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13B1 -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13B1
KR102305513B1 KR1020180140573A KR20180140573A KR102305513B1 KR 102305513 B1 KR102305513 B1 KR 102305513B1 KR 1020180140573 A KR1020180140573 A KR 1020180140573A KR 20180140573 A KR20180140573 A KR 20180140573A KR 102305513 B1 KR102305513 B1 KR 10230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d
pole piece
fac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650A (ko
Inventor
신희영
Original Assignee
신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영 filed Critical 신희영
Priority to KR102018014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와, 상기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상기 패드 본체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본체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상기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자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부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부 미용에 좋은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하여 주름 및 잡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MASK PACK ASSEMBLY USING SALT AND NATURAL STONES}
본 발명은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에 좋은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하여 주름 및 잡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탄력적인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마스크 팩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마스크 팩은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워시 오프형(wash off type), 필 오프(peel off type), 시트형(sheet type)의 세 가지로 나뉜다.
워시 오프형은 일반적으로 머드 또는 클레이, 젤 등의 형태의 미용성분을 바른 후 물로 씻어내는 타입이고, 필 오프형은 미용성분을 바른 후에 일정시간 후 건조된 미용성분을 벗겨내는 타입이며, 시트형은 시트에 미리 화장수나 에센스와 같은 미용 성분들이 적셔져 있어 피부에 붙인 후 떼어내는 타입이다.
이 중 피부보호막 형성과 영양공급 및 보습 효과 등을 위하여 고농도의 미용성분이 함침되어 있는 시트형의 마스크 팩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424808호의 "경락 마사지가 가능한 마스크팩"(이하 선행기술1)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1은 시트지의 일측면에 마사지되어지는 부위의 피부를 자극시켜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된 지압부재가 형성된 경락 마사지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시트지가 눈 주위를 덮는 정도로만 형성되어 있어 팔자주름이나 입가의 주름 및 목 부분의 주름 개선에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313210호의 "얼굴 마사지용 마스크"(이하 선행기술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2는 피부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마스크를 제작하되 그 마스크내에 소형 진동모터와 면상발열체를 형성하고, 마스크를 착용시 진동모터의 떨림으로 얼굴의 경락 지점을 마사지하여 얼굴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면상발열체의 발열을 통해서는 얼굴 피부내로 온열과 원적외선을 침투시켜 땀 배출을 유도하여 노폐물을 배출시키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사용하는데 전력 및 에너지의 소비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용이 번거롭고 보관 및 수납에 어려움에 직면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 제20-0424808호 등록실용 제20-03132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피부 미용에 좋은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하여 주름 및 잡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와, 상기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상기 패드 본체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본체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상기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자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부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 본체는 천연 펄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본체는 천일염 20 내지 40 중량부, 사해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 히말라야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수에 혼합한 혼합액에 침지후 진공 포장되어 출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썹 내측 단부의 오목한 부위인 찬죽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상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안쪽눈구석(inner canthus)의 위 안쪽 부분과 눈구멍(orbit)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부위인 정명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하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관자놀이 부위인 태양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3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코입술고랑(nasolabial sulcus) 위, 콧방울(ala of the nose) 가쪽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영향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패드의 상기 사용자의 코 하부 양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4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동공(pupil)에서 수직으로 아래쪽, 콧방울(ala of the nose)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거료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패드에서 상기 제4 자극편과 상기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양끝 사이 또는, 상기 제2 패드에서 상기 제1 패드에 배치된 위치와 이웃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5 자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인 지창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통공의 양측 단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6 자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과, 상기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상기 연장편의 내부에 절개 형성되는 걸림 슬릿과, 상기 사용자의 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인 귓불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인 예풍혈에 대응되게, 상기 연장편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 슬릿의 하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7 자극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와,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 본체; 및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패드 본체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패드 본체가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자극부를 포함하며, 자극부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패드 본체가 사용자의 피부에 활력을 줌과 동시에, 자극부가 안면의 주요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팔자주름과 미간주름 눈꼬리주름 입꼬리주름 등을 포함한 각종 주름이나 기미, 여드름 또는 잡티 등 각종 피부트러블의 개선에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본체는 천연 펄프 소재로 이루어지며, 패드 본체는 천일염 20 내지 40 중량부, 사해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 히말라야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수에 혼합한 혼합액에 침지후 진공 포장되어 출고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자연소재인 펄프와 저자극성의 각종 소금이 혼합된 혼합액으로써 앞서 설명한 각종 주름이나 여러가지 피부 트러블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극부는, 사용자의 눈썹 내측 단부의 오목한 부위인 찬죽혈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상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자극편과, 사용자의 안쪽눈구석(inner canthus)의 위 안쪽 부분과 눈구멍(orbit)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부위인 정명혈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하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자극편과, 사용자의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관자놀이 부위인 태양혈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3 자극편과, 사용자의 코입술고랑(nasolabial sulcus) 위, 콧방울(ala of the nose) 가쪽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영향혈에 대응되게, 제1 패드의 사용자의 코 하부 양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4 자극편과, 사용자의 동공(pupil)에서 수직으로 아래쪽, 콧방울(ala of the nose)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거료혈에 대응되게,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제2 패드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1 패드에서 제4 자극편과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양끝 사이 또는, 제2 패드에서 제1 패드에 배치된 위치와 이웃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5 자극편과,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인 지창혈에 대응되게, 제2 통공의 양측 단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6 자극편을 포함함으로써, 자극부가 사용자의 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주요 혈자리를 자극토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주름 또는 피부트러블의 개선은 물론, 각 혈자리를 자극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예를들면 두통이나 눈떨림 어지럼증 신경증 등의 개선에도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과,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연장편의 내부에 절개 형성되는 걸림 슬릿과, 사용자의 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인 귓불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인 예풍혈에 대응되게, 연장편에 장착되고, 걸림 슬릿의 하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7 자극편을 더 구비함으로써, 불가피하게 몸을 일으키거나 움직여야 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연장편이 귀에 걸려 있으므로 패드 본체가 확실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연장편에 구비된 제7 자극편에 의하여 예풍혈을 자극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 즉 피로회복이나, 혈액순환 개선, 치통이나 멀미의 개선, 눈을 밝게 하는 효과나, 안면근육 마비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를 사용자의 귀에 걸어 안면에 부착시킨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얼굴의 주요 경혈자리를 표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쪽을 바라본 배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를 사용자의 귀에 걸어 안면에 부착시킨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얼굴의 주요 경혈자리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본체(100)에 자극부(200)가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극부(200)가 기능하기 위한 각 혈자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찬죽혈(10,
Figure 112018113637600-pat00001
竹穴)은, 눈썹 안쪽끝의 오목한 부위이다.
여기서, 찬죽혈(10)은 이마뼈패임(frontal notch), 정명(BL1)에서 수직으로 위쪽, 눈썹 안쪽끝에서 취혈한다.
이때, 찬죽혈(10)은 눈가주름을 완화하고 눈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혈자리이다.
그리고, 정명혈(20, 睛明穴)은, 안쪽눈구석(inner canthus)의 위 안쪽 부분과 눈확(orbit)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곳이다.
여기서, 정명혈(20)은 눈가 주름 및 안구 건조 예방을 위한 혈자리이다.
그리고, 태양혈(30, 太陽穴)은 관자놀이에 위치한 혈자리로,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부위이다.
여기서, 태양혈(30)은 눈썹 바깥쪽과 눈꼬리의 중간높이에서 귀 쪽을 향해 손을 이동하면 움푹 들어간 부위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태양혈(30)은 두통 예방을 위한 혈자리이며, 손가락을 이용해 태양혈(30)을 지그시 눌러주거나, 둥글게 작은 원을 그려주어 지압해주면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 어지럼증, 각종 신경증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머리를 맑게 하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영향혈(40, 迎香穴)은, 코입술고랑(nasolabial sulcus) 위, 콧방울(ala of the nose) 가쪽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이다.
즉, 영향혈(40)은 코밑을 잇는 수평선과 콧방울의 선을 이어 만나는 자리인데 코 양옆으로 0.5촌(약 1.515cm) 되는 곳이다.
이때, 영향열(40)이 자극되면, 감기나 폐의 이상으로 냄새를 못 맡는 것뿐만 아니라 노화 현상으로 냄새를 못 맡을 때도 좋다.
그리고, 거료혈(50, 巨
Figure 112018113637600-pat00002
穴)은, 동공(pupil)에서 수직으로 아래 쪽, 콧방울(ala of the nose)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이다.
여기서, 거료혈(50)은 고개를 들고 앞을 바로 볼 때, 동공을 지나는 수직선과 콧방울 아래모서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하며, 수직으로 위쪽에 사백혈(四白穴)이 위치한다.
이때, 거료혈(50)은 볼처짐을 방지하고 얼굴 부기를 예방하며, 이중턱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혈자리이다.
또한, 거료혈(50)이 자극되면 안면신경마비, 눈시울이 떨리는 증상이나, 코피, 치통 등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지창혈(60, 地倉穴)은, 양측 입꼬리 근처에 위치한 혈자리로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이다.
여기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서 양쪽의 지창혈(60)을 지긋이 눌러주면, 외부로부터 침입한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입가 주변의 기운을 소통시키므로 안면신경마비, 삼차신경통, 구순염 등에 빈번하게 활용된다.
이때, 지창혈(60)을 수시로 지압해주면 입가 주름과 팔자 주름을 예방하는 데 좋다.
아울러, 예풍혈(70, 叡風穴)은, 귓불(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이다.
여기서, 예풍혈(70)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목앞부위, 귓불(ear lobe)의 뒤쪽, 꼭지돌기(mastoid process) 아래끝의 앞쪽 오목한 곳에 위치한 혈자리이다.
이때, 예풍혈(70)은 성대결절 발성기관과도 연관이 깊으며 사용자의 두부 전체에 걸친 혈액 순환을 돕는 혈자리이기 때문에, 눈을 밝게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안면근육 마비, 즉 구안와사의 개선에 좋고, 언어장애나 갑상선종의 개선에도 효험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예풍혈(70)은 피로를 푸는 지압점이기도 하며 집요하게 누를 필요는 없고, 적당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여유있게 누르되 하루에 한두번 정도 지압해 주면 좋다고 한다.
또한, 예풍혈(70)은 예로부터 치통과 멀미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오는 혈자리이기도 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100)와 자극부(200)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패드 본체(1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111, 111)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110)와,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121)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자극부(200)는,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패드 본체(100)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패드 본체(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자극부(200)는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에 배치됨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패드 본체(100)에는, 사용자의 목을 덮어 목 주름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2 패드(120)의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제3 패드(131, 132, 133)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호 분리 형성되도록 하거나, 도 2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과 같이 연장편(140)이 구비된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가 도 2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광대뼈와 코 부분을 덮도록,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가 맞닿는 부위에 절개 형성되는 밀착 슬릿(115)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패드(110)는,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의 이마와, 귀 바로 옆의 얼굴 옆 라인을 덮도록 곡선 형상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 형성부(110c)와,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상측을 덮도록, 곡선 형성부(110c)의 양측 하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직선 형성부(110n)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패드(110)는, 직선 형성부(110n)의 중앙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노치홈(112, 112)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노치홈(112, 112)은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곡면을 이루는 인체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코와, 코의 좌우 양측 부분에 밀착하여 덮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패드 본체(100)는 천연 펄프 소재로 이루어지며, 패드 본체(100)는 천일염 20 내지 40 중량부, 사해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 히말라야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수에 혼합한 혼합액에 침지후 진공 포장되어 출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자극부(200)는, 도 1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기 위한 돌출면을 구비한 자극편(201)을 포함하며, 전술한 자연석은 알칼리 현무암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알칼리 현무암은 체내의 중금속을 흡착하여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바,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피로회복 및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 또한 탁월하다.
아울러, 알칼리 현무암은 흡착 탈취력이 뛰어나므로, 각종 냄새 유발 요인이 되는 물질을 흡착하여 냄새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알칼리 현무암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바,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로회복에 효험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극부(200)는, 도 1의 확대부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제1 패드(110) 및 제2 패드(120) 각각의 면 상에 장착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자극부(200)는, 다각 형상의 가압면(201p)과, 가압면(201p)의 가장자리와, 가압면(201p)으로부터 제1 패드(110) 및 제2 패드(120)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201s)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모서리(201e)를 가진 자극편(201)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극편(201)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면(201b)과 가압면(201p)과 경사면(201s)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바닥면(201b)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제1 패드(110) 및 제2 패드(120) 각각의 면 상에 장착되는 제1 면적을 가진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그리고, 가압면(201p)은 바닥면(201b)과 평행하게 바닥면(201b)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또한, 경사면(201s)은 바닥면(201b) 및 가압면(201p)의 가장자리를 각각 연결하며, 바닥면(201b)의 가장자리로부터 가압면(201p)의 가장자리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로 이루어진 부분이며, 가압면(201p)의 가장자리들과 함께 전술한 복수의 모서리(201e)들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다각뿔대 형상의 자극편(201) 말단의 가압면(201p)과 함께 복수의 모서리(201e)들이 사용자의 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각 혈자리에 접촉 가압됨으로써 각 혈자리의 자극에 따른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자극부(200)는, 크게 제1 내지 제6 자극편(210, 220, 230, 240, 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자극편(210)은, 사용자의 눈썹 내측 단부의 오목한 부위인 찬죽혈(1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내측 단부의 상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자극편(220)은, 사용자의 안쪽눈구석(inner canthus)의 위 안쪽 부분과 눈구멍(orbit)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부위인 정명혈(2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내측 단부의 하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자극편(230)은, 사용자의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관자놀이 부위인 태양혈(3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4 자극편(240)은, 사용자의 코입술고랑(nasolabial sulcus) 위, 콧방울(ala of the nose) 가장자리쪽 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영향혈(40)에 대응되게, 제1 패드(110)의 사용자의 코 하부 양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제4 자극편(240)은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노치홈(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5 자극편(250)은, 사용자의 동공(pupil)에서 수직으로 아래쪽, 콧방울(ala of the nose) 아래모서리(201e)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거료혈(50)에 대응되게, 제1 패드(110)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제2 패드(1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5 자극편(250)은, 제1 패드(110)에서 제4 자극편(240)과 제1 패드(110)의 하부 가장자리 양끝 사이 또는, 제2 패드(120)에서 제1 패드(110)에 배치된 위치와 이웃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6 자극편(260)은,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인 지창혈(60)에 대응되게, 제2 통공(121)의 양측 단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걸어서 패드 본체(100), 구체적으로는 제1 패드(11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장편(140)과 걸림 슬릿(141)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편(140)에 제7 자극편(2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연장편(140)은,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패드(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 슬릿(141)은,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연장편(140)의 내부에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7 자극편(270)은, 사용자의 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인 귓불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인 예풍혈(70)에 대응되게, 연장편(140)에 장착되고, 걸림 슬릿(141)의 하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패드(110)를 얼굴의 상부측에 밀착시킨 후 걸림 슬릿(141)을 따라 연장편(140)의 내부를 벌려 도 4와 같이 귀에 걺으로써 불가피하게 일어서거나 얼굴을 기울이는 등의 자세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제1 패드(110)가 얼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제2 패드(120)를 얼굴의 하부측에 밀착시키고 제3 패드(131, 132, 133)를 목에 밀착시켜 피부 진정 및 트러블 개선을 위한 시술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111, 111)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110)와,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121)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120)를 포함하는 패드 본체(100); 및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패드 본체(100)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자연석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패드 본체(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자극부(200)를 포함하며, 자극부(200)는 제1 패드(110)와 제2 패드(12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패드 본체(100)가 사용자의 피부에 활력을 줌과 동시에, 자극부(200)가 안면의 주요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팔자주름과 미간주름 눈꼬리주름 입꼬리주름 등을 포함한 각종 주름이나 기미, 여드름 또는 잡티 등 각종 피부트러블의 개선에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본체(100)는 천연 펄프 소재로 이루어지며, 패드 본체(100)는 천일염 20 내지 40 중량부, 사해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 히말라야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수에 혼합한 혼합액에 침지후 진공 포장되어 출고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자연소재인 펄프와 저자극성의 각종 소금이 혼합된 혼합액으로써 앞서 설명한 각종 주름이나 여러가지 피부 트러블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극부(200)는, 사용자의 눈썹 내측 단부의 오목한 부위인 찬죽혈(1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내측 단부의 상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자극편(210)과, 사용자의 안쪽눈구석의 위 안쪽 부분과 눈구멍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부위인 정명혈(2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내측 단부의 하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자극편(220)과, 사용자의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관자놀이 부위인 태양혈(30)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제1 통공(111, 111) 각각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3 자극편(230)과, 사용자의 코입술고랑 위, 콧방울 가장자리쪽 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영향혈(40)에 대응되게, 제1 패드(110)의 사용자의 코 하부 양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4 자극편(240)과, 사용자의 동공에서 수직으로 아래쪽, 콧방울 아래 모서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거료혈(50)에 대응되게, 제1 패드(110)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제2 패드(1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1 패드(110)에서 제4 자극편(240)과 제1 패드(110)의 하부 가장자리 양끝 사이 또는, 제2 패드(120)에서 제1 패드(110)에 배치된 위치와 이웃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5 자극편(250)과,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인 지창혈(60)에 대응되게, 제2 통공(121)의 양측 단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6 자극편(260)을 포함함으로써, 자극부(200)가 사용자의 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주요 혈자리를 자극토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주름 또는 피부트러블의 개선은 물론, 각 혈자리를 자극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예를들면 두통이나 눈떨림 어지럼증 신경증 등의 개선에도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패드(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140)과,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연장편(140)의 내부에 절개 형성되는 걸림 슬릿(141)과, 사용자의 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인 귓불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인 예풍혈(70)에 대응되게, 연장편(140)에 장착되고, 걸림 슬릿(141)의 하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7 자극편(270)을 더 구비함으로써, 불가피하게 몸을 일으키거나 움직여야 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연장편(140)이 귀에 걸려 있으므로 패드 본체(100)가 확실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연장편(140)에 구비된 제7 자극편(270)에 의하여 예풍혈(70)을 자극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 즉 피로회복이나, 혈액순환 개선, 치통이나 멀미의 개선, 눈을 밝게 하는 효과나, 안면근육 마비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좋은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하여 주름 및 잡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찬죽혈
20...정명혈
30...태양혈
40...영향혈
50...거료혈
60...지창혈
70...예풍혈
100...패드 본체
110...제1 패드
110c...곡선 형성부
110n...직선 형성부
111, 111...제1 통공
112, 112...노치홈
115...밀착 슬릿
120...제2 패드
121...제2 통공
131, 132, 133...제3 패드
140...연장편
141...걸림 슬릿
200...자극부
201...자극편
201b...바닥면
201e...모서리
201p...가압면
201s...경사면
210...제1 자극편
220...제2 자극편
230...제3 자극편
240...제4 자극편
250...제5 자극편
260...제6 자극편
270...제7 자극편

Claims (5)

  1.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눈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마와 눈 가장자리 및 코와 광대뼈 상부를 덮는 제1 패드와, 상기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하부와 입 가장자리 및 턱을 덮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상기 패드 본체의 면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직경 또는 폭이 0.5 내지 2mm인 알칼리 현무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각 부위에 위치한 경혈 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 본체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덮이면 상기 경혈 자리 각각을 자극하도록 구비된 자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부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 본체는 천연 펄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본체는 천일염 20 내지 40 중량부, 사해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 히말라야 소금 20 내지 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수에 혼합한 혼합액에 침지후 진공 포장되어 출고되며,
    상기 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썹 내측 단부의 오목한 부위인 찬죽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상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안쪽눈구석(inner canthus)의 위 안쪽 부분과 눈구멍(orbit)의 안쪽 벽 사이의 오목한 부위인 정명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내측 단부의 하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눈과 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관자놀이 부위인 태양혈에 대응되게, 상기 한 쌍의 제1 통공 각각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3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코입술고랑(nasolabial sulcus) 위, 콧방울(ala of the nose) 가쪽모서리의 중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영향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패드의 상기 사용자의 코 하부 양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4 자극편과,
    상기 사용자의 동공(pupil)에서 수직으로 아래쪽, 콧방울(ala of the nose)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부위인 거료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패드에서 상기 제4 자극편과 상기 제1 패드의 하부 가장자리 양끝 사이 또는, 상기 제2 패드에서 상기 제1 패드에 배치된 위치와 이웃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5 자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 옆 팔자 주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부위인 지창혈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통공의 양측 단부 외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6 자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과,
    상기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상기 연장편의 내부에 절개 형성되는 걸림 슬릿과,
    상기 사용자의 귀 맨 아래의 축 처진 부분인 귓불 바로 뒤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 부위인 예풍혈에 대응되게, 상기 연장편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 슬릿의 하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7 자극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KR1020180140573A 2018-11-15 2018-11-15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KR10230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73A KR102305513B1 (ko) 2018-11-15 2018-11-15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73A KR102305513B1 (ko) 2018-11-15 2018-11-15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0A KR20200056650A (ko) 2020-05-25
KR102305513B1 true KR102305513B1 (ko) 2021-09-24

Family

ID=7091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73A KR102305513B1 (ko) 2018-11-15 2018-11-15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448B1 (ko) 2020-07-20 2022-10-04 주식회사 모닝캄솔트 소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85B1 (ko) * 2013-05-24 2014-03-31 주식회사 이앤아이티홀딩스 안면 혈자리 자극을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마스크 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10Y1 (ko) 2003-02-14 2003-05-16 주식회사 흙고을온돌침대 얼굴 마사지용 마스크
KR20050019188A (ko) * 2003-08-18 2005-03-03 (주)살루스 테크놀로지 미용 마스크
KR200424808Y1 (ko) 2006-05-16 2006-08-28 (주)아모레퍼시픽 경락 마사지가 가능한 마스크팩
KR101034180B1 (ko) * 2008-05-09 2011-06-20 김영복 구기자 엑기스를 포함하는 피부미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85B1 (ko) * 2013-05-24 2014-03-31 주식회사 이앤아이티홀딩스 안면 혈자리 자극을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0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008B1 (ko) 피부미용 복합 기능을 갖는 스킨 케어
JP3122012U (ja) 美容マッサージマスク
KR101379385B1 (ko) 안면 혈자리 자극을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마스크 팩
KR200416529Y1 (ko) 마스크팩 피부 미용기
KR20090121643A (ko) 얼굴 경락 마사지기
CN205411707U (zh) 一种硅胶面膜罩
KR102305513B1 (ko) 소금과 자연석을 이용한 마스크팩 어셈블리
KR101516226B1 (ko) 미용 마스크 키트
KR102170281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CN204563320U (zh) 一种磁疗保健面罩
CN201127702Y (zh) 健身按摩夹
CN105079952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眼贴
TWM581470U (zh) Multi-functional mask that can pressurize and lift the acupuncture points on the face
KR20120005281U (ko) 피부마사지구
TWI718483B (zh) 可對臉部穴位加壓與拉皮並可重複使用的多功能面罩
GB2216800A (en) An eye massage device
KR20140024161A (ko) 안면 마사지 장치
KR100873374B1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혈을 진동시키기 위한 물 분사기”를사용한 경혈의 진동(Vibration)에 의해 핸드경락 관리방법
CN205181998U (zh) 一种电子针灸美容面罩
JP2011062296A (ja) 顔のマッサージ方法
CN206044945U (zh) 一种头部按摩设备
KR200491961Y1 (ko) 발열 패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사지 패치
CN106074144A (zh) 一种保健用眼部按摩器
KR200495464Y1 (ko) 혈자리 자극이 가능한 마스크팩
JPS626A (ja) ゲルマニウム含有化粧品及び美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