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915B1 -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915B1
KR101797915B1 KR1020170094493A KR20170094493A KR101797915B1 KR 101797915 B1 KR101797915 B1 KR 101797915B1 KR 1020170094493 A KR1020170094493 A KR 1020170094493A KR 20170094493 A KR20170094493 A KR 20170094493A KR 101797915 B1 KR101797915 B1 KR 10179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photovoltaic
generation efficiency
photovoltaic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이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to KR102017009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해당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태양광 발전 효율 중 인근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상호 대비하여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술한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인근 지역에 기 설치된 여러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셀 모듈 당 태양광 산출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기준치 이상의 편차를 나타내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고장을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날씨나 태양 고도 등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실시간 고장 판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OF MONITORING SOLAR GENERATION BASED ON REAL-TIM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태양광 발전 모듈과 태양 전지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전지구적으로 볼 때 또는 전국적으로 볼 때, 동일한 태양광 발전 장치라하더라도 동일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연간으로 살펴볼 때, 위/경도나 주변의 지형에 따라 태양이 뜨는 시각과 지는 시각이 달라 일조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연간 날씨의 변화에 따라서도 일조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셀(solar cell)은 동일한 모델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그 설치 지역이나 그 지역의 날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발전량이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날씨 조건, 일조량 조건 등에 불구하고 정확하게 고장을 판별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아직까지는 태양광 발전이 적합한지 또는 얼마나 많은 태양광 발전 모듈이 요구되는지 등을 가늠할 척도가 없다.
10-1419814 10-0813994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해당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태양광 발전 효율 중 인근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상호 대비하여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수신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양광 셀 모듈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반경 내의 위치 정보를 자동 검색 및 분류하여 그룹핑(grouping)하는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 상기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에서 그룹핑되어 분류된 위치 정보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 셀 모듈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를 분석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의 분석에 따른 태양광 셀 모듈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가 소정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대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에 의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통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별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 상기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에서 위치 정보별로 산출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서로 대비하여 유사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갖는 지역을 설정하여 분류하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은,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은,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태양광 셀 모듈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상호 대비하여 소정 기준 이상의 편차를 가지는 태양광 셀 모듈을 고장인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인근 지역에 기 설치된 여러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단위 셀 당 태양광 산출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기준치 이상의 편차를 나타내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고장을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날씨나 태양 고도 등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실시간 고장 판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150), 사용자 단말(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인근 지역에 기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110)들은 날씨와 태양 고도, 일조량 등에 있어서 유사한 조건을 갖는다는 전제하에 각 태양광 발전 장치(110)들의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태양광 산출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고장을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씨 등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언제든지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고장을 실시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여 맵을 생성하여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맵을 이용하여 지역별로 태양광의 발전 효율 등급을 평가하여 부여하고,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 장치(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얼마나 많은 태양광 셀 모듈(111)을 설치해야하는지에 대해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미리 가늠하여 필요한 수의 태양광 셀 모듈(111)을 설치할 수 있다. 태양광 셀 모듈(111)의 제조사는 각 사용자에게 태양광 셀 모듈(111)의 필요한 수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 장치(110)는 다수의 태양광 셀 모듈(1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110)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는 GPS 정보 내지는 정확한 위/경도 정보, 지번 등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설치 지점의 해발 고도도 포함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해당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 중 인근 지역의 다른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과 상호 대비하여 각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의 분포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일일/주간/월간/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태양광 발전 효율을 앞서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소정 기간별로 대비하여 분류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123),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124),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125),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통보 모듈(127),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129),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수신하며,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태양광 발전 장치(110)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123)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에서 수신된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124)은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123)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반경 내의 위치 정보를 자동 검색 및 분류하여 그룹핑(group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여러 태양광 발전 장치(110)들을 서로 그룹핑하여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들은 서로 유사한 일조 조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해뜨는 시각, 해지는 시각, 일조량, 날씨, 고도 등에서 유사한 조건을 가지며, 이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도 실시간으로 유사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125)은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124)에서 그룹핑되어 분류된 위치 정보의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태양광 발전 장치(110)는 서로 다른 수의 태양광 셀 모듈(111)을 가질 수 있으므로,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상호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에 그룹핑된 태양광 발전 장치(110)들은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로 볼 때 서로 유사한 패턴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은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125)의 분석에 따른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가 소정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에 대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 임계 범위는 미리 정해지거나 조정될 수 있다. 특정 태양광 발전 장치(110)가 동일 그룹 내의 다른 태양광 발전 장치(110)에 비해 유사한 패턴을 가지지만 효율의 편차가 있는 경우, 해당 지점은 동일 그룹의 다른 지점과는 다소 다른 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에 가려 있는 경우에는 다른 패턴이나 다소 많은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태양광 발전 장치(110)에 대해서는 해당 패턴을 미리 저장하여 과거 패턴과 현재 패턴을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통보 모듈(127)은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에 의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6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은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은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은 물론 실시간/일일/주간/월간 태양광 발전 효율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은 시간 대비 태양광 발전량을 의미하며, 태양광 발전이 시작되는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의 시간 동안 발전되는 태양광 발전량을 산출하여 그 효율을 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은 날씨에 따라서 태양의 일조 시간에 따라서 또는 위치 정보에 따른 고도나 태양의 고도 따라서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설치 지역이 평야인지 산간 지역인지에 따라서도 상당한 편차를 보일 수 있다. 평야는 태양이 산에 의해 가려지지 않기에 일조 시간이 길고 산악 지역은 태양이 늦게 뜨고 일찍 지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따라 태양광 발전 효율의 편차가 매우 심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지역의 위/경도에 따라서도 태양의 고도가 달라져 태양광 발전 효율이 크게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129)은 위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에 의해 산출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대비하고 분류하여 지역별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지역의 분류는 단순한 행정 구역이나 일률적으로 같은 모양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분류하지 않고, 그 크기나 모양이 다 다르게 구획될 수 있다. 평아 지역은 상대적으로 동일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가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교적 넓게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가지는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도의 편차가 심한 지역에서는 비교적 그 지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129)은 지역의 설정 시에 인공 위성 사진 지도에 의한 고도를 참조하여 지역을 분류하여 설정하며, 이 외에도 위치 정보별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이 유사하게 나오는 근접 위치들을 하나의 지역으로 묶어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129)은 각 태양광 발전 장치(100)의 모델에 따른 정격 발전량 내지는 정격 발전 효율을 고려하여 상호 대비하고 지역을 설정하여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111)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은 태양광 셀 모듈(111)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상호 대비하여 소정 기준 이상의 편차를 가지는 태양광 셀 모듈(111)을 고장인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인근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110)와 대비하지 않고 동일한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셀 모듈(111)들을 상호 대비하여 고장인 태양광 셀 모듈(111)만 찾아낼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는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에서 분류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른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map)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생성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조회 모듈(131),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모듈(132),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게시 모듈(13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조회 모듈(131)은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모듈(132)은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에서 분류된 지역과 해당 지역의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나타내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에 분류된 지역은 유사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태양광 발전 장치(110)를 설치하면 유사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게시 모듈(133)은 이러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여 사용자 단말(16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는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에서 생성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이용하여 각 지역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평가하며, 그 지역별로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을 부여하여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조회 모듈(141),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142),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부여 모듈(143),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게시 모듈(14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조회 모듈(141)은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에서 생성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조회하고,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142)은 이를 통해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편차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부여 모듈(143)은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142)의 평가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등급을 설정하여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게시 모듈(144)은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을 게시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은 태양광 발전 장치(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의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을 알 수 있으며, 설치가 적합한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150)는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에서 지역별로 부여된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소정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설치 제안을 해당 사용자 단말(16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150)는 해당 사용자의 연간 소비 전력량과 태양광 예상 발전량을 대비하여 태양광 발전의 대체율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6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150)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조회 모듈(151), 연간 소비 전력량 조회 모듈(152),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모듈(1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조회 모듈(151)은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에서 부여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을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간 소비 전력량 조회 모듈(152)은 상용 전원 공급사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연간 전력 사용량을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별/주별/월별 사용량도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모듈(153)은 사용자가 연간 소비하는 상용 전력량을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에 의해 대체하고자 할 때 얼마나 많은 태양광 발전 모듈(미도시)이 요구되는지를 예상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 개의 태양광 발전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지 미리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160)로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개수와 용량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설치시 설치 지점에서 필요한 용량의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태양광 발전 장치 111: 태양광 셀 모듈
120: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
121: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
122: 위치 정보 수신 모듈
123: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
124: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
125: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
126: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
127: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통보 모듈
128: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
129: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
130: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
131: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조회 모듈
132: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모듈
133: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게시 모듈
140: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
141: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조회 모듈
142: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
143: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부여 모듈
144: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게시 모듈
150: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
151: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조회 모듈
152: 연간 소비 전력량 조회 모듈
153: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모듈
160: 사용자 단말

Claims (4)

  1.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이용하여 해당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태양광 발전 효율 중 인근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상호 대비하여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에서 분류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른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map)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와,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에서 생성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이용하여 각 지역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평가하는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와,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에서 지역별로 부여된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소정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설치 제안을 해당 사용자 단말(16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 제안 서버(15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는,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수신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에서 수신된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123);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위치정보 저장 모듈(123)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반경 내의 위치 정보를 자동 검색 및 분류하여 그룹핑(grouping)하는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124);
    상기 위치 정보 검색/분류 모듈(124)에서 그룹핑되어 분류된 위치 정보의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를 분석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125);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모듈(125)의 분석에 따른 태양광 셀 모듈(111) 단위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의 분포가 소정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에 대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에 의해 고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110)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60)로 실시간 송신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통보 모듈(127),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듈(122)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별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산출하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
    상기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산출 모듈(128)에서 위치 정보별로 산출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서로 대비하여 유사한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갖는 지역을 설정하여 분류하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대비/분류 모듈(129)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은,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110)로부터 태양광 셀 모듈(111)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 고장 판별 모듈(126)은,
    상기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수신 모듈(121)에서 수신된 태양광 셀 모듈(111) 각각의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상호 대비하여 소정 기준 이상의 편차를 가지는 태양광 셀 모듈(111)을 고장인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는,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 조회 모듈(131)과,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모니터링 서버(120)에서 분류된 지역과 해당 지역의 연간 태양광 발전 효율을 나타내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모듈(132)과,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여 사용자 단말(16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게시 모듈(133)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평가 서버(140)는,
    상기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생성 서버(130)에서 생성된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을 조회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맵 조회 모듈(141)과,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편차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142)과,
    상기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평가 모듈(142)의 평가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등급을 설정하여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부여 모듈(143)과,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을 게시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역별 태양광 발전 효율 등급 게시 모듈(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4493A 2017-07-26 2017-07-26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93A KR101797915B1 (ko) 2017-07-26 2017-07-26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93A KR101797915B1 (ko) 2017-07-26 2017-07-26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915B1 true KR101797915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93A KR101797915B1 (ko) 2017-07-26 2017-07-26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91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340B1 (ko) 2019-06-17 2019-11-12 한양전공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8014B1 (ko) 2019-06-17 2020-01-20 한양전공주식회사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7538A1 (ko) * 2018-08-01 2020-02-06 김동선 발전 시스템의 이상 유무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080164B1 (ko) 2019-10-29 2020-02-21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모듈의 고장 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9364B1 (ko) 2019-10-29 2020-04-0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실시간 고장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0607A (ko)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적 및 경제적 적합성을 고려하는 건물 옥상 태양광 등급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2182820B1 (ko) 2020-06-01 2020-11-25 주식회사 코텍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고장 및 열화 상태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발전 관리방법
KR20210052125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모듈의 고장 예측 모니터링 방법
KR102307266B1 (ko) * 2021-03-29 2021-09-29 장광현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CN115545551A (zh) * 2022-11-04 2022-12-30 北京如实智慧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在线碳资产核查系统及计算方法
KR102539150B1 (ko) * 2023-01-31 2023-06-01 주식회사 일렉콤 안전 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장착된 태양광 접속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485B1 (ko) * 2016-11-30 2017-06-05 (주)대은 소물인터넷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485B1 (ko) * 2016-11-30 2017-06-05 (주)대은 소물인터넷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진단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38A1 (ko) * 2018-08-01 2020-02-06 김동선 발전 시스템의 이상 유무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200080607A (ko)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적 및 경제적 적합성을 고려하는 건물 옥상 태양광 등급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2043340B1 (ko) 2019-06-17 2019-11-12 한양전공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8014B1 (ko) 2019-06-17 2020-01-20 한양전공주식회사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80164B1 (ko) 2019-10-29 2020-02-21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모듈의 고장 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9364B1 (ko) 2019-10-29 2020-04-0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실시간 고장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2125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태양광 모듈의 고장 예측 모니터링 방법
KR102182820B1 (ko) 2020-06-01 2020-11-25 주식회사 코텍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고장 및 열화 상태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발전 관리방법
KR102307266B1 (ko) * 2021-03-29 2021-09-29 장광현 재생발전시스템 및 연료발전시스템의 연계시 잉여발전량 저감을 위한 복합발전시스템
CN115545551A (zh) * 2022-11-04 2022-12-30 北京如实智慧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在线碳资产核查系统及计算方法
KR102539150B1 (ko) * 2023-01-31 2023-06-01 주식회사 일렉콤 안전 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장착된 태양광 접속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915B1 (ko) 실시간 태양광 발전 효율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US8103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energy performance
AU20112021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hotovoltaic plant power curve measurement and health monitoring
JP5743881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需要家端末及び電力管理装置
US20160018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energy assessment of facilities
US20110295535A1 (en) Multi-circuit direct current monitor with modbus serial output
CN105706325A (zh) 电网频率响应
US20160356859A1 (en) Fault detection in energy generation arrangements
US11092629B2 (en) Techniques for analysis of data from smart meters
JP2005340464A (ja) 太陽電池アレイ診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2608446A (zh) 识别发电系统内故障传感器的系统和方法
CN109461091B (zh) 考虑光伏和冷负荷相关性的用电负荷计算方法及信息系统
KR102077646B1 (ko) 신재생 발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CN105305481A (zh) 用于控制配电网的系统和方法
WO2016166991A1 (ja) 太陽光発電設備の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3651B2 (ja) 管理サーバ、局所気象情報生成システム、および局所気象情報生成方法
CN117595384B (zh) 基于人工智能的光伏电站源网荷双向预测方法及系统
US20190087757A1 (en) GIS Based Centralized Carbon Footpri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Malek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solar energy harvesting for low-cost remote sensors equipped with real-time monitoring systems
CN115438809A (zh) 一种智慧灯杆智能检修路线规划方法、装置和系统
KR102513943B1 (ko) 가로등 장착형 태양광 발전 예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López-González Community-scale rural energy systems: General planning algorith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countries
Zeljković et al. Probabilistic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Wind-PV-Diesel-Battery Power Supplies for Mobile Telephony Base Stations
Sajjad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Based Solar Power Monitoring System
Weissbach et al. Markov based estimation of energy storage requirements accounting for seasonal vari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