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439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6439B1 KR102306439B1 KR1020140126946A KR20140126946A KR102306439B1 KR 102306439 B1 KR102306439 B1 KR 102306439B1 KR 1020140126946 A KR1020140126946 A KR 1020140126946A KR 20140126946 A KR20140126946 A KR 20140126946A KR 102306439 B1 KR102306439 B1 KR 102306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isplay
- interface unit
- signal
- image prov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형성되는 도킹부를 통해,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영상 전송을 위한 제1 라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라인,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 전송을 위한 제3 라인, 및 전원 신호 전송을 위한 제4 라인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영상제공장치의 부착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전원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제공장치의 부착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전원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다양한 영상 시청 외에, 사용자에게 편의 제공을 위한 다양한 기능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제공장치의 부착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전원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형성되는 도킹부를 통해,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영상 전송을 위한 제1 라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라인,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 전송을 위한 제3 라인, 및 전원 신호 전송을 위한 제4 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형성되는 도킹부를 통해,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영상 전송을 위한 제1 라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라인,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 전송을 위한 제3 라인, 및 전원 신호 전송을 위한 제4 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영상제공장치의 부착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전원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제3 라인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전송 방식을 구분함으로써, 영상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되는 경우, 접속되는 통신 장치로부터 영상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영상제공장치의 탈착에도 심리스한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영상제공장치의 탈착시, 영상제공장치의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교류 전원 공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영상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제공장치가 영상표시장치의 배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a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 또는 도 5b의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4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 사이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0e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영상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제공장치가 영상표시장치의 배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a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 또는 도 5b의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4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 사이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0e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영상제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영상제공장치가 영상표시장치의 배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50)는 디스플레이(도 4의 18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형성된 도킹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50)의 배면에, 케이스(10)가 형성되고, 케이스(10)에 형성된 도킹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70)가, 도킹부(미도시)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50)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한편, 도면에서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가,영상표시장치(50)의 배면에, 즉, 케이스(10)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접속부는, 커버가 있는 옵션 접속부와, 커버가 없는 상기 개방 접속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제공장치(70)는 도킹부(미도시)에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장치로서, 신호 처리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rsonal Computer의 본체, 태블릿,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영상제공장치(70)로, 컴퓨터 본체 또는 PC 박스인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50)의 도킹부(미도시)는, 케이스(10)의 배면에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영상제공장치(70)는, 도킹부(미도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킹부(미도시)에는 영상제공장치(70)와의 결합 시, 영상제공장치(7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미도시)는 도킹부(미도시)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영상제공장치(70)에는 레일가이드(미도시)와 형합되는 레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영상제공장치(70)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30)가, 영상표시장치(50)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반대인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영상제공장치(70)가 영상표시장치(50)에 부착되더라도,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다양한 외부장치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영상제공장치(70)가 영상표시장치(50)에 결합 완료된 경우, 영상제공장치(70)와 영상표시장치(50)는 서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이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50)는, 영상표시가 가능한 모니터, TV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니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4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50)는, 디스플레이(180)와 제1 회로 보드(100)를 구비하며, 영상제공장치(70)는 제2 회로 보드(200)를 구비한다.
제1 회로 보드(100)는, 제1 인터페이스부(125),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제1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1 프로세서(17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100)는, 제2 인터페이스부(225),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 제2 저장부(240), 제2 프로세서(270), 배터리(2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영상제공장치(70)가 영상표시장치(50)에 부착되는 경우, 라인(Sa)을 통해, 제2 회로 보드(20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특히,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되는 영상 신호는 배경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신호 또는 재생되는 영상 신호 모두 가능하다. .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식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HDMI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 방식, Display port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 방식, Ethernet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 방식, GPIO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 방식 등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에는 전원 신호의 전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전원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1 라인(Sa)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라인과, 전원 신호 전달을 위한 파워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 DVI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부를 통해,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저장부(14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오디오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4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오디오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의 제1 저장부(140)가 제1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저장부(14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로컬키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로컬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로 전달하거나, 제1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전원키, 볼륨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는, 제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제1 인터페이스부(125)를 통해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또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170)는, 제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제1 인터페이스부(125)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제1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제1 오에스(OS)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오에스(O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오에스(OS)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오에스(OS)는, 유닉스 기반(리눅스), 웹 기반 등의 오에스(OS)일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프로세서(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표시장치(5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표시장치(50) 내의 제1 회로 보드(100) 내의 각 유닛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5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1 프로세서(170)에서 오디오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오디오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5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1 프로세서(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200) 내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배경 화면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신호 또는 재생되는 영상 신호와 같은 동영상 신호를,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 DVI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부를 통해,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영상제공장치(7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영상제공장치(70)로부터 영상표시장치(50)로 유선 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제공장치(70)가 영상표시장치(50)에서 탈착되는 경우, 무선으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도록,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리스(seamless)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도리 수 있게 된다.
제2 저장부(240)는, 제2 프로세서(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오디오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저장부(240)는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오디오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270)는,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외부 입력 신호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또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는, High performance의 기능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한 영상 캡쳐, 제스쳐 인식, 웹 접속, 게임 구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들에 의한 화면을 제1 회로 보드(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부(225)를 통해, 제1 회로 보드(100)로 전송되어, 제1 회로 보드(100) 내의 오디오 출력부(285)에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그 외, 제2 프로세서(270)는, 영상제공장치(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2 회로 보드(200) 내의 각 유닛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는,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제2 오에스(OS)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오에스(O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에스(OS)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의, 제2 오에스(OS)는, 제1 오에스(OS)와 다른 오에스(OS)로서, 예를 들어, 윈도우 기반, 맥 기반, 유닉스 기반 등의 오에스(O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에스(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뉴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메일 관련 애플케이션, 문서 작성 관련 애플리케이션, 영상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 오디오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져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50) 및 영상제공장치(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5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a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50)에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라인(S1)을 통해, 영상제공장치(70)로부터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수신하고, 영상제공장치(70)로 전원 신호(power)를 전송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50)에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 단자(199)를 통해, 내부 전원 공급부(190)에 전달되며, 그 중 일부가, 영상제공장치(7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로부터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수신하고, 영상제공장치(70)로 전원 신호(power)를 전송한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전송하고, 영상제공장치(70)로 전원 신호(power)를 수신한다.
영상표시장치(50)에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된 경우, 영상표시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제공장치(70) 내부의 유닛들이 동작하며, 또한 배터리(295)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하다가,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가 제공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에 표시될 것을 나탸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 후, 영상제공장치(70)가 제공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b는 도 4의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는, 더 이상 영상표시장치(50)로부터 전원 신호(power)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는, 더 이상,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영상표시장치(50)로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심리스한 영상/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위해, 통신 장치(600)를 활용한다.
통신 장치(600)가,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통신 장치(600)와 영상제공장치(70) 내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페어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소정 채널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70)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며, 영상표시장치(5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Video&audio)의 데이터 양은, 영상제공장치(70) 탈착 이전에 데이터 양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제공장치(70)의 탈착 이후 표시되는 영상은, 해상도가 낮아지거나, 비트 레이트가 낮아질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더라도 심리스한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한편,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된 상태에서, 영상제공장치(70)에 구비되는 배터리(295)의 잔량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서스펜드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70)는, 서스펜드(suspend)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제공장치(70)가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하다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노말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70)는, 노말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에 구비되는 배터리(295)의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70)에 구비되는 배터리(295)의 잔량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에 교류 전원 공급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의 탈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a 또는 도 5b의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60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 가능하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600)는, 인터페이스부(630), 프로세서(670), 및 통신 모듈(625)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600)는,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625)은, WiFi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670)는, WiFi 통신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3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되며, 통신 모듈(625)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5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630)는, USB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의 USB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4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 사이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영상표시장치(5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영상제공장치(70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의 신호 전송 라인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5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영상제공장치(70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에는, 제1 라인 내지 제4 라인(Li1 ~L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라인(Li1)은,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라인으로서, 복수의 영상 전송 방식에 따라, 영상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제2 인터페이스부(225)에서 제1 인터페이스부(125) 방향으로 영상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전송 방식 중 제1 영상 전송 방식은, Display port 방식(DSS)으로서, 도 8의 (a)와 같이, 영상 전송을 위한 4개의 라인들(lane 1 ~ Lane 4)을 통해, 영상/비디오 신호(video&audio)와 클럭 신호(clock)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라인을 통해, auxiliary channel 신호가 전송되며, 또한 별도의 라인을 통해, 영상제공장치(70)의 접속 감지 신호(hot plug detect)가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전송 방식 중 제2 영상 전송 방식은, HDMI 규약에 따른 전송 방식(HDS)으로서, 도 8의 (b)와 같이, 3개의 라인들을 통해, 영상(RGB) 전송이 수행되며, 영상 전송과 별개의 라인을 통해, 클럭 신호(clock)가 전송되며, 또한 별도의 라인을 통해, 영상제공장치(70)의 접속 감지 신호(hot plug detect)가 전송될 수 있다.
제2 라인(Li2)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인으로써, 고속 대용량 Data 전달을 위하여 Ethernet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라인(Li3)은,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의,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 전송을 위한 라인이다. 예를 들어, GPIO 또는 UART 방식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는, 상술한 제1 라인(Li1)에서의 영상 전송 방식이, 제1 영상 전송 방식인지 제2 영상 전송 방식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제3 라인(Li3)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라인(Li1)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전송 방식이 제1 및 제2 영상 전송 방식 중 어느 하나인 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분된 전송 방식에 따라,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4 라인(Li4)은, 전원 신호 전송을 위한 라인이다. 영상표시장치(50)의 전원 공급부(190)에서 제공되는 전원 신호(power), 제4 라인(Li4)을 통해,영상제공장치(70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 사이의, 제1 내지 제4 라인들(lane 1 ~ Lane 4)에 따라, 영상제공장치(70)의 부착시, 영상표시장치(50)로 영상 신호가 수신되며, 영상제공장치(70)로 전원 신호가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1 라인 내지 제4 라인(Li1 ~L14)은, 도 4의 라인(Sa)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10e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는 영상제공장치(70)가 부착된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제공장치(70)의 일종인 PC 박스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10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PC 박스가 제대로 결합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b는 영상제공장치(70)의 부착 이후, 영상제공장치(70)가 제공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101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9c는, 화면 전환에 의해, 영상제공장치(70)가 제공하는 배경 이미지(92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배경 이미지 표시 이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영상제공장치(70) 내의 다양한 동영상이 재생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50)는 이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10a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된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제공장치(70)의 일종인 PC 박스가 탈착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102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PC 박스가 탈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b는 영상제공장치(70)의 탈착 이후, 영상표시장치(50)가 제공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102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화면 전환에 의해, 스크린 세이브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c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의 배터리 전량 정보와, 영상제공장치(70)에 교류 전원 공급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103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d는 영상제공장치(70)가 탈착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70)의 배터리 전량 정보와, 영상제공장치(70)의 서스펜드(suspend)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제공장치(70)는, 동작 중, 내부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전력 소비가 적은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가 낮아지거나, 오디오 신호의 비트 레이트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영상제공장치(70)는, 서스펜드 모드 하에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의 전송이 중지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며, 동작에 필요한 최소 동작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e는, 영상제공장치(70)가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하다가, 영상제공장치(7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노말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제공장치(70)에 다시 전원 공급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제공장치의 탈부착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집안 내 곳곳에서 영상제공장치를 탈착하여 이동하더라도, 심리스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제공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도킹부를 통해,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되는 경우, 접속되는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영상 전송을 위한 제1 라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라인,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 전송을 위한 제3 라인, 및
전원 신호 전송을 위한 제4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제공장치로 상기 전원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상 표시 중에,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와 페어링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영상 후속으로 제2 영상을 심리스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보다 해상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3 라인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전송 방식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방식은,
복수의 라인을 통해 영상 신호와 클럭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제1 영상 전송 방식과,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클럭 신호를 별도의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제2 영상 전송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3 라인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태 정보 또는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전송 방식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전송 방식 중 어느 하나인 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서스펜드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하다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노말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말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교류 전원 공급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 후,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경 이미지 또는 재생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946A KR102306439B1 (ko) | 2014-09-23 | 2014-09-23 | 영상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6946A KR102306439B1 (ko) | 2014-09-23 | 2014-09-23 | 영상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397A KR20160035397A (ko) | 2016-03-31 |
KR102306439B1 true KR102306439B1 (ko) | 2021-09-28 |
Family
ID=5565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6946A KR102306439B1 (ko) | 2014-09-23 | 2014-09-23 | 영상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64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73155A1 (en) * | 2019-09-09 | 2021-03-11 | Targus International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stations removably attachable to display apparatuses |
US12073205B2 (en) | 2021-09-14 | 2024-08-27 | Targus International Llc | Independently upgradeable docking statio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0567A (ja) * | 2000-04-06 | 2001-10-19 | Toshiba Corp | コンピュータ周辺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6459B1 (ko) * | 2001-12-26 | 2008-07-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합형 커넥터를 갖는 액정표시모듈과 이를 구비하는액정표시장치 |
KR20120106482A (ko) * | 2011-03-18 | 2012-09-26 | 주식회사 케이티 | 휴대 단말과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
KR20130076676A (ko) * | 2011-12-28 | 2013-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JP5906984B2 (ja) * | 2012-07-30 | 2016-04-20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1432981B1 (ko) * | 2012-09-27 | 2014-08-27 | (주)씨어스테크놀로지 | 휴대형 디스플레이 소스 장치 및 이와 도킹 연결되는 도킹 크래들 |
-
2014
- 2014-09-23 KR KR1020140126946A patent/KR1023064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0567A (ja) * | 2000-04-06 | 2001-10-19 | Toshiba Corp | コンピュータ周辺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397A (ko) | 2016-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85190B2 (en) | Virtual reality glasses | |
US969695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tent | |
US20160147704A1 (en) | Displayport over USB Mechanical Interface | |
US2013000986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 |
US20140092004A1 (en) |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 |
KR20140093520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 |
US20150163450A1 (en) | Video display system, source device, sink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 |
CN102377970A (zh) | 一种mhl数据转换系统 | |
US9992441B2 (en) | Displaying multiple videos on sink device using display information of source device | |
WO2017032072A1 (zh) | 音视频播放设备 | |
WO2021196874A1 (zh) | 监视器系统及其显示控制方法 | |
JP2012083572A (ja) | 表示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
KR102306439B1 (ko) | 영상표시장치 | |
CN103517144A (zh) | 一种多屏互动适配器及显示设备 | |
CN107529025A (zh) | 一种带画面分割显示功能的显示器 | |
JP6811607B2 (ja) |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
CN203149452U (zh) | 基于增强现实的企业信息移动装置 | |
CN109542218B (zh) | 一种移动终端、人机交互系统及方法 | |
EP4336339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nference system, wireless screen transmitter and storage medium | |
US11507224B2 (en) | Touch display device, touch response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JP2017092916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ケーブル | |
US2023005763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detection and auto-connection between a device and an accessory device | |
US1184924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buffer media storage | |
WO2017032115A1 (zh) | 音视频播放设备和音视频播放方法 | |
KR101187269B1 (ko) |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