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266B1 -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266B1
KR102307266B1 KR1020210040092A KR20210040092A KR102307266B1 KR 102307266 B1 KR102307266 B1 KR 102307266B1 KR 1020210040092 A KR1020210040092 A KR 1020210040092A KR 20210040092 A KR20210040092 A KR 20210040092A KR 102307266 B1 KR102307266 B1 KR 10230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amount
generation system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현
Original Assignee
장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현 filed Critical 장광현
Priority to KR102021004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1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fossil origin, e.g. diese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이 연계된 복합발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후조건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되는 재생발전시스템; 및 발전량의 인위적 조절이 가능한 연료발전시스템;을 포함하고, 재생발전시스템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적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된 복수의 블록; 및 각 블록 내에 배치된 복수의 재생발전원그룹;을 포함하고, 연료발전시스템은,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재생발전시스템의 예상 발전량을 반영해 발전량이 결정되도록 형성되고, 각 블록 내 상기 각 재생발전원그룹의 예상 발전량은, 단위시간동안 특정 블록 내 특정 재생발전원그룹 내 실시간 발전량을 측정하는 단계;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과거 발전량을 통해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로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단위용량당 발전량과 기준범위를 비교하고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해 결정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COMPLEX POWER GENERATION SYSTEM COMBINED WITH RENEWABLE ENERGY 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FUEL 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TO REDUCE SURPLUS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발전량의 변동이 큰 재생에너지 기반의 발전시스템과, 발전량의 인위적인 조절이 가능한 연료 기반의 발전시스템이 연계된 복합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나 원자력을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로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가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자원 고갈의 염려가 없고 무공해 재생이 가능한 이점들이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낮아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그 실용성이 적고, 기후에 따른 발전량 변동이 심해 안정적인 전력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경우 재생에너지는 기존 화력, 원자력 등을 보조하는 보조발전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발전시스템은 발전량의 인위적인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연료에너지에 기반한 발전시스템에서 충분한 여유치를 두고 발전량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발전시스템 내에서는 불필요한 잉여전력이 상당량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자원이나 에너지 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좋지 않다. 또한 재생에너지 기반의 발전량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지나치게 복잡한 수학적 모델링 기법이나 기상 예측 시스템 등에 기초하여 도입에 상당한 비용이 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측 정확도 또한 높지 않다. 이에 따라 중소규모의 발전단지 등에서는 거의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등록특허 제10-2225611호(2021.03.03. 등록) 등록특허 제10-1243896호(2013.03.08. 등록)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구축 가능하면서도 전체 에너지 생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발전시스템 및 연료 기반의 발전시스템이 연계된 복합발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후조건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되는 재생발전시스템; 및 발전량의 인위적 조절이 가능한 연료발전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발전시스템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적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된 복수의 블록; 및 상기 각 블록 내에 배치된 복수의 재생발전원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발전시스템은,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상기 재생발전시스템의 예상 발전량을 반영해 발전량이 결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블록 내 상기 각 재생발전원그룹의 예상 발전량은, 단위시간동안 특정 블록 내 특정 재생발전원그룹 내 실시간 발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과거 발전량을 통해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로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과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해 결정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발전시스템은 다수의 재생발전원을 지리적 또는 환경적으로 인접한 각 블록별로 구분하고, 각 블록을 단위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량의 예측은 해당 블록 내 재생발전원의 과거 발전량 데이터에 기반해 이뤄짐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재생발전시스템의 예상 발전량은 전체 복합발전시스템의 다른 한 축을 구성하는 연료발전시스템의 발전량 결정에 반영되어 전체 복합발전시스템 내의 잉여 전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연료발전시스템의 효율 최적화나 에너지 생산의 손실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발전시스템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1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2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3기준범위시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3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합발전시스템(S)은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발전시스템(100)(이하, "재생발전시스템(100)"으로 약칭함)과 연료에 기반한 발전시스템(200)(이하, "연료발전시스템(200)"으로 약칭함)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재생발전시스템(100)은 기후조건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되는 발전수단을 포괄할 수 있다. 예컨대 재생발전시스템(100)은 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 조력, 수력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발전시스템(100)은 에너지원이 자연 발생적이고, 상대적으로 발전량의 변동폭이 크며, 발전량의 인위적 조절이 어렵다는 특성을 갖는다. 대표적으로 재생발전시스템(100)은 태양광 및 풍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연료발전시스템(200)은 발전량의 인위적 조절이 가능한 발전수단을 포괄할 수 있다. 예컨대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석탄, 석유, 원자력, 천연가스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발전시스템(200)은 발전수요의 변동 등에 따라 발전량을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는 점에서 재생발전시스템(100)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발전시스템(200)이 화력 및 원자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으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재생발전시스템(100)은 복수의 블록(110, 120)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재생발전시스템(100)은 복수의 블록(110, 120)을 단위로 구분되거나, 복수의 블록(110, 120)으로 구획될 수 있다. 블록(110, 120)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적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경우 재생발전시스템(100)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인자가 유사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좀 더 간편하고 명료한 구획을 위해 블록(110, 120)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110, 120)은 시, 군, 구를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블록(110, 120)은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시, 군, 구별로 복수의 블록(110, 120)이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블록(110, 120)을 가정하고, 각 블록(110, 120)을 제1블록(110) 및 제2블록(120)으로 구분해 지칭하기로 한다. 다만 실 구현예에 있어서 블록(110, 120)의 개수는 보다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각 블록(110, 120)에는 한 종류 이상의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지역적 범위에 대응되는 제1블록(110)에는 한 종류 이상의 재생발전원그룹(111, 112)이 포함될 수 있고, 이와 상이한 다른 지역적 범위에 대응되는 제2블록(120)에도 유사하게 한 종류 이상의 재생발전원그룹(121, 122)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블록(110, 120) 내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은 복수 종류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블록(110)에는 제1재생발전원그룹(111) 및 제2재생발전원그룹(112)이 배치될 수 있고, 제2블록(120)에도 이와 유사하게 제1재생발전원그룹(121) 및 제2재생발전원그룹(12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은 에너지원의 종류를 같이 하는 재생발전원(111a, 112a)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재생발전원그룹(111)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재생발전원그룹(112)은 풍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전수단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제1", "제2"의 표기는 같은 종류의 에너지원에 기반한 발전수단을 구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110) 내에 제1, 2재생발전원그룹(111, 112)이 구비되고, 유사하게 제2블록(120) 내에도 제1, 2재생발전원그룹(121, 122)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각 블록(110, 120) 내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종류나 개수가 동일할 필요는 없고, 제1 내지 2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 외 다른 종류의 재생발전원그룹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블록(110) 내에는 제1재생발전원그룹(예컨대 태양광)이 구비되고, 제2블록(120) 내에는 제1 내지 3재생발전원그룹(예컨대 태양광, 풍력, 조력)이 구비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에는 하나 이상의 재생발전원(111a, 112a)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재생발전원그룹(111)에는 복수의 제1재생발전원(111a)이 포함될 수 있고, 제2재생발전원그룹(112)에는 복수의 제2재생발전원(112a)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재생발전원(111a) 및 제2재생발전원(112a)은 각각 에너지원을 달리하는 발전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재생발전원(111a)은 태양광 발전설비, 제2재생발전원(112a)은 풍력 발전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된 각 블록(110, 120)의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 또는 각 재생발전원(111a, 112a)은 지리적 또는 환경적으로 유사한 조건 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환경요인(기후조건)에 따라 발전량이 예측될 수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재생발전원(111a)은 태양광 발전설비, 제2재생발전원(112a)은 풍력 발전설비인 경우를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연료발전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연료발전원(210, 220)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연료발전원(210, 220)은 연료의 투입량을 조절해 인위적으로 발전량을 변동시킬 수 있는 형태의 발전수단을 지칭한다. 예컨대 연료발전시스템(200)은 화력 발전방식의 제1연료발전원(210)과, 원자력 발전방식의 제2연료발전원(2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연료발전원(210, 220)의 종류나 개수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재생발전시스템(100)과 함께 수요처로 에너지 총량을 공급할 수 있다. 수요처의 에너지 총량은 수요처에서 요구되는 전력량의 합산치 또는 수요처에서 요구될 것으로 예측된 전력량의 합산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수요처로 공급되는 에너지 총량이 산출 또는 예측 가능한 값임을 전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발전시스템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정한 지역적 범위를 가진 제1블록(110) 내에는 제1재생발전원그룹(111)(태양광)과 제2재생발전원그룹(112)(풍력)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인접한 다른 지역적 범위를 가진 제2블록(120) 내에도 유사하게 제1재생발전원그룹(121)(태양광)과 제2재생발전원그룹(122)(풍력)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블록(110)의 제1재생발전원그룹(111)과 제2블록(120)의 제1재생발전원그룹(121)은 에너지원의 종류나 발전방식이 서로 대응되는 것이지, 그 발전량이나 효율 등이 서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블록(110)의 제1재생발전원그룹(111)과 제2블록(120)의 제1재생발전원그룹(121)은 발전량이나 효율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제1, 2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과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제1, 2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이 지역적 범위 등에 따라 구분된 것과 달리,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지역적 구분 없이 한 종류로 취급될 수 있다. 즉,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지역적 구분과 무관하게 제1블록(110)의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및 제2블록(120)의 재생발전원그룹(121, 122)과 조합되어 하나의 복합발전시스템(S)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발전시스템(S)은 제1, 2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 또는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 변동을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을 통해 보충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즉,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수요처에서 요구되는 에너지 총량에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예상)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을 생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요처에 일정한 에너지 총량을 안정적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잉여 전력을 줄여 연료발전시스템(200)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복합발전시스템(S)은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상대적으로 발전량 변동이 심한 재생발전시스템(100)에 있어 그 발전량이 신뢰성 있게 예측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복합발전시스템(S)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1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지역적 범위에 따라 복수의 블록(110, 120)이 설정될 수 있다(S110).
이후 각 블록(110, 120) 내의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별로 전체 발전량이 산출될 수 있다(S120). 여기서 상기의 전체 발전량은 과거의 실측 데이터에 기반한 발전량을 의미한다. 즉,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수집된 실측 데이터에 기반해 각 블록(110, 120) 내의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별로 전체 발전량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실측 데이터는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에 기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어서 각 블록(110, 120) 내의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별로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산출될 수 있다(S130). 단위용량당 발전량은 앞서 산출된 전체 발전량을 해당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전체 용량으로 나눠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단위용량당 발전량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S140). 여기서 저장된 데이터는 식별정보, 기준시간 및 기후조건을 기준으로 인덱싱(indexing)될 수 있다. 식별정보는 해당 블록(110, 120) 및 해당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기준시간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구간을 기준으로 한 해당 시간구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시간구간이 일(1 day)로 설정된 경우 상기의 기준시간은 해당 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후조건은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발전량에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적요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후조건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재생발전원(111a)이 태양광 발전설비, 제2재생발전원(112a)이 풍력 발전설비인 경우, 제1재생발전원(111a)과 관련된 제1기후조건은 일사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재생발전원(112a)과 관련된 제2기후조건은 풍속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기후조건은 각 재생발전원(111a, 112a)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나의 재생발전원(111a, 112a)에 대해 복수의 기후조건이 관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2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재생발전시스템(100)은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해 특정 블록(110, 120) 내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발전량을 예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특정 블록(110, 120) 내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실시간 발전량이 측정된다(S210). 예컨대 제1블록(110)에 배치된 제1재생발전원그룹(111)(태양광)의 실시간 발전량이 측정될 수 있다. 실시간 발전량은 단위시간 동안에 해당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으로부터 생산된 발전량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간 발전량은 1시간 동안의 발전량을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간 발전량이 측정된 특정 블록(110, 120) 및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산출될 수 있다(S220). 단위용량당 발전량은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을 전체 발전용량으로 나눠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S230). 기준 데이터는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기후조건이 고려되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추출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S231). 추출 구간은 현재 시점에 대응되는 기준일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소정 기간을 전후로 가감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추출 구간은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전후 30일에 대응되는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출 구간은 60일, 90일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계절적 변화를 고려해 가급적 90일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일별 기후 편차를 고려해 가급적 15일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추출 구간은 30~60일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출 구간이 설정되면 이어서 추출 구간 내 발전량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S232). 여기서 추출된 데이터는 각 기후조건별 발전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이다.
이어서 추출된 데이터 중 기준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S233). 기준 데이터는 각 추출 데이터에 인덱싱된 기후조건과 현재의 기후조건을 비교하고, 기후조건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준 데이터는 기후조건의 유사도 순으로 복수개가 선택될 수 있고, 예컨대 3~7개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블록(110)에 배치된 제1재생발전원그룹(111)(태양광)을 가정하면, 먼저 과거 제1재생발전원그룹(111)의 1일간 발전량 데이터가 현재의 기후조건(일사량)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질 수 있고, 상위 순위부터 예컨대 5개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로 추출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기준 데이터의 평균값이 산출될 수 있고(S234), 산출된 평균값은 기준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S235). 기준 데이터의 추출 단계(S230)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과거 실측 데이터로부터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준 데이터의 추출 이후에는 기준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S240). 기준범위는 앞서 결정된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 소정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준범위는 제1기준범위(Z1) 및 제2기준범위(Z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준범위(Z1)는 기준값을 중심으로 한 전후 소정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범위(Z2)는 기준값을 중심으로 한 전후 소정 범위로 설정되되 제1기준범위(Z1)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준범위(Z1)는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 5~10%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범위(Z2)는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 10~20%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준범위가 설정되면 앞서 측정 및 산출된 단위용량당 실시간 발전량(S220)이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될 수 있다. 또한 비교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은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1기준범위(Z1) 이내일 경우이다(S251). 이 경우에는 과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종할 것으로 가정하여 앞서 산출된 기준값을 발전량 예상을 위한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S261). 즉, 기준값(단위용량당 발전량에 해당)에 해당되는 특정 블록 및 그룹의 전체 발전용량을 곱해 예상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1기준범위(Z1)를 벗어나되 제2기준범위(Z2) 이내일 경우이다(S252). 이 경우에는 소정의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현재의 실시간 발전량과 과거의 발전량 데이터에 비교적 큰 편차가 발생된 경우로 보고,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에 기반해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앞서 측정 및 산출된 단위용량당 실시간 발전량(S220)에 해당되는 특정 블록 및 그룹의 전체 발전용량을 곱해 예상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2기준범위(Z2)를 벗어난 경우이다(S253). 이 경우에는 발전설비나 시스템 상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전량을 반영하지 않는다. 또한 소정의 오류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이상진단이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3기준범위시의 변형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2기준범위(Z2)를 벗어난 제3기준범위일 경우, 인접한 다른 블록 및 그룹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발전량 예측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3기준범위인 경우 해당 블록 및 그룹에 인접한 다른 블록 및 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 데이터와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비교될 수 있다(S254a). 인접한 다른 블록 및 그룹은 해당 블록 및 그룹과 유사한 기후조건을 가지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비교 결과 단위용량당 발전량의 비교 편차가 기준범위 이내일 경우(S254c)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 및 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선택될 수 있다(S263b). 또한 이를 해당 블록 및 그룹의 발전용량으로 환산하여 해당 블록 및 그룹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대체로 전술한 제2기준범위(Z2)일 경우(S252)와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다. 기준범위는 각 블록 간 거리나 환경적 요인 등을 고려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범위는 인접한 다른 블록 및 그룹의 실시간 발전량을 중심으로 전후 20~30%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비교 결과 단위용량당 발전량의 비교 편차가 기준범위 밖일 경우(S254b)에는 도 4를 참조해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다. 즉, 발전량이 반영되지 않고 이상진단 등이 이뤄질 수 있다(S263a).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각 케이스별로 특정 블록 및 그룹의 예상 발전량이 산출되면(S270), 산출된 예상 발전량이 반영되어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이 결정될 수 있다(S280). 이와 같은 경우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은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전력을 충분히 사용하고 부족한 나머지 잔여 전력량으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복합발전시스템(S)의 잉여 전력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재생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예측방법을 보여주는 제3순서도이다.
도 6은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 결정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세부적으로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은 전술할 기준범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1기준범위(Z1) 이내일 경우이다(S281). 이 경우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은 수요처의 에너지 총량에서 앞서 산출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예상 발전량을 빼고, 여기에 제1마진전력을 더해 결정될 수 있다(S284). 제1마진전력은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에너지 수요량의 소정 비율 또는,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예상 발전량의 소정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복합발전시스템(S)은 복수의 블록(110, 120)에 배치된 재생발전시스템(100)과, 하나의 연료발전시스템(200)이 조합 또는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은 복수의 재생발전시스템(100)에 대한 예상 발전량을 합산해 수요처의 에너지 총량에서 뺀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1기준범위(Z1)를 벗어나되 제2기준범위(Z2) 이내일 경우이다(S282). 이 경우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은 수요처의 에너지 총량에서 앞서 산출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예상 발전량을 빼고, 여기에 제2마진전력을 더해 결정될 수 있다(S285).
여기서 제2마진전력은 전술한 제1마진전력과 유사한 개념이나, 제1마진전력 대비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마진전력이 전체 에너지 수요량의 5%로 설정된다고 가정하면, 제2마진전력은 전체 에너지 수요량의 10%로 설정될 수 있다. 제2기준범위(Z2)는 과거의 발전량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편차가 발생된 경우이므로 예상 발전량의 변동에 적절히 대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측정된 실시간 발전량이 제2기준범위(Z2)를 벗어난 경우(S283)에는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을 반영하지 않으므로(S286) 전체 에너지 수요량을 연료발전시스템(200)에서 충당하는 것으로 발전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의 복합발전시스템(S)은 다수의 재생발전원을 지리적 또는 환경적으로 인접한 각 블록(110, 120)별로 구분하고, 각 블록(110, 120)을 단위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량의 예측은 해당 블록(110, 120) 내 재생발전원의 과거 발전량 데이터에 기반해 이뤄짐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예상 발전량은 전체 복합발전시스템(S)의 다른 한 축을 구성하는 연료발전시스템(200)의 발전량 결정에 반영되어 전체 복합발전시스템(S) 내의 잉여 전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연료발전시스템(200)의 효율 최적화나 에너지 생산의 손실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복합발전시스템 100: 재생발전시스템
110: 제1블록 111: 제1재생발전원그룹
111a: 제1재생발전원 112: 제2재생발전원그룹
112a: 제2재생발전원 120: 제2블록
121: 제1재생발전원그룹 121a: 제1재생발전원
122: 제2재생발전원그룹 122a: 제2재생발전원
200: 연료발전시스템 210: 제1연료발전원
220: 제2연료발전원

Claims (5)

  1. 기후조건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되는 재생발전시스템(100); 및
    발전량의 인위적 조절이 가능한 연료발전시스템(200);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발전시스템(100)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적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된 복수의 블록(110, 120); 및
    상기 각 블록(110, 120) 내에 배치된 복수의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상기 재생발전시스템(100)의 예상 발전량을 반영해 발전량이 결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블록(110, 120) 내 상기 각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예상 발전량은,
    단위시간동안 특정 블록(110, 120) 내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 내 실시간 발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과거 발전량을 통해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값을 중심으로 전후로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과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해 결정되고,
    상기 기준범위는,
    상기 기준값을 중심으로 한 전후의 소정 범위로 설정된 제1기준범위(Z1); 및
    상기 기준값을 중심으로 한 전후의 소정 범위로 설정되되, 상기 제1기준범위(Z1)를 초과하는 범위로 설정된 제2기준범위(Z2);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1기준범위(Z1) 이내일 경우, 상기 기준값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발전용량으로 환산하여 상기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1기준범위(Z1)를 초과하고 상기 제2기준범위(Z2) 이내일 경우,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발전용량으로 환산하여 상기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2기준범위(Z2)를 초과할 경우,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해당 블록 및 재생발전원그룹에 인접한 다른 블록 및 재생발전원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과 비교하고, 비교 편차가 기준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인접한 다른 블록 및 재생발전원그룹의 단위용량당 발전량을 선택해 상기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고, 비교 편차가 기준범위 초과일 경우 해당 재생발전원그룹의 발전량을 반영하지 않고 이상진단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발전시스템(200)은,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1기준범위(Z1) 이내일 경우, 상기 기준값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상 발전량을 상기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빼고, 제1마진전력을 더해 발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1기준범위(Z1)를 초과하고 상기 제2기준범위(Z2) 이내일 경우,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상 발전량을 상기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빼고, 상기 제1마진전력보다 크게 설정된 제2마진전력을 더해 발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용량당 발전량이 상기 제2기준범위(Z2)를 초과할 경우, 상기 재생발전시스템(100)의 발전량을 반영하지 않고 발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해 발전량을 결정하도록 형성된 복합발전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의 실시간 발전량이 측정된 기준일을 중심으로 전후로 소정 기간의 추출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 구간에 대응되는 기간의 과거 데이터로부터 기후조건별 발전량이 실측된 복수의 추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추출 데이터로부터 기후조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복수의 기준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준 데이터로부터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발전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발전원그룹(111, 112, 121, 122)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제1재생발전원그룹(111a, 121a); 및
    풍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제2재생발전원그룹(112a, 122a);을 포함하고,
    상기 기후조건은,
    일사량 및 풍속을 포함하는 복합발전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0092A 2021-03-29 2021-03-29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KR10230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92A KR102307266B1 (ko) 2021-03-29 2021-03-29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92A KR102307266B1 (ko) 2021-03-29 2021-03-29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266B1 true KR102307266B1 (ko) 2021-09-29

Family

ID=7792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92A KR102307266B1 (ko) 2021-03-29 2021-03-29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374A (ja) * 2007-03-26 2008-10-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電機出力量決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43896B1 (ko) 2011-09-05 2013-03-20 카코뉴에너지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및 그의 단독 운전 방지 방법
KR101797915B1 (ko) * 2017-07-26 2017-12-12 주식회사 일렉콤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5723B1 (ko) * 2017-08-16 2018-12-05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전력 중개 시스템 및 전력 중개 방법
KR102196178B1 (ko) * 2020-06-12 2020-12-2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 예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25611B1 (ko) 2019-06-18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374A (ja) * 2007-03-26 2008-10-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電機出力量決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43896B1 (ko) 2011-09-05 2013-03-20 카코뉴에너지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및 그의 단독 운전 방지 방법
KR101797915B1 (ko) * 2017-07-26 2017-12-12 주식회사 일렉콤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5723B1 (ko) * 2017-08-16 2018-12-05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전력 중개 시스템 및 전력 중개 방법
KR102225611B1 (ko) 2019-06-18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96178B1 (ko) * 2020-06-12 2020-12-2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 예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Site selection decision framework using fuzzy ANP-VIKOR for large commercial rooftop PV system based on sustainability perspective
Jacobson et al. Low-cost solutions to global warming, air pollution, and energy insecurity for 145 countries
Lund Large-scale integration of optimal combinations of PV, wind and wave power into the electricity supply
Lund et al. Modelling of energy systems with a high percentage of CHP and wind power
CN104881712A (zh) 多能互补分布式能源系统及其设备配置与运行优化方法
Verzijlbergh et al. Does controll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ubstitute cross-border transmission capacity?
KR101888877B1 (ko)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설계 방법
Elnozahy et al. Efficient metaheuristic Utopia-based multi-objective solutions of optimal battery-mix storage for microgrids
Priyadharshini et al. An optimal model to meet the hourly peak demands of a specific region with solar, wind, and grid supplies
Facci et al. Comparing energy and cost optimization in distributed energy systems management
Berna-Escriche et al. Can a fully renewable system with storage cost-effectively cover the total demand of a big scale standalone grid? Analysis of three scenarios applied to the Grand Canary Island, Spain by 2040
Abdul-Wahab et al. Optim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hybrid energy system for off-grid remote area
Seyed Alavi et al. Optimal site selection for wind power plant using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s: A case study in eastern Iran
Singh et al. National electricity planner and use of distributed energy sources in India
CN113991640B (zh) 基于火电的多能互补能源基地能源配置规划方法
Qandil et al. Performance of hybrid renewable energy power system for a residential building
Xu et al. Equilibrium strategy-based economic-reliable approach for day-ahead scheduling towards solar-wind-gas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A case study from China
Bermúdez et al. The role of sector coupling in the green transition: A least-cost energy system development in North Europe towards 2050
Mostafaeipour et al. Prioritizing the locations for hydrogen production using a hybrid wind-solar system: A case study
KR102307266B1 (ko)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Marchenko et al. Economic efficiency assessment of autonomous wind/diesel/hydrogen systems in Russia
Zhang et al. Effect of the distribution density of biomass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networks on total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Curto et al. Flexibility Services in a Mediterranean Small Island to Minimize Costs and Emissions Related to Electricity Production from Fossil Fuels
Pandey et al. Ranking of mitigation strategies for duck curve in Indian active distribution network using MCDM
Maakoul et al. Statistical modeling and optimal energy distribution of cogeneration units by genetic algorith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