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772B1 -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 Google Patents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772B1
KR102305772B1 KR1020200014419A KR20200014419A KR102305772B1 KR 102305772 B1 KR102305772 B1 KR 102305772B1 KR 1020200014419 A KR1020200014419 A KR 1020200014419A KR 20200014419 A KR20200014419 A KR 20200014419A KR 102305772 B1 KR102305772 B1 KR 10230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unit
safety
connecting ro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0789A (en
Inventor
박광복
신성철
배용득
신어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7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접이식 안전바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반송대차 리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는, 설비의 개구부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안전바 유닛; 및 설비의 개구부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제1 안전바 유닛과 함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안전바 유닛을 포함한다.Disclosed are a folding safety bar device and a lifter having the same.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afety bar unit that is fold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nd a second safety bar unit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Description

접이식 안전바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반송대차 리프터{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Foldable safety bar device and transport cart lifter having the same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본 발명은, 접이식 안전바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반송대차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전의 분리형에서 벗어나 설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식이라서 보관 장소의 운용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접이식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전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반송대차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and a transport cart lift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since it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facility instead of a conventional detachable type, operation of a storage place is not required. It relates to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capabl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convenience and improved fall safety as well as a transport cart lifter having the same.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면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 등 수많은 단위 공정들을 거쳐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수많은 단위 공정들로 이루어진 평면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클린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Flat-panel display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manufactured as products through numerous unit processes, such as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cell manufacturing process, and module process, like semiconductor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lat panel display consisting of such numerous unit processes may be generally performed in a clean room.

클린룸 내부의 특정 공정장비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다수의 기판은 카세트(Cassette)에 적재된 후 무인 반송대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에 의해 클린룸 내의 다른 공정장비로 이송된다. 여기서, 다른 공정장비들에서 이미 공정이 수행되고 있거나, 또는 카세트에 적재된 기판을 임시 보관하기 위하여 클린룸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커(stocker)가 배치된다.A plurality of substrates that have been processed by specific process equipment inside the clean room are loaded in a cassette and then transferred to other process equipment in the clean room by an automatic guided vehicle (AGV). Here, a plurality of stockers are disposed in the clean room to temporarily store a substrate already being processed in other process equipment or loaded in a cassette.

그리고 스토커에서 다른 스토커로 카세트를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오버 헤드 셔틀(Over Head Shuttle: OHS)이 이용될 수 있다.And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cassette from the stocker to another stocker, an overhead shuttle (OHS) may be generally used.

이에 대해 부연한다. 일반적인 평면디스플레이 공정라인은 각 공정에 필요한 각종 공정장비와, 공정장비들에 공급될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커와, 카세트를 스토커에서 다른 스토커로 이동시키는 오버 헤드 셔틀과, 오버 헤드 셔틀을 가이드하는 주행 레일을 포함한다.vague about this A general flat-panel display process line includes various process equipment required for each process, a plurality of stockers for storing cassettes loaded with substrates to be supplied to process equipment, an overhead shuttle that moves the cassettes from the stocker to another stocker, and a running rail for guiding the head shuttle.

즉, 각 공정장비는 각각의 스토커 주변에 배치되며, 스토커로부터 제공되는 카세트에 적재된 기판을 이용하여 각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공정을 거친 기판들은 다시 카세트에 적재되어 스토커에 보관된다. 이때, 카세트를 공정장비로 이송하거나 카세트를 공정장비로부터 스토커로 이송하는 공정은 오버 헤드 셔틀이 이용된다. 오버 헤드 셔틀은 클린룸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스토커에 카세트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each process equipment is disposed around each stocker, and each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substrate loaded on a cassette provided from the stocker. Then, the substrates that have undergone each process are loaded back into the cassette and stored in the stocker. In this case, an overhead shuttle is us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assette to the process equipment or transferring the cassette from the process equipment to the stocker. The overhead shuttle is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s to a plurality of stockers spaced apart inside the clean room.

오버 헤드 셔틀을 이용한 카세트 이송장치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세트를 이송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대차에 의해 운반된 카세트를 임시 보관하는 적재 포트와, 적재 포트에 놓인 카세트를 반송대차로 이재하기 위한 이재 로봇(P&P)을 포함할 수 있다.A cassette transport device using an overhead shuttle includes a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cassettes while moving along a traveling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a loading port for temporarily storing cassette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cart, and transporting cassettes placed in the loading port. It may include a transfer robot (P&P) for transferring with a bogie.

이와 같은 장비 운영에 사용되는 반송대차는 소정의 컨트롤을 통해 천장에서 레일(rail)을 타고 반송물 즉, 전술한 기판 내지는 기판이 탑재된 카세트, 혹은 마스크 등을 반송할 수 있다.The transport cart used for the operation of such equipment can transport the transported material, that is,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or the cassette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or a mask, on a rail from the ceiling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ol.

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대차의 부품을 교체하는 등 반송대차의 유지보수(maintenance)가 필요한 경우, 천장 측의 반송대차를 지상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때는 소위 반송대차 리프터(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를 사용할 수 있다.When maintenance of the transport cart is required, such as replacing parts of the transport cart that transports transported goods, the transport cart on the ceiling side is lowered to the ground. In this case, a so-called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can be used. have.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리프터 내에 진입되면 반송대차 리프터 내의 업/다운(up/down) 장치가 반송대차를 받아 지상으로 내리게 되며,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업/다운 장치가 반송대차를 다시 천장 측으로 올리게 된다.When the transport cart enters the transport cart lifter, the up/down device in the transport cart lifter receives the transport cart and lowers it to the ground. When maintenance is completed, the up/down device raises the transport cart back to the ceiling. .

한편, 반송대차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리프터에 진입한 후에는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리프터에서 임의로 나오지 못하도록 또한 작업자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개구부를 닫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for maintenance of the transport cart, after the transport cart enters the transport cart lifter, the opening should be closed to prevent the transport cart from arbitrarily coming out of the transport cart lifter and to prevent the operator's access.

물론, 반송대차 리프터가 아니더라도 반송대차 리프터와 같은 설비의 개구부에는 안전을 위한 장치로써 안전바가 설치된다. 안전바는 평상시 설비의 개구부를 막아 작업자의 접근을 불허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Of course, even if it is not a transport cart lifter, a safety bar is installed as a safety device in an opening of a facility such as a transport cart lifter. The safety bar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su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by blocking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nd disallowing the worker's access.

그런데, 현존 설비의 개구부에 적용되는 안전바는 그 대부분이 설비와 분리되는 분리형태라서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마다 꺼내어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관과 취급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However, since most of the safety bars applied to the openings of existing facilities are separated from the facilities, they are stored in a certain place and must be taken out and installed every time they are used, causing many problems in storage and handling.

특히, 설비의 개구부가 큰 경우에는 안전바 역시, 사이즈가 큰 것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안전바의 사이즈가 커지면 보관 장소의 확보에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고, 또한 보관 장소에서 안전바를 꺼내 설비의 개구부에 설치하기까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when the opening of the facility is large, the safety bar must also be used with a large size. If the size of the safety bar increases in this wa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curing a storage place. Considering that there are inevitably difficulties in instal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necessary to solve this problem.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02906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08-010290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전의 분리형에서 벗어나 설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식이라서 보관 장소의 운용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접이식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전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반송대차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detachable type, so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place is not required, and in particular, since it is foldable,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and the fall safety can be improved. It is to provide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and a transport cart lif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비의 개구부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안전바 유닛; 및 상기 설비의 개구부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안전바 유닛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안전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afety bar unit that is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nd a second safety bar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fold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설비 프레임에 결합하는 유닛 프레임; 제1 힌지를 축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 안전바; 및 상기 메인 안전바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 안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include: a unit frame coupled to a facility frame forming the opening; a main safety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in a foldable manner with the first hinge as an axial center; and a sub safety bar coupled to the main safety bar to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상기 메인 안전바와 상기 서브 안전바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서브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한 쌍의 서브 안전바의 단부에 상기 연결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 및 상기 연결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safety bar and the sub safety bar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pair of sub safety bars;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connecting rod.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가 맞물리는 요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may have a concave-convex portion protruding, and a concave-convex portion engag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recessed in the other.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면서 맞물리는 상기 요철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푸셔(spring pusher)가 마련될 수 있다.A spring pusher may be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to elastically push the concave-convex portion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닫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닫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1 걸쇠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A clasp for a closed mode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and a first clasp engaging portion on which the clasp for the closed mode is appli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one.

한 쌍의 상기 메인 안전바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2 걸쇠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pair of main safety bars may be provided with a clasp for the folding mode, and a second clasp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lasp for the folding mod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닫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감지하는 닫힘모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further include a closed mod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losed mode in a closed state.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접힌 상태인 접힘모드를 감지하는 접힘모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further include a folding mode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folded state in a folded state.

알림 모듈; 및 상기 닫힘모드 감지부와 상기 접힘모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notific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송대차가 출입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리프터 바디; 및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ter body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ort cart; and a folding safety bar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to be fol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상기 접이식 안전바 장치는,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안전바 유닛; 및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안전바 유닛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안전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may include: a first safety bar unit that is fold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and a second safety bar unit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리프터 바디에 결합하는 유닛 프레임; 제1 힌지를 축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 안전바; 및 상기 메인 안전바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 안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include a unit frame coupled to the lifter body forming the opening; a main safety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in a foldable manner with the first hinge as an axial center; and a sub safety bar coupled to the main safety bar to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상기 메인 안전바와 상기 서브 안전바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서브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한 쌍의 서브 안전바의 단부에 상기 연결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 및 상기 연결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safety bar and the sub safety bar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connecting a pair of the sub safety bars;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connecting rod.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가 맞물리는 요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면서 맞물리는 상기 요철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푸셔(spring pusher)가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may have a concave-convex portion protruding, and a concave portion engag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recessed in the other one, and the concave portion may have the concave portion. A spring pusher may be provided for resiliently push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닫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닫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1 걸쇠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메인 안전바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2 걸쇠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clasp for a closed mode, and a first clasp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clasp for the closed mode is engag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one, One of the main safety bars of the pair may be provided with a clasp for the folding mode, and the oth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lasp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lasp for the folding mode.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닫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감지하는 닫힘모드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접힌 상태인 접힘모드를 감지하는 접힘모드 감지부; 알림 모듈; 및 상기 닫힘모드 감지부와 상기 접힘모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losed mode detection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configured to detect a closed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closed; a folding mode detect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detecting a folding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in a folded state; notific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의 분리형에서 벗어나 설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식이라서 보관 장소의 운용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접이식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전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method tha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detachable type,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place is not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로서 닫힘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안전바 장치가 일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접이식 안전바 장치에 대한 접힘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리프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적용되는 반송대차의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losed mode a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3 .
5 is a view of a partially opened state o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of FIG.
6 and 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FIG. 5 , respectively.
FIG. 8 is a plan structural view of FIG. 7 .
9 is a view showing a folding mode for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of FIG.
10 and 11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FIG. 9 , respectively.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olding safety ba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ransport cart lif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cart applied to FIG. 13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로서 닫힘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접이식 안전바 장치가 일부 열린 상태의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 구조도이며, 도 9는 도 1의 접이식 안전바 장치에 대한 접힘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sed mode as an installation state front view of a folding safety ba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FIG. 1, respectively, and FIG. 4 is a view of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FIG. 5 is a view of a partially opened state o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of FIG. 1, FIGS. 6 and 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FIG. 5, respectively, and FIG. 8 is a plan structure view of FIG. ,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folding mode for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of Figure 1, Figures 10 and 11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Figure 9, respectively, Figure 12 is a folding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bar devic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는 종전의 분리형에서 벗어나 설비(10)의 개구부(30)에 설치되는 방식이라서 보관 장소의 운용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접이식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전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설비(10)를 이루는 설비 프레임(20)의 개구부(30) 영역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away from the conventional detachable type, so it does not require operation of a storage place, and in particular, because it is foldable, the use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foldably installed in the area of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frame 20 constituting the facility 10,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evice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and the fall safety can be improved. (110,120).

참고로, 설비(10)란 후술하는 것처럼 반송대차(290, 도 14 참조)가 드나드는 구조 혹은 구조체를 비롯하여 반도체 혹은 디스플레이 부품의 물류품이 출입하는 모든 구조 혹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acility 10 may include any structure or structure through which the goods of semiconductor or display parts enter and exit, including a structure or structure through which the transport cart 290 (refer to FIG. 14 ) enters and exits,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설비(10)는 도시된 것처럼 설비 프레임(20)으로 구축될 수 있다. 설비 프레임(20)에는 반송대차(290, 도 14 참조), 반도체 혹은 디스플레이 부품의 물류품이 출입하는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This facility 10 may be constructed as a facility frame 20 as shown. The facility frame 20 may have an opening 30 through which the transport cart 290 (refer to FIG. 14 ), semiconductors or display components enters and exits.

이때, 물류품이 출입하거나 혹은 작업자가 출입할 때는 개구부(30)가 도 9 내지 도 11처럼 열려야 하지만 평상시에는 도 1 내지 도 3처럼 닫혀야 한다. 그래야 물류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logistics product enters or exits or a worker enters, the opening 30 should be opened as shown in FIGS. 9 to 11 , but normally closed as shown in FIGS. 1 to 3 . In this way, not only can the goods be protected, but in particular, the safety of workers can be guaranteed.

따라서, 개구부(30)에는 본 실시예와 같은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종전처럼 안전바를 분리형으로 적용하게 되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마다 꺼내어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관과 취급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가 개구부(30)의 설비 프레임(20)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30 . However, if the safety bar is applied as a detachable type as before, it may cause many problems in storage and handling in that it is stored in a certain place and needs to be taken out and installed every time it is us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is to be installed in the facility frame 20 of the opening 30 in a folding manner.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는 전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포함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은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작용, 기능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를 제외한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이루는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했다.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s described abov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func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 Therefore,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remain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

본 실시예에서 제1 안전바 유닛(110)은 설비(10)의 개구부(30)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며, 제2 안전바 유닛(120)은 설비(10)의 개구부(30)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제1 안전바 유닛(110)과 함께 설비(10)의 개구부(30)를 개폐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afety bar unit 110 is installed to be foldable at one side of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 and the second safety bar unit 120 is fold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110 .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 모두는 유닛 프레임(131)과, 유닛 프레임(131)에 결합하는 메인 안전바(132) 및 서브 안전바(134)를 포함한다.Bot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include a unit frame 131 and a main safety bar 132 and a sub safety bar 134 coupled to the unit frame 131 .

유닛 프레임(131)은 메인 안전바(132)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유닛 프레임(131)은 개구부(30)를 형성하는 설비 프레임(20)에 결합한다. 유닛 프레임(131)은 설비 프레임(20)에 용접 결합할 수도 있고, 혹은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The unit frame 131 is a structure supporting the main safety bar 132 . The unit frame 131 is coupled to the equipment frame 20 forming the opening 30 . The unit frame 131 may be welded to the equipment frame 20 or may be screwed.

메인 안전바(132)는 유닛 프레임(131)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서브 안전바(134)와 달리, 메인 안전바(132)는 접이식으로 동작될 뿐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다. 메인 안전바(132)가 유닛 프레임(131)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유닛 프레임(131)과 메인 안전바(132)는 제1 힌지(133)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처럼 메인 안전바(132)는 제1 힌지(133)를 축심으로 해서 접힐 수 있다.The main safety bar 132 is a structur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131 in a foldable manner. Unlike the sub safety bar 134 , the main safety bar 132 is only operated in a foldable manner and its length does not change. In order for the main safety bar 132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131 in a foldable manner, the unit frame 131 and the main safety bar 132 are coupled by a first hinge 133 .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main safety bar 132 may be folded with the first hinge 133 as an axis.

서브 안전바(134)는 메인 안전바(132)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서브 안전바(134)를 당기면 메인 안전바(132)로부터 서브 안전바(134)가 노출될 수 있고, 서브 안전바(134)를 밀면 서브 안전바(134)가 메인 안전바(132)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안전바(134)는 메인 안전바(132)와 함께 개구부(3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sub safety bar 134 is coupled to the main safety bar 132 to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That is, when the sub safety bar 134 is pulled, the sub safety bar 134 may be exposed from the main safety bar 132 , and when the sub safety bar 134 is pushed, the sub safety bar 134 moves into the main safety bar 132 . can go in This sub safety bar 134 serves to shield the opening 30 together with the main safety bar 132 .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안전바(132)와 서브 안전바(134)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개구부(30)를 차폐한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일 뿐이므로 메인 안전바(132)와 서브 안전바(134)는 각각 1개씩 적용될 수도 있고 혹은 3개 이상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safety bar 132 and the sub safety bar 134 are provided as a pair to shield the opening 30 . Of course, since this is only one example, the main safety bar 132 and the sub safety bar 134 may be applied one by one, or three or more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에서 한 쌍의 서브 안전바(134)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가 각각 마련된다.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에는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136)가 마련된다.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134 in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are provided with handles 136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이 도 9 내지 도 11처럼 접힐 수 있도록 한 쌍의 서브 안전바(134)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135)가 결합된다. 제2 힌지(135)는 전술한 제1 힌지(133)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A second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to the end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13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can be folded as in FIGS. 9 to 11 . A hinge 135 is coupled. The second hinge 135 plays the same rol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hinge 133 .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이루는 구성 중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가 서로 상이하다. 즉 제1 안전바 유닛(110)의 제1 연결대(111)와 제2 안전바 유닛(120)의 제2 연결대(121) 중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112)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요철부(112)가 맞물리는 요홈부(122)가 함몰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연결대(111)에 요철부(112)가 형성되고 제2 연결대(121)에 요홈부(122)가 형성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제1 연결대(111)에 요홈부(122)가, 제2 연결대(121)에 요철부(112)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on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120 has a concave-convex portion 112 protruding, and the other is concave-convex. A recessed portion 122 with which the portion 112 engages is formed by depres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convex portion 112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and the concave-groove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 but the reverse case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That is, the concave-convex portion 1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11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 and it should be said that all of these matter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손잡이(136)를 잡고 제1 및 제2 연결대(111,121)를 당기면 메인 안전바(132)로부터 서브 안전바(134)가 노출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요철부(112)와 요홈부(122)가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처럼 개구부(30)를 닫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11 and 121 are pulled while holding the handle 136 , the sub safety bar 134 may be exposed from the main safety bar 132 . In this state, the uneven portion 112 and the recessed portion 122 are exposed. ) can be engaged to close the opening 30 as shown in FIGS. 1 to 3 .

다만, 서로 맞물린 요철부(112)와 요홈부(122)가 임의로 벌어지면 곤란하기 때문에, 이를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프링 푸셔(123, spring pusher), 닫힘모드용 걸쇠(141) 및 제1 걸쇠 걸림부(142)가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에 적용된다.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open the concave-convex portion 112 and the concave-groove portion 122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a means for preventing this, a spring pusher (123, spring pusher), a clasp 141 for closing mode, and the first clasp are engaged. The part 142 is applied to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

스프링 푸셔(123)는 요홈부(122)에 마련되며, 요홈부(122)에 삽입되면서 맞물리는 요철부(112)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The spring pusher 123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122 and acts to elastically push the concave-convex portion 112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22 .

그리고, 닫힘모드용 걸쇠(141)는 제1 안전바 유닛(110)의 제1 연결대(111)와 제2 안전바 유닛(120)의 제2 연결대(121)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제1 걸쇠 걸림부(142)는 닫힘모드용 걸쇠(141)는 제1 안전바 유닛(110)의 제1 연결대(111)와 제2 안전바 유닛(120)의 제2 연결대(121)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다. 스프링 푸셔(123)가 상대방을 밀어내는 형태라서 닫힘모드용 걸쇠(141)가 제1 걸쇠 걸림부(142)에 걸리지 않으면 후술할 닫힘모드 감지부(151)가 인식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요철부(112)와 요홈부(122)가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닫힘모드용 걸쇠(141)가 제1 걸쇠 걸림부(142)에 걸리도록 해야만 도 1 내지 도 3처럼 닫힘모드가 구현되어 개구부(30)를 닫을 수있다.And, the latch 141 for the closed mode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120, the first The latch stopper 142 is the latch 141 for the closed mode on the other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120 . will be prepared Since the spring pusher 123 pushes the opponent, if the latch 141 for the closing mode does not catch on the first latch latch 142 , the closing mode detection unit 151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recognized. In other words, the closing mode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The opening 30 can be closed.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연결대(121)에 닫힘모드용 걸쇠(141)가 마련되고 제1 연결대(111)에 제1 걸쇠 걸림부(142)가 마련되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제2 연결대(121)에 제1 걸쇠 걸림부(142)가, 제1 연결대(111)에 닫힘모드용 걸쇠(141)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ch 141 for the closed mode is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and the first latch engaging part 142 is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but the reverse case is also possible.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rod 121 may have a first latch engaging portion 142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111 may be provided with a closing mode latch 141, all of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have to do

닫힘모드용 걸쇠(141)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도 9 내지 도 11처럼 접힘모드가 구현될 때, 접힘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면 곤란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즉 도 9 내지 도 11의 접힘모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끔 한 쌍의 메인 안전바(132)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143)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143)가 걸리는 제2 걸쇠 걸림부(144)가 마련된다. 이에, 도 9 내지 도 11처럼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접은 후에는 접힘모드용 걸쇠(143)가 제2 걸쇠 걸림부(14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접힘모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action of the latch 141 for the closed mode, when the folded mode is implemented as in FIGS. 9 to 11 , it is difficult if the folded state is arbitrarily released. To prevent this, that is, a latch 143 for folding mode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pair of main safety bars 132 so that the folding mode of FIGS. 9 to 11 is not arbitrarily released, and the other for folding mode A second clasp engaging portion 144 to which the clasp 143 is engaged is provided. Accordingly, after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folding mode is not arbitrarily released by allowing the latch 143 for the folding mode to be caught by the second latch stopper 144 . It is preferable to turn it off.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에는 제1 및 제2 제1 안전바 유닛(110,120)이 닫혔는지 혹은 접혔는지 아닌지를 감지하여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써 닫힘모드 감지부(151), 접힘모드 감지부(152), 알림 모듈(153) 및 컨트롤러(160)가 갖춰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first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re closed or folded as a means for detecting and notifying whether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A folding mode detection unit 152 , a notification module 153 , and a controller 160 are provided.

닫힘모드 감지부(151)는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이 닫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감지한다. 닫힘모드 감지부(151)에서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160)로 전송된다.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 and detects a closed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re closed. The signal detected by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

접힘모드 감지부(152)는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이 접힌 상태인 접힘모드를 감지한다. 접힘모드 감지부(152)에서 감지된 신호 역시, 컨트롤러(160)로 전송된다.The folding mode detecting unit 152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nd detects a folding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are folded. The signal detected by the folding mode detection unit 152 is also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

알림 모듈(153)은 개구부(30)의 상태가 닫힘모드인지 접힘모드인지를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알림 모듈(153)은 시각적 알림 형태의 램프일 수도 있고, 청각적 알림 형태의 부저일 수도 있다.The notification module 153 serves to inform the outside whether the state of the opening 30 is the closed mode or the folded mode.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module 153 may be a lamp in the form of a visual notification or a buzzer in the form of an audible notification.

컨트롤러(160)는 닫힘모드 감지부(151)와 접힘모드 감지부(152)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15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15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152 . The controller 16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61 (CPU), a memory 16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닫힘모드 감지부(151)와 접힘모드 감지부(152)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153)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is a variety of computers that can be industrially appli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15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152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one of the processors.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써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62 ,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 The memory 162 may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easily used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digital storage format. It may be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to support typical operations of the processor. The support circuit 16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닫힘모드 감지부(151)와 접힘모드 감지부(152)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153)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15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151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152, and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such as the memory ( 162) can be stored.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162 .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a software routine,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비(10)의 개구부(3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의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펼쳐서 개구부(30)를 닫아두면 되고, 설비(10)의 개구부(30)를 사용할 때는 도 9 내지 도 11처럼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의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접어 보관하면 된다. 특히, 도 9 내지 도 11처럼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접으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굳이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를 철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is not used,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o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are unfolded as shown in FIGS. 1 to 3 to open the opening 30 . When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is used,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o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may be folded and stored as shown in FIGS. 9 to 11 .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as in the pas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분리형에서 벗어나 설비(10)의 개구부(30)에 설치되는 방식이라서 보관 장소의 운용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접이식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전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즉 설비가 천장부 상부에 설치될 때 개선된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는 기존 메인트넌스 안전봉 설치에 따른 작업자 추락 위험이 없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설비 부스(booth)에 부착된 상태라서 추락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30 of the facility 10 away from the conventional separation type,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place is not required, and in particular, it is foldable, so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It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and fall safety can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the improved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may eliminate the risk of a worker falling due to the existing maintenance safety rod installation. In other words, since it is attached to the equipment booth, fall safety can be improv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리프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적용되는 반송대차의 사시도이다.1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ransport cart lif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cart applied to FIG. 13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리프터(10a)는 반송대차(290)가 출입하되 일측에 개구부(30)가 형성되는 리프터 바디(20a)와, 리프터 바디(20a)의 개구부(30)에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개구부(30)를 개폐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transport cart lifter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fter body 20a through which the transport cart 290 enters and exits, but an opening 30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opening ( 30) is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and includes a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30).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는 반송대차 리프터(10a)라는 설비에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가 적용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isclosed that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is applied to a facility called the transport cart lifter 10a.

이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 설명한다. OHS 또는 OHT(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천장 대차시스템)는 이송할 소형 반송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This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detail. OHS or OHT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can be installed in large hospitals,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production plants, etc. with many small objects to be transported.

이와 같은 천장 대차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미도시)과,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대상물을 운반하는 반송대차(290)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ceiling bogie system may include a running rail (not shown)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carrier bogie 290 that travels along the running rail and transports an object.

일 예로, 이러한 천장 대차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 클린룸 내의 천장공간을 이용해서 주행 레일이 설치되는데, 주행 레일 상에서 구동되는 반송대차(290)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 마스크, 글라스, 카세트 등이 적재된 반송 대상물을 반송 포트들 사이에서 운반한다.For example, when such a ceiling bogie system is installed in a semiconductor or display flat panel production line, a running rail is installed using the ceiling space in the clean room, and the transport cart 290 driven on the running rail is a semiconductor wafer, substrate, mask , a transport object loaded with glass, cassette, etc. is transported between transport ports.

여기서, 주행 레일은 지주 등에 의해 클린룸의 천장 등으로부터 지지되며, 주행 레일 본체와 급전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송대차(290)는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의 본체 내를 주행할 수 있고, 수신부에 의해 급전 레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Here, the traveling rail is supported from the ceiling of the clean room by a post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traveling rail body and a power supply rail. The carrier cart 290 may include a traveling driving unit to travel within the main body of the traveling rail, and may communicate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rail by the receiving unit.

그리고 반송대상물 중 기판은 각종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즉,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 PDP(Plasma Display Panel) 기판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기판. LED(Light Emitting Diodes) 기판, TSP(Touch Screen Panel) 기판,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및 각종 반도체에 사용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And among the objects to be transported, the substrates are various flat panel displays (FPDs), that is,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s, plasma display panel (PDP) substrates,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substrates. 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substrate, a touch screen panel (TSP) substrat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and a substrate used in various semiconductors.

반송대차(290)는 반송물을 반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를 통해 천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로 상승된 후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port cart 290 is for transporting transported goods, and may be provided to move along the driving rail after being raised to the driving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through a lift.

반송대차(290)는 마스크 타입(Mask type) 반송대차 또는 글라스 타입(Glass Type) 반송대차 등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구별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마스크 타입 반송대차가 글라스 타입 반송대차보다 사이즈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transport cart 290 may be classified into a mask type transport cart or a glass type transport cart,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distinguish them. For reference, it is known that the size of the mask-type carri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glass-type carrier.

반송대차(290)는 기판 등의 반송물이 인입 후 안착되는 대차본체(291)와, 대차본체(291)에 결합되어 주행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구동용 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본체(291) 내에는 반송물 탑재공간(S)이 마련된다. 반송대차(290)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외관으로 반송대차(290)의 센터를 알 수 있도록 센터 플레이트(292)가 설치된다. 센터 플레이트(292)는 반송대차(290)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반송대차(290)가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할 때, 정확한 위치를 따라 이동하거나 정확한 지점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반송대차(290)에는 주행 레일을 센싱하는 센서모듈(293)이 설치될 수 있다.The transport cart 290 may include a bogie body 291 on which a transported object such as a substrate is inserted and then seated, and a driving wheel (not shown) coupled to the bogie body 291 and driven along a traveling rail. A transported material loading space S is provided in the bogie body 291 . A center plate 292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gie 290 so that a user can know the center of the transport bogie 290 from the outside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center plate 292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transport cart 290 . When the transport cart 290 travels along the traveling rail, a sensor module 293 for sensing the traveling rail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port cart 290 to move along an accurate position or rotate at an accurate point.

한편, 이와 같은 반송대차(290)를 이용해서 반송물을 운반하는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노후화에 의해 혹은 여러 이상 원인에 의해 반송대차(290)를 유지보수(maintenance)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arrying out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goods using the transport cart 290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maintenance of the transport cart 290 is required due to deterioration or various abnormal causes.

이처럼 반송대차(29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천장 측의 반송대차(290)를 지상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때는 도 13과 같은 구조의 반송대차 리프터(10a)를 사용할 수 있다.As such, when maintenance of the transport cart 290 is required, the transport cart 290 on the ceiling side is lowered to the ground. In this case, the transport cart lifter 10a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반송대차(290)가 반송대차 리프터(10a)의 리프터 바디(20a) 내에 진입되면 리프터 바디(20a) 내의 업/다운(up/down) 장치(미도시)가 반송대차(290)를 받아 지상으로 내리게 되며,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업/다운 장치가 반송대차(290)를 다시 천장 측으로 올리게 된다.When the transport cart 290 enters the lifter body 20a of the transport cart lifter 10a, an up/down device (not shown) in the lifter body 20a receives the transport cart 290 and moves to the ground. When the maintenance is completed, the up/down device raises the transport cart 290 back to the ceiling side.

이때, 리프터 바디(20a)의 개구부(30)에는 전술한 것처럼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30 of the lifter body 20a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것처럼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는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110,120)을 포함하며, 이의 구조와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110 and 120 that can be unfolded or folded,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100 is avo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 즉 반송대차 리프터(10a)라는 설비에 접이식 안전바 장치(100)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Even if the folding safety bar device 100 is applied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equipment called the transport cart lifter 10a,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설비 20 : 설비 프레임
30 : 개구부 100 : 접이식 안전바 장치
110 : 제1 안전바 유닛 111 : 제1 연결대
112 : 요철부 120 : 제2 안전바 유닛
121 : 제2 연결대 122 : 요홈부
123 : 스프링 푸셔 131 : 유닛 프레임
132 : 메인 안전바 133 : 제1 힌지
134 : 서브 안전바 135 : 제2 힌지
136 : 손잡이 141 : 닫힘모드용 걸쇠
142 : 제1 걸쇠 걸림부 143 : 접힘모드용 걸쇠
144 : 제2 걸쇠 걸림부 151 : 닫힘모드 감지부
152 : 접힘모드 감지부 153 : 알림 모듈
160 : 컨트롤러
10: equipment 20: equipment frame
30: opening 100: folding safety bar device
110: first safety bar unit 111: first connecting rod
112: uneven portion 120: second safety bar unit
121: second connecting rod 122: groove portion
123: spring pusher 131: unit frame
132: main safety bar 133: first hinge
134: sub safety bar 135: second hinge
136: handle 141: clasp for closed mode
142: first clasp clasp 143: clasp for folding mode
144: second latch catching part 151: closed mode detection part
152: folding mode detection unit 153: notification module
160: controller

Claims (17)

설비의 개구부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안전바 유닛; 및
상기 설비의 개구부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안전바 유닛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안전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설비 프레임에 결합하는 유닛 프레임;
제1 힌지를 축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 안전바; 및
상기 메인 안전바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A first safety bar unit that is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and
A second safety bar unit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acilit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a unit frame coupled to the equipment frame forming the opening;
a main safety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in a foldable manner with the first hinge as an axial center; and
Folding safety bar device comprising a sub safety bar coupled to the main safety bar to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안전바와 상기 서브 안전바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서브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한 쌍의 서브 안전바의 단부에 상기 연결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 및
상기 연결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afety bar and the sub safety bar are provided as a pair,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a connecting rod connecting a pair of the sub safety bars;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and
Folding safety ba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provided on the connecting r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가 맞물리는 요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has a concave-convex portion protruding, and a concave-convex portion engag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recessed in the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면서 맞물리는 상기 요철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푸셔(spring pusher)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pusher elastically push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닫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닫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1 걸쇠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is provided with a clasp for a closed mod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first clasp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clasp for the closed mode is engaged. Folding safety bar device.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메인 안전바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2 걸쇠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foldable safety ba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air of main safety bars is provided with a clasp for the folding mode, and a second clasp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lasp for the folding mode is provided on the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닫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감지하는 닫힘모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which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further comprises a closed mod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losed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in a closed state.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접힌 상태인 접힘모드를 감지하는 접힘모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olding safety bar devic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mod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folding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in a folded state. .
제9항에 있어서,
알림 모듈; 및
상기 닫힘모드 감지부와 상기 접힘모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notification module; and
Folding safety ba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반송대차가 출입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리프터 바디; 및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접이식 안전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안전바 장치는,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 일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제1 안전바 유닛; 및
상기 리프터 바디의 개구부 타측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안전바 유닛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안전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리프터 바디에 결합하는 유닛 프레임;
제1 힌지를 축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접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 안전바; 및
상기 메인 안전바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
a lifter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which the transport cart enters and exits; and
and a folding safety bar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to be fol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he foldable safety bar device,
a first safety bar unit fold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and
and a second safety bar unit installed in a foldable manner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lif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safety bar unit,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a unit frame coupled to the lifter body forming the opening;
a main safety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nit frame in a foldable manner with the first hinge as an axial center; and
The transport cart lifter comprising a sub safety bar coupled to the main safety bar so as to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안전바와 상기 서브 안전바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서브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한 쌍의 서브 안전바의 단부에 상기 연결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 및
상기 연결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ain safety bar and the sub safety bar are provided as a pair,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a connecting rod connecting a pair of the sub safety bars;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ub safety bars; and
The transport cart lifter further comprising a handle provided on the connecting r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가 맞물리는 요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면서 맞물리는 상기 요철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푸셔(spring pusher)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has a concave-convex portion protruding, and a concave-convex portion engag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recessed in the other one,
The transport cart lif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pusher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to elastically push the concave-convex portion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와 상기 제2 안전바 유닛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에는 닫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닫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1 걸쇠 걸림부가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메인 안전바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접힘모드용 걸쇠가 걸리는 제2 걸쇠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lasp for a closed mode is provided on one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safety bar unit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second safety bar unit, and a first clasp engaging portion on which the clasp for the closed mode is engaged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One of the pair of the main safety bars is provided with a latch for the folding mod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part for engaging the latch for the folding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닫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감지하는 닫힘모드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바 유닛이 접힌 상태인 접힘모드를 감지하는 접힘모드 감지부;
알림 모듈; 및
상기 닫힘모드 감지부와 상기 접힘모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리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closed mode detection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configured to detect a closed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closed;
a folding mode detection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nd detecting a folding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afety bar units are in a folded state;
notification module; and
The carrier lif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losed mode detection unit and the folded mode detection unit.
KR1020200014419A 2020-02-06 2020-02-06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KR102305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19A KR102305772B1 (en) 2020-02-06 2020-02-06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19A KR102305772B1 (en) 2020-02-06 2020-02-06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789A KR20210100789A (en) 2021-08-18
KR102305772B1 true KR102305772B1 (en) 2021-09-28

Family

ID=7746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19A KR102305772B1 (en) 2020-02-06 2020-02-06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7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870A (en) 1999-11-19 2001-05-29 Anbishi:Kk Shutter device
KR100638176B1 (en) 2004-12-20 2006-10-26 (주)신우 프론티어 wheel-chair lift of having electronic stopper for protect passenger drop
JP2008214944A (en) * 2007-03-02 2008-09-18 Bunka Shutter Co Ltd Sliding type folding do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08B1 (en)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p
KR101890160B1 (en) * 2016-11-23 2018-08-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870A (en) 1999-11-19 2001-05-29 Anbishi:Kk Shutter device
KR100638176B1 (en) 2004-12-20 2006-10-26 (주)신우 프론티어 wheel-chair lift of having electronic stopper for protect passenger drop
JP2008214944A (en) * 2007-03-02 2008-09-18 Bunka Shutter Co Ltd Sliding type folding do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789A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0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wafer carrier doors
KR100608391B1 (en) Integrated intrabay buffer, delivery, and stocker system
KR100440683B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production line using the same
US9815624B2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JP6229729B2 (en) Storehouse
US6677690B2 (en) System for safeguarding integrated intrabay pod delivery and storage system
KR101184789B1 (en) Coating, developing apparatus
US10607872B2 (en) Container storage facility
TWI425590B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transporting method therefor
JP2007022809A (en) Conveyance system for manufacturing flat plate display device
US9919871B2 (en) Buffer station for stocker system
CN108290687B (en) Storage device and transport system
KR20080046380A (en) Shelf control system and stocker including the same
KR102305772B1 (en)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JP2016178216A (en) Protective cover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890160B1 (en)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KR101183040B1 (en) Stocker apparatus
JP2007158219A (en) Displacement prevention device of container for housing substrate on shelf in stocker
JP4737713B2 (en) stocker
JP2003276808A (en) Article transfer method and its device
WO2024095538A1 (en) Transfer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ransfer system
CN218385154U (en) Wafer conveying system
JP2007208284A (en) Method for vacuum processing in vacuum processor
JP3512404B2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vacuum processing method
JP2009035414A (en) Inter-process conveying system between different st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