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62B1 -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62B1
KR102306862B1 KR1020200185951A KR20200185951A KR102306862B1 KR 102306862 B1 KR102306862 B1 KR 102306862B1 KR 1020200185951 A KR1020200185951 A KR 1020200185951A KR 20200185951 A KR20200185951 A KR 20200185951A KR 102306862 B1 KR102306862 B1 KR 10230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protrusion
bed
nonwoven sheet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운
김영식
김민석
장성원
심희창
Original Assignee
심정운
김영식
김민석
장성원
심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정운, 김영식, 김민석, 장성원, 심희창 filed Critical 심정운
Priority to KR102020018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은 베이스 블록 그리고 브러시를 포함한다. 베이스 블록은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 및 베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베드에 탈착된다. 브러시는 베이스 블록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니들이 상하 이동하면서 부직포 시트를 찌르는 동안 부직포 시트를 지지한다. 베이스 블록은 브러시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는 치형돌기와, 블록 몸체의 하면에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결합구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UNIT FOR SUPPRORTING NON-WOVEN SHEET AND APPARATUS FOR POST-PROCESSING NON-WOVEN SHE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Non-Woven Fabric)는 방적이나 제직에 의하지 않고 섬유집합체 또는 필름을 물리적, 화학적 수단에 의하거나 적당한 수분이나 열로써 섬유 상호간을 결합시킨 것이다. Web또는 Sheet상의 섬유집합체를 토대로 하여 이것을 결정체로 결합시키거나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간 결정을 강하게 한 것으로. 천연, 화학, 유리, 금속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여 시트(Sheet)모양의 웹(Web)을 형성하고, 이를 물리적인 방법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구조이다. 이러한 부직포는 여과성, 보온성, 성형성, 쾌적성, 흡수성, 절연성, 방전성, 견뢰성 등과 같은 특성을 지녀 필터류, 인공피혁, 자동차 내장재, 카펫 등에 널리 쓰이고 근래에는 일회용 제품의 사용 증가에 의해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직포는 사용 용도의 특성에 따라 워터제트, 니들 펀칭기에 의한 물리적 방법과, 케미컬 본딩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으로 나뉘는데, 이외에도 열 혹은 압력에 의해 용융시켜 제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생산하고 있다. 이중, 니들 펀칭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부직포의 두께 조정이 용이하여 카페트, 모포, 필터, 심지 또는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적합하다.
한편, 최근에는 모든 제품들이 고급화를 선호하는 추세로서, 특히 자동차의 급격한 발달로 그에 따른 내장재로 사용되는 부직포 또한 보다 향상된 고품질의 부직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니들 펀칭기를 통하여 생산되는 부직포는 표면이 부드럽지 못하고 품질의 고급화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니들 펀칭기에 의해 1차 가공된 부직포를 후가공하여 부직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가공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후가공 장치에서는 1차 가공된 부직포 시트를 니들을 이용하여 후가공 하게 되는데, 이때, 1차 가공된 부직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의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8441호(2011.11.3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개선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에 탈착되는 베이스 블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니들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를 찌르는 동안 상기 부직포 시트를 지지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는 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상기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고,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돌출구와, 상기 제1돌출구의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리브를 가지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구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결합리브와, 상기 제1결합리브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웃하는 다른 제1결합리브를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누름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에 탈착되는 베이스 블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니들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를 찌르는 동안 상기 부직포 시트를 지지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는 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상기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구와, 상기 제2돌출구의 상단부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지지리브를 가지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제2지지리브가 수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돌출구 및 상기 제2지지리브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변형 방지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홈은 상기 치형돌기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형돌기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형돌기는 상기 블록 몸체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로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보다 높은 제2돌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베이스 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치형돌기는 상기 제1측면의 반대 면인 제2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치형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치형돌기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치형돌기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제1치형돌기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복수의 상기 베이스 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치형돌기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질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는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의 타단부는 대향되는 다른 누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직선 형태의 제1브러시 모 및 굴곡진 형태의 제2브러시 모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를 묶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의 지름이 상기 고정홈의 지름보다 커지도록,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1차 가공된 부직포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후방에 구비되고, 복수의 베드를 가지는 베드 유닛; 상기 베드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상기 베드 유닛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에 지지되는 부직포 시트를 찔러 후가공하는 니들을 가지는 니들 유닛; 그리고 후가공된 상기 부직포 시트가 회수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블록의 탈착부가 탄성 변형되는 누름바를 가지고, 베이스 블록 및 베드의 결합 시에 누름바가 베드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블록 및 베드의 결합이 더욱 견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블록의 일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접하게 배열된 베이스 블록 간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결합되면 베이스 블록의 높이 방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특히, 컨베이어 이동하면서 회전되는 구간에서도 각각의 베이스 블록 간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베드의 결합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브러시를 중심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 및 베드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후가공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베드의 결합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은 베이스 블록(100) 그리고 브러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블록(100)은 블록 몸체(110), 치형돌기(120) 및 탈착부(130)를 가질 수 있다.
블록 몸체(110)는 베이스 블록(1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록 몸체(110)는 상면(111)에 복수개의 고정홈(112)을 가질 수 있다. 고정홈(112)에는 브러시(200)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치형돌기(120)는 블록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치형돌기(120)는 블록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탈착부(130)는 블록 몸체(110)의 하면(113)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31)에 형성되는 결합구(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구(32)에 탈착될 수 있다.
베드(31)의 결합구(32)는 제1돌출구(33) 및 제1지지리브(34)를 가질 수 있다. 제1돌출구(33)는 베드(31)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지지리브(34)는 제1돌출구(33)의 상단부에 베드(3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130)는 돌출부(131), 제1결합리브(132) 및 누름바(133)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1)는 베이스 블록(100)의 하면(113)에 돌출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제1돌출구(3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결합리브(132)는 돌출부(131)의 하단부 양측에 돌출될 수 있다. 제1결합리브(132)는 제1돌출구(33) 및 제1지지리브(3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록 몸체(110)는 베드(31)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누름바(133)는 제1결합리브(132)와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다른 제1결합리브를 향하도록 베이스 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누름바(133)는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베이스 블록(100)의 하면(113)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바(133)의 타단부는 대향되는 다른 누름바(133)의 타단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블록(100)의 하면(113)과 제1결합리브(132) 및 누름바(133) 사이에는 제1슬라이드 공간(1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드 공간(136)으로는 베드(31)의 제1지지리브(34)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좌측의 제1결합리브(132a)에 일단부(134a)가 연결된 누름바(133a)는 우측의 제1결합리브(132b)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제1결합리브(132b)에 일단부(134b)가 연결된 누름바(133b)는 좌측의 제1결합리브(132a)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의 누름바(133a)는 타단부(135a)방향으로 갈수록 베이스 블록(100)의 하면(113)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의 누름바(133b)는 타단부(135b)방향으로 갈수록 베이스 블록(100)의 하면(113)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누름바(133a,133b)의 타단부(135a,135b)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누름바(133a,133b)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 공간(136)으로 베드(31)의 제1지지리브(34)가 삽입되면 누름바(133a,133b)는 제1지지리브(34)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누름바(133a,133b)가 제1지지리브(34)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베이스 블록(100) 및 베드(31)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고,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은 베드(3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블록(100)은 변형 방지홈(114)을 가질 수 있다. 변형 방지홈(114)은 블록 몸체(110)의 하면(113)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베드(31)는 컨베이어(Conveyor)에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에는 컨베이어의 회전 부하 등에 의한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변형 방지홈(114)은 이렇게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베이스 블록(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 방지홈(114)은 베이스 블록(100)의 성형 시 베이스 블록(100)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변형 방지홈(114)은 특히 치형돌기(12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형돌기(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거나, 또는, 치형돌기(120) 성형 시 열응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5를 더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5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치형돌기(12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드(31)는 제1방향(A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은 제1방향(A1)을 따라 베드(31)에 결합될 수 있다. 치형돌기(12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드(31)에 결합되는 각각의 베이스 블록(100)은 제1방향(A1)으로 인접하여 서로 치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드(31)는 제1방향(A1)에 수직한 제2방향(A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베드(31)에 결합되는 베이스 블록(100)은 제2방향(A2)으로 인접한 다른 베이스 블록(100)과도 치형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브러시를 중심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200)는 제1브러시 모(210) 및 제2브러시 모(22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즉, 브러시(200)는 제1브러시 모(210)만 가지거나, 또는, 제2브러시 모(220)만 가지거나, 또는 제1브러시 모(210) 및 제2브러시 모(220)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브러시 모(21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브러시 모(220)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이 부직포 후가공 장치에 설치되면, 브러시(200)는 부직포 시트(NW, 도 13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 후가공 장치에 장착되고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의 상측에 마련되는 니들(51, 도 13 참조)은 상하 이동하면서 브러시(200)에 의해 지지되는 부직포 시트를 찌르면서 후가공할 수 있다. 하향 이동하여 부직포 시트를 통과하는 니들은 브러시(200)로 삽입되고 다시 상향 이동하여 브러시(200)에서 빠져 나오게 되는데, 니들이 브러시(200)로 삽입되고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니들 및 브러시(200)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브러시(200)가 직선 형태의 제1브러시 모(210) 및 굴곡진 형태의 제2브러시 모(220)가 혼합된 형태를 이루게 되면, 니들과 브러시 모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고, 니들의 마모를 늦출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은 고정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300)은 조임부(310) 및 핀부(320)를 가질 수 있다. 조임부(310)는 핀부(320)가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브러시(200)의 중앙부분을 묶을 수 있다. 핀부(320) 및 조임부(310)는 블록 몸체(110)의 고정홈(112, 도 2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300)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30)를 더 가질 수 있다. 돌기부(330)에 의해 고정핀(300)의 외측 지름은 고정홈(112)의 내측 지름보다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핀(300)이 고정홈(1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어, 고정홈(112)으로부터 고정핀(30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 및 베드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은 베이스 블록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블록(100a)의 치형돌기는 제1치형돌기(121) 및 제2치형돌기(122)를 가질 수 있다.
제1치형돌기(121)는 블록 몸체(110a)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치형돌기(122)는 블록 몸체(110a)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H1)보다 높은 제2돌출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치형돌기(121) 및 제2치형돌기(122)를 블록 몸체(110a)의 둘레를 따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몸체(110a)의 제1측면(116)에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121)는 제2측면(117)에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측면(116)에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122)는 제2측면(117)에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몸체(110a)의 제3측면(118)에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121)는 제4측면(119)에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3측면(118)에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122)는 제4측면(119)에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 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베이스 블록(100a)의 제1측면에 형성된 제1치형돌기(121a)는 제2방향(A2)으로 인접한 다른 베이스 블록(100b)의 제2측면에 형성된 제2치형돌기(122b)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100a)의 제1측면에 형성된 제2치형돌기(122a)는 제2방향(A2)으로 인접한 베이스 블록(100b)의 제2측면에 형성된 제1치형돌기(121b)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1방향(A1)으로 인접된 베이스 블록 간에도 제1치형돌기 및 제2치형돌기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100a)은 결합돌기(140) 및 결합홈(150)을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140)는 제1치형돌기(121)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50)은 제2치형돌기(1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돌기(14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제2방향(A2)으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100a,100b) 간에는 결합돌기(140) 및 결합홈(15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드는 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이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 등으로 인해 베드가 덜컹거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돌기(140)가 결합홈(150)에 결합되면 베이스 블록(100a)의 높이 방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베이스 블록(100a) 간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부직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결합된 베드(31a,32b)는 롤러(45, 도 13 참조)를 따라 곡선(C)을 그리면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베이스 블록(100a,100b)이 각 베드(31a,32b)와 함께 회전이 되더라도 인접한 베이스 블록(100a,100b) 간에는 결합돌기(140a)가 결합홈(150b)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블록(100a,100b)이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되는 경우에도 베이스 블록(100a,100b) 간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드(31a)의 결합구(32a)는 제2돌출구(36) 및 제2지지리브(37)를 가질 수 있다. 제2돌출구(36)는 베드(31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리브(37)는 제2돌출구(36)의 상단부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리브(37)의 하부에는 제2슬라이드 공간(3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130a)는 연장부(137) 및 제2결합리브(138)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137)는 베이스 블록(100a)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블록(10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결합리브(138)는 연장부(137)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리브(138)가 베드(31a)의 제2슬라이드 공간(38)으로 삽입되면, 제2결합리브(138)는 제2지지리브(37)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베드(31a)의 제2지지리브(37)는 연장부(137)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탈착부는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베드의 결합구의 구성 및 탈착부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베드의 결합구의 구성 및 탈착부의 구성도 제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치형돌기 또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치형돌기가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치형돌기가 제1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음도 물론이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 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을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후가공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 후가공 장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 공급유닛(20), 베드 유닛(30), 회수유닛(40) 그리고 니들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닛(20)은 1차 가공된 부직포 시트(NW)를 공급할 수 있다.
베드 유닛(30)은 공급유닛(2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베드 유닛(30)은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의 베드(31)를 가질 수 있으며, 베드(31)는 롤러(45)에 의해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은 베드(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드(31)와 함께 회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NW)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니들 유닛(50)은 베드 유닛(3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10)에 지지되는 부직포 시트(NW)를 찔러 후가공하는 니들(51)을 가질 수 있다.
회수유닛(40)은 베드 유닛(3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가공된 부직포 시트(NW)는 회수유닛(40)에 회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NW: 부직포 시트
20: 공급유닛 30: 베드 유닛
31,31a: 베드 40: 회수유닛
50: 니들 유닛 100: 베이스 블록
114: 변형 방지홈 120: 치형돌기
121: 제1치형돌기 122: 제2치형돌기
130: 탈착부 133: 누름바
140: 결합돌기 150: 결합홈
200: 브러시 210: 제1브러시 모
220: 제2브러시 모 300: 고정핀

Claims (15)

  1.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에 탈착되는 베이스 블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니들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를 찌르는 동안 상기 부직포 시트를 지지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는 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상기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돌출구와, 상기 제1돌출구의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리브를 가지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구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결합리브와,
    상기 제1결합리브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웃하는 다른 제1결합리브를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누름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2. 부직포 후가공 장치의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에 탈착되는 베이스 블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부직포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니들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를 찌르는 동안 상기 부직포 시트를 지지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는 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상기 베드의 결합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구와, 상기 제2돌출구의 상단부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지지리브를 가지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제2지지리브가 수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돌출구 및 상기 제2지지리브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변형 방지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홈은 상기 치형돌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돌기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돌기는
    상기 블록 몸체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로 형성되는 제1치형돌기와,
    상기 블록 몸체의 외측방향을 향해 제1돌출 높이보다 높은 제2돌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치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베이스 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치형돌기는 상기 제1측면의 반대 면인 제2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치형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치형돌기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치형돌기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제1치형돌기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복수의 상기 베이스 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치형돌기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는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하면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의 타단부는 대향되는 다른 누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직선 형태의 제1브러시 모 및 굴곡진 형태의 제2브러시 모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를 묶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의 지름이 상기 고정홈의 지름보다 커지도록,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14. 1차 가공된 부직포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후방에 구비되고, 복수의 베드를 가지는 베드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되고, 상기 베드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상기 베드 유닛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에 지지되는 부직포 시트를 찔러 후가공하는 니들을 가지는 니들 유닛; 그리고
    후가공된 상기 부직포 시트가 회수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15. 삭제
KR1020200185951A 2020-12-29 2020-12-29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KR10230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51A KR102306862B1 (ko) 2020-12-29 2020-12-29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51A KR102306862B1 (ko) 2020-12-29 2020-12-29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62B1 true KR102306862B1 (ko) 2021-09-29

Family

ID=7792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951A KR102306862B1 (ko) 2020-12-29 2020-12-29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155A (ko) * 2006-05-23 2006-06-15 (주) 삼보 부직포의 천공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KR101088441B1 (ko) 2011-01-31 2011-11-30 이종학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후가공기
KR20160013572A (ko) * 2014-07-28 2016-02-05 안태영 벨루어 부직포 제조장치
CN105382716A (zh) * 2015-12-29 2016-03-09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毛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155A (ko) * 2006-05-23 2006-06-15 (주) 삼보 부직포의 천공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KR101088441B1 (ko) 2011-01-31 2011-11-30 이종학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후가공기
KR20160013572A (ko) * 2014-07-28 2016-02-05 안태영 벨루어 부직포 제조장치
CN105382716A (zh) * 2015-12-29 2016-03-09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毛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1263B2 (en) Spacer fabric, composite material formed with the spacer fabric and use of the composite material
US3081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pertured nonwoven fabric
KR100355785B1 (ko) 3차원 네트를 가진 쿳션부재
FI971416A (fi) Puhdistuskangas likaisten pintojen puhdistamiseksi
KR102306862B1 (ko) 부직포 시트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후가공 장치
JP2514509Y2 (ja) 製紙用ニードルフエルト
US5461745A (en) Automatic vehicle washing apparatus
PL182094B1 (en) Coating for surfaces contacting hot gl;ass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407087B2 (en) Abrasive product
JP6169179B2 (ja) トップコーム取付け部材
EP2252730A2 (en) A system to modify ring spinning machines to manufacture compact yarn
US5544500A (en) Guide bar arrangement for a crochet galloon knitting machine
TW482837B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replaceable member for restricting vertical movement of sinkers
JP2022548819A (ja) ドローオフ機構
US7475531B2 (en) Drawing frame with aprons entwined around twin output top delivery rollers
JP2019196043A (ja) カバー吊り部材の深留め防止サスペン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シート
CN108591723A (zh) 一种纺织机支撑装置
US3038213A (en) Drafting mechanism for textiles
US20030182765A1 (en) Device for attaching clothing to a flat bar
KR20090019044A (ko) 마이크로파이버를 이용한 파일지
CN209759728U (zh) 一种用于针刺机的针刺机构
US2145630A (en) Underclearer and mounting therefor in textile spinning, doubling, twisting, and like machines
JPS62104928A (ja) トツプ針布
CN214938457U (zh) 一种高效毛纱线生产用染缸
JP3218100U (ja) 不織布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