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263B1 -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 Google Patents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263B1
KR102307263B1 KR1020200060747A KR20200060747A KR102307263B1 KR 102307263 B1 KR102307263 B1 KR 102307263B1 KR 1020200060747 A KR1020200060747 A KR 1020200060747A KR 20200060747 A KR20200060747 A KR 20200060747A KR 102307263 B1 KR102307263 B1 KR 10230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directing
steam
smoking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370A (ko
Inventor
정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270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69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0006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는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일부를 가열하여 흡연용 증기를 생성하는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상기 궐련의 흡입시 액상물질을 가열하여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는 궐련의 흡입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궐련을 통과한 후 상기 흡연용 증기와 함께 흡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를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 개방된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궐련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외부면을 가열하는 제1발열히터; 및 상기 제1발열히터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heater assembly for cylinderical type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연시 풍부한 양의 증기를 흡입 및 방출할 수 있는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담배는 니코틴이 함유된 잎담배(leaf tobacco)의 가공물(processed material)이나 추출물(extract), 무니코틴 액체물질(nicotine-free liquid material) 등을 함유한 저장소(storage), 가열 또는 기화 장치, 그리고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전자담배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잎담배 가공물, 잎담배 추출물, 무니코틴 액체물질 등을 가열 또는 기화시켜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한 후,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가 전자담배의 흡입구(intake)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담배를 손에 쥐고, 입으로 흡입구를 흡입하는 경우, 전자담배 내부에서 에어로졸이 생성되어 흡입구를 통해 입으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일반궐련을 흡연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담배는 니코틴 원액과 액상을 별도로 구매해 섞는 액상형 방식으로, 니코틴 원액을 구입해 잘못된 용도로 사용되는가 하면 폭파사고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례가 많이 적극적인 관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자담배와는 달리 담뱃잎으로 만들어진 고체형 스틱을 삽입해 가열하는 방식의 궐련형 전자담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궐련형 전자담배는 발열히터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고체형 스틱을 가열함으로써 형성된 증기를 흡입하는 형태방식으로, 기존의 궐련담배와 비슷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궐련형 전자담배는 고체형 스틱만을 단순히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충분한 양의 증기가 발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궐련담배를 흡연하는 것과 비교할 때 사용자의 만족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궐련형 전자담배는 고체형 스틱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히터가 판상의 형태로 구현되어 고체형 스틱에 일부가 침투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고체형 스틱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166712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흡연시 충분한 양의 증기를 흡입 및 방출할 수 있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가열면적을 넓히고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일부를 가열하여 흡연용 증기를 생성하는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상기 궐련의 흡입시 액상물질을 가열하여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는 궐련의 흡입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궐련을 통과한 후 상기 흡연용 증기와 함께 흡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를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 개방된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을 통해 상기 궐련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외부면을 가열하는 제1발열히터; 및 상기 제1발열히터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결합되는 중공형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발열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발열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1발열히터의 반경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그라파이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단열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제1발열히터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대면하는 제1덮개부재의 내면과 고정부재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액상물질이 일정량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되고 외기가 공급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제2덮개부재;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액상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되어 전원인가시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제2발열히터; 및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발열히터 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기통과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연시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통해 연출용 증기가 추가로 생성되어 흡연자가 풍부한 양의 증기를 흡입 및 방출할 수 있음으로써 흡연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히터가 원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가열면적을 넓혀줄 수 있으며 균등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흡연용 증기발생부의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흡연용 증기발생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제1발열히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발열히터가 강제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일부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서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구성하는 몸체, 제2발열히터 및 흡수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를 통해 구현된 궐련형 전자담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제1케이스가 제2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도 10에서 커버부재의 이동을 통해 투입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는 고체형 스틱 형태의 궐련(10)을 가열하여 흡연용 증기를 생성하는 궐련형 전자담배(20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도 10 내지 도 13 참조), 니코틴이 포함된 흡연용 증기뿐만 아니라 연출용 증기를 함께 생성시킴으로써 실제 궐련담배의 흡연시 발생되는 연기량과 동등 수준 이상의 증기량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연출용 증기발생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는 흡연시 궐련(10)을 가열하여 니코틴이 포함된 흡연용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원 인가시 상기 궐련(10)을 가열하기 위한 제1발열히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발열히터(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궐련(10)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 측으로 삽입된 궐련(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발열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통하여 둘레방향을 따라 가열될 수 있음으로써 가열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균등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발열히터(111)는 공지의 발열히터가 원통형으로 구성된 형태일 수 있으나, 승온과 냉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작동 조건에서 신뢰성과 제품의 수명주기를 늘리고 발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세라믹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발열히터(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1a), 전극패턴(111b) 및 보호층(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111a)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패턴(111b)이 상기 지지체(111a)의 일면에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인가시 상기 전극패턴(111b)에서 발생된 열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체(111a) 측으로 이동한 후 지지체(111a)의 전체면적으로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가열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균등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체(111a)는 상기 전극패턴(111b)의 발열시 100℃ 이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지지체(111a)는 알루미나, MgO, Si3N4, SiC, AIN 등과 같은 세라믹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세라믹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체(111a)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패턴(111b)의 발열시 전극패턴(111b)과의 쇼트를 방지하고 100℃ 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전극패턴(111b)은 전원인가시 열을 생성하는 발열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111a)의 일면에 패턴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패턴(111b)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통해 형성된 인쇄패턴일 수도 있고, 에칭이나 타발과 같은 형상가공을 통해 패턴형성된 도전성부재가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Ag, 텅스텐, 몰리브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극재료 중 전원인가시 요구되는 발열온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된 공지의 전극재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보호층(111c)은 상기 전극패턴(111b)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극패턴(111b)이 다른 부품과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11c)은 상기 전극패턴(111b)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열경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보호층(111c)은 절연성, 열경화성 및 내열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체(111a)의 적어도 일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패턴(111b)은 상기 보호층(111c)을 통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보호층(111c)은 액상의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연성, 열경화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공지의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보호층(111c)은 상기 전극패턴(111b)을 덮도록 상기 지지체(111a)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체(111a)의 양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11a)가 취성이 강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보호층(111c)을 통해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지지체(111a)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발열히터(111)는 복수 개의 리드부(111d)를 통해 후술하는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112), 고정부재(113) 및 제1덮개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부재(114)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는 상기 단열부재(112), 고정부재(113) 및 제1덮개부재(114)가 상기 제1발열히터(111)를 감싸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덮개부재(114)를 통해 상기 지지부(130) 측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12)는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주변의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제1발열히터(111) 내에 집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중공 측에 삽입된 궐련(10) 측으로 열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11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열재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반경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줄이고 상기 반경방향과 수직한 수평방향으로의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일 수 있도록 그라파이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부재(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추어 서로 합지되는 제1시트(112a) 및 제2시트(1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112a) 및 제2시트(112b) 중 어느 하나는 판상의 그라파이트 시트일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PI필름부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 시트의 경우 길이 또는 폭방향에 해당하는 수평방향으로의 열전달율은 우수하나 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에 대한 열전달율은 매우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그라파이트 시트의 열전달 특성을 고려하여 판상의 그라파이트 시트와 PI필름부재가 합지된 형태로 단열부재(112)를 구성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두께방향이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반경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이루도록 제1발열히터(111)의 외측에 단열부재(112)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1발열히터(111) 측에 집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단열부재(112) 측으로 전달된다 하더라도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달율이 작은 그라파이트 시트를 통해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라파이트 시트 측에 일부의 열이 전달되더라도 전달된 열이 수평방향을 따라 분산됨으로써 상기 제1발열히터(111)를 보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측에 전달된 일부의 열은 상기 PI필름부재를 통해 2차적으로 열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부재(112)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1발열히터(111)의 외면을 덮도록 1회 이상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부재(112)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공형의 고정부재(11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도 6의 확대도 참조).
이를 통해, 상기 단열부재(112)는 상기 제1발열히터(111) 및 고정부재(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면이 각각 제1발열히터(111)의 외면과 고정부재(113)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3)는 상기 단열부재(112)가 제1발열히터(11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부재(112)를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제1발열히터(111)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113)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13)는 하부테두리가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114)는 상기 지지부(1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3) 및 제1발열히터(111)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13) 및 제1발열히터(111)의 장착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덮개부재(114)는 상기 고정부재(113)를 감쌀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삽입된 궐련(10)이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중공부와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덮개부재(114)는 하부측이 상기 지지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113) 및/또는 제1발열히터(111)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1덮개부재(114)를 지지부(130)와 분리함으로써 교체가 필요한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면하는 제1덮개부재(114)의 내부면과 고정부재(113)의 외부면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3)의 높이방향을 따라 간극(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극(d)에는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단열부재(112) 및 공기층을 통해 두 번에 걸쳐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반경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열이동이 차단됨으로써 제1발열히터(111)의 중공부 측으로 더욱 집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덮개부재(114)의 온도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흡연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서 궐련(10)으로부터 생성되는 흡연용 증기 이외에 니코틴이 포함되지 않은 연출용 증기를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연자는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 삽입된 궐련(10)을 이용한 흡연시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추가로 생성된 연출용 증기를 추가로 흡입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풍부한 양의 증기를 흡입 및 방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가 적용된 궐련형 전자담배(200)를 이용한 흡연시, 흡연자는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서 생성된 니코틴이 포함된 흡연용 증기와 함께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니코틴이 포함되지 않은 연출용 증기를 추가적으로 흡입한 후 방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연자는 통상적인 궐련담배를 이용한 흡연시 발생되는 연기량과 동등 수준 이상의 풍부한 양의 증기를 방출할 수 있음으로써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시 연출용 증기로 변환되는 액상물질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22a)이 형성된 제2덮개부재(122)와, 상기 저장공간(122a)으로부터 유입된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제2발열히터(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122a)에 저장된 액상물질을 상기 제2발열히터(121) 측으로 공급하는 흡수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발열히터(121)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흡수부재(123)를 통해 제2발열히터(121) 측으로 공급된 액상물질은 제2발열히터(121)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기화됨으로써 연출용 증기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100℃ 이하의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액상물질은 글리세린이 포함된 액상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기화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액상물질은 통상적인 전자담배에서 흡연용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니코틴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흡수부재(123)는 글라스파이버, 면, 또는 직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상물질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발열히터(121)는 상기 흡수부재(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된 코일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와 나란하게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122a)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저장공간(122a)과 연통된 주입구(미도시) 등을 통해 액상물질만을 보충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122a)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전체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질의 주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규정된 액상물질을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덮개부재(122), 흡수부재(123) 및 제2발열히터(121) 이외에 몸체(124) 및 결합부재(126)를 더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상기 결합부재(126)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24)는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통과로(125)가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12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덮개부재(122)는 상기 몸체(12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결합부재(126)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126) 및 몸체(124)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122a)이 규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24)에 형성되는 공기통과로(125)와 대응되는 영역에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로(122b)가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과로(125)와 연결될 수 있다(도 3 참조).
더불어, 상기 제2발열히터(121) 및 흡수부재(123)는 상기 공기통과로(125)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발열히터(121)는 상기 흡수부재(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된 코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흡수부재(123)는 상기 저장공간(122a)에 저장된 액상물질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양단부 측이 상기 저장공간(122a) 측에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124)에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126)는 상기 몸체(124) 및 제2덮개부재(122)가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테두리 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26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130)의 일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부(137)에 의해 걸림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24)는 복수 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124)는 제1몸체(124a), 제2몸체(124b), 절연부재(124c) 및 제1전극부재(124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제1몸체(124a)의 상부측에 상기 제2몸체(124b)가 결합되고 제1몸체(124a)의 하부측에 제1전극부재(124d)가 체결된 절연부재(124c)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124b), 제1몸체(124a) 및 제1전극부재(124d)의 중공부가 서로 연통되어 상술한 공기통과로(12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24a)와 제2몸체(124b)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2발열히터(121)가 권선된 흡수부재(123)의 양 단부측이 상기 제1몸체(124a) 측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24a), 제1전극부재(124d) 및 결합부재(126)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발열히터(121)를 구성하는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제1몸체(124a) 및 제1전극부재(124d)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가 상기 지지부(130) 측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30) 측에 구비된 두 개의 전극부재(138,1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개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통과로가 형성된 하나의 중공형 부재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경우 상기 몸체측에는 상기 공기통과로(125)와 수직한 방향으로 두 개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에 흡수부재(123)의 양 단부측이 삽입된 후 고정되는 형태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의 구성을 상술한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저장공간(122a)으로부터 제공된 액상물질을 제2발열히터(121)를 통해 가열하여 연출용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세부적은 구성은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120)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의 수평면 상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1발열히터(111)를 통해 생성된 연출용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더불어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30)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1돌출부(131) 및 제2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는 상기 제1덮개부재(114)의 하부측이 상기 제1돌출부(131)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13)의 하부테두리가 상기 제1돌출부(131)의 상부테두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는 상기 제2돌출부(132)가 상술한 결합부재(126)의 하부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돌출부(132)의 내부가 상기 공기통과로(125)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부재(124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절개홈(124e)이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절개홈(124e)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2돌출부(13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132) 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와 지지부(130)의 결합시 상기 제2발열히터(121)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2전극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돌출부(132) 측에는 상기 제2전극부재(150)를 배치하기 위한 전극배치공(136)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배치공(136) 측에 상기 제2전극부재(15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가 상기 제2돌출부(132) 측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 포함된 제1전극부재(124d)의 하부단이 상기 제2전극부재(150)와 접촉됨으로써 서로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의 일면에는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와의 결합시 상기 결합부재(126)의 하부테두리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전극(138)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가 상기 제2돌출부(132) 측에 체결되는 경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26)와 상기 접촉전극(138)이 접촉됨으로써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전극(138)은 볼플런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부재(150) 및 접촉전극(138)은 궐련형 전자담배(200)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메인기판(231)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는 흡연자가 상기 궐련(10)을 흡입하는 경우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서 생성된 흡연용 증기와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가 흡연자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연자 측으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30) 측에는 바와 같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가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통로(133)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돌출부(131)와 상기 제2돌출부(132)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132)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동통로(133)와 연결되는 연통로(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 삽입된 궐련(10)의 단부를 흡연자가 흡입하는 경우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는 흡연자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통과로(125)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전극부재(124d)에 형성된 절개홈(124e)을 통해 상기 제2돌출부(132)의 중공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연출용 증기는 상기 연통로(134) 및 이동통로(133)를 경유하여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서 생성된 흡연용 증기와 합쳐질 수 있으며, 궐련을 통해 상기 흡연용 증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자는 흡연용 증기와 더불어 연출용 증기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연자가 흡입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경우 방출되는 증기량이 연출용 증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증가되어 풍부한 양의 증기가 발생될 수 있음으로써 흡연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출용 증기의 공급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 삽입된 궐련(10)을 통하여 흡연자가 흡연하는 경우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가 흡연용 증기가 공급되는 경로와 다른 경로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 측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입로(122b)가 공기통과로(125)와 연결됨으로써 흡연자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가 이동통로(133)를 통해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30)의 일면에는 상기 제1발열히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140)은 상기 지지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의 일면에는 상기 회로기판(1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39)이 인입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140)이 상기 수용홈(139)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기판(140)은 상술한 제1발열히터(11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는 복수 개의 리드부(111d)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매개로 궐련형 전자담배(200)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메인기판(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30) 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부(111d)가 통과하는 리드부배치공(135)이 관통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드부배치공(135)에 삽입된 리드부(111d)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발열히터(111)가 상기 지지부(130)의 일면에 고정된 회로기판(140)과 상기 리드부배치공(135)을 통과하는 리드부(111d)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리드부(111d)가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회로기판(140)과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적인 단선과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는 궐련형 전자담배(20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전자담배(20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100), 케이스(210),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220)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히터조립체(100)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220)와 함께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22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제어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제1발열히터(111) 및 제2발열히터(121)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에 삽입된 궐련과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120)에 포함된 액상물질로부터 흡연용 증기 및 연출용 증기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220)는 공지의 배터리일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일차전지일 수도 있으나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판(231)과 상기 메인기판(231)의 일면에 실장된 MCU와 같은 칩셋(2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전자적인 구동을 위한 다양한 회로들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1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1케이스(211)와, 상기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2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2케이스(2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제2케이스(212)의 상부테두리 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211)와 상기 지지부(130) 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부재(160,240)가 구비되어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211)가 제2케이스(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21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211) 측에는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110)와 대응되는 영역에 투입구(213)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213) 측으로 궐련(1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궐련(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1발열히터(111)의 중공부 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발열히터(1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213)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상기 커버부재(250)가 개방된 투입구(213)를 밀폐하여 상기 제1발열히터(1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발열히터(11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부재(2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힌지방식, 삽입방식 등 상기 투입구(213)를 밀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220)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포트(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용 포트(60)는 상기 메인기판(23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전용 포트(60)는 공지의 USB 커넥터일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22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공지의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220)가 재충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궐련형 전자담배(200)는 온/오프, 제1,2발열히터(111,121)의 가동시간, 흡연이 가능한 상태 또는 흡연이 불가능한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림수단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림이 필요한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270)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알림수단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리가 출력되는 방식, 문자가 표시되는 방식,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방식일 수도 있고 두 가지 이상의 방식이 서로 조합된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궐련형 전자담배(200)는 외부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기의 상태나, 흡입 횟수와 같은 흡연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무선통신기능은 블루투스나 NFC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110 : 흡연용 증기발생부
111 : 제1발열히터 120 : 연출용 증기발생부
121 : 제2발열히터 125 : 공기통과로
130 : 지지부 133 : 이동통로
134 : 연통로 200 : 궐련형 전자담배
210 : 케이스 213 : 투입구
220 : 전원공급부 231 : 메인기판
232 : 칩셋 250 : 커버부재
260 : 충전용 포트 270 : 진동모터

Claims (7)

  1.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일부를 가열하여 흡연용 증기를 생성하는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상기 궐련의 흡입시 액상물질을 가열하여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연출용 증기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는 궐련의 흡입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궐련을 통과한 후 상기 흡연용 증기와 함께 흡입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및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각각 일면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에서 생성된 연출용 증기를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
    개방된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을 통해 상기 궐련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내부로 삽입된 궐련의 외부면을 가열하는 제1발열히터; 및
    상기 제1발열히터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액상물질이 일정량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되며 외기가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 선단면에 유입로가 형성되는 제2덮개부재;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액상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되어 전원인가시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연출용 증기를 생성하는 제2발열히터; 및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발열히터 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기통과로; 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출용 증기발생부가 결합되는 중공형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연통로;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열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발열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1발열히터의 반경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그라파이트 재질을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단열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제1발열히터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용 증기발생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서로 대면하는 제1덮개부재의 내면과 고정부재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간극이 형성되는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7. 삭제
KR1020200060747A 2017-07-21 2020-05-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KR10230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47A KR102307263B1 (ko) 2017-07-21 2020-05-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05A KR102116961B1 (ko) 2017-07-21 2017-07-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KR1020200060747A KR102307263B1 (ko) 2017-07-21 2020-05-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05A Division KR102116961B1 (ko) 2017-07-21 2017-07-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70A KR20200058370A (ko) 2020-05-27
KR102307263B1 true KR102307263B1 (ko) 2021-09-30

Family

ID=7091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47A KR102307263B1 (ko) 2017-07-21 2020-05-21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83B1 (ko) 2020-11-03 2022-12-0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곰방대형 전자담배
KR102473681B1 (ko) 2020-11-03 2022-12-0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곰방대형 전자담배
KR20220098841A (ko)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에프티에스 세라믹이 코팅된 전자담배용 발열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4772A1 (en) 2011-07-12 2013-01-17 Qiuming Liu Electric flue-cured tobacco
KR101265170B1 (ko) * 2011-04-05 2013-05-24 이영인 전자담배를 위한 니코틴 용액의 수용 용기 및 이를 가진 전자담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77293B (en) 2011-11-21 2022-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xtraction device for a substrate that produces a spray, a device for producing a spray that includes an extraction device and an extraction device
BR112017001449A2 (pt) * 2014-08-21 2017-12-05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e sistema geradores de aeross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70B1 (ko) * 2011-04-05 2013-05-24 이영인 전자담배를 위한 니코틴 용액의 수용 용기 및 이를 가진 전자담배
US20130014772A1 (en) 2011-07-12 2013-01-17 Qiuming Liu Electric flue-cured tobac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70A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2836B2 (ja) 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用ヒーター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
JP7067813B2 (ja) 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装置用ヒーター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巻きタバコ型電子タバコ装置
KR102307263B1 (ko)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JP684028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20220061397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s
KR1020749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998336B2 (ja) エアロゾル発生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KR102468024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히터를 구비한 용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10006342A (ko) 액체 공급부로부터 격리된 히터 요소를 갖는 히터 조립체
KR20130029697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20210125547A (ko)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CN112955035A (zh) 气溶胶供应装置
JP2022510596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WO2023275948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86143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EP4192296A1 (en) Aerosol generation assembly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 cartridge with nf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