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341B1 -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 Google Patents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341B1
KR102307341B1 KR1020200048308A KR20200048308A KR102307341B1 KR 102307341 B1 KR102307341 B1 KR 102307341B1 KR 1020200048308 A KR1020200048308 A KR 1020200048308A KR 20200048308 A KR20200048308 A KR 20200048308A KR 102307341 B1 KR102307341 B1 KR 10230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displacement
lower flange
upper plate
ste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omprises: a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a support iron plate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and on which the support sheet is installed; and constraint parts made in the shape of L with the right angle on upper right side, L, and U. Through the constraint parts, the displacement permissible space forms a horizontal gap in the steel member.

Description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본 발명은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속부를 통해 철골 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변위 및 지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의 발생을 억제시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absorbing displacement and seismic displac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of a steel frame member through the restraint portion, i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n additional loa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nd thus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that can improve structural integrity.

건축물 내부에는 주요 층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그레이팅 및 중요기기 등을 지지하기 위한 철골 부재가 설치된다. 중요 건축물의 경우 지진이나 온도하중을 설계에 반영하여 철골 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Steel frame members ar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o support concrete slabs, gratings, and important equipment constituting the main floor. In the case of important buildings, steel members are installed by reflecting earthquakes or temperature loads in the design.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철골 부재가 열팽창 되면서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지진에 의한 변위가 발생함에 따라 추가적인 하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When a fire occurs inside a building, the steel frame members thermally expand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emperature inside the building, and additional loads may occur due to displacement.

종래의 건축물은 이와 같은 변위에 의한 추가적인 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골 부재의 한쪽 단부에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철골 부재의 접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onventional buildings are designed to absorb displacement at one end of the steel member in order to prevent an additional load from occurring due to such displacement. Figure 1 (a) and Figure 1 (b) is a view showing the conventional joining of the steel member.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지진 발생 시 지진에 의한 상향력(Uplift force)에 저항하기 위해 철골 부재(10)는 지지 시트(20)에 연결 볼트(40)로 체결된다. 상기 지지 시트(20)는 지지 철판(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10)는 상기 지지 철판(30)과 일정한 간격(50)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지지 시트(20) 상부에 배치된다. 1 (a) and 1 (b), in order to resist the uplift force caused by the earthquake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steel member 10 is fastened to the support sheet 20 with a connection bolt 40 do. The support sheet 20 can support the steel member 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iron plate 30 , and the steel member 10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iron plate 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50 . It is disposed on the support sheet 20 .

상기 철골 부재(10)는 변위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지지 시트(20)에 슬라이딩 접합되는데, 상기 지지 시트(20)에는 상기 연결 볼트(40)가 끼워질 수 있는 볼트홀(21)이 구비되며, 상기 철골 부재(10)의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볼트홀(21)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 볼트(40)가 끼워질 수 있는 슬로트홀(11)이 구비된다. The steel member 10 is slidingly joined to the support sheet 20 to absorb displacement, and the support sheet 20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21 into which the connection bolt 40 can be fitted,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slot hole 11 into which the connection bolt 40 can be fitted while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lt hole 21 .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볼트(40)를 통해 상기 철골 부재(10)를 상기 지지 시트(20)에 슬라이딩 접합시키기 위해, 상기 슬로트홀(11)의 크기를 상기 볼트홀(21) 및 상기 연결 볼트(40)의 머리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b ), in order to slide the steel member 10 to the support sheet 20 through the connection bolt 40 , the size of the slot hole 11 is determined by the bolt hole 21 . ) and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connecting bolt 40 .

이와 같이 상기 슬로트홀(11)의 크기를 상기 볼트홀(21) 및 상기 연결 볼트(40)의 머리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철골 부재(10)의 축방향 변위를 수용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골 부재의 접합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size of the slot hole 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bolt hole 21 and the connection bolt 40, it can be designed to accommodate the axial displacement of the steel member 10. .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joining a steel frame memb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슬로트홀(11)을 통해 상기 철골 부재(10)의 축방향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에 위치해야지만, 양측의 여분 공간을 통해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modate the axial displacement of the steel member 10 through the slot hole 11 , the connection bolt 40 should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lot hole 11 . (The connection bolt 40 sh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lot hole 11, but displacement can be absorbed through the extra space on both sides.)

그러나 건축물 시공 당시 철골 부재의 오제작이나 부적합한 시공, 건축물의 노후화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에 치우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mismanufacturing or improper construction of steel members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etc., the connection bolt 40 is biased toward the edg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slot hole 11. There is a problem.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가장자리로 치우지게 되면, 지진에 의한 변위나 온도 상승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이 없어짐에 따라 설계 의도와 다르게 변위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변위를 흡수할 수 없게 되면 지진이나 온도 상승에 의해 추가 하중이 발생하면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connecting bolt 40 is moved to the edge of the slot hole 11, there is no extra space that can absorb displacement caused by earthquakes or displacement caused by temperature rise, so that displacement can be absorbed differently from the design intention. it won't be possible If the displacement cannot be absorbed in this way, an additional load is generated due to an earthquake or a temperature rise, and there is a problem affect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속부를 통해 철골 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변위 및 지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의 발생을 억제 시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by absorbing displacement and seismic displac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of a steel frame member through a restraint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n additional loa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restraining device for a steel joint that can absorb possible displacement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가 구비된 철골 부재;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판이 구비된 지지 시트;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평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It includes; first constraint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lange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wherein the first restraint portion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he first restrain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o form a first horizontal g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직갭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onstraint part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rrang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 vertical gap can be form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and the first protru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protrusion It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that becom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welded to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and coupled thereto.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가 구비된 철골 부재;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판이 구비된 지지 시트;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평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and a second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whil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second restraining portion is dispos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second restraining portion includes the uppe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g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판의 하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직갭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vertical gap can be form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and a secon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It may include an extens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 플랜지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weld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frame member and coupled thereto.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웹이 구비된 철골 부재;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판이 구비된 지지 시트;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시트가 설치되는 지지 철판; 상기 지지 철판에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웹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3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구속부는, 상기 웹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3구속부는, 상기 웹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3수평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steel member having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web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flang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a support iron plate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and on which the support sheet is installed; and a third constrain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b whil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supporting iron plate, wherein the third restraint portion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web, the third constraint portion, of the we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to form a third horizontal g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3구속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formed in a 'C' sha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제3구속부는, 상기 지지 철판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restraint portion of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welded to the supporting iron plate and coupled thereto.

본 발명은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속부를 통해 철골 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변위 및 지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의 발생을 억제 시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nd by absorbing displacement and seismic displacement caused by thermal expansion of steel members through the restraint portion,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load due to displacement is suppressed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i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구속부를 포함하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측면도이다.
Figure 1 (a) and Figure 1 (b)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first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first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steel-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first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view of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second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second restrain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steel frame joint including a second restrain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restraint devic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third restraint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including a third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a third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disclosed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d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new components in the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속부를 통해 철골 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변위 및 지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의 발생을 억제시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nd by absorbing displacement and seismic displac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of a steel frame member through the restraint portion,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load due to displacement is suppressed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restraining device for a steel joint that can absorb the displacement that can be mad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철골 부재(110), 지지 시트(120), 구속부(140,150,160)를 포함한다. 2 to 7 ,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frame member 110 , a support sheet 120 , and restraints 140 , 150 , 160 .

상기 철골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111)가 구비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그레이팅, 중요기기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teel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111 made of a plate shape, and can support a concrete slab, a grating, and an important device of a building.

상기 철골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와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웹(112)과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랜지(11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teel member 110 may include the lower flange 111 having a plate shape, a web 112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flange 111 and an upper flange 113 having a plate shape.

상기 하부 플랜지(111)와 상기 상부 플랜지(11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웹(112)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111)와 상기 상부 플랜지(113)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도 3(a)의 가로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3(a)의 세로 방향이 될 수 있다. The lower flange 111 and the upper flange 11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eb 11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lower flange 111 and the upper flange 113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upper flange 113 .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FIG. 3A ,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3A .

상기 철골 부재(11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 상기 웹(112), 상기 상부 플랜지(113)를 포함하는 H형 빔으로 이루어질 있다. 다만, 상기 철골 부재(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부 플랜지(111)가 구비되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그레이팅, 중요기기 등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 The steel member 110 is formed of an H-beam including the lower flange 111 , the web 112 , and the upper flange 113 . However, the steel member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f various structures as long as the lower flange 111 is provided and can support a concrete slab, a grating, an important device, etc. of a building.

상기 지지 시트(12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 시트(12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 시트(120)는 상부판(121)과 보강부(122)를 포함한다. The support sheet 120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110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frame member 110 . The support sheet 120 can support the steel member 110 whil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11 , and the support sheet 120 includes an upper plate 121 and a reinforcing part 122 . include

상기 상부판(121)은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2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하면과 접촉되는 것이다. The upper plate 121 is disposed under the steel frame member 11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110 , and the upper plate 1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lower flange 1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상기 보강부(122)는 상기 상부판(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판(121)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상기 상부판(121)을 지지하는 것이다. The reinforcing part 12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21 ,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121 while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upper plate 121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110 . will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의 상기 철골 부재(110)는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 시트(120)는 빔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 시트(120)는 상기 철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 The steel member 110 of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beam, and the support sheet 120 may be formed of a beam she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sheet 120 may be of various structures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steel member 11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지지 시트(120)의 상부판(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시트(120)가 설치되는 지지 철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121 of the support sheet 120 , and the support plate 130 on which the support sheet 120 is installed. )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지 철판(130)은 상기 지지 시트(120)가 설치되는 매설 철판으로, 상기 지지 철판(130)을 통해 상기 지지 시트(120)는 건축물의 설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iron plate 130 is a buried iron plate on which the support sheet 120 is installed, and the support sheet 120 may be installed at a design position of a building through the support iron plate 130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철판(130)은 상기 상부판(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21)의 일측과 상기 보강부(122)의 일측이 상기 지지 철판(1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 시트(120)가 상기 지지 철판(130)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may exte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121 , and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21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rt 122 are the supporting iron plates. While being coupled to 130 , the support shee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iron plate 13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철골 부재(110), 상기 지지 시트(120), 상기 지지 철판(130)을 포함하는 구조에,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제1구속부(140), 제2구속부(150), 제3구속부(160)를 사용하여 지지 변위 및 열팽창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shapes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steel frame member 110 , the support sheet 120 , and the support iron plate 130 .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support displacement and thermal expansion by using the first constraining portion 140, the second restraining portion 150, and the third restraining portion 160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이하에서는, 상기 제1구속부(140), 상기 제2구속부(150), 상기 제3구속부(16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구속부(140), 상기 제2구속부(150), 상기 제3구속부(160)는 서로 다른 형태의 구성일 수 있으나, 후술할 설명에서 상기 철골 부재(110), 상기 지지 시트(120), 상기 지지 철판(130)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first constraining unit 140 , the second constraining unit 150 , and the third constrain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constraining unit 140 , the second constraining unit 150 , and the third constraining unit 160 may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steel member 110 and the support sheet (120), the support iron plate 13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철골 부재(110), 상기 지지 시트(120), 상기 지지 철판(13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는바, 후술할 설명에서는 상기 철골 부재(110), 상기 지지 시트(120), 상기 지지 철판(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steel member 110, the support sheet 120, and the support iron plate 13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steel member 110, the support sheet 120, and the support iron plate ( 130) will be omitted.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지지 시트(120)의 상부판(121)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2, 3 (a) and 3 (b),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upwardly protrudes from the upper plate 121 of the support sheet 120 and is formed of the lower flange 111. It will be provided on both sides.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양측 하부를 구속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양측 하부를 구속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constraint 14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lange 111 to constrain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teel member 110 , and the first constraint 140 is the steel member 110 . ) while allowing the displacement, it is possible to constrain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teel member 110 .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측면(111a)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측면(111a)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측면(111a)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평갭(143)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111a of the lower flange 111 . In this case, the first constraining part 14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111a of the lower flange 111 , and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111a of the lower flange 111 . is disposed to form a first horizontal gap 143 .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측면(111a)과 함께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면(111b)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면(111b)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면(111b)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직갭(144)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straining portion 14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lower flange 111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 111a of the lower flange 111 . In this case, the first constraining part 14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lower flange 111 , and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lower flange 111 . is disposed to form a first vertical gap 144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구속부(14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지지 시트(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구속부(140)는 제1돌출부(141)와 제1연장부(14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is coupled to the support sheet 120 while being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first restraining part 140 )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41 and a first extension 142 .

상기 제1돌출부(141)는 상기 지지 시트(120)의 상부판(121)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1연장부(142)는 상기 제1돌출부(141)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향 방향은 도 3(a)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이며, 수평 방향은 도 3(a)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41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of the support sheet 120 , and the first extension 142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first protrusion 141 . Here, the upward direction may be an upward direction of FIG. 3A ,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of FIG. 3A .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제1돌출부(141)와 상기 제1연장부(142)를 통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양측 하부를 구속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constraint 140 may be formed in a 'L' shape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141 and the first extension 142, and through this, the first constraint 140 is formed by the steel frame. While all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member 110 , it is possible to restrain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teel member 110 .

상기 제1구속부(140)는 상기 지지 시트(120)의 상부판(121)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구속부(140)의 상기 제1돌출부(141)의 하부가 상기 상부판(121)에 용접될 수 있다. The first restraint portion 140 may be welded to the upper plate 121 of the support sheet 120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41 of the first restraint portion 140 is the It may be welded to the upper plate 12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제1구속부(140) 대신 상기 제2구속부(150)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2구속부(15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econd restraint part 150 instead of the first restraint part 140, and the second restraint part 150 is It can be made in the shape of an 'B'.

구체적으로, 도 4,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판(121)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5 (a) and 5 (b),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1 whil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111 . will become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하부에서부터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상부판(121)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구속부(150)를 통해 상기 철골 부재(110)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폭은 상기 상부판(121)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15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1 whil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110 , and the steel frame member 110 through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150 .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teel member 110 while all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Here,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111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121).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측면(121a)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측면(121a)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측면(121a)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평갭(153)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121a of the upper plate 121 . At this time, the second constraining part 15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121a of the upper plate 121 , and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121a of the upper plate 121 . and disposed to form a second horizontal gap 153 .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측면(121a)과 함께 상기 상부판(121)의 하면(121b)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하면(121b)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상부판(121)의 하면(121b)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직갭(154)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121b of the upper plate 121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 121a of the upper plate 121 . At this time,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121b of the upper plate 121 , and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121b of the upper plate 121 . and disposed to form a second vertical gap 154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구속부(15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구속부(150)는 제2돌출부(151)와 제2연장부(15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coupled to the lower flange 111 while being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151 and a second extension 152 .

상기 제2돌출부(151)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하면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연장부(152)는 상기 제2돌출부(151)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향 방향은 도 5(a)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며, 수평 방향은 도 5(a)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15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11 , and the second extension 152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protrusion 151 . Here,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f FIG. 5A ,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of FIG. 5A .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제2돌출부(151)와 상기 제2연장부(152)를 통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econd constraining part 150 may be formed in an 'L' shape through the second protruding part 151 and the second extending part 152, and through this, the second restraining part 150 is formed by the steel frame. While allowing displacement of the member 110 ,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teel member 110 .

상기 제2구속부(150)는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구속부(150)의 상기 제2돌출부(151)의 상부가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하면에 용접될 수 있다.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150 may be welded to the lower flange 111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51 of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150 is the lower flange 111 . It can be welded to the under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제1구속부(140), 상기 제2구속부(150) 대신 제3구속부(160)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3구속부(16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hird restraint portion 160 instead of the first restraint portion 140 and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150, The third constraint 160 may be formed in a 'C' shape.

구체적으로, 도 6,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지지 철판(130)에서부터 수평 돌출되면서 상기 웹(112)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6, 7 ( a ), and 7 ( b ), the third restraining part 16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b 112 while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 will be.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철골 부재(110)의 상기 웹(112)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3구속부(160)를 통해 상기 철골 부재(110)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철골 부재(110)의 상기 웹(112)의 양측을 구속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hird constraint 16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eb 112 of the steel frame member 110 , while allowing displacement of the steel frame member 110 through the third constraining unit 160 . It is possible to restrain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web 112 of the steel member 110 .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웹(112)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웹(112)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웹(112)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3수평갭(16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restraining part 16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web 112 . At this time, the third constraining part 16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web 112 , and the third constraining part 160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web 112 to a third horizontal gap ( 161) can be formed.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웹(112)의 측면과 함께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면(111b)을 감싸도록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third restraining portion 16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flange 111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lower flange 111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eb 112 .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3구속부(16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지지 철판(130)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지지 철판(130)에서 수평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 철판(1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웹(112)의 양측과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상면을 감쌀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7A and 7B , the third restraining part 160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while being formed in a 'C' shape. That is, the third restraining part 160 may cover both sides of the web 1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11 while being coupled to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so as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 there will be

상기 제3구속부(160)는 상기 지지 철판(13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3구속부(160)의 일측면이 상기 지지 철판(13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constraint 160 may be welded to and coupled to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 Referring to FIG. 7( b ), one side of the third constraining unit 160 is the supporting iron plate 130 . ) can be welded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연결 볼트(40)를 통해 상기 철골 부재(10)를 상기 지지 시트(20)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10)를 슬라이딩 접합시키기 위해 상기 슬로트홀(11)의 크기를 상기 볼트홀(21) 및 상기 연결 볼트(40)의 머리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1 (a) and 1 (b), the conventional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is to connect the steel member 10 to the support sheet 20 through the connection bolt 40, the The size of the slot hole 11 wa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bolt hole 21 and the connecting bolt 40 in order to slidingly join the steel member 10 .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상기 슬로트홀(11)의 크기를 상기 볼트홀(21) 및 상기 연결 볼트(40)의 머리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면서 변위 허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변위를 흡수하였다. Conventional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while forming the size of the slot hole 11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bolt hole 21 and the connection bolt 40, it is possible to form a displacement allowable space, through which the displacement was absorbed.

그러나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에서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물 시공 당시 철골 부재의 오제작이나 부적합한 시공, 건축물의 노후화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에 치우치게 되면,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를 통해 변위를 흡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상기 연결 볼트(40)가 상기 슬로트홀(11)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에 치우치게 되면 변위를 흡수할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Displacement can be absorbed when the connection bolt 4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lot hole 11 in the conventional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However, when the connection bolt 40 is biased to the edg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slot hole 11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mismanufacturing or inappropriate construc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the conventional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cement cannot be absorbed through the .

이와 같이 종래의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를 통해 변위를 흡수할 수 없게 되면 지진이나 온도 상승에 의해 추가 하중이 발생하면서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displacement cannot be absorbed through the conventional restraining device for steel-frame joints, additional loads are generated due to earthquakes or temperature rise, and there is a problem affect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슬로트홀(11)과 볼트홀(21)을 사용하지 않고, 'ㄱ'자, 'ㄴ'자,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구속부(140,150,160)을 통해 철골 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변위 및 지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하중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slot hole 11 and the bolt hole 21,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 and 'c'. By absorbing displacement and seismic displace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steel member through the restraints 140 , 150 , 160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n additional loa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uilding.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연결 볼트(40)가 슬로트홀(11)의 가장자리로 치우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 요인에 의해 건축물의 구조 건전성이 영향을 받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bolt 40 is moved to the edge of the slot hole 11, s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caused by external facto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problems where sanity is affected.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철골 부재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철골 부재의 접합부를 구속하는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진 및 건축물의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철골 부재의 지진 변위와 열팽창에 의해 변위를 흡수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다.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raint device for restraining the joint of the steel member while all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steel member, and earthquakes and earthquakes of steel members caused by fires in buildings It can be used in various structures where there is a need to absorb displacement by displacement and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형 건축 시설 및 플랜트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nuclear power pl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arge construction facilities and plant faciliti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철골 부재 111...하부 플랜지
112...웹 113...상부 플랜지
120...지지 시트 121...상부판
122...보강부 130....지지 철판
140...제1구속부 141...제1돌출부
142...제1연장부 143...제1수평갭
144...제1수직갭 150...제2구속부
151...제2돌출부 152...제2연장부
153...제2수평갭 154...제2수직갭
160...제3구속부 161...제3수평갭
110...Steel member 111...Lower flange
112...web 113...upper flange
120...support sheet 121...top plate
122...reinforcement 130....supporting iron plate
140...first restraining part 141...first protrusion
142...First extension 143...First horizontal gap
144...First vertical gap 150...Second constraint part
151...Second projection 152...Second extension
153...Second horizontal gap 154...Second vertical gap
160...Third constraint part 161...Third horizontal gap

Claims (11)

철골 부재의 접합부를 구속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가 구비된 철골 부재;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판이 구비된 지지 시트;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평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In the device for restraining the joint of the steel member,
a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It includes; a first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lange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The first constrain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he first restraint portion,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o form a first horizontal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1수직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strain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o form a first vertical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straint part,
A steel-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omprising: a first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and a first extension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first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지지 시트의 상부판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straint part,
A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elded to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sheet.
철골 부재의 접합부를 구속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가 구비된 철골 부재;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판이 구비된 지지 시트;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측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평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In the device for restraining the joint of the steel member,
a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formed in a plate shape;
a support sheet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steel member;
It includes; a second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whil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second restraint portion,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form a second horizontal ga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상부판의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판의 하면과 이격되면서 배치되어 제2수직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straint part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steel frame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form a second vertical ga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straint part,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protrus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 플랜지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철골접합부 구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straint part,
A steel joint restraint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eld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48308A 2020-04-21 2020-04-21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KR1023073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308A KR102307341B1 (en) 2020-04-21 2020-04-21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308A KR102307341B1 (en) 2020-04-21 2020-04-21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341B1 true KR102307341B1 (en) 2021-09-30

Family

ID=7792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308A KR102307341B1 (en) 2020-04-21 2020-04-21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4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74A (en) * 1995-10-09 1997-04-15 Taisei Corp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and steel frame beam
JP2002364068A (en) * 2001-04-06 2002-12-18 Nippon Steel Corp Vibration control mechanism for beam-column joint of steel structure
JP2011127397A (en) * 2009-12-21 2011-06-30 Shimizu Corp Vibration control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74A (en) * 1995-10-09 1997-04-15 Taisei Corp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and steel frame beam
JP2002364068A (en) * 2001-04-06 2002-12-18 Nippon Steel Corp Vibration control mechanism for beam-column joint of steel structure
JP2011127397A (en) * 2009-12-21 2011-06-30 Shimizu Corp Vibration contro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540B1 (en) Hybrid jaw and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hybrid jaw
KR101240380B1 (en) The friction damper for the earthquake-proof
JP2011063390A (en) Truss support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JP5908688B2 (en) Exposed-type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
KR102307341B1 (en) Steel joint restriction device capable of absorbing displacement
JP6126932B2 (en) Function-separate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for bridges
KR101895448B1 (en) Anchor bolt fixing device for wall form supporter
KR102138606B1 (en) Damping device having anti-buckling function
KR20090112512A (en) Wedge type shear key
JP2002173989A (en) Groove cover device for use around base isolation building
KR101796207B1 (en) Steel coulmn connecting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quake-resistant
JP3246318B2 (en) Curtain wall mounting structure
JP4285427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uildings
KR101824790B1 (en) Concrete reinfored structure and aseismic damping system with the same
JP3551993B2 (en) Excessive deformation prevention device for seismic isolation building
JP2011256598A (en) Concrete wall mounting structure
JP2006016910A (en) Apparatus installing structure in clean room
JP3223807B2 (en) How to connect PC slab
JP2019157593A (en) Support structure of ceiling surface material, and unit building
JP7362534B2 (en) energy absorbing material
JP7010466B2 (en) Fireproof structure of steel beam
KR102563033B1 (en) Exterior material supporting structure
KR102620792B1 (en) Composite Column Structure With Improved Workability
KR102520701B1 (en) Formwork Structure for Forming Expansion Joints
KR102300605B1 (en) Seismic resistance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down of masonry partition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