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750B1 -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750B1
KR102306750B1 KR1020190147664A KR20190147664A KR102306750B1 KR 102306750 B1 KR102306750 B1 KR 102306750B1 KR 1020190147664 A KR1020190147664 A KR 1020190147664A KR 20190147664 A KR20190147664 A KR 20190147664A KR 102306750 B1 KR102306750 B1 KR 10230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
wire
bms
data backup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712A (ko
Inventor
강태영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주)비에이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이에너지 filed Critical (주)비에이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14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S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시 배터리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동작정보를 백업하여 기록함으로써 화재의 원인규명을 할 수 있고, 동작정보를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장치로 화염이나 연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에도 장치의 소손없이 동작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ESS back-up system capable of recording operating data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ESS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시 배터리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동작정보를 백업하여 기록함으로써 화재의 원인규명을 할 수 있고, 동작정보를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장치로 화염이나 연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에도 장치의 소손없이 동작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발전하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ESS 백업 시스템은 원하는 시간에 전력 생산이 어려운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에서 핵심 설비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지식경제부에서 ‘에너지저장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전략 K-ESS 2020’을 마련해 2020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30%를 목표로 총 6.4조 원 규모의 연구 개발 및 설비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촉진법을 통해 2022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자 비율을 10%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발표하면서 ESS 백업 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ESS 백업 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한 ESS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2017년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3차례의 ESS 화재사고가 발생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꾸렸으며, 2019년 6월 11일 조사 결과를 공개했는데, ESS 화재 사고가 미흡한 안전기준과 관리 부실 등의 복합된 원인에서 비롯돼 결정적 원인과 책임자는 특정하기 어렵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이렇게 ESS 백업 시스템의 화재원인을 규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ESS 백업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터리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모두 소손되어 버려, 화재가 발생되기 전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ESS 백업 시스템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 발생 전 배터리나 BMS의 동작 상태를 기록하여 화재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게 하는 ESS 백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장치가 화염이나 연기에 소손되지 않게 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및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설치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컨테이너; 및 상기 ESS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BMS로부터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기록하는 데이터 백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BMS로와 전선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전선 인입구가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인입구에는 화재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발포하여 상기 전선 인입구를 틀어막는 발포성 내화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SS 컨테이너의 바닥에는 소형 함체가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상기 소형 함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형 함체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 전달구가 타공되어 있고, 상기 전선 전달구에는 화재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발포하여 상기 전선 전달구를 틀어막는 발포성 내화재가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형 함체의 바닥은 지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연소되는 가연성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소형 함체의 내부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체결부재가 연소되어 끊어질 경우,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지면으로 자유낙하하여 상기 ESS 컨테이너에서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SS 컨테이너는 상기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실과 상기 BMS가 설치되는 BMS실로 공간의 구획되고, 상기 소형 함체는 상기 BMS실의 바닥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ESS 백업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백업장치가 배터리와 BMS의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ESS 백업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백업장치로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 인입구에 발포성 내화재가 설치하여 화재시 부풀어 올라 전선 인입구를 완전히 틀어막게 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가 데이터 백업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의 전자기기가 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ESS 백업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가 지속될 때, 데이터 백업장치를 ESS 컨테이너의 하부로 완전히 이탈시켜 화염과 연기의 영향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정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백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백업 시스템의 데이터 백업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백업 시스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 백업장치가 보호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백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백업 시스템(100)은 신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계통으로 공급하거나 댁내의 부하로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ESS 백업 시스템(100)은 ESS 컨테이너(110)와 데이터 백업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ESS 컨테이너(110)는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111)와 상기 배터리(111)의 충방전 제어, 용량 및 수명 예측 등 관리를 수행하는 BMS(112,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ESS 컨테이너(1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배터리(111)가 위치하는 배터리실(111a)과 상기 BMS(112)가 위치하는 BMS실(112a)로 구획된다.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는 상기 ESS 컨테이너(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111) 및 상기 BMS(112)와 전선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111)와 상기 BMS(112)로부터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기록한다.
즉,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는 일종의 블랙박스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에는 상기 전선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전선 인입구(도 2의 '121'참조)가 타공되며, 상기 전선 인입구(121)에는 발포성 내화재(도 2의 '121a' 참조)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발포성 내화재(121a)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발포되어 부풀어 오르고 상기 전선 인입구(121)를 틀어막아 화재시 연기나 화염이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 내부의 전자기기들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ESS 백업 시스템(100)에 의하면, 화재시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로 화염이나 연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여 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111)와 상기 BMS(112)의 동작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ESS 컨테이너(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형 함체(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함체(130)는 화재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로 직접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형 함체(130)는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BMS실(112a)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형 함체(130)에는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로 인입되는 전선(10)을 통과시켜주기 위한 전선 전달구(131)가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전달구(131)에도 발포성 내화재(131a)가 삽입되어 있다.
즉, 화재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기 전선 전달구(131)의 발포성 내화재(131a)와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의 발포성 내화재(121a)에 의해 두 단계로 차단되어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함체(130)의 바닥면은 지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는 가연성 체결 부재(140)에 의해 상기 소형 함체(130)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연성 체결 부재(140)는 화재시 연소되어 끊어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가 상기 소형 함체(130)의 개방된 하부(130a)를 통해 지면(G)으로 자유낙하하게 함으로써, 상기 ESS 컨테이너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한다.
이는 화재시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를 연기나 화염이 발생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시켜 최대한 연기나 화염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ESS 백업 시스템(100)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발포성 내화재(121a)를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장치(120)로 유입되는 화염이나 연기를 막아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극단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120)를 ESS 컨테이너(110)의 하부로 이탈시켜 화염과 연기의 영향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동작상태 정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ESS 백업 시스템 110:ESS 컨테이너
111:배터리 112:BMS
120:데이터 백업장치 121:전선 인입구
121a,131a:발포성 내화재 130:소형 함체
140:가연성 체결부제

Claims (5)

  1. 배터리 및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설치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컨테이너; 및
    상기 ESS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BMS로부터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기록하는 데이터 백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ESS 컨테이너의 바닥에는 소형 함체가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상기 소형 함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형 함체의 바닥은 지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연소되는 가연성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소형 함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BMS와 전선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전선 인입구가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인입구에는 화재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발포하여 상기 전선 인입구를 틀어막는 발포성 내화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BMS와 전선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형 함체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 전달구가 타공되어 있고, 상기 전선 전달구에는 화재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발포하여 상기 전선 전달구를 틀어막는 발포성 내화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체결부재가 연소되어 끊어질 경우, 상기 데이터 백업장치는 지면으로 자유낙하하여 상기 ESS 컨테이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SS 컨테이너는 상기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실과 상기 BMS가 설치되는 BMS실로 공간의 구획되고,
    상기 소형 함체는 상기 BMS실의 바닥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백업 시스템.
KR1020190147664A 2019-11-18 2019-11-18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KR10230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64A KR102306750B1 (ko) 2019-11-18 2019-11-18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64A KR102306750B1 (ko) 2019-11-18 2019-11-18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12A KR20210060712A (ko) 2021-05-27
KR102306750B1 true KR102306750B1 (ko) 2021-09-30

Family

ID=7613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64A KR102306750B1 (ko) 2019-11-18 2019-11-18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7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358A (ja) 2012-08-11 2014-02-27 Sekisui Chem Co Ltd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553713B1 (ko) 2014-04-30 2015-09-17 주식회사 이랜텍 전력공급 중단 시 배터리셀 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4770C2 (nl) * 2003-04-28 2004-11-24 Beele Eng Bv Brandwerend schuim, constructie-elementen daarvan, systeem voor het vlamdicht afdichten van een opening, alsmede een werkwijze voor het afdichten van een opening in een wand.
KR101354069B1 (ko) * 2011-12-27 2014-01-23 이호재 내화 충전구조 블럭
KR101654438B1 (ko) * 2014-12-31 2016-09-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태양전지가 설치된 에너지 저장장치
KR102009919B1 (ko) * 2017-11-15 2019-08-12 주식회사 티팩토리 이중 보호용 제어전원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358A (ja) 2012-08-11 2014-02-27 Sekisui Chem Co Ltd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553713B1 (ko) 2014-04-30 2015-09-17 주식회사 이랜텍 전력공급 중단 시 배터리셀 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12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42B1 (ko)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US7280354B2 (en) Disk array device
US20220336921A1 (en) Battery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for battery system
US20090216381A1 (en) Closed data center contain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A2200982A1 (en) Power backup system for volatile memory
US20200101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fire extinguishing through flooding the battery
KR20220004854A (ko)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87956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Conzen et al. Lithium io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BESS) hazards
KR102306750B1 (ko) 화재시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ess 백업 시스템
KR20200112461A (ko) 소화약재 개별 투입이 가능한 ess 모듈 소화 장치
KR20220049357A (ko) 복수의 화재인자 검출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방법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AU2008240529B2 (en) Casing comprising a re-writable computer medium to be mounted in a service cabinet
JP4953013B2 (ja) 異常監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二次電池収容棚
US20050285571A1 (en) Battery with non-volatile memory for LMR portable radio applications
US3792314A (en) Emergency light apparatus
US20090071678A1 (en) Cradle arrangement
CN210246362U (zh) 移动终端设备充电保护箱
CN210780154U (zh) 一种仪器仪表用的智能化充电平台
CN110180111B (zh) 一种安全的微小型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SE455149B (sv) Brandsekert skap for inmontering av datautrustning
KR102623987B1 (ko) 전기차 화재 지연장치
CN216161458U (zh) 一种带备用接口fpc的存储器
JPS60225351A (ja) 電源供給装置
TWM580263U (zh) 淹浸式電池滅火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