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49B1 -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 Google Patents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0949B1 KR101000949B1 KR1020100036591A KR20100036591A KR101000949B1 KR 101000949 B1 KR101000949 B1 KR 101000949B1 KR 1020100036591 A KR1020100036591 A KR 1020100036591A KR 20100036591 A KR20100036591 A KR 20100036591A KR 101000949 B1 KR101000949 B1 KR 101000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vey
- data
- project
- survey data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111 delaye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06—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 G01C11/08—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the pictures not being supported in the same relative position as when they were taken
- G01C11/10—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the pictures not being supported in the same relative position as when they were taken using computers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ictur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웹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측량 단말기에서 측량한 측량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응용 플랫폼에 측량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도면을 완성하되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측량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자동으로 검색 및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측량 프로세스를 마련한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transmit the survey data from the survey terminal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perform storage and management functions, and to transmit the survey data to the application platform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that completes a drawing but detects data errors and automatically searches for and provides reference data for surveying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systematic and reasonable survey process.
측량은 건축, 토목을 위해 사전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필수적인 프로세스로서,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측량 방식이 존재하고 있다.Surveying is an essential process that must be investigated in advance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there are various surveying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and purpose.
이러한 측량은 원격의 다자간에 유기적인 업무 분장 관계를 가지면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주로 과거에는 측량 사무실에서 기본 준비를 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측량 담당자에게 전달한 다음 측량 담당자가 현장 측량을 하여 측량 사무실에 전달하거나 필요한 자료를 요구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These surveys are usually performed in a remote, multi-organizational relationship, usually in the past, where the survey office prepares the basics and delivers the basic data to the survey manager, who then conducts a field survey to the survey office. It was designed to convey or require the necessary data.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각각의 측량 목적에 따라 다수의 인원 내지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는 측량 담당자가 측량에 따른 작업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누락된 참고 자료를 즉석에서 취득할 수 없어 번거롭게 측량 사무실에 방문하여 요청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현재 프로젝트 이외에 후속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할 때 업무 지시와 관리 체계가 모호하여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여러 측량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리를 즉각적으로 실행하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는 환경이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surveying personnel who are divided into a number of people or groups according to each surveying purpose can not only check the progress of the survey in real time, but also can not obtain the missing reference data on the fly. In many cases, they visited their offices and made requests, and when they wanted to carry out a subsequent project in addition to the current project, they often lost time due to ambiguous work order and management systems. The environment could not be modified.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웹 기반 내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측량 데이터를 취합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솔루션이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various solutions for collecting and managing survey data using web-based 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re published.
국내 특허 제 438003호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 방법은, 측량시설물에 해당하는 조사항목관련 속성테이블 및 조사항목별 코드정의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속성테이블 구조 및 코드정의 구조간의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는 제 1 과정; 상기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속성테이블 및 코드정의 파일을 이용하여 점형 시설물 테이블인지 또는 선형시설물 테이블인지를 판단한 후 해당 테이블을 표시하는 제 2 과정; 미리 저장된 측량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육상측량장비 또는 GPS 수신기에 연결하여 측량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고 수신하는 제 3 과정; 상기 육상측량장비 또는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측량데이터에서 필요 정보를 검색하여 측량시설물의 위치정보(X, Y, Z좌표), 방위각, 연직각, 측량일시 등의 정보들로 분류하는 제 4 과정; 상기 측량데이터 중 수치도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회전하거나 속성정보 입력 창을 실행하여 조사항목의 종류, 내용 및 재질에 관련된 속성 정보를 측량 도형데이터에 부가 입력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측량 도형데이터를 측량일자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를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측량 도면을 필요 시 실시간으로 호출할 수 있는 편의성과, 측량된 도형정보에 정의된 속성입력 테이블과 코드에 따라 속성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측량 데이터의 관리의 체계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The survey method using the Korean Patent No. 438003 real-time survey system is a method for inspecting the suitability between the attribute table structure and the code definition structure by searching the database for attribute table and survey item code definition file corresponding to the survey facility from the database. 1 cours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ble is a point facility table or a linear facility table using an attribute table and a code definition file if there is no abnormality by checking the suitability and displaying the table; A third step of executing a prestored survey software and connecting to a land surveying equipment or a GPS receiver to determine and receive a survey state of survey data; A fourth step of searching for necessary information in surveying data received from the land surveying equipment or GPS receiver and classifying it into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X, Y, Z coordinate), azimuth, vertical angle, survey date and time of the surveying facility; A fifth step of additionally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ype, content, and material of a survey item into survey figure data by rotating a display direction of a numerical drawing among the survey data or executing an attribute information input window; And a sixth process of dividing the survey figure data based on a survey date and storing the data in a database. It is posted that the effect of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fined attribute input table and code can pursue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urvey data.
그런데, 상기 기술은 일방적으로 측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부가하는 역할에는 충실하나 이를 수정하거나 오류를 지적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과 동시에, 측량에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시하지 못하여 측량자의 편의성을 부가하는데에는 부족함이 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is faithful to the role of transmitting or adding survey data unilaterally, but it does not have a means for correcting or pointing out errors, and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provide reference data for surveying, thereby adding convenience to surveyors. There is not enough.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 723600호 측지측량에서 관측도 자동 작도를 이용한 국가수준 기준점측량 결과 분석방법은, (a)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값인 측점, 기계 및 표척간 거리, 표척관측영상 및 국가기준점 지반고, 관측야장 성과와 속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i) 측점별 추가거리 및 기계고를 계산하는 단계; (ii) 각 측점별 지반고 및 시작점과 종료점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iii) 후시의 총합 및 전시중 이기점의 총합을 계산하는 단계; (c)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상기 현장측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척, 레벨 및 측점의 관계를 도시하는 관측도를 자동작도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측도를 이용하여 속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자동 작도 방식은 물론 데이터 오차를 줄이면서 관측성과의 객관적이고 신뢰성을 담보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게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analyzing the national level control point survey results using the automatic plotting of the degree of observation in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23600 geodetic survey, (a) the st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achine and the standard, the observation point image And receiving the national reference point ground elevation, observation field performance and attribute information; (b) calculating,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 additional distances and machine heights for each station; (ii) calculating the ground elevation for each point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And (iii) calculating the sum of backsight and the sum of selfish points during display; (c) automatically constructing an observation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the level, and the point of measurement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 using the observation diagram to display attribut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It consists of the steps of displaying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automatic drawing method, as well as reducing the data error has been reported to have the effect of ensuring the objective and reliability of observation performance.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도 데이터 측량 주체 및 사용 주체 간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측량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보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해 추후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에서 오류 원인을 찾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진다.However, even in the above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use of an error in the step of verifying the data later because there is no exchange between the data surveying subject and the user using the method to immediately correct or correct the survey data. .
따라서 복수 개의 측량 단말을 통해 측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도면을 작성하는 시스템을 구비하되 도면 작성 시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수정 데이터 요청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풍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여 측량자의 측량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system has a system for automatically preparing drawings by obtaining survey data through a plurality of survey terminals and transmitting them to a central control server. However, it is possible to request correction data in real time by checking for errors in drawing.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d advanc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s that provide data for surveyors'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측량 단말기에서 새성한 측량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를 매개로 응용 플랫폼에 전송하여 수치지형 현황도면을 작성하되,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감지하여 오류 데이터를 전송한 측량 단말기에 수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but the survey data created by the survey terminal to transmit to the application platform via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create a digital topographical state diagram, the error of detecting the error of the data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for requesting correction data to a survey terminal which has transmitted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 관제 서버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도록 하고, 해당 프로젝트에 따라 측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 자료를 프로젝트의 성향 및 측량자의 요구에 따라 측량 단말기에 전송하여 측량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the project 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o facilitate the survey by sending reference materials that can be helpful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project to the surve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the project and the surveyor's request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량 단말기에서 GRS-RTK 및 RTK-VRS 기능과 같은 자체적 측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3차원 좌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sis for allowing a surveying terminal to quickly and accurately obser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its own survey interface such as GRS-RTK and RTK-VRS function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측량 데이터를 표준 레이어로 통합하여 일괄 변환하도록 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survey data in various formats into a standard layer for batch conversio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프로젝트 정보에 작업 예상 완료 시간을 특정 측량 데이터 별로 기록한 프로젝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해당 프로젝트 리스트에 따라 해당 측량 데이터를 측량하기로 한 측량 단말기에 작업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project list in which projected work completion time is recorded for specific survey data in project information and to issue a work command to a survey terminal to survey the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project li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량 단말기 및, 상기 측량 단말기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웹 환경에 저장 관리하는 중앙 관제 서버와,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취합하는 응용 플랫폼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량 단말기는, 입력 수단을 통하여 측량 장비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GPS 측량부를 통해 측량 데이터를 직접 생성 처리하는 측량 모듈;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상기 측량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측량 데이터에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프로젝트 별로 관리하며 상기 측량 단말기 및 상기 응용 플랫폼에 전송 처리하는 프로젝트 설정모듈; 상기 프로젝트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정보와 상기 측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플랫폼은, 상수치 지형 현황 모듈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모듈; 상기 도면 작성 모듈에서 도면을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어 변환 모듈에서 레이어를 변환할 때 측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상기 식별자를 통해 오류가 있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상기 측량 단말기에 상기 중앙 관제 서버를 매개로 수정 요청을 하는 오류 수정 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rveying terminal for generating survey data,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urvey data from the survey terminal in a web environment, An application platform configured to receive and collect survey data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rein the survey terminal comprises: a survey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survey data from survey equipment through input means or directly generate survey data through a GPS survey unit;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urvey data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 identifier assigning module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survey data, where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comprises: a project setting module for generating and storing project information, managing the project information for each project, and transmi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survey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platform;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ject setting module and the survey data. The application platform includes: a drawing preparation module for creating a constant value terrain status module; Mediating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the surveying terminal that has generated error data through the identifier by detecting an error of survey data when a drawing is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module and when a layer is converted by the layer conversion module. Error correction request module for making a correction request 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프로젝트 설정모듈은,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서 측량 데이터 별 완료 예상 시간을 기록하여 프로젝트 리스트로 생성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프로젝트 리스트를 통해 측량 데이터 별 완료 예상 시점을 파악하는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와, 상기 측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의 지연 여부를 판단하는 측량 데이터 파악부 및, 상기 측량 데이터 파악부에서 지연이 된 것으로 판단된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상기 측량 단말기에 주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작업 통보부로 이루어진 공정 관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ject setting module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ording an expected completion time for each survey data in the proje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project list,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determine an expected completion time for each survey data through the project list. Delay in the project schedule check unit for grasping, the survey data grasp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rvey data is delayed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rvey data transmitted from the survey terminal, and the survey data grasping unit And a process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notify a warning message of the survey terminal that has generated the determined survey data.
더불어,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프로젝트 정보 중 타이틀, 목적에 따라 참고 자료를 분류 저장 처리한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정보 중 타이틀, 목적에 대한 키워드를 상기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참고자료를 추출하는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 상기 추출된 참고자료를 상기 측량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료 자동 제공부;를 포함하는, 참고자료 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compare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in which the reference data ar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purpose of the project information, and the keywords for the title and the purpose of the project information with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to identify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And a reference data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project propensity determining unit for extracting reference data and an automatic data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ference data to the survey terminal.
추가적으로, 상기 응용 플랫폼은,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측량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표준 레이어로 변경하는 레이어 변환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ayer conversion module for changing the survey data in a variety of formats into a standard layer coll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중앙 관제 서버에서 측량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응용 플랫폼 수준에서 측량 데이터의 치명적인 오류를 검출하여 수정 요청을 내릴 수 있어 데이터 수정의 신속성 및 측량 데이터 전반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고,1) In addition to storing and managing survey data 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it is possible to detect fatal errors in survey data at the application platform level and make correction requests, so that it is possible to pursue rapid data modification and ease of management of survey data. ,
2) 프로젝트에 기록된 타이틀 내지 목적을 검색 키워드로 설정하여 이에 관련된 참고자료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측량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측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2) For convenience of surveying, it is possible to set the title or purpose recorded in the project as a search keyword and automatically search for the reference data and transmit it to the survey terminal.
3) 측량 데이터의 형식을 일괄 변경하여 데이터 관리 및 해석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By changing the format of the survey data collectively, you can not only pursue the convenience of data management and interpretation,
4) 전반적인 측량 공정 흐름을 파악함과 아울러 지연 여부를 캐취하여 작업 지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4) Understand the overall survey process flow and catch delays so that work orders can be carried out.
5) 측량자가 실시간으로 측량 데이터에 따른 도면 작성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량 작업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5) It enables the surveyor to grasp the drawing creat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in real time, thereby ensur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survey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GPS 측량을 수행하는 과정을 일례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중앙 관제 서버의 프로젝트 설정모듈에 의하여 설정된 프로젝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 플랫폼에서 작성한 수치지형 현황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GPS survey by using a surve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 screen set by the project setting module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by way of exampl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umerical topographical state diagram created by an applica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측량 데이터를 실제 측정하거나 측량장비(50)에서 측정한 측량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측량 단말기(100)와 측량 데이터를 취합함과 동시에 측량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웹 기반의 중앙 관제 서버(200),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도면을 작성하거나 상기 측량 데이터를 표준 레이어로서 일괄적으로 변환 처리하는 응용 플랫폼(30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은 유무선 통신 기능 지원에 의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urveying the survey data while collecting the survey data and a plurality of
우선, 측량 단말기(100)는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 자체 측량 기능을 가지거나 별도의 측량장비(50)에서 측량한 측량 데이터를 측량자로부터 입력받아 궁극적으로 측량 데이터를 초기 생성(입력, 자체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중앙 관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프로젝트 별로 측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GPS 측량부(102)를 구비함과 동시에 응용 측량을 입력받거나 수행할 수 있고 측량 성과 도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측량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2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중앙 관제 서버(200)의 제어 하에 측량 데이터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 때 측량 데이터를 수정 내지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다.First, the
중앙 관제 서버(200)는 시행되고 있는 과제, 즉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트 목록 리스트를 작성함과 동시에 실시간 관리를 하도록 하고 응용 플랫폼(300)에 측량 데이터를 전송하는바,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측량 데이터의 저장 및 오류 여부 검사, 제어하는 기능을 통합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중앙 관제 서버(200)는 웹 기반으로 이루어져 측량 데이터를 관리 및 검색자격이 있는 담당자에게만 디스플레이하는 웹 사이트(60)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측량 데이터가 DB 서버 등에 저장되었을 때 외부 또는 원격에 위치한 측량 단말기(100), 응용 플랫폼(300)에서 네트워크 연결 하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The
응용 플랫폼(300)은 현장 또는 사무실 등에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현장에서의 측량 감독자, 이동 중인 측량 감독자, 도면 작성 사무실 등에서 통신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부여받은 디바이스(통신 기반을 가진 PC, PDA 등의 컴퓨터, 단말기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를 의미한다.
특히, 응용 플랫폼(300)은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저장된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도면(AutoCad 형식)을 작성함과 아울러 측량 데이터를 표준 레이어로 일관 변환을 하고 더 나아가 각 측량 데이터 간 모순이 되거나 치명적 오류가 있는 측량 데이터를 확인한 경우 해당 측량 데이터를 그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측량 단말기(100)에 중앙 관제 서버(200)를 매개로 재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측량 단말기(100)를 통해 확보한 측량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저장을 하고, 중앙 관제 서버(200)는 저장된 측량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함과 아울러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도면 작성을 위해 응용 플랫폼(300)에 해당 측량 데이터를 전송하며, 응용 플랫폼(300)은 측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도면 작성을 하고 데이터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stores survey data obtained through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측량 단말기(100), 중앙 관제 서버(200), 응용 플랫폼(300)으로 구성이 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측량 단말기(100)는 측량 모듈(110), 송수신 모듈(120), 식별자 부여모듈(130)로 구성되고, 중앙 관제 서버(200)는 저장 모듈(210), 프로젝트 설정모듈(220), 공정 관리 모듈(230), 참고자료 제공모듈(2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용 플랫폼(300)은 도면작성 모듈(310), 레이어 변환모듈(320), 오류 수정 요청모듈(33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각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GPS 측량을 수행하는 과정을 일례로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GPS survey using a surve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측량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가령 CDMA)을 구비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 내지 응용 플랫폼(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서 측량자가 휴대하기 편리한 사이즈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본적으로 측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터치스크린, 키패드 등)(101) 및 GPS 위성과 연동되어 측량을 수행하도록 하는 GPS 측량부(102), T/S 실행부, 측설/중심선 종횡단 등의 다양한 응용 측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응용 측량부 및 도면 내지 측량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103)을 구비하고 있다.First, the
여기서, GPS 측량부(102)는 GRS-RTK(Real Time Kinematic) 기능을 비롯하여 RTK의 일종인 VRS(Virtual Reference System)을 이용한 RTK-VRS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테이스를 구비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3차원 좌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Here, the
측량 모듈(110)은 주변의 측량 장비(50) 내지 자체적인 측량 기능에 의하여 측량 데이터를 생성 내지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즉, 예를 들어 측량 모듈(110)은 입력 수단(101)을 매개로 하여 측량 장비(50)를 통해 얻어진 측량 데이터를 측량자가 입력을 하거나 아니면 GPS 측량부(102)를 통해 해당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 등을 얻어 내어 측량 데이터를 생성 처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at is, for example, the
또한, 송수신 모듈(120)은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또는 응용 플랫폼)와 측량 데이터 내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측량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작성한 프로젝트 정보 및 참고자료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응용 플랫폼(300)에서 작성된 측량 성과 도면을 중앙 관제 서버(200)를 매개로 하거나 직접적으로 실시간 수신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nd
추가적으로, 송수신 모듈(120)은 메시지 전송부(121)를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메시지 전송부(121)는 측량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측량자가 특정 메시지를 작성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또는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는 후술하겠지만 측량자가 측량에 필요한 특정 자료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요청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nd
식별자 부여 모듈(130)은 특정 측량 데이터를 측량 내지 생성한 측량 단말기(100)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를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복수 개로 존재하는 측량 데이터에서 특정 측량 데이터를 측량한 출처가 어디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오류가 있는 측량 데이터의 출처 파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이러한 측량 단말기(100)는 특정 프로젝트를 위하여 측량 데이터를 측량하고자 할 때, 우선 중앙 관제 서버(200)를 통해 프로젝트 정보와 해당 프로젝트에 관련된 참고 자료 정보를 수신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측량 데이터를 생성 또는 입력하는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기본이라 할 것이다.
When the
다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200)는 상기 측량 단말기(100)에서 측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응용 플랫폼(300)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모듈(210)에 의하여 별도로 자체 저장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복수 개의 측량 단말기(10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함과 아울러 참고자료를 측량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2, the
더불어, 중앙 관제 서버(200)는 각종 정보(작업자 개인 정보, 공종 정보, 거래처 정보, 측량 장비 정보, 레이어(PCODE) 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 모듈에 등록 및 저장 처리하는 역할을 더불어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도 4는 중앙 관제 서버의 프로젝트 설정모듈에 의하여 설정된 프로젝트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 screen set by the project setting module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by way of example.
프로젝트 설정모듈(220)은 측량을 수행해야 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프로젝트 설정에는 프로젝트의 기본 정보(타이틀, 목적, 용도, 지역 등의 정보), 측량 장비 설정, 포인트 관리, 레이어(PCODE) 관리, 좌표계 설정, 참고 자료(참조 도면) 설정, 작업 스케줄 설정, 작업 지시 프로세스 및 기타 세부 사항을 생성 및 기록하고, 더 나아가 작성된 프로젝트 정보를 측량 단말기(100) 내지 응용 플랫폼(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프로젝트 설정모듈(220)은 각 프로젝트 별로 작업 계통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측량 데이터 역시 프로젝트 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The
공정 관리 모듈(230)은 측량 단말기(100)를 통해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은 시각 및 특정 측량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일정별, 측량 지점 별로 진행되는 측량 상황을 기록함과 아울러 측량 데이터에 작업 지시 정보를 전달하며, 더 나아가 프로젝트의 예상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의 진행 상황을 비교 파악하여 측량 진행 상황이 예상 종료 시점보다 늦은 경우 측량 단말기(100)에 주의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공정 관리 모듈(230)은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231), 측량 데이터 파악부(232), 작업 통보부(233)로 구성되어 있다.In detail, the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231)는 상기 프로젝트 설정모듈(220)에서 작성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스케줄에 기록된 작업 현황 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젝트 스케줄 정보에서 A라는 측량은 0월 0일까지 완료되어야 한다는 스케줄 리스트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 스케줄 리스트를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231)에서 전송한 다음 각 작업 별 요망 완료 시간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oject
측량 데이터 파악부(232)는 측량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의 적합성(지연 여부)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송 시점의 적합성이라 함은 해당 측량 데이터가 상기 프로젝트 리스트에 기록된 예상 완료 시간에 비하여 늦게 전송되었는지 아니면 빨리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가늠하는 기준을 의미한다.The survey
작업 통보부(233)는 상기 프로젝트 리스트에 기록된 작업 예상 시간에 맞추어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로 되어 있는 측량 데이터에 미리 안내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아니면 상기 측량 데이터 파악부(232)에서 특정 측량 데이터가 예상 시점보다 늦게 전송된 것으로 확인하였을 때 해당 측량 단말기(100)에 주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물론 상황에 따라 작업 흐름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리스트에 기록된 예상 작업 완료 시간은 변동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because the workflow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estimated work completion time recorded in the project list may be changed.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프로젝트 전반적인 스케줄을 조절하여 작업 지시를 하달하거나 주의 메시지를 알림으로서 측량자의 주의를 환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se features allow you to adjust the overall schedule of the project to provide the ability to call the surveyor's attention by giving work instructions or by alerting the user.
참고자료 제공모듈(240)은 상기 프로젝트 설정모듈(220)에서 기설정한 참고자료 정보(주로 해당 프로젝트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젝트와 유사한 과저 프로젝트 정보에서 미리 추출한 참조 도면 등)를 측량 단말기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더 나아가 자동으로 프로젝트의 성향 및 측량된 측량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참조 도면을 웹 또는 중앙 관제 서버(200) 자체의 DB에서 검색하여 측량 데이터에 제공하는 역할도 제공한다.The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참고자료 제공모듈(240)은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241), 키워드 파악부(242), 자료 자동 제공부(243)를 추가로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ference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241)는 프로젝트 정보 중 타이틀 내지 종류를 나타낸 란에서 키워드 추출 방식에 의하여 해당 프로젝트가 어느 프로젝트인지 여부를 기본적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241)는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젝트의 제목(타이틀), 목적에 따라서 경험칙적으로 자주 사용되었던 참고 자료를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 처리한 것을 말한다.The project
다시 말해, 프로젝트의 타이틀 내지 종류 란에 A 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다면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241)는 상기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와 A를 키워드 매칭 처리를 하여 A에 해당되는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other words, if the word "A" is included in the title or type column of the project, the project
키워드 파악부(242)는 측량 단말기(100)를 통해 측량자가 특정 키워드를 마치 메시지 형식으로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이러한 기능은 상술한 메시지 전송부에 의하여 가능)하였을 때 해당 키워드를 통해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키워드에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자료 자동 제공부(243)는 상기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241)에 구비된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비롯하여 키워드에 관련된 인터넷 자료를 상기 측량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tomatic
즉, 프로젝트에 대한 연관성이 있는 자료를 측량 프로젝트 시행 이전에 미리 추출함과 아울러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측량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해당 자료를 찾아 자동으로 측량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relevant data about the project is extracted in advance before the survey project is implemented, and while the project is in progress, i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automatically finding and providing the relevant data to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 플랫폼에서 작성한 수치지형 현황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umerical topographical state diagram created by an applica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응용 플랫폼(300)은 기본적으로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를 통해 측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 모듈(310)과 레이어 변환모듈(320), 오류 수정 요청모듈(330)을 구비하고 있다.The
도면 작성 모듈(310)은 전송받은 측량 데이터를 통하여 AutoCad 기반의 도면, 특히 수치지형 현황도면으로 자동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로를 측량하였을 때 발생하는 측량 데이터에서 선(스트링)으로 이루어진 속성 데이터를 연결하여 도로를 연결하는 역할 및 전봇대와 같이 점으로 표시되는 속성 데이터를 통해 전봇대의 간격에 따라 자동으로 인접 전봇대의 위치를 추정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The
더불어 도면 작성 모듈(310)은 반드시 완성 도면이 아니라도 현재까지 작성된 도면을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저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측량 단말기(100)에 전송을 하여 측량 단말기(100)를 소지한 측량 작업자가 현재까지 작성된 도면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레이어 변환모듈(320)은 각종 다양한 형식을 가진 측량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NGIS 표준 레이어(전자설계도서 작성납품지침, 국토 해양부 기준)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만일 측량 데이터가 각기 다른 형식을 가진 경우 해당 형식을 하나의 규격으로 통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오류 수정 요청모듈(330)은 상기 기능을 통하여 측량 데이터를 통해 도면을 작성하거나 레이어 변환을 할 때 측량 데이터 상호 간 충돌이 있거나 명백한 오류로 판단되는 측량 데이터, 적합성이 없는 측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서버(200)를 매개로 오류가 있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측량 단말기(100)에 재측정 요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rror
즉, 예를 들어 도로 작성 시에 제 1,2,3,4 속성 데이터가 선분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 2 속성 데이터가 전혀 엉뚱한 좌표를 가지거나 생소한 속성을 갖는 경우에는 도면 작성 시 쉽게 해당 데이터의 오류 판단이 되기 때문에 이 제 2 속성 데이터를 측정한 측량 단말기(100)(이는 측량 단말기의 식별자 모여 모듈을 통해 측량 데이터에 부여된 식별자에 의하여 특정 측량 데이터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음) 재 측량 요청을 수행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수정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ttribute data are connected to the line segment when the road is created, when the second attribute data has absolutely wrong coordinates or unfamiliar attributes, the data may be easily created when the drawing is created. Since it is an error judgment, the
이와 같이 응용 플랫폼(300)의 기본 기능에 의하여 측량 데이터를 도면 작성, 레이어 변환 작업은 물론 오류 데이터 파악 및 수정 요청 등의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ic function of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측량 단말기 232: 측량 데이터 파악부
110: 측량 모듈 233: 작업 통보부
120: 송수신 모듈 240: 참고자료 제공모듈
121: 메시지 전송부 241: 프로젝트 성향 파악부
130: 식별자 부여모듈 242: 키워드 파악부
200: 중앙 관제 서버 243: 자료 자동 제공부
210: 저장 모듈 300: 응용 플랫폼
220: 프로젝트 설정모듈 310: 도면 작성모듈
230: 공정 관리 모듈 320: 레이어 변환모듈
231: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 330: 오류 수정모듈100: survey terminal 232: survey data grasping unit
110: survey module 233: job notification unit
120: transmit / receive module 240: reference providing module
121: message transmission unit 241: project propensity determination unit
130: identifier assignment module 242: keyword identification unit
200: central control server 243: automatic data provider
210: storage module 300: application platform
220: project configuration module 310: drawing creation module
230: process management module 320: layer conversion module
231: Project schedule check unit 330: error correction module
Claims (6)
상기 측량 단말기는,
입력 수단을 통하여 측량 장비로부터 측량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GPS 측량부를 통해 측량 데이터를 직접 생성 처리하는 측량 모듈;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상기 측량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측량자로 하여금 특정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모듈;
측량 데이터에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측량 타이틀, 목적, 용도, 지역, 측량 장비, 측량자, 작업 스케줄, 작업 지시 프로세스를 기록한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프로젝트 별로 관리하며 상기 측량 단말기 및 상기 응용 플랫폼에 전송 처리하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서 측량 데이터 별 완료 예상 시간을 기록하여 프로젝트 리스트로 생성 처리하는 프로젝트 설정모듈;
상기 프로젝트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정보와 상기 측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프로젝트 리스트를 통해 측량 데이터 별 완료 예상 시점을 파악하는 프로젝트 스케줄 확인부와, 상기 측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측량 데이터의 전송 시점의 지연 여부를 판단하는 측량 데이터 파악부 및, 상기 측량 데이터 파악부에서 지연이 된 것으로 판단된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상기 측량 단말기에 주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작업 통보부로 이루어진 공정 관리 모듈;
프로젝트 정보 중 타이틀, 목적에 따라 참고 자료를 분류 저장 처리한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시지 전송부에서 전송된 메시지의 키워드를 상기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트 성향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참고자료를 추출하는 키워드 파악부 및, 상기 추출된 참고자료를 상기 측량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료 자동 제공부를 포함하는, 참고자료 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플랫폼은,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측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수치 지형 현황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모듈;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측량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표준 레이어로 변경하는 레이어 변환모듈;
상기 도면 작성 모듈에서 도면을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어 변환 모듈에서 레이어를 변환할 때 측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상기 식별자를 통해 오류가 있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한 상기 측량 단말기에 상기 중앙 관제 서버를 매개로 수정 요청을 하는 오류 수정 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A web-based real-time survey consisting of a survey terminal for generating survey data,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survey data from the survey terminal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survey data in a web environment, and an application platform for receiving and collecting survey data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s a data management system,
The survey terminal,
A survey module for receiving survey data from the survey equipment through input means or directly generating and processing survey data through a GPS survey unit;
Sending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survey data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message transmission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the surveyor to write a specific messag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nput mean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comprising a;
And an identifier assigning module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the survey data.
The central control server,
Create and store project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survey title, purpose, use, area, survey equipment, surveyor, work schedule, and work order process, manages them by project, and transmits them to the survey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platform for processing A project setting module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 project list by recording the estimated time for each survey data;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ject setting module and the survey data;
Project schedule checking unit for identifying the expected completion time for each survey data through the project list, and survey dat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rvey data is delayed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rvey data transmitted from the survey terminal And a job notifying unit configured to notify a warning message of the survey terminal that has generated the survey data determined to have been delayed by the survey data checking unit.
A keyword for extracting specific reference data from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by comparing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which classifies and stores reference materials according to title and purpose among the project information, and the keyword of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with the project propensity database. And a reference material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grasping unit and an automatic data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ference data to the survey terminal.
The application platform,
A drawing prepar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digital terrain status drawing based on survey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layer conversion module for collectively changing survey data of various formats into standard layers;
Mediating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the surveying terminal that has generated error data through the identifier by detecting an error of survey data when a drawing is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module and when a layer is converted by the layer conversion module. Error correction request module for making a correction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상기 측량 단말기의 GPS 측량부는,
GRS-RTK(Real Time Kinematic) 기능 및 VRS(Virtual Reference System)을 이용한 RTK-VRS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GPS surveying unit of the survey terminal,
Web-based real-time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rovides an interface supporting the RTK-VRS function using the Real Time Kinematic (GRS-RTK) function and the Virtual Reference System (V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591A KR101000949B1 (en) | 2010-04-20 | 2010-04-20 |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591A KR101000949B1 (en) | 2010-04-20 | 2010-04-20 |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0949B1 true KR101000949B1 (en) | 2010-12-13 |
Family
ID=4351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591A KR101000949B1 (en) | 2010-04-20 | 2010-04-20 |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094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4685B1 (en) | 2015-04-27 | 2016-03-22 | (주)일신이앤씨 | Drawing examination method |
KR101606029B1 (en) * | 2015-07-09 | 2016-03-24 |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road using cloud server |
KR20160095372A (en) * | 2015-02-03 | 2016-08-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 leveling device using Smart device |
KR20160095371A (en) * | 2015-02-03 | 2016-08-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phone Equipped with leveling app |
KR101768979B1 (en) * | 2016-07-11 | 2017-08-30 | 에이케이티공간정보 주식회사 | Real time managing system for survey data |
KR101934085B1 (en) * | 2017-01-26 | 2018-12-3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VIRES-based precisio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precise position measurement method |
KR102098172B1 (en) * | 2019-10-15 | 2020-04-08 | 주식회사 디씨에스테크 | Method and apparadus for performing forest inventory utilizing high precision survey technique |
KR102244212B1 (en) * | 2020-10-30 | 2021-04-23 | 김화경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gps cadastral survey data using mobile device and clou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8003B1 (en) * | 2003-12-15 | 2004-06-30 | 삼아항업(주) | Surveying Method By Realtime Surveying System |
KR100510835B1 (en) * | 2005-01-27 | 2005-08-30 | 새한항업(주) | Method for constit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ed digital map using real time measuring systems |
-
2010
- 2010-04-20 KR KR1020100036591A patent/KR1010009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8003B1 (en) * | 2003-12-15 | 2004-06-30 | 삼아항업(주) | Surveying Method By Realtime Surveying System |
KR100510835B1 (en) * | 2005-01-27 | 2005-08-30 | 새한항업(주) | Method for constit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ed digital map using real time measuring systems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5372A (en) * | 2015-02-03 | 2016-08-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 leveling device using Smart device |
KR20160095371A (en) * | 2015-02-03 | 2016-08-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phone Equipped with leveling app |
KR101653484B1 (en) * | 2015-02-03 | 2016-09-0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 leveling device using Smart device |
KR101655013B1 (en) * | 2015-02-03 | 2016-09-0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phone Equipped with leveling app |
KR101604685B1 (en) | 2015-04-27 | 2016-03-22 | (주)일신이앤씨 | Drawing examination method |
KR101606029B1 (en) * | 2015-07-09 | 2016-03-24 |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road using cloud server |
KR101768979B1 (en) * | 2016-07-11 | 2017-08-30 | 에이케이티공간정보 주식회사 | Real time managing system for survey data |
KR101934085B1 (en) * | 2017-01-26 | 2018-12-3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VIRES-based precisio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precise position measurement method |
KR102098172B1 (en) * | 2019-10-15 | 2020-04-08 | 주식회사 디씨에스테크 | Method and apparadus for performing forest inventory utilizing high precision survey technique |
KR102244212B1 (en) * | 2020-10-30 | 2021-04-23 | 김화경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gps cadastral survey data using mobile device and clou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0949B1 (en) |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 |
JP5689180B2 (en) | Integrated pip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 |
US8861795B2 (en) | Virtual white lines for delimi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 |
US8359324B2 (en)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
CN102792322B (en) | Utilize the Visual Information Organization & of the geographical spatial data be associated | |
US106716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correlation of GIS data | |
US20130272569A1 (en) |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target identification server and target identification terminal | |
KR101599990B1 (en) | Real estate appraisal system based on mobile | |
CN103699634A (en) | Database creation method and database creation system for one-stop pipeline detection | |
KR20150096761A (en) | Sensor data collection | |
US20150302346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workforce management system | |
KR10218404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
CN113656477A (en) | Method for verifying and fusing multi-source heterogeneous data of homeland space | |
DK178501B1 (en) | Construction site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20150138958A (en) | N f c based plant management system | |
Ilku et al. | Indoorgml modeling: A case study | |
Guo et al. | Implementation of CIM-related technologies within transportation projects | |
US2016002702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rcel build size | |
AU2015201957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 |
CN112035590A (en) | Electronic noise map display method, electronic noise map display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0069584B (en) | Information acquisition and feature matching method based on mobile terminal | |
KR100438003B1 (en) | Surveying Method By Realtime Surveying System | |
Marcheta et al. | Development of Mobile Asset Management Applications with Geolocation and Haversine | |
US20130113782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unique location of a selected situs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nvironmental condition at situs | |
JP4371594B2 (en) | Survey support system and survey service provi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