부여된 일련 번호들을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ching information,
A 3D-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serial numbers assigned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and the separation lin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dewall pictures with the same valu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부재는 문, 창문, 및 기둥을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andard member includes a door, a window, and a pilla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응하는 측벽의 상기 가로 길이 및 상기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표준 측벽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comprises:
Loading an internally pre-stored 3D standard sidewall image; And
And generating the 3D sidewall imag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3D standard sidewall image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wal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적으로 미리 저장된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표준 부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표준 부재 이미지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측벽 사진에 포함되는 상기 길이 측정자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코드가 부착된 상기 표준 부재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 부재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부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크기가 조절된 표준 부재 이미지를 상기 3차원 측벽 이미지에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inserting the standard member image into the three-dimensional sidewall image,
Loading a standard memb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tandard member from among the internally pre-stored standard member images;
Estimating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attached based on the length measurer included in the sidewall picture;
Adjusting the size of the standard member image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andard member; And
And inserting the sized standard member image in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3D sidewall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손상 좌표값 및 상기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점검자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3차원 도면을 확대, 축소, 및 회전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점검자가 상기 3차원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3차원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상기 손상 좌표값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을 촬영한 손상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점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손상의 유형, 상기 손상의 발생 원인, 상기 손상의 크기, 및 상기 손상 이미지를 상기 손상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damage coordinate value and the damage information by the mobile device comprises:
Expanding, reducing, and rotating the 3D drawing displayed through the 3D viewer based on the control of the on-site inspector;
When the on-site inspector select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has occurred on the 3D drawing displayed through the 3D viewer,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int in the 3D drawing is generated as the damage coordinate value Step to do;
Displaying a screen for inputting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a damage image photographing the damage; And
And storing the type of damage, the caus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amage, and the damage image input by the on-site inspector as the damage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손상 좌표값에 상응하는 위치에 손상 마크를 표시하여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손상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손상 정보에 대한 링크(link)를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 상에서 상기 손상 마크에 인접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고 상기 링크가 삽입된 상기 3차원 손상 위치 정보 도면과 상기 손상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comprises:
Generating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by displaying a damage mark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amage coordinate value included in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in the 3D drawing;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n-site inspection resul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map;
Inserting a link for the damage information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amage mark on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And
And generating as the safety diagnosis result report by correlating the damage information with the 3D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rawing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a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link is inserted.
KR1020200091831A 2020-07-23 2020-07-23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KR102204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31A KR102204016B1 (en) 2020-07-23 2020-07-23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31A KR102204016B1 (en) 2020-07-23 2020-07-23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16B1 true KR102204016B1 (en) 2021-01-18

Family

ID=7423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831A KR102204016B1 (en) 2020-07-23 2020-07-23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1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874B1 (en) * 2021-03-05 2021-10-05 비코비엔주식회사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KR102342983B1 (en) 2021-05-26 2021-12-24 주식회사 엠트리 Issu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s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KR102479951B1 (en) 2022-09-08 2022-12-21 에이존테크 주식회사 Construction safety managing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IoT
KR20230014591A (en) * 2021-07-21 2023-01-30 (주) 오토노머스에이투지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oad facilities based on object recoginition pointcloud features
KR20230056192A (en)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큐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3D model of object in virtual space
CN116843158A (en) * 2023-08-10 2023-10-03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97A (en) * 2012-11-26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09212B1 (en) * 2017-11-06 2018-10-17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97A (en) * 2012-11-26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09212B1 (en) * 2017-11-06 2018-10-17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874B1 (en) * 2021-03-05 2021-10-05 비코비엔주식회사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KR102342983B1 (en) 2021-05-26 2021-12-24 주식회사 엠트리 Issu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s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KR20230014591A (en) * 2021-07-21 2023-01-30 (주) 오토노머스에이투지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oad facilities based on object recoginition pointcloud features
KR102607302B1 (en) * 2021-07-21 2023-11-29 (주)오토노머스에이투지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oad facilities based on object recoginition pointcloud features
KR20230056192A (en)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큐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3D model of object in virtual space
KR102479951B1 (en) 2022-09-08 2022-12-21 에이존테크 주식회사 Construction safety managing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IoT
CN116843158A (en) * 2023-08-10 2023-10-03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CN116843158B (en) * 2023-08-10 2024-05-14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US11657567B2 (en) Method for the automatic material classification and texture simulation for 3D models
CN111091538B (en)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efec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pipeline welding seams
JP6180647B2 (en) Indoor map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loud points
KR1020804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avement safety diagnosis and management based on deep-learning
JP2020027058A (en) Bar arrangement make management system and bar arrangement make management method
KR102238193B1 (e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20140125667A1 (en) Roof Generation And Texturing Of 3D Models
EP40090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mechanical equipment parts
CN105869148A (en) Targe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Higgins et al. Imaging tools for evaluation of gusset plate connections in steel truss bridges
KR20190061515A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crete structure degrad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US202102561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2D floor plan using 3D pictures
CN112417687B (en) Intelligent drawing examin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0041294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data from a space
JP2021125253A (en) Charge output device, charge output method and charge output system
JP6936828B2 (en) Construction drawing creation support system
JP2005310044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data processing
US20140081599A1 (en) Visualizing dimensions and usage of a space
KR10203100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Checking Workpie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842819B2 (en) Road structure insp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470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quality of precast concrete
KR102559631B1 (en)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JP6350988B2 (en) Camera for diagnosing bridge damage
TWI63913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ndoor map using cloud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