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397B1 -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 Google Patents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397B1
KR102307397B1 KR1020190178815A KR20190178815A KR102307397B1 KR 102307397 B1 KR102307397 B1 KR 102307397B1 KR 1020190178815 A KR1020190178815 A KR 1020190178815A KR 20190178815 A KR20190178815 A KR 20190178815A KR 102307397 B1 KR102307397 B1 KR 10230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hat
headband body
awning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598A (ko
Inventor
성진아
Original Assignee
성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아 filed Critical 성진아
Priority to KR102019017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6Hats; Caps; Hoods convertible or adaptable for uses other than as headgea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5Peaks or visors extendable, e.g.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차양 모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에 관한 것으로, 원호형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분리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머리띠 몸체와;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접혀져 보관되며 머리띠 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는 절첩식 모자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Hair band usable sun visor}
본 발명은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하여 머리띠나 차양 모자로 사용할 수 있는 머리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띠는 머리나 이마 또는 앞머리에 쓰는 장신구로서 머리카락을 얼굴이나 눈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시키데 사용하는 것으로, 고무재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차양을 겸할 수 있는 모자들이나 머리띠들이 알려져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차양 모자를 겸할 수 있는 모자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6437호의 "머리띠 겸용 가변형 모자"(이하, "종래의 모자"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모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N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둘레에는 착탈식의 차양부(3)가 이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차양장착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둘레에는 착탈식의 덮개부(4)가 이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덮개 장착부(22)가 형성되는 모자테부(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부(3)는 후방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장착부(21)에 단추공(331)들과 똑딱단추(331')들을 통해 연결되는 착탈식 연결테(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양부(3)를 구성하는 연결테(33)의 전방은, 중앙이 분리되고 후방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주름이나 절첩선(31)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분리되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양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차양부를 차양 장착부에서 이탈시킨 다음 차양부를 단추공들과 똑닥단추들의 연결을 통해 고정한 후 차양부의 양측을 펼쳐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모자의 차양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분리된 차양부를 모자테부에 고정해야 함으로써 차양부의 사용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모자의 차양부를 펼쳐 사용할 경우에는, 차양부의 절첩선들이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게 절곡됨으로써 차양부의 외관이 심플하지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차양 모자를 겸할 수 있는 머리띠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7540호의 "머리띠"(이하, "종래의 머리띠"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머리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수단에 의하여 머리띠몸체(10)에 수용되는 차양막(20)을 구비하고, 양측단이 머리띠몸체(10)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수용수단(12)에 의하여 머리띠몸체(10)에 수용된 차양막(20)을 구속하여 전개시키는 전개구(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머리띠는 머리띠 몸체의 외측 둘레에 차양막을 구비하고, 차양막의 외측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되는 전개구를 필수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머리띠는 구성품이 많아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머리띠는 머리띠몸체의 외측에 차양막과 전개구를 적층함에 따라 머리띠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짐으로써 머리띠의 착용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6437호 "머리띠 겸용 가변형 모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7540호 "머리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차양 모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홈부들이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게 함에 따라, 다수의 절곡홈부가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띠 몸체를 이마나 앞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를 전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띠 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첩식 모자챙부의 돌출 길이를 줄여 일반 모자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는 원호형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분리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머리띠 몸체와;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접혀져 보관되며 머리띠 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는 절첩식 모자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의 상기 접첩식 모자챙부는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 둘레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후방 절곡홈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면에 마주보게 접혀지는 좌우 방향으로 긴 후방 절곡판과, 상기 후방 절곡판의 전방에 다수의 횡방향 절곡홈부의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서로 포개지게 절첩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절접 차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의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는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 중앙에 중앙 절곡홈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면 마주보게 접혀지는 좌우 방향으로 긴 후방 절곡판과, 상기 후방 절곡판의 전방에 다수의 횡방향 절곡홈부의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서로 포개지게 절첩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절첩 차양판과, 상기 후방 절곡판의 후방 단부의 양측에 측 절곡홈부에 의해 각각 연결 형성되고 내측의 전후방의 폭이 좁고 외측으로 가면서 전후방의 폭이 확장되는 양측의 후방 돌출 절곡판과, 상기 머리띠 몸체의 양측 단부의 전방이나 후방에 양측의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의 후방 외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모자챙부의 사용이 편리한 머리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홈부들이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게 함에 따라, 다수의 절곡홈부가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첩식 모자챙부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의 외관을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띠 몸체를 이마나 앞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를 전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마나 앞머리에 착용하는 차양 모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띠 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첩식 모자챙부의 돌출 길이를 줄여 일반 모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a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차양 모자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e는 차량 모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에서 모자챙부를 일부만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차양 모자로 펼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차양 모자로 완전히 펼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3e는 차양 모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모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머리띠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에서 모자챙부를 일부만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는 머리를 감사며 밀착되는 머리띠 몸체(1)와, 상기 머리띠 몸체(1)의 전방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절첩식 모자챙부(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띠 몸체(1)는 머리를 구성하는 머리의 중앙이나 이마 또는 앞머리를 감싸며 밀착되는 것으로, 원호형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분리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머리띠 몸체(1)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상기 머리띠 몸체(1)의 전방 둘레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후방 절곡홈부(G1)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면에 마주보게 접혀져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후방 절곡판(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상기 후방 절곡판(21)의 전방에 다수의 횡방향 절곡홈부(G2)의 의해 연결되고 서로 포개지게 절첩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절첩 차양판(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펼쳐진 상태에서 모자챙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머리띠 몸체(1)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후방의 양측 폭이 넓고 전방으로 가면서 양측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의 전방에는 모자챙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라운드부(R)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머리띠 몸체(1)와 절첩식 모자챙부(2)는 사출 성형을 통해 함께 제조할 수 있도록 유동성과 탄성 복원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후방 절곡홈부(G1)와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은 절첩식 모자챙부(2)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모두가 형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하부에 모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태양광을 차단하면서 전방을 볼 수 있도록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를 머리띠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절첩식 모자챙부(2)의 절첩 차양판(22)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절곡홈부(G2)들과 후방 절곡판(21)과 머리띠 몸체(1)를 연결하는 후방 절곡홈부(G1)를 절곡하여, 후방 절곡판(21)을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시키고 후방 절곡판(21)의 내측에 다수의 절첩 차양판(22)(26)들을 포개지게 적층시킴으로써, 절첩식 모자챙부(2)를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접어 보관한다.
그런 다음 내측 둘레에 절첩식 모자챙부(2)가 접혀져 보관된 머리띠 몸체(1)를 머리의 중앙이나 이마 또는 앞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띠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머리띠를 차양 모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2)의 절첩 차양판(22)들을 하나씩 전방으로 펼치고 최종적으로 후방 절곡판(21)을 머리띠 몸체(1)의 전방으로 펼친 다음, 머리띠 몸체(1)를 머리에 착용하여 전방으로 펼쳐진 절첩식 모자챙부(2)가 얼굴의 상부를 가리게 함으로써 차양 모자로 사용(도 1의 1점쇄선 참조)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머리띠를 차양 모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단순히 제일 전방의이 절첩 차양판(22)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당기는 과정만을 통해 절첩식 모자챙부(2)를 전방으로 간단히 펼쳐 차양 모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2)를 단순히 펼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첩식 모자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머리띠 몸체(1)가 원호형으로 항상 복원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후방 절곡판(21)과 절첩 차양판(22)들이 원호형의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후방 절곡홈부(G1)와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절첩식 모자챙부(2)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에 형성된 상기 후방 절곡홈부(G1)와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머리띠 몸체(1)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좌우 방향의 원호형으로 펼쳐지게 됨에 따라, 상기 후방 절곡홈부(G1)와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절첩식 모자챙부(2)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의 외관을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머리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띠 몸체(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절첩식 모자챙부(2)의 돌출 길이를 줄임에 따라 모자챙이 짧은 일반 모자로도 사용(도 2의 1점쇄선 참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는 제1 실시예의 머리띠를 구성하는 절첩식 모자챙부(2)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머리띠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구성하는 절첩식 모자챙부(2)는 상기 머리띠 몸체(1)의 전방 중앙에 중앙 절곡홈부(G3)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면에 마주보게 접혀져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후방 절곡판(25)과, 상기 후방 절곡판(25)의 전방에 다수의 횡방향 절곡홈부(G2)에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서로 포개지게 절첩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절첩 차양판(26)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구성하는 절첩식 모자챙부(2)는 상기 후방 절곡판(25)의 후방 단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긴 측 절곡홈부(G4)에 의해 각각 연결 형성되고 내측의 전후방의 폭이 좁고 외측으로 가면서 전후방의 폭이 확장되는 양측의 후방 돌출 절곡판(27)과, 상기 머리띠 몸체(1)의 양측 단부의 전방이나 후방에 양측의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27)의 후방 외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28)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28)은 머리띠 몸체(1)의 단부의 전방이나 후방에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27)의 후방 외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단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전,후방 조립홀(281)(282)과,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27)의 후방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조립홀(281)(28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 돌출부(28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펼쳐진 상태에서 모자챙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머리띠 몸체(1)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후방의 양측 폭이 넓고 전방으로 가면서 양측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전방에는 라운드부(R)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머리띠 몸체(1)와 절첩식 모자챙부(2)는 사출 성형을 통해 함께 제조할 수 있도록 유동성과 탄성 복원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중앙 절곡홈부(G3)와 후방 양측의 측 절곡홈부(G4) 및 횡방향 절곡홈부(G2)는 절첩식 모자챙부(2)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모두가 형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하부에 모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2)는 태양광은 차단하면서 전방을 볼 수 있도록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머리띠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머리띠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절첩식 모자챙부(2)를 구성하는 양측의 후방 돌출 절곡판(27)에 구비된 연결 돌출부(283)를 머리띠 몸체(1)의 양측 단부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조립홀(282)에 관통시켜 조립한다.
다음 후방 절곡판(25) 및 절첩 차양판(26)들을 절곡시켜, 양측의 후방 돌출 절곡판(27)을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시키고, 후방 절곡판(25)을 상기 머리띠 몸체(1)의 내측에 밀착시키고 후방 절곡판(25)의 내측에 다수의 절첩 차양판(26)들을 포개지게 적층시킴으로써, 절첩식 모자챙부(2)를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접어 보관한다.
그런 다음 내측 둘레에 절첩식 모자챙부(2)가 접혀져 보관된 머리띠 몸체(1)을 머리의 중앙이나 이마 또는 앞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띠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머리띠를 차양 모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 몸체(1)의 내측 둘레에 접혀져 보관된 절첩식 모자챙부(2)의 절첩 차양판(26)들을 하나씩 전방으로 펼치고 후방 절곡판(25)을 머리띠 몸체(1)의 전방으로 펼친다.
다음 상기 후방 절곡판(25)의 후방 단부의 양측에 연결된 각 후방 돌출 절곡판(27)의 연결 돌출부(283)를 상기 후방 조립홀(282)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머리띠 몸체(1)를 경사지게 세우고, 이런 상태에서 양측 후방 돌출 절곡판(27)의 후방 외측에 구비된 연결 돌출부(283)를 머리띠 몸체(1)의 양측 단부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조립홀(281)에 관통시켜 조립함으로써, 상기 머리띠 몸체(1)의 세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머리띠 몸체(1)를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의 머리띠를 이마나 앞머리에 차용하면, 경사지게 세워 머리띠 몸체(1)가 이마나 앞머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머리띠 몸체(1)를 이마나 앞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를 전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머리띠를 이마나 앞머리에 착용하는 차양 모자로도 사용(도 3의 1점쇄선 참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첩식 모자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머리띠 몸체(1)가 원호형으로 항상 복원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후방 절곡판(21)과 후방 돌출 절곡판(27)들 및 절첩 차양판(26)들이 원호형의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중앙 절곡홈부(G3)와 측 절곡홈부(G4)들 및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절첩식 모자챙부(2)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에 형성된 중앙 절곡홈부(G3)와 후방 양측의 측 절곡홈부(G4) 및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머리띠 몸체(1)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좌우 방향의 원호형으로 펼쳐지게 됨에 따라, 상기 중앙 절곡홈부(G1)와 측 절곡홈부(G4)들 및 횡방향 절곡홈부(G2)들이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첩식 모자챙부(2)를 펼친 상태에서 절첩식 모자챙부(2)의 외관을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머리띠 몸체
2 : 절첩식 모자챙부
21 : 후방 절곡판
22 : 절첩 차양판
25 : 후방 절곡판
26 : 절첩 차양판
27 : 후방 돌출 절곡판
28 : 연결수단
281 : 전방 조립홀, 282 : 후방 조립홀, 283 : 연결 돌출부
R : 라운드부
G1 : 후방 절곡홈부
G2 : 횡방향 절곡홈부
G3 : 중앙 절곡홈부
G4 : 측 절곡홈부

Claims (7)

  1. 원호형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분리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머리띠 몸체와;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접혀져 보관되며 머리띠 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펼쳐지는 절첩식 모자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는
    상기 머리띠 몸체의 전방 중앙에 중앙 절곡홈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면 마주보게 접혀지는 좌우 방향으로 긴 후방 절곡판과,
    상기 후방 절곡판의 전방에 다수의 횡방향 절곡홈부의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서로 포개지게 절첩되어 상기 머리띠 몸체의 내측 둘레에 보관되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절첩 차양판과,
    상기 후방 절곡판의 후방 단부의 양측에 측 절곡홈부에 의해 각각 연결 형성되고 내측의 전후방의 폭이 좁고 외측으로 가면서 전후방의 폭이 확장되는 양측의 후방 돌출 절곡판과,
    상기 머리띠 몸체의 양측 단부의 전방이나 후방에 양측의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의 후방 외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머리띠 몸체의 단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전,후방 조립홀과,
    상기 후방 돌출 절곡판의 후방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조립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는 머리띠 몸체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후방의 양측 폭이 넓고 전방으로 가면서 양측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의 전방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 몸체와 절첩식 모자챙부는 유동성과 탄성 복원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모자챙부는 태양광은 차단하면서 전방을 볼 수 있도록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KR1020190178815A 2019-12-31 2019-12-31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KR10230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15A KR102307397B1 (ko) 2019-12-31 2019-12-31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15A KR102307397B1 (ko) 2019-12-31 2019-12-31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98A KR20210085598A (ko) 2021-07-08
KR102307397B1 true KR102307397B1 (ko) 2021-10-01

Family

ID=7689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15A KR102307397B1 (ko) 2019-12-31 2019-12-31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31Y1 (ko) 1999-07-26 2000-02-15 박종화 차광모자
KR200187540Y1 (ko) * 1999-12-31 2000-07-15 이은정 머리띠
KR200252778Y1 (ko) 2001-05-18 2001-11-16 노명진 착탈가변식 차양과 개폐식 통풍구가 있는 안전모자
KR200390272Y1 (ko) 2005-04-15 2005-07-22 경기관광공사 접철식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9275A1 (en) 1990-11-30 1992-06-11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Quick release coated preparation
KR970006437A (ko) 1995-07-20 1997-02-21 정웅기 고온 보호코팅용 복합재
KR970006437Y1 (ko) * 1995-09-05 1997-06-24 임영환 머리띠 겸용 가변형 모자
KR20100051762A (ko) * 2008-11-08 2010-05-18 오휘진 신축식 썬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31Y1 (ko) 1999-07-26 2000-02-15 박종화 차광모자
KR200187540Y1 (ko) * 1999-12-31 2000-07-15 이은정 머리띠
KR200252778Y1 (ko) 2001-05-18 2001-11-16 노명진 착탈가변식 차양과 개폐식 통풍구가 있는 안전모자
KR200390272Y1 (ko) 2005-04-15 2005-07-22 경기관광공사 접철식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98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645A (en) Sunshade cap with a double layer visor
US4326301A (en) Collapsible sunshade
KR101046695B1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TW201343094A (zh) 摺疊安全帽
KR20010069243A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20110083251A1 (en) Hat construction
KR20030080952A (ko) 모자우산 및 그 제조방법
KR970000467Y1 (ko) 접을 수 있는 머리띠
WO2003077694A1 (en) Collapsible headgear
KR100566488B1 (ko) 모자
KR102307397B1 (ko) 차양 모자로 사용이 가능한 머리띠
US4682373A (en) Collapsible hat construction
US4080665A (en) Combination tennis racket cover and cap or hat
KR200327114Y1 (ko) 보조 모자챙
JPH1150321A (ja) 帽 子
KR200188845Y1 (ko) 보조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
CN213848985U (zh) 遮阳帽
KR0127887Y1 (ko) 접철식 휴대용 모자
KR200206303Y1 (ko) 차광 모자
KR200339833Y1 (ko) 모자챙
KR200180283Y1 (ko) 자외선 차단 모자
KR200188858Y1 (ko) 보조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
KR200167874Y1 (ko) 접히는모자
KR20160137088A (ko) 모자용 챙심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220002902U (ko) 접이식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