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78B1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6378B1 KR102306378B1 KR1020190105557A KR20190105557A KR102306378B1 KR 102306378 B1 KR102306378 B1 KR 102306378B1 KR 1020190105557 A KR1020190105557 A KR 1020190105557A KR 20190105557 A KR20190105557 A KR 20190105557A KR 102306378 B1 KR102306378 B1 KR 102306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component
- forging
- abutment
- dental impl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해 절삭가공을 통해 음형 또는 양형의 체결부를 1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을 단조 장치에 대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조 장치에 고정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해 가압 단조를 수행하여 치밀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해 절삭 가공을 2차적으로 수행하여 최종 치수로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치과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에 단조가공에 의한 치밀면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이하 간략히 "임플란트"라 함)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즉, 임플란트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티타늄계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인공 치아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 또는 인공 치아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심을 자리의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골 조직의 부피를 늘린 후에 임플란트를 심기도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여러 문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픽스쳐(fixture)와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크라운(crown)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의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매식되어 뼈와 골 융합되고, 어버트먼트(지대주)는 그 상단에 저작(詛嚼)과 미용을 위한 크라운이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로서 하부의 픽스쳐와 나사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는 구조적으로는 픽스쳐와 지대주, 그리고 크라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기능적으로 본다면 ⅰ) 치조골에 고정되어 골융합이 잘 되어야 하는 부분(고정부), ⅱ)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의 상피조직 내지는 상피결합조직과 잘 밀착되어야 하는 부분(잇몸부), ⅲ) 상실된 치아 및 잇몸을 대체하는 부분(보철부), ⅳ) 임플란트의 각 구성요소 사이를 상호 고정하는 부분(체결부)로 나눌 수도 있다. 대체로 보아 픽스쳐, 지대주, 크라운이 각각 위의 ⅰ), ⅱ), ⅲ)번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렇게 임플란트의 각 구성요소를 기능적으로 파악하면 각 구성요소의 개발이나 개선에 있어 어떤 점에 집중해야 하는지가 잘 드러난다. 예를 들어, 픽스쳐의 골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그 표면을 SLA(sandblasting with large grit and acid etching) 처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제까지는 위의 ⅰ), ⅱ), ⅲ)번 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치과 임플란트가 개발되는 경향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는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이 이 기능에 주된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ⅳ)번의 임플란트의 각 구성요소 사이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이 높지 않았는데, 임플란트 수술 이후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결부의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임플란트의 종류 중에는 원바디 임플란트라고 하여, 전체 임플란트가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된 제품이 있다. 이런 원바디 임플란트는 교합압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부와 잇몸부가 따로 흔들리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잇몸부와 잇몸의 결합경계가 미세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없고, 고정부와 잇몸부의 경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금속표면이 압착되어 발생하는 경계눌림현상(Sinking Down)이 발생하지 않아서, 임시보철물을 적용해서 눌림현상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최종보철물을 올리는 시간지연요인이 없다.
그렇지만, 원바디 임플란트는 고정부와 잇몸부 내지 고정부와 보철부의 주축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이격할 수가 없어서, 치근과 치관의 주축이 어긋한 전치부와 같은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보철물의 주축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고정부와 보철부의 주축을 어긋나게 특수한 형태로 원바디 임플란트를 만들더라도, 실제 수술에서 원하는 주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미 고정력이 충분히 발생한 경우에도 필요 이상의 힘을 주어 고정부를 비틀어 넣어서 주축방향을 맞춘다거나, 아니면 고정력이 충분히 발생하기 전에 주축의 방향이 맞은 경우에는 아예 덜 심어야 하는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원래 생각했던 깊이보다 더 깊게 심거나 덜 심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고, 이는 결국 치조골에 대한 고정부의 과도압박이나 불안정한 고정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고정부와 잇몸부, 보철부를 각각 픽스쳐와 지대주, 그리고 크라운으로 분리한 구조가 주축을 맞추기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널 지대주나 익스터널 지대주 등으로 분류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리 구조의 임플란트는 교합압에 의해 필연적으로 잇몸부 내지는 보철부가 측방력을 받아서 고정부(픽스쳐)와 잇몸부(지대주) 사이가 미세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잇몸부와 잇몸 조직의 밀착이 유지되지 못해서 그 틈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거나, 잇몸부와 상피결합조직의 분리로 인해 독립된 잇몸의 표면이 상피조직으로 변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즉, 잇몸부와 잇몸은 치은열구, 상피조직, 상피결합조직으로 구성을 갖추어 일정 간격 이상으로 배치되어 밀착되어 있어야 외부 세균의 침투를 막기가 용이한데, 조직생리학적으로 치조골은 열구 및 상피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는 성질(Biologic Width)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잇몸부에는 상피조직이 생기면(깊이 침투하면) 안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 있는 임플란트는 필연적으로 체결부, 특히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에 교합압에 의한 미세 움직임이 발생함에 따라 임플란트를 장기간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위와 같은 미세 움직임은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나사고정에 있어서 나사가 풀리는 현상을 야기하여 보철물이 더욱 심하게 흔들리게 하거나, 또는 보철물을 탈락하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리고, 픽스쳐와 지대주를 결합하도록 함요부를 형성하면서 구조물의 측벽이 필연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픽스쳐 내지는 지대주가 찢어지는 문제가 생겨 종국에는 지대주의 이탈, 픽스쳐 주변 치조골의 염증, 나사 파절 등이 발생하여 임플란트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어왔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픽스쳐와 지대주가 분리된 구조의 임플란트에서, 교합압에 의해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에 표면압착이 발생해서 초기에는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격이 생겨 흔들리게 되는 문제 내지는 그에 따른 나사 풀림이나 임플란트 구조물이 파절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해 절삭가공을 통해 음형 또는 양형의 체결부를 1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을 단조 장치에 대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조 장치에 고정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해 가압 단조를 수행하여 치밀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해 절삭 가공을 2차적으로 수행하여 최종 치수로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한 1차 가공은 드릴링 가공 또는 밀링 가공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한 2차 절삭 가공은 상기 치밀면의 두께를 상기 체결부의 전체에 걸쳐 일부를 남기도록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한 2차 절삭 가공은 상기 치밀면의 두께를 적어도 절반을 남기도록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조 장치에 대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고정은 복수 개의 조(jaw)를 구비하는 척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은 픽스쳐와 지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가압 단조는 냉간 단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에 의하면, 단조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치밀면의 조직으로 체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종래처럼 픽스쳐의 찢김 방지를 위해 픽스쳐의 상부를 넓히거나 지대주의 잠김 테이퍼 각도를 좁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모재의 재질을 고가의 지르코니아-티타늄 합금으로 변경할 필요도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티타늄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픽스쳐와 지대주가 닿는 부위에서 픽스쳐의 측벽이 얇아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국한하여 단조 가공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태의 단조 금형을 마련할 필요도 없고, 종래의 티타늄 재질의 모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성능 개선 대비 비용 증가의 부담이 극히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치과 임플란트의 지대주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치과 임플란트의 지대주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에 관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는 고정부와 잇몸부, 보철부를 각각 픽스쳐와 지대주, 그리고 크라운으로 분리한 구조가 주축을 맞추기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분리 구조의 임플란트는 교합압에 의해 필연적으로 잇몸부 내지는 보철부가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잇몸부와 잇몸 조직의 밀착이 유지되지 못해서 그 틈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거나, 결합조직의 분리로 인해 독립된 잇몸의 표면이 상피조직으로 변하는 문제가 있다.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에 발생하는 흔들림은 크게 2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ⅰ) 교합압에 의해서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표면압착이 발생해서, 초기에는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격이 생겨 흔들리게 되고, ⅱ) 가공단계에서부터 발생한 수치오차로 인해서 처음부터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 면이 고르게 밀착이 안 되고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의 원인은 생산과정에서의 문제로서 좀더 개선된 공차 관리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첫 번째의 원인은 비록 가공단계에서의 수치오차를 크게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장기간의 임플란트 사용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라서 공차 관리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다.
즉, 교합압에 의한 표면유격으로 인해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 간격이 커지면 싱킹 다운(Sinking Down)이라는 보철물이 벌어진 간격만큼 주저앉게 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임플란트 수리로 이어지는 등 문제가 생긴다. 또한, 지대주가 흔들림에 따라 지대주와 픽스쳐를 고정시키는 나사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나사가 파절되거나 아니면 픽스쳐의 옆면이 찢어지는 현상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픽스쳐에 지대주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인터널 지주대)은 픽스쳐의 주축에 대해 보철물이 이격된 경우에 대응하기 좋고, 또한 잇몸의 다양한 높이에 맞는 지대주를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인터널 지대주는 픽스쳐의 내면에 지대주를 삽입하는 구조로 인해서, 픽스쳐와 지대주가 닿는 부위에서 픽스쳐의 측벽이 얇아지게 되어 이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고, 물리적 두께의 손실로 인해 쉽게 파절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빈번하였다.
따라서, 픽스쳐의 찢김 방지를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픽스쳐의 상부를 넓히는 방안이 강구되었지만 카운터 싱크 등의 추가적인 드릴링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환자의 구강 구조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얇은 픽스쳐를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픽스쳐의 상부를 넓히는 것은 제한적인 해결 방안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또는, 구조적인 대안으로서, 지대주가 픽스쳐에 잠기는 깊이를 깊게 하여 응력을 받는 면적을 넓혀서 해결하고자 했으나, 이를 위해서는 지대주의 잠김 테이퍼 각도를 좁게 할 수밖에 없어서,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에 상호 삽입각도의 차이가 클 때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른 방향으로는, 지르코니아와 티타늄의 합금과 같이 재료 특성을 강화하여 픽스쳐가 잘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되었지만, 이는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어 임플란트의 보급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교합압에 의해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에 표면유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서, 가장 보편적인 종래의 티타늄 재질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지대주의 잠김 깊이를 굳이 깊게 하지 않아 2개 이상의 보철물의 각도를 수용하기 좋도록 하고, 나사 풀림과 싱킹 다운 현상, 픽스쳐 찢김을 예방하는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이하, 간단히 "치밀면 형성법"이라 함)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밀면 형성법은 크게 나누어,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한 1차 절삭 가공 단계, 1차 가공된 구성부품에 대한 가압 단조 단계, 그리고 단조 가공된 구성부품에 대한 2차 마무리 절삭 가공 단계로 이루어진다.
1차 절삭 가공 단계는,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해 절삭가공을 통해 음형 또는 양형의 체결부를 1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 및 도 3은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의 일례로서 각각 픽스쳐(10)와 지대주(20)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2의 픽스쳐(10)는 도 3의 인터널 지대주(2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픽스쳐(10)에 대해서는 음형 체결부(31)가 가공되고, 지대주(20)는 양형 체결부(30)가 가공된다.
1차 절삭 가공 단계는 예비적인 가공으로서, 그 뒤로 이어지는 가압 단조 단계에 의한 치밀면 형성 과정에서 압축 축소되는 가공량과, 2차 마무리 절삭 가공 단계에 의한 절삭량을 모두 감안하여, 최종 체결부의 치수보다 양형 체결부(30)인 경우에는 조금 크게, 음형 체결부(31)인 경우에는 조금 작게 가공되어야 한다.
1차 가공된 구성부품에 대한 가압 단조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을 단조 장치(100)에 대해 고정한다. 단조 공정을 위해 구성부품을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조 장치(100)의 단조 금형(120)과 마주 보는 고정 베이스(110) 상에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외형에 대응하는 고정 홀을 마련하고, 여기에 구성부품의 체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좀더 견고하고 치밀하게 고정할 수 있고, 구성부품의 사이즈나 외형이 조금 달라지더라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복수 개의 조(jaw)를 구비하는 척 수단(130)에 의해 임플란트 구성부품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척 수단(130)은 1차 절삭 가공의 절삭 기구, 예를 들어 드릴링 장치나 밀링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척 수단(130)에 의해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모재(母材)가 고정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이 단조 장치(10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면, 단조 장치(100)의 단조 금형(120)이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해 가압 단조를 수행하여 치밀면을 형성하게 된다. 단조 금형(120)은 1차 가공된 체결부의 크기와 마무리 가공되는 체결부의 최종 치수 사이의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해 가압 단조를 수행하면, 1차 가공된 체결부의 크기가 단조 금형(120)의 크기에 맞춰지는 과정에서 단조 작용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절삭으로 1차 가공된 체결부에는 치밀면이 형성된다.
단조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치밀면의 조직은 모재의 조직보다 치밀해진 만큼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따라서 종래처럼 픽스쳐(10)의 찢김 방지를 위해 픽스쳐(10)의 상부를 넓히거나 지대주(20)의 잠김 테이퍼 각도를 좁게 할 필요가 없어지며, 또한 모재의 재질을 고가의 지르코니아-티타늄 합금으로 변경할 필요도 없이, 픽스쳐(10)와 지대주(20)가 닿는 부위에서 픽스쳐(10)의 측벽이 얇아져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특히, 본 발명은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국한하여 단조 가공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태의 단조 금형(120)을 마련할 필요도 없고, 종래의 티타늄 재질의 모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성능 개선 대비 비용 증가의 부담이 극히 적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가압 단조는 냉간 단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티타늄 재질의 모재에 대해 열간 단조를 수행하면, 티타늄 표면에 골 융합을 저해하는 산화막이 생성되어 이를 제거하는 후공정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해 절삭 가공을 2차적으로 수행하여, 체결부를 최종 치수로 완성하게 된다. 이때,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한 2차 절삭 가공은, 치밀면의 두께를 체결부의 전체에 걸쳐 일부가 남아있을 수 있도록 적정 절삭 두께로 수행되어야 한다.
도 3에는 예시적으로, 체결부의 전체 치밀면(S)에 대해 절삭 가공되는 치밀면(S1)과 잔존 치밀면(S2)을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잔존 치밀면(S2)의 두께는, 결국 단조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치밀면(S)의 두께 대비 체결부의 최종 치수와 관련이 있다. 적정 잔존 치밀면(S2) 두께는, 예를 들어 최초 치밀면(S)의 두께 대비 잔존 치밀면(S2)의 두께가 대략 50%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2차 마무리 절삭 공정은 가능한 정밀 절삭 작업으로 함으로써, 가공단계에서부터 발생한 수치오차로 인해 처음부터 픽스쳐(10)와 지대주(20) 사이가 고르게 밀착이 안 되고 흔들리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픽스쳐 20: 지대주
30: 양형 체결부 31: 음형 체결부
100: 단조 장치 110: 고정 베이스
120: 단조 금형 130: 척
S: 치밀면
S1: 절삭 가공되는 치밀면
S2: 잔존 치밀면
30: 양형 체결부 31: 음형 체결부
100: 단조 장치 110: 고정 베이스
120: 단조 금형 130: 척
S: 치밀면
S1: 절삭 가공되는 치밀면
S2: 잔존 치밀면
Claims (7)
-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인 픽스쳐와 지대주에 대해 각각 절삭가공을 수행하여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음형 또는 양형의 체결부를 1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을 단조 장치에 대해 고정하는 단계;
상기 단조 장치에 고정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해 가압 단조를 수행하여 치밀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해 절삭 가공을 2차적으로 수행하여 최종 치수로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에 대한 1차 가공은 드릴링 가공 또는 밀링 가공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한 2차 절삭 가공은 상기 치밀면의 두께를 상기 체결부의 전체에 걸쳐 일부를 남기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조 가공된 체결부의 치밀면에 대한 2차 절삭 가공은 상기 치밀면의 두께를 적어도 절반을 남기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조 장치에 대한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고정은 복수 개의 조(jaw)를 구비하는 척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과 임플란트의 구성부품은 픽스쳐와 지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가공된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가압 단조는 냉간 단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성부품의 체결부에 대한 치밀면 형성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5557A KR102306378B1 (ko) | 2019-08-28 | 2019-08-28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PCT/KR2020/011517 WO2021040443A2 (ko) | 2019-08-28 | 2020-08-28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5557A KR102306378B1 (ko) | 2019-08-28 | 2019-08-28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5792A KR20210025792A (ko) | 2021-03-10 |
KR102306378B1 true KR102306378B1 (ko) | 2021-09-28 |
Family
ID=7468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5557A KR102306378B1 (ko) | 2019-08-28 | 2019-08-28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6378B1 (ko) |
WO (1) | WO202104044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0278A (ko) * | 2022-07-15 | 2024-01-23 | 주식회사 인터메디 | 정형 외과용 맞춤형 임플란트의 후가공을 위한 지그 및 그 제작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69755B2 (ja) | 1994-06-28 | 2004-09-29 |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 内つば付筒体の成形方法 |
KR101798815B1 (ko) * | 2017-02-02 | 2017-11-16 | 박희준 | 티타늄 단조공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나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나사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90263A1 (de) * | 2008-02-13 | 2009-08-19 | Straumann Holding AG | Abutment mit Inlay fuer Dentalimplantate |
KR101383584B1 (ko) * | 2012-06-21 | 2014-04-21 | 주식회사 기현테크 |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어버트먼트용 합금재료의 봉재 제조방법 |
KR101442158B1 (ko) | 2012-12-24 | 2014-11-0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조 공정을 사용하는 의료용 나사 제조 방법 |
KR102011944B1 (ko) * | 2017-12-22 | 2019-08-20 |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 3d 프린터 제조형 임플란트 가공용 선반기의 콜렉트 척 |
-
2019
- 2019-08-28 KR KR1020190105557A patent/KR1023063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8-28 WO PCT/KR2020/011517 patent/WO202104044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69755B2 (ja) | 1994-06-28 | 2004-09-29 |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 内つば付筒体の成形方法 |
KR101798815B1 (ko) * | 2017-02-02 | 2017-11-16 | 박희준 | 티타늄 단조공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나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나사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40443A2 (ko) | 2021-03-04 |
KR20210025792A (ko) | 2021-03-10 |
WO2021040443A3 (ko) | 2021-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56904B1 (en) | Dental implant system | |
US20090047630A1 (en) |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 |
US20080227057A1 (en) |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 |
US5755574A (en) | Endosseous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e | |
EP0702940A2 (en) | Dental restoration structure | |
US20110207083A1 (en) | Dental implant for insertion into a jawbone and for fastening a tooth replacement | |
KR20100128433A (ko) |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 |
KR102304798B1 (ko) |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 |
SE509522C2 (sv) | Metod och anordning att effektuera cementerad suprastruktur samt distansorgan och sortiment av distansorgan | |
KR102214900B1 (ko) |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 |
US20190350683A1 (en) | Mid-gingival implant system | |
KR102306378B1 (ko) |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치밀면 형성법 | |
US20160157968A1 (en) | Customized dental implant prosthesis production method using cad/cam | |
KR20200014558A (ko) | 어버트먼트 조립체 | |
KR102062575B1 (ko) |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 |
WO2019017813A1 (ru) |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винт и набор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 |
KR10047314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60095260A (ko) |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 |
US11877908B2 (en) | Dental abutment screw | |
KR102426218B1 (ko) |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 |
TWI855721B (zh) | 與牙植體固定結構上部結合的支台柱 | |
KR20190043697A (ko)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
KR102480664B1 (ko) |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 |
LU100935B1 (en) | Improved blank for production of a dental prosthesis, a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1303123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