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628B1 - 농업용 베일러 - Google Patents

농업용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28B1
KR102307628B1 KR1020200182286A KR20200182286A KR102307628B1 KR 102307628 B1 KR102307628 B1 KR 102307628B1 KR 1020200182286 A KR1020200182286 A KR 1020200182286A KR 20200182286 A KR20200182286 A KR 20200182286A KR 102307628 B1 KR102307628 B1 KR 10230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s
supply unit
body case
unit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택균
Original Assignee
최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택균 filed Critical 최택균
Priority to KR102020018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2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이 자라는 지면에 대향되도록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이 포장부로 공급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 작업차량의 주행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 삽입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절단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포장부에 공급하는 이송공급부; 및 작업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이송공급부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동축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제1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이송공급부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고, 작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굴곡부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베일러 {BALER FOR FARMING}
본 발명은 농업용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차량의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되는 지역의 작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할 수 있고, 굴곡부가 형성되는 제1절단날의 측면에 의해 풀이 절단되어 공급되므로 풀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제1절단날의 굴곡부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작물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포장부에 공급하여 작업자의 탑승공간과 본체케이스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용 작물은 가축의 먹이가 되는 볏짚이나 콩 및 옥수수 또는 식용이 가능한 각종 풀이 이에 해당되며, 특히 상기 볏짚은 가을철 추수가 완료된 후 벼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를 말하는 것으로, 이런 볏짚은 예로부터 소나 염소 등의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어 왔다.
볏짚을 포함하는 사료용 작물을 얻기 위해서는 예로부터 작업자가 낫을 이용하여 베어온 후, 이를 모아 가축에게 작물을 배합하여 소위 여물이라는 것으로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사료용 작물을 마련하는 과정에 있어서 대량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시간과 노동력의 부족 및 작업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낫을 이용한 수작업을 꺼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다량의 사료용 작물을 절단하는 절단장치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사료용 작물 절단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기 때문에 농가에서 구입하는데 큰 부담이 되고, 절단장치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주로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시야확보가 어려워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료용 작물 절단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절단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좌우측에 각각 측면플레이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트렉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프레임이 구비되어 트렉터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의 수평 및 중심을 잡아줌과 아울러 지면 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사이드 지지대와, 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 외측에 다수의 칼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회전을 통해 작물을 절단하고, 그 내측 중앙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축이 각각 설치된 절단용 디스크와, 절단용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본체 상부에 다수의 풀리와 벨트 및 유압모터로 구성됨과 아울러 유압을 통해 그 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641호(2011년 10월 2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사료용 작물 절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절단장치는, 절단용 디스크에 구비되는 칼날에 의해 작물이 절단되고, 절단된 작물이 공급되는 별도의 공급유로 및 절단된 작물과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트렉터 등의 작업차량에 절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공간과 작물 공급유로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절단된 작물과 같이 유입되는 토사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없어 사료로 제조되는 작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되는 지역의 작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할 수 있고, 굴곡부가 형성되는 제1절단날의 측면에 의해 풀이 절단되어 공급되므로 풀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제1절단날의 굴곡부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작물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포장부에 공급하여 작업자의 탑승공간과 본체케이스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베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물이 자라는 지면에 대향되도록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이 포장부로 공급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 작업차량의 주행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 삽입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절단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포장부에 공급하는 이송공급부; 및 작업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이송공급부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동축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제1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이송공급부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고, 작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굴곡부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공급부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수평공급부; 및 상기 수평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상승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상기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 내측에 상기 제1절단날이 설치되는 구동축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내측에는 상기 상승공급부가 설치되는 회전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공급부는, 상기 흡입구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승공급부는, 상기 회전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원판; 및 상기 공급원판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상기 수평공급부를 통해 전달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이송방향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전환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제2절단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작업차량으로부터 연장되는 동력축이 연결되는 변속박스; 상기 변속박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 상기 제1구동축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스크루부재가 구비되는 제2구동축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구동축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는,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을 본체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키면서 포장부에 공급되는 이송공급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차량에 절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공간과 작물의 공급유로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작업차량 전방에 절단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는, 복수 개의 제1절단날이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절단날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가 구비되며, 제1절단날의 굴곡부가 제1절단날의 회전 방향과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은 굴곡부에 안착되지 않고 굴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지면으로 배출되고,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과 함께 본체케이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물에 의해 제조되는 사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는, 작업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복수 개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절단작업 및 이송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물 절단작업 및 이송작업에 소요되는 운행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사료 제작에 소요되는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사료의 가격 경쟁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정면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정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측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평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절단날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절단날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절단날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절단날이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정면이 도시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정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측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평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절단날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1절단날이 도시된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절단날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의 제2절단날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베일러는, 작물이 자라는 지면에 대향되도록 흡입구(12)가 구비되고,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이 포장부로 공급되도록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와, 작업차량의 주행작동에 의해 흡입구(12)에 삽입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절단부(30)와,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본체케이스(10)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에 본체케이스(10)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포장부에 공급하는 이송공급부(50)와, 작업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절단부(30) 및 이송공급부(50)에 제공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0)를 연결축(17) 및 연결프레임(18)에 의해 작업차량에 설치한 후에 작업차량으로부터 연장되는 동력축을 구동부(70)에 연결시킨 후에 작업차량을 주행하면 동력축를 따라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부(70)가 구동되면서 절단부(30) 및 이송공급부(50)를 구동시키므로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이송공급부(50)를 따라 배출구(14) 측으로 절단된 작물을 공급하게 된다.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절단된 작물은 포장부에 공급되어 사료용 작물로 포장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케이스(10) 저면에 흡입구(12)가 구비되고, 흡입구(12) 내측에 제1절단날(34)이 설치되는 제3구동축(19b)이 설치되며, 본체케이스(10)의 일측에 배출구(14)가 구비되고, 배출구(14) 내측에는 상승공급부(54)가 설치되는 회전공급부(16)이 구비된다.
본체케이스(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3구동축(19b) 및 제2구동축(19a)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본체케이스(10)의 일단부에 원판 모양의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공급부(16)이 형성되며, 회전공급부(16)의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0) 저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은 수평공급부(52)의 작동에 의해 본체케이스(10)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어 회전공급부(16)에 공급되고, 회전공급부(16)에 설치되는 상승공급부(54)의 작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14)를 통해 포장부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공급부(50)는,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본체케이스(10)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수평공급부(52)와, 수평공급부(52)로부터 공급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공급하여 배출구(14)를 통해 배출시키는 상승공급부(5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은 수평공급부(52)의 작동에 의해 본체케이스(10) 일측 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상승공급부(54)의 작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14)를 통해 포장부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물의 이송경로가 본체케이스(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상승되면서 배출되므로 작업차량의 타측에 배치되는 운전석과 작물의 배출유로가 서로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절단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평공급부(52)는, 흡입구(12) 내측에 배치되도록 본체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3구동축(19b)에 연결되어 본체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부재(52a)를 포함하므로 흡입구(12)를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작물은 스크루부재(52a)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케이스(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공급부(16)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승공급부(54)는, 회전공급부(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원판(56)과, 공급원판(56)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수평공급부(52)를 통해 전달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이송방향을 배출구(14) 측으로 전환시키는 블레이드(58)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크루부재(52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물은 회전공급부(16) 내부로 유입되면서 블레이드(58)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배출구(14) 측으로 이동되고, 블레이드(58)에 설치되는 제2절단날(36)에 의해 작물이 추가로 절단되므로 포장이 용이한 크기의 작물을 포장부에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절단부(30)는, 흡입구(12)에 설치되는 구동축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제1절단날(34)과, 블레이드(58)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공급하도록 블레이드(58)에 설치되는 제2절단날(36)을 포함한다.
제1절단날(34)이 설치되는 제3구동축(19b)에는 다수 개의 설치홈부(3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설치홈부(32)에는 한 쌍의 제1절단날(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절단날(34)은 폭이 좁고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제1굴곡부(34a)가 형성되므로 한 쌍의 제1절단날(34)을 서로 배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하여 하나의 설치홈부(32)에 한 쌍의 제1절단날(34)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절단날(34)을 1개의 설치홈부(32)에 설치하면 한 쌍의 제1절단날(34) 정면 형상은 제1굴곡부(34a)에 의해 제1절단날(34) 하단 모양이 'ㅅ'모양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절단날(34)에 의해 절단되는 작물은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이송공급부(50)에 의해 배출구(14)로 이동되고, 작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은 제1굴곡부(34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지면으로 낙하되므로 작물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작물만 포장부에 제공하게 되어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고품질의 사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절단날(36)은, 블레이드(58)에 설치되어 블레이드(58)의 단부와 회전공급부(16) 내벽 사이에 칼날이 배치되게 설치되고, 회전공급부(16) 내부로 공급되는 작물은 블레이드(58)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절단날(36)에 의해 2차로 절단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70)는, 작업차량으로부터 연장되는 동력축이 연결되는 변속박스(72)와, 변속박스(72)로부터 연장되어 블레이드(58)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56a)과, 제1구동축(56a)에 전달되는 동력을 스크루부재(52a)가 구비되는 제2구동축(19a)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74)와, 제2구동축(19a)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3구동축(19b)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차량의 동력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은 제1구동축(56a)에 제공되고, 제1동력전달부(74)의 작동에 의해 제2구동축(19a)에 전달되며, 제2동력전달부(76)의 작동에 의해 제3구동축(19b)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제1동력전달부(74)는, 제1구동축(56a)에 설치되는 제1풀리(74a)와, 제2구동축(19a)에 설치되는 제2풀리(74b)와, 제1풀리(74a)와 제2풀리(74b)에 권취되는 벨트부재(74c)와, 벨트부재(74c)에 장력을 제공하여 제1풀리(74a)의 동력이 제2풀리(74b)에 전달되지 않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장력제공부(90)를 포함한다.
또한, 제1장력제공부(90)는, 벨트부재(74c)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본체케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롤러(94)와, 슬라이딩롤러(94)를 벨트부재(74c) 측으로 가압하돌고 슬라이딩롤러(94)와 본체케이스(1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92)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차량으로부터 변속기어, 제1구동축(56a)을 따라 전달되는 동력은 제1풀리(74a), 벨트부재(74c), 제2풀리(74b) 및 제2구동축(19a)에 의해 스크루부재(52a)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제2동력전달부(76)는, 제2구동축(19a)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케에스 외벽에 노출되는 제1스프로킷(76a)과, 제3구동축(19b)에 설치되는 제3스프로킷(76c)과, 제1스프로킷(76a)과 제3스프로킷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프로킷(76b)과, 제1스프로킷(76a)과 제2스프로킷(76b)에 권취되는 제1체인(76d)과, 제2스프로킷(76b)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어부와 제3스프로킷(76c)에 권취되는 제2체인(76e)과, 제1체인(76d) 및 제2체인(76e)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2장력제공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구동축(19a)에 전달되는 동력은 제1스프로킷(76a), 제1체인(76d), 제2스프로킷(76b), 제2체인(76e) 및 제3스프로킷(76c)을 통해 제3구동축(19b)에 전달되어 제1절단날(34)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장력제공부(80)는, 본체케이스(10)에 설치되고, 제1체인(76d) 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되는 제1가압부재(82)와, 제1가압부재(82)에 설치되고 제1체인(76d)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롤러(84)와, 제2체인(76e) 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되는 제2가압부재(86)와, 제2가압부재(86)에 설치되고 제2체인(76e)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88)를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차량의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되는 지역의 풀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할 수 있고, 굴곡부가 형성되는 제1절단날의 측면에 의해 풀이 절단되어 공급되므로 풀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제1절단날의 굴곡부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풀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풀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포장부에 공급하여 작업자의 탑승공간과 본체케이스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베일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농업용 베일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농업용 베일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절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2 : 흡입구
14 : 배출구 16 : 회전공급부
17 : 연결축 18 : 연결프레임
30 : 절단부 32 : 설치홈부
34 : 제1절단날 34a : 제1굴곡부
36 : 제2절단날 36a : 제2굴곡부
50 : 이송공급부 52 : 수평공급부
52a : 스크루부재 54 : 상승공급부
56 : 공급원판 58 : 블레이드
70 : 구동부 72 : 변속박스
74 : 제1동력전달부 74a : 제1풀리
74b : 제2풀리 74c : 벨트부재
76 : 제2동력전달부 76a : 제1스프로킷
76b : 제2스프로킷 76c : 제3스프로킷
76d : 제1체인 76e : 제2체인
80 : 제2장력제공부 82 : 제1가압부재
84 : 제1롤러 86 : 제2가압부재
88 : 제2롤러 90 : 제1장력제공부
92 : 탄성부재 94 : 슬라이딩롤러

Claims (7)

  1. 작물이 자라는 지면에 대향되도록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이 포장부로 공급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
    작업차량의 주행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 삽입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절단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포장부에 공급하는 이송공급부; 및
    작업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이송공급부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제1절단날; 및
    상기 이송공급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작물을 절단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공급부를 이루는 상승공급부의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제2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작업차량으로부터 연장되는 동력축이 연결되는 변속박스;
    상기 변속박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제2구동축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풀리;
    상기 제2구동축에 설치되는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되는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풀리의 동력이 상기 제2풀리에 전달되지 않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장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급부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작물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수평공급부; 및
    상기 수평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상기 상승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상기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 내측에 상기 제1절단날이 설치되는 상기 제2구동축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내측에는 상기 상승공급부가 설치되는 회전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공급부는, 상기 흡입구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공급부는,
    상기 회전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원판; 및
    상기 공급원판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상기 수평공급부를 통해 전달되는 작물을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이송방향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전환시키는 상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6. 삭제
  7. 삭제
KR1020200182286A 2020-12-23 2020-12-23 농업용 베일러 KR10230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86A KR102307628B1 (ko) 2020-12-23 2020-12-23 농업용 베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86A KR102307628B1 (ko) 2020-12-23 2020-12-23 농업용 베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28B1 true KR102307628B1 (ko) 2021-09-30

Family

ID=7792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286A KR102307628B1 (ko) 2020-12-23 2020-12-23 농업용 베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414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가로수 전정 차량용 전정장치
KR102552410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가로수 전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715B1 (ko) * 1999-01-20 2001-09-24 정남영 사료초 채취기
JP2002345325A (ja) * 2001-05-24 2002-12-03 Seirei Ind Co Ltd 自走式ロールベーラ
US20060185340A1 (en) * 2003-05-19 2006-08-24 Eyre Robert J Cutting and threshing header for harvesting machine
US20110023437A1 (en) * 2009-07-31 2011-02-03 Agco Corporation Baler Collector For Coll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715B1 (ko) * 1999-01-20 2001-09-24 정남영 사료초 채취기
JP2002345325A (ja) * 2001-05-24 2002-12-03 Seirei Ind Co Ltd 自走式ロールベーラ
US20060185340A1 (en) * 2003-05-19 2006-08-24 Eyre Robert J Cutting and threshing header for harvesting machine
US20110023437A1 (en) * 2009-07-31 2011-02-03 Agco Corporation Baler Collector For Coll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414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가로수 전정 차량용 전정장치
KR102552410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가로수 전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628B1 (ko) 농업용 베일러
US6895734B2 (e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s and front attachments therefor
US9198351B2 (en) Front attachment for harvesting corn including a drive mechanism with a steples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6105546B (zh) 一种自走式牧草圆捆打捆机
CN101779545B (zh) 玉米青贮茎穗兼收秸杆还田自走收获机的设计方法
CN102057806A (zh) 兼具摘穗、剥皮与秸秆还田功能的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US4148175A (en) Corn stalk harvester and windrow attachment for a corn picker header
CN201878544U (zh) 兼具摘穗、剥皮与秸秆还田功能的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CN101669422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CN110832986A (zh) 升运器及收获机
CN113207425B (zh) 一种菜苔采收机的柔性夹持输送装置
CN113207424B (zh) 一种菜苔采收机
CN214257234U (zh) 一种青贮玉米秸秆粉碎打包装置
CN105612921B (zh) 一种多功能自走式青储玉米收获方法及机械
CN217722085U (zh) 一种无拨禾轮小麦、水稻收获割台
EP3021657B1 (en) Front attachment unit for maize chopper
US5772503A (en) Crop feeding apparatus for rotating concave threshing mechanism
CN204811029U (zh) 一种用于收获机的吸风排杂切碎装置
CN108353614A (zh) 一种高秆作物刈割搂草设备
US20240172591A1 (en) Self-propelled harvester
CN217905189U (zh) 一种玉米收获机传动系统及玉米收获机
CN219182114U (zh) 一种用于割台的双排链喂入结构
CN217389452U (zh) 一种用于玉米收获机的自动脱粒设备
CN2391410Y (zh) 一种割前脱联合收割机摘脱割台
US20230046458A1 (en) System for harvesting the top portions of plants and related agricultural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