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52B1 -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52B1
KR102305852B1 KR1020190131201A KR20190131201A KR102305852B1 KR 102305852 B1 KR102305852 B1 KR 102305852B1 KR 1020190131201 A KR1020190131201 A KR 1020190131201A KR 20190131201 A KR20190131201 A KR 20190131201A KR 102305852 B1 KR102305852 B1 KR 10230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information
advertisement object
targe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634A (ko
Inventor
박병재
김희근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간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간아이티
Publication of KR2021002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34A/ko
Priority to KR102021012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VERTISING CONTENTS WITH AN OBJECT ON 3D CONTENT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에 광고 컨텐츠를 부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컨텐츠 제공 방식을 설명한다. 네트워크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영화나 드라마 같은 영상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들은 컨텐츠의 제공되기 전, 컨텐츠가 제공되는 중간 또는 컨텐츠가 제공된 후에 일정한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여 광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도 1과 같이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고(S10), 제 1 컨텐츠를 재생하며(S20), 제 1 컨텐츠의 재생 종료 후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게 된다(S30). 그 후, 제 2 컨텐츠가 재생되며(S40), 제 2 컨텐츠의 재생 종료 후 광고 컨텐츠가 다시 재생되게 된다(S50). 제 1 및 제 2 컨텐츠의 재생 전/후에 재생되는 광고 컨텐츠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근래에는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컨텐츠 내에 광고 물품을 소도구로 끼워 넣는 PPL 광고(Product placement advertisement)가 유행하고 있다. PPL 광고는 광고를 위한 소도구를 사용하여 영화나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컨텐츠가 제작된 이후에는 PPL 광고를 위한 물품의 정보를 제작된 컨텐츠에서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과 같은 3D 영상 컨텐츠가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3D 영상 컨텐츠에서도 PPL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 컨텐츠에서도 제작된 이후에는 PPL광고를 위한 물품의 정보를 제작된 컨텐츠에서는 쉽게 바꿀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자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적응형 PPL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은 입력 데이터로부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 컨텐츠에서 연속적인 표면 패턴을 나타내는 수평면 및 수직면 중 어느 하나가 가용 배치 영역으로 선정되고, 상기 가용 배치 영역의 일 공간 영역에 상기 광고 객체가 배치되며, 상기 대상 컨텐츠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상기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정보가 배치될 수 있는 가용 배치 영역을 나타내는 배치 정보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배치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상기 광고 객체가 배치되며, 상기 대상 컨텐츠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상기 배치 정보에는 상기 가용 배치 영역의 공간 속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에 대한 공간 속성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객체의 공간 속성 정보와 대응되는 공간 속성 정보를 가진 가용 배치 영역으로 특정되는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정보는 광고대상, 광고료, 광고 금지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대상, 광고료 및 광고 금지 속성이 획득되며,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대상, 광고료 및 광고 금지 속성과 상기 배치정보의 광고대상, 광고료, 광고 금지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의 부착면 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부착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객체의 부착면이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영역에 부착되도록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대상 컨텐츠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으로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가 화면으로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광고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 상기 화면에서 표시된 위치 및 상기 화면으로 표시된 시간에 따라 상기 광고료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서로 다른 광고료가 할당된 복수의 광고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화면에서 상기 광고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를 구성하는 광고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고료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으로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광고료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마다 적어도 하나의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개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중 가장 많은 정지 영상에서 식별된 개체를 상기 광고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인트라 코딩으로 복호화된 정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메모리; 및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며,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입력 데이터로부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적응형 PPL 광고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광고 객체에 대한 광고가 소비자에게 제공된 경우에 광고 제공에 따른 광고 비용을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고 의뢰자와 광고업자 사이에서 광고 비용이 현실적으로 정산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컨텐츠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수행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임의의 실내 공간을 3D로 구현한 정지 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대상 컨텐츠에 PPL 광고를 부가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대상 객체의 광고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광고 컨텐츠에서 표현되는 광고 객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14는 대상 컨텐츠와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가 도시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컨텐츠 소비자의 시점에 따라 컨텐츠 소비자에게 표현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 컨텐츠에 광고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광고정보가 부가된 대상 컨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나아가,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소비자가 광고 정보가 부가된 대상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광고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를 판단하고, 노출된 정도에 따라 광고료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수행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인기 있는 공간(1)과 같은 대상을 표현하는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부가하여 광고 객체에 대한 PPL 광고를 수행한다.
광고 객체에 대한 광고 정보, 광고 객체가 부가된 대상 컨텐츠, 광고료 등의 계약관계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다. 광고를 위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광고업자 단말(300)로부터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광고 객체에 대한 광고 정보는 광고 의뢰자 단말(4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광고 객체가 부가된 대상 컨텐츠는 컨텐츠 소비자 단말(500)의 전송 요청에 의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소비자 단말(500)로 직접 전송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데이터베이스(200)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소비자 단말(5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며,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200), 광고업자 단말(300), 광고 의뢰자 단말(400) 및 컨텐츠 소비자 단말(500) 또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장치의 프로세서는 각 장치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로 연산을 처리하며,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대상 컨텐츠에 광고정보를 부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컨텐츠는 이차원 정지 영상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 일 수 있으며,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컨텐츠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컨텐츠 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대상 컨텐츠는 삼차원 정지영상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일 수 있으며, 3차원으로 구성된 실내 공간의 정지 영상 컨텐츠이거나, 3차원으로 구성된 실내 공간에서의 객체들의 이동이 표현된 동영상 컨텐츠일 수 있다.
대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는 대상 컨텐츠가 제공됨에 있어 시간적으로 대상 컨텐츠보다 먼저 제공되거나, 대상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제공되거나, 대상 컨텐츠의 제공이 종료된 후 제공되는 TV 광고와 같은 스트리밍 광고 컨텐츠 또는 부가 정보 컨텐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 컨텐츠로 도 4에 도시된 3D 정지 영상 컨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임의의 실내 공간을 3D로 구현한 정지 영상 컨텐츠이다.
이전에는 도 4와 같은 대상 컨텐츠에 PPL 광고를 적용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작자는 대상 컨텐츠를 제작하는 시점에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대상 컨텐츠를 제작하였다. 대상 컨텐츠가 제작이 된 후에는,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대상 컨텐츠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작자는 대상 컨텐츠에 포함되어야 하는 광고 객체를 생성하고, 광고 객체를 대상 컨텐츠에 배치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컨텐츠 제작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점에서 상당한 시간과 인건비가 소요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작된 대상 컨텐츠에 PPL 광고를 부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대상 컨텐츠에 PPL 광고를 부가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를 획득한다(S110).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 중 광고 객체가 배치될 위치에 관한 정보인 배치 정보를 획득한다(S120).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배치 정보에 따라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배치한다(S130). 마지막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의 다른 객체들과의 관계에서 조화롭게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각성 개선 처리를 수행한다(S140).
먼저,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광고 객체 획득 방법(S110)을 설명한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가 제공될 때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가 컨텐츠 소비자 단말(500)에 전송되기 전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소비자 단말(500)에 전송하면서 광고 컨텐츠에서 광고의 대상이 되는 광고 대상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 컨텐츠에는 광고의 대상인 광고 객체의 광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서 광고 대상 객체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대상 객체의 광고 정보를 나타낸다. 광고 정보는 광고 객체 유형, 객체 이미지, 객체 영역, 축척, 공간속성, 광고 대상 및 금지 속성과 함께 광고 객체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광고 대상 객체의 2D/3D로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정보가 저장된 외부 서버로의 참조 주소를 포함함으로써 광고 정보를 직접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광고 컨텐츠가 도 7과 같이 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컨텐츠에서 주로 표현되는 객체를 광고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컨텐츠에서 광고 객체를 식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8과 같이 광고 컨텐츠의 영상에서 주로 표현되는 객체를 광고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표현되는 화면의 중심부에서 약 70%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는 객체(10)를 광고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9와 같이 광고 컨텐츠의 동영상에서 지속적으로 표현되는 객체를 광고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 영상에서 표현되는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들의 표현 빈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표현 빈도를 가진 객체를 광고 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영상을 구성하는 3매의 정지영상 (a), (b), (c)에서 신발 객체(20)는 3매의 정지영상에 모두 표현이 되어 있지만, 의자(30)나 냉장고, 와인셀러와 같은 객체들은 2매의 정지영상에만 표현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가장 노은 표현 빈도를 가진 신발(20)을 광고 객체로 식별하고 다른 객체들은 광고 객체가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 식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 정지 영상들에서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이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정지 영상에서 해당 객체가 표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정지영상 (b)에서의 액자 객체(40)는 미리 설정된 화면 점유율인 x%보다 낮은 점유율로 표현되고 있음을 근거로 정지영상 (b)에서 표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객체 식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정지영상이 아니라, 광고 컨텐츠의 인트라 코딩만으로 구성되는 I 픽쳐(intra-coded picture)에 해당하는 정지 영상을 복호화한 후 해당 정지영상(I 픽쳐)에서 식별되는 개체를 대상으로 광고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와 같이 추출된 광고 객체의 정지/동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광고 객체의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지/동영상 기반 광고 정보 검색을 위해 공지의 패턴 또는 유사도 기반 검색 이미지 검색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예에서 검색된 신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6과 같이 표현되는 데이터베이스(200)내에서의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인덱스 2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배치 정보 획득 방법(S120)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객체가 배치될 영역을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대상 컨텐츠에는 광고 대상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하는 배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 컨텐츠는 광고 객체가 표현될 수 있는 2D/3D 영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정보는 도 10과 같이 광고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가용 영역, 축척, 공간 속성, 광고 대상, 광고료 및 광고 금지 물품에 대한 금지 속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배치 정보의 인덱스 1은 주방이며, 성인 남/여를 광고 대상으로 하는 공간을 특정하고, 광고 객체의 가용 배치 영역은 (x11, y11, z11)좌표와 (x12, y12, z12)좌표로 특정되는 육면체 공간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대상 컨텐츠의 기준 축척은 S1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가용영역은 대상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x, y, z좌표로 표기될 수 있고, 대상 컨텐츠가 2D 컨텐츠인 경우 x, y 좌표로 표기될 수 있다.
배치 정보는 배치 불가 영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0의 배치 정보 중 인덱스 3은 불용 배치 영역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를 표기한다. 해당 예에서, 가용 배치 영역은 (가용 배치 영역 좌표, 불용 배치 영역 좌표)로 표기될 수 있다. 가용 배치 영역은 광고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 영역을 나타내고, 불용 배치 영역은 광고 객체가 배치될 수 없는 공간 영역을 나타낸다. 해당 표기에서 (((x15, y15, z15), (x16, y16, z16)), ((x17, y17, z17), (x18, y18, z18)))은 가용 배치 영역으로 ((x15, y15, z15), (x16, y16, z16))로 특정되는 육면체 공간 영역을 나타내고, 불용 배치 영역으로 ((x17, y17, z17), (x18, y18, z18))로 특정되는 육면체 공간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불용 배치 영역은 가용 배치 영역 내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불용배치 영역의 좌표 정보는 가용 배치 영역의 좌표 쌍 중 첫번째로 표현되는 좌표를 기준좌표로 설정한 상대 좌표로 배치 정보에 기록됨에 따라 배치 정보의 데이터 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좌표, 제2좌표), (제3좌표, 제4좌표))의 표기는 제1좌표와 제2좌표로 특정되는 2D 또는 3D 공간이 가용 배치 영역이나, (제1좌표+제3좌표)와 (제1좌표+제4좌표)로 특정되는 2D 또는 3D 공간은 불용 배치 영역임을 나타내는 좌표로 해석될 수 있다.
배치 정보에는 복수개의 불용 배치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용 영역의 데이터 구조는 (가용 영역 좌표 쌍, 제1 불용 영역 좌표 쌍, ..., 제n 불용 영역 좌표 쌍)으로 표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에서 가용 배치 영역을 영상 분석을 통해 탐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미리 입력된 공간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광고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가용 배치 영역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일정한 패턴이 연속되는 평평한 수평면이나. 평평한 수직면을 가용 배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1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실내의 바닥 부분, 테이블 윗부분, 엘리베이터 앞의 현관 부분과 함께 엘리베이터가 있는 벽면의 평평한 부분을 가용 배치 영역으로 탐색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2의 예에서 신발 객체가 부가된 테이블과 같이 평평한 수평면 또는 수직면을 가진 객체 중에서도, 해당 수평면이나 수직면의 일부에 다른 객체가 접촉되어 있는 객체를 가용 배치 영역이 생성될 수 있는 가용 객체로 선정할 수 있고, 가용 객체의 평면에서 다른 객체가 접촉되어 있지 않은 평면 영역을 가용 배치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도 13의 (b) 내지 (d)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되는 광고 객체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3의 (b)와 같이, 액자의 형상을 가진 객체의 경우 유리면을, 모니터의 형상을 가진 객체의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가용 배치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액자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는 객체의 형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3의 예에서 일정한 연속적인 패턴을 가지는 벽면에 걸려있지만, 벽면과 상이한 이미지를 나타내 액자와 같이, 일정한 연속적인 패턴을 가지는 수평면이나 수직면에서 상이한 패턴을 가지는 직사각형 공간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공간을 가용 배치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정된 공간은 도 14의 (b)와 같이 2차원으로 표현되는 광고 객체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배치 정보에 따라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방법(S130)을 설명한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의 가용 배치 영역에 광고 객체를 배치한다. 도 11의 예에서, 대상 컨텐츠의 가용 배치 영역은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 바와 같이 테이블 위의 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가용 배치 영역에 광고 객체인 신발을 부가하여 표현함으로써,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부가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광고 정보와 배치 정보를 활용하여 공간별 특성에 기반하여 광고 객체를 대상 컨텐츠에 배치함으로써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표현된 신발 객체의 경우, 도 6의 광고 정보의 인덱스 2에 해당하며, 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발이 표현될 수 있는 공간 속성은 작업실과 현관이다. 도 10의 배치 정보를 참조하면 작업실과 현관 공간이 가용 배치 영역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1의 대상 컨텐츠에서 작업실에 대한 가용 배치 영역이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2와 같이 가용 배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신발 객체에 대한 광고 객체를 배치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객체가 표현될 수 있는 가용 배치 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일정한 기준에 따라 광고 객체가 표현될 배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가용 배치 영역마다 미리 선정된 광고료에 따라 광고 객체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의 예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료가 가장 높은 인덱스 3의 가용 배치 영역에 광고 객체를 표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가 복수인 경우, 광고 객체마다 산정되어 있는 광고료를 기준으로 광고료가 높은 광고 객체를 우선하여 가용 배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공간에 와인과 신발이 모두 표현되어야 하는 경우, 광고료가 1등급인 가용 배치 영역인 도 10의 인덱스 3의 작업실에는 도 6에 표현된 인덱스 1의 와인이 배치될 수 있다. 광고료 등급이 후순위인 신발은 그 다음 가용 배치 영역인 현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가 조화롭게 배치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를 대상 컨텐츠에 배치할 때, 광고 객체의 축척이 대상 컨텐츠의 축척과 일치되도록 광고 객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크기가 변경된 광고 객체를 대상 컨텐츠에 배치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6 및 도 10과 같은 광고 정보와 배치 정보로부터 축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착되는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서 배치되기 위하여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착되는 부착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광고 객체인 신발의 부착면은 신발의 바닥부분일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광고 객체인 포스터의 부착면은 포스터 뒷면이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의 부착면이 대상 컨텐츠의 일부분에 닿도록,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가되는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에서 주로 표현되어야 하는 주요부분이 대상 컨텐츠를 바라보는 컨텐츠 소비자 관점에서 표현되도록 광고 객체의 형상을 결정하여 대상 컨텐츠에 부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고 객체에는 광고 객체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신발 객체의 경우에는 도 9의 (b)에서 나타나는 신발의 우측 대각면이 주요부분일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포스터의 경우에는 주요부분은 포스터 전면이다. 또한, 배치 정보에는 대상 컨텐츠의 기본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대상 컨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시점으로 도 12의 (c)와 같이 대상 컨텐츠를 바라보는 시점이 배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의 배치 정보에서의 기본 시점을 따라 무한히 연장한 가상의 직선이 광고 객체에서의 광고 객체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의 법선(평면위의 한점을 지나면서 그 평면에 수직인 직선)과 평행하도록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가되는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의 부착면을 대상 컨텐츠의 가용 배치 영역에 닿도록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가시킨 후, 광고 객체 부착면에서의 중심점에서의 법선을 기준으로 광고 객체를 평면 회전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대상 컨텐츠에서의 가상의 직선이 광고 객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가상의 평면의 법선과 최대한 평행하도록 광고 객체가 대상 컨텐츠에 부가되는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가용 배치 영역이 광고 객체의 주요부분을 대상 컨텐츠의 기본시점에 따라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를 부착면의 중심점에서의 법선을 기준으로 평면 회전시킴으로써 광고 객체를 가용 배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광고 객체를 회전시키더라도 가용 배치 영역에 광고 객체를 배치할 수 없거나, 광고 정보에 광고 객체의 표현을 위한 평면 회전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의 크기를 줄여 가용 배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광고 객체를 대상 컨텐츠의 다른 객체들과의 관계에서 조화롭게 표현하기 위한 시각성 개선 처리 방법(S140)을 설명한다(S140).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가 배치되는 대상 컨텐츠의 가용 배치 영역의 관한 채도, 명도, 주변 색상 값을 광고 객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의 채도, 명도, 색상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용 배치 영역의 채도, 명도 및 색상 값과 일정 비율로 혼합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가용 배치 영역에 적용된 광원 효과를 광고 객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광고료 산정 방법을 설명한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에 배치된 광고 객체를 컨텐츠 소비자가 본 횟수에 따라 광고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대상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대상 컨텐츠는 증강현실, VR과 같이 3차원 시각요소로 컨텐츠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3차원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소비자의 시점에 따라 컨텐츠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광고 객체가 표현되면 광고 객체에 의하여 컨텐츠 소비자에게 광고가 제공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료는 대상 객체의 노출 시간을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객체의 초당 광고 단가를 기준으로, 대상 객체가 노출된 시간을 계산하여 광고료를 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소비자에게 표현되는 화면에서 광고 객체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광고 효율을 산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광고 효율(%)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하의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컨텐츠 소비자의 시점에 따라 컨텐츠 소비자에게 표현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소비자에게 표현되는 화면을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광고 효율을 산정한다. 제 1 구간은 제 1 구획(51)의 내부로 특정되는 공간이며, 제 2 구간은 제 1 구획(51)과 제 2 구획(52) 사이로 특정되는 공간이며, 제 3 구간은 제 2 구획(52)의 외부로 특정되는 공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 1 구간에서 광고 객체가 표현되는 경우 광고 효율을 100%로 산정할 수 있고, 제 2 구간에서 광고 객체가 표현되는 경우 광고 효율을 50%로 산정할 수 있고, 제 3 구간에서 광고 객체가 표현되는 경우 광고 효율을 10%로 산정할 수 있으며, 화면에서 표현되지 않는 경우 광고 효율은 0%로 산정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광고 객체(20)는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에 걸쳐서 표현되고 있으며, 광고 객체(20)의 중심 부분은 제 2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의 중심부분이 위치하는 구간을 기준으로 광고 객체의 광고 효율을 계산할 수 있으며, 도 15의 컨텐츠 소비자 시점에 따른 광고 객체(20)의 광고 효율은 50%로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가 위치한 구간 중에서 가장 높은 광고 효율을 가진 구간의 광고 효율을 해당 광고 객체의 광고 효율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5의 컨텐츠 소비자 시점에 따른 광고 객체(20)의 광고 효율은 100%로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를 구성하는 구간의 비율에 따라 광고 효율을 산정할 수 있다. 도 15의 컨텐츠 소비자 시점에 따른 예에서, 제 1 구간은 광고 객체(20)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30%의 광고효율을 나타내며, 제 2 구간은 광고 객체(20)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35%의 광고효율을 나타낸다. 이에 도 15의 예에서 광고 객체의 전체 광고 효율은 65%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소비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에서 표현되는 크기에 따라 광고 효율을 산정할 수 있다.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제 1 크기 미만으로 광고 객체가 표현되는 경우에는 광고 효율을 0%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크기는 화면에서 대상 객체의 형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다른 선과 중첩되지 않고 분리되어 표현되는 크기일 수 있다.
광고 객체가 화면에서 제 1 크기보다 크고 제 2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표현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효율을 50%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크기는 광고 객체가 광고 객체와 대상 컨텐츠의 축척에 따라 나타나는 기본 크기일 수 있다. 광고 객체가 화면에서 제 2 크기보다 큰 크기로 표현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효율을 100%로 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광고 객체가 화면의 미리 설정된 비율(e.g.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효율을 100%나 미리 설정된 100% 보다 높은 상한을 가지는 값으로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별도의 광고비용이 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3D 컨텐츠 내 광고 아이템에 대하여 컨텐츠 소비자가 광고 객체를 클릭하거나, 터치를 하는 등 사용자 인터렉티브(User interactive)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광고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티브는 대상 객체에 대한 적극적인 컨텐츠 소비자의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광고 효율은 100%거나 100%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상한을 가지는 값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별도의 광고비용이 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컨텐츠에 광고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적응형 PPL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객체에 대한 광고가 소비자에게 제공된 경우 광고 제공에 따른 광고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의뢰자와 광고업자 사이에서 현실적인 광고 비용이 정산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로부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정보가 배치될 수 있는 가용 배치 영역을 나타내는 배치 정보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배치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상기 광고 객체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 정보에는 상기 가용 배치 영역의 공간 속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에 대한 공간 속성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객체의 공간 속성 정보와 대응되는 공간 속성 정보를 가진 가용 배치 영역으로 특정되는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개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중 가장 많은 정지 영상에서 식별된 개체를 상기 광고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 영상은 인트라 코딩으로 복호화된 정지 영상인 광고 정보 제공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컨텐츠에서 연속적인 표면 패턴을 나타내는 수평면 및 수직면 중 어느 하나가 가용 배치 영역으로 선정되고,
    상기 가용 배치 영역의 일 공간 영역에 상기 광고 객체가 배치되며,
    상기 대상 컨텐츠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인 광고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정보는 광고대상, 광고료, 광고 금지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대상, 광고료 및 광고 금지 속성이 획득되며,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객체의 광고대상, 광고료 및 광고 금지 속성과 상기 배치정보의 광고대상, 광고료, 광고 금지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배치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의 부착면 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부착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객체의 부착면이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영역에 부착되도록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대상 컨텐츠에 배치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으로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가 화면으로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광고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객체가 상기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 상기 화면에서 표시된 위치 및 상기 화면으로 표시된 시간에 따라 상기 광고료가 결정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서로 다른 광고료가 할당된 복수의 광고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화면에서 상기 광고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를 구성하는 광고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고료가 결정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으로 표시될 때, 상기 광고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광고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정보 제공 방법.
  12. 삭제
  13. 메모리; 및
    입력 데이터로부터 대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광고 객체를 획득하며, 상기 대상 컨텐츠에 상기 광고 객체를 배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컨텐츠에서 광고 정보가 배치될 수 있는 가용 배치 영역을 나타내는 배치 정보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배치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상기 광고 객체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 정보에는 상기 가용 배치 영역의 공간 속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 객체에 대한 공간 속성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객체의 공간 속성 정보와 대응되는 공간 속성 정보를 가진 가용 배치 영역으로 특정되는 상기 대상 컨텐츠의 일 공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지 영상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개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중 가장 많은 정지 영상에서 식별된 개체이며,
    상기 정지 영상은 인트라 코딩으로 복호화된 정지 영상인 컨텐츠 제공 장치.
  14.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31201A 2019-08-23 2019-10-22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KR10230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650A KR102418455B1 (ko) 2019-08-23 2021-09-17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3864 2019-08-23
KR1020190103864 2019-08-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650A Division KR102418455B1 (ko) 2019-08-23 2021-09-17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34A KR20210023634A (ko) 2021-03-04
KR102305852B1 true KR102305852B1 (ko) 2021-09-29

Family

ID=75174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01A KR102305852B1 (ko) 2019-08-23 2019-10-22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KR1020210124650A KR102418455B1 (ko) 2019-08-23 2021-09-17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650A KR102418455B1 (ko) 2019-08-23 2021-09-17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5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452B1 (ko) * 2022-01-28 2022-11-03 (주)창쿠글로벌 영상물 및 이를 이용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KR102502116B1 (ko) * 2022-08-09 2023-02-23 에스지 주식회사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환경 제공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96B1 (ko) * 2002-07-01 2010-10-2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반복 미디어 객체의 범위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54524B1 (ko) * 2016-02-17 2017-07-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2d 영상 내의 3d 요소의 추출 및 3d 요소의 삽입을 기반으로 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955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30056532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동영상내 ppl의 선택적 삽입 및 광고 서비스 방법
KR101596564B1 (ko) * 2014-01-21 2016-0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간접 광고 광고비 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96B1 (ko) * 2002-07-01 2010-10-2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반복 미디어 객체의 범위 결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54524B1 (ko) * 2016-02-17 2017-07-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2d 영상 내의 3d 요소의 추출 및 3d 요소의 삽입을 기반으로 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455B1 (ko) 2022-07-08
KR20210118037A (ko) 2021-09-29
KR20210023634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5964A1 (en) Interactive Object Placement in Virtual Reality Videos
US10715793B1 (en) Two dimensional to three dimensional moving image converter
KR102418455B1 (ko) 3d 컨텐츠에서 객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US8910201B1 (en) Product placement in digital content
US8566865B2 (en) Dynamic insertion of cinematic stage props in program content
EP2043047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34917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180330698A1 (en) Projection method with multiple rectangular planes at arbitrary positions to a variable projection center
JP666906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070214476A1 (en) Dynamic replacement of cinematic stage props in program content
US20130311273A1 (en) Advertisement system with advertisement selection rules engine
EP2046043A2 (en) Dynamic replacement and insertion of cinematic stage props in program content
US201602124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30648A1 (en) Multi-window smart content rendering and optimizing method and projection method based on cave system
US9965800B1 (en) Display of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of a physical object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1702149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in environment
JP2021101335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陳列棚、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00255B2 (en) Technologies for composing a virtual reality setting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CN104968276A (zh) 图像处理装置以及区域抽出方法
US20240038274A1 (en) 3d media elements in 2d video
US20200380554A1 (en) Advertis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dvertising display region evaluation method, and advertis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1562845B (zh) 用于实现三维空间场景互动的方法、装置和设备
CN108170498B (zh) 页面内容展示方法及装置
CN107578306A (zh) 追踪识别视频图像中的商品并展示商品信息的方法和装置
CN114913277A (zh) 一种物体立体交互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