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907B1 -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907B1
KR102304907B1 KR1020200065235A KR20200065235A KR102304907B1 KR 102304907 B1 KR102304907 B1 KR 102304907B1 KR 1020200065235 A KR1020200065235 A KR 1020200065235A KR 20200065235 A KR20200065235 A KR 20200065235A KR 102304907 B1 KR102304907 B1 KR 10230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region
multifunctional structure
heat generating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웅
Original Assignee
(주) 인텍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텍디지탈 filed Critical (주) 인텍디지탈
Priority to KR102020006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3Linear arrays of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는, 전자기기 내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기능 구조체(100)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12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발열 유닛(10) 또는 진동 유닛(20)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능 구조체가 주 발열원과 면 접촉하고, 주 발열원으로부터 전달 받은 열을 구조체 전체로 확산시킴으로써, 최소한의 부피로 전자기기를 방열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MULTIFUNCTIONAL STRUCTURE AND BROADCAST TRANSMITT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예. 스피커)의 방열 효율을 높이고,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기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컴퓨터, 스마트폰, TV, 라디오, 냉장고 등 전력 공급을 통해 구동하는 각종 기기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 중 방송 송신용 전자 기기는 방송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기이며, 소리와 진동을 발생시킨다.
방송용 전자기기 중 하나인 스피커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스피커는 크게 네트워크(Cross-over Network), 유닛(Unit), 인클로저(Enclosure)의 3대 요소로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음향 신호를 지정된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 외관, 즉 울림통을 의미하며, 울림 방식에 따라 베이스 리플렉스형(Bass-reflex), 밀폐형(Closed), 개방형(Open-baffle)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인클로저는 구조 상 공진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으며, 이에 공진 현상을 적극 활용하여 인클로저 자체의 울림을 악기처럼 활용하거나, 완전하게 공진 현상을 제거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인클로저가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의 인클로저는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 합성수지, 원목, MDF 합판 등으로 제작되거나, 고비용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유닛은 진동판(Diaphragm)을 움직여서 소리를 내는 부품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자석, 보이스코일(Voicecoil), 진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닛은 소리를 내는 대역에 따라 저대역을 담당하는 유닛을 우퍼(Woofer), 중대역을 담당하는 유닛을 Mid-Woofer), 고대역을 담당하는 유닛을 트위터(Tweeter)로 구분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앰프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소리의 대역 별로 구분해주는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앰프로부터 들어오는 신호 대역을 중저역과 고역, 두 가지로 나누면 해당 스피커는 2웨이(2way) 방식의 스피커, 저역, 중역, 고역 세 가지로 나누면 해당 스피커는 3웨이 방식의 스피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소리의 대역을 나누는 기준점을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way 4스피커, 크로스오버 주파수 2kHz/8kHz"란 소리의 대역을 3가지(저음, 중음, 고음)으로 구분하고, 이를 위해서 4개의 유닛을 사용하며, 저음과 중음을 나누는 기준이 2kHz, 중음과 고음을 나누는 기준이 8kHz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는 기본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낮고 발열량이 많으며, 그에 따라 앰프와 연결된 다수의 유닛도 열을 전달 받아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성능 스피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유닛의 배치되는 바, 발열량은 더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에 냉각 장치를 구비하거나, 히트 싱크(Heatsink)를 설치하여 발열원까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전체 스피커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의 크기로 스피커 외 각종 전자기기의 내부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고, 이에 더하여, 노이즈를 유발하는 전자기기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구조체를 제안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3821호(2015.03.12.)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원과 면접촉함으로써, 열전도 표면적을 확대하여, 발열원에서 방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고, 이와 동시에 노이즈를 유발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예. 스피커)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기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의 다기능 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제작 공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예.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는, 전자기기 내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기능 구조체(100)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발열 유닛(10) 또는 진동 유닛(20)이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120)는, 평판형 발열 유닛(12)이 결합되는 결합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부(110)는, 평판형 발열 유닛(11)과 결합하는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부(12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으로 진동 유닛(20)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유닛(20)이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진동 유닛(20)의 진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측면부(130)는, 평판형 발열 유닛(13)이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삽입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후면에서, 평판형 발열 유닛(14)과 면 접촉하기 위한 후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발열 유닛(12)의 메인 발열 영역과 면 접촉하는 제1 영역(120a) 및 상기 메인 발열 영역 이외의 영역과 면 대향하는 제2 영역(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제1 영역(120a)의 두께가 제2 영역(120b)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제1 영역(120a)의 면적이 상기 메인 발열 영역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는 발열 유닛(10), 상기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20) 및 상기 발열 유닛(10) 및 상기 진동 유닛(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기능 구조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다기능 구조체(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12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상기 발열 유닛(10) 및 상기 진동 유닛(20)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능 구조체가 메인 발열원과 면 접촉하고, 메인 발열원으로부터 전달 받은 열을 구조체 전체로 확산시킴으로써, 최소한의 부피로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예. 스피커)를 방열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방향과 다기능 지지체의 삽입 방향(조립 방향)을 수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방열 효과와 동시에 진동체의 진동을 감쇠시켜, 노이즈를 유발하는 전자기기에서 노이즈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지지체의 무게 중심이 중력 방향으로 쏠려, 중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형의 다기능 구조체를 적용하여, 제작 공수를 간소화하여,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의 제작 효율이 향상되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와 발열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와 발열 유닛, 진동 모듈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가 적용된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 구조체(100)는 전자기기 내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기능 구조체(100)가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중 스피커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부(1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에 배치되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가 하나의 다기능 구조체(100)를 이룸으로써, 내부 공간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2와 같이, 다기능 구조체(10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고, 두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다기능 구조체(100)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네트워크 회로가 형성된 복수 개의 보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발열 유닛(10)으로 정의한다.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는 발열 유닛(10)과 결합되어, 발열 유닛(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는 히트 싱크(Heatsink)와 같이 부피를 차지하는 형상이 아닌, 발열 유닛(10)과 동일한 평판형으로 이루짐으로써, 스피커의 전체 부피는 최소화하되, 우수한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와 발열 유닛(1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구조체(1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열 유닛(10)은 각각 X축, Y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열 유닛(10)은 스피커의 구동에 따라 최소 25℃, 최대 105℃까지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발열 유닛(10)의 열이 스피커의 외부 구조물인 하우징(30)까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기능 구조체(100)는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은 발열 유닛과 면 접촉 또는 면 대향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부(110)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115)에서 평판형 발열 유닛(11)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부(110)에 형성된 안착홈(115)으로 평판형 발열 유닛(11)이 안착되어, 면 접촉함에 따라, 평판형 발열 유닛(11)의 상면부(110)로 확산되고, 스피커의 하우징(30) 일면으로 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하면부(120)는 하부 영역에 결합홀(1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125)에 끼워지는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평판형 발열 유닛(12)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평판형 발열 유닛(12)에는 스피커의 동작을 위한 메인 프로세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메인 프로세서가 배치된 영역을 메인 발열 영역(A)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면부(120)는 평판형 발열 유닛(12)의 메인 발열 영역(A)과 면 접촉하는 제1 영역(120a), 메인 발열 영역(A) 이외의 영역과 면 대향하는 제2 영역(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20a)의 면적은 메인 발열 영역(A)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발열 영역(A)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제1 영역(120a)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하면부(120)의 제1 영역(120a)은 평판형 발열 유닛(12)의 메인 발열 영역(A)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하면부(1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120b)은 중앙에 배치된 제1 영역(120a)을 기준으로 좌우 양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역(120a)의 좌우 양 단에 형성된 제2 영역(120b)은 평판형 발열 유닛(12)의 구조에 따라 그 형상은 다를 수 있으나, 면적은 동일하게 함으로써, 열을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
이 때, 양 단에 배치된 제2 영역(120b)은 소정 간격(d)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20a)의 폭(W)을 기준으로 제2 영역(120b)의 형성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20a)의 폭(W)을 기준으로 제2 영역(120b) 사이의 소정 간격(d)의 비율이 1:0.4 미만일 경우, 제1 영역(120a)의 중앙과, 서로 인접한 제2 영역(120b) 열이 집중되어 메인 발열 영역(A)의 열이 고르게 확산될 수 없다. 반대로, 제1 영역(120a)의 폭(W)을 기준으로 제2 영역(120b) 사이의 소정 간격(d)의 비율이 1:0.8 초과일 경우, 제1 영역(120a)로 확산된 열이 제2 영역(120b)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제1 영역(120a)의 양 쪽 모서리에 열이 집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영역(120a)의 폭(W)을 기준으로 제2 영역(120b) 사이의 소정 간격(d)의 비율은 1:0.4 이상 1: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제1 영역(120a)은 메인 발열 영역(A)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2 영역(120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13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부(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35)를 통해 평판형 발열 유닛(13)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의 구조에 따라, 다기능 구조체(100)에는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 개의 발열 유닛(1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발열 유닛(10)의 배치 간격은 발열량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장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메인 발열 영역(A)을 기준으로, 메인 발열 영역(A)과 가장 이격된 영역(하부>상부)으로 열을 확산시켜야 하므로, 다기능 구조체(100)는 발열 유닛(10)을 일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발열 영역(A)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평한형 발열 유닛(12)을 하면부(120)에 배치할 수 있으며, 나머지 평판형 발열 유닛(11)(13)을 각각의 결합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며, 그 간격을 차등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부(110)의 안착홈(115)과 측면부(130)의 삽입부(135) 사이의 간격(h1)을 측면부(130)의 삽입부(135)와 하면부(120)의 결합홀(125) 사이의 간격(h2)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메인 발열 영역(A)을 포함하여 하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부로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의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기능 구조체(100)는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후면에서, 평판형 발열 유닛(14)과 면 접촉하기 위한 후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의 후면에 후면부(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부(140)의 면적은 개방된 후면 전부를 덮지 않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부(140)의 면적은 다기능 구조체(100)의 단면적 대비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메인 발열 영역이 열이 후면부(140)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다기능 구조체(100)는 상면부(110), 하면부(120), 측면부(130) 및 후면부(14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은(Ag) 등 열 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와 발열 유닛(10), 진동 모듈(2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으로 진동 유닛(20)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유닛(20)이 삽입되는 방향은 진동 유닛(20)의 진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즉, X축 방향을 따라 진동 유닛(20)이 다기능 구조체(100)의 전면에서 삽입될 수 있으며, X축 방향으로 진동 유닛(2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진동 유닛(20)이 진동하는 동안 다기능 구조체(100)에는 역방향으로 관성이 발생하여 진동을 감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Z축 방향을 따라 진동이 감쇠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다기능 구조체(100)는 방열 기능과 진동 감쇠 기능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다기능 구조체(100)가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은(Ag) 등과 같이 메탈 소재로 제작됨에 따라, 비중에 의해 보다 큰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면부(120)는 상면부(110)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부(120)가 상면부(110) 보다 두꺼워질 때 다기능 구조체(100) 전체 무게 중심이 하면부(120)로 쏠리게 되어, 진동 유닛(20)이 발생시키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구조체(100)는 발열원에 직접 접촉하여, 방열 표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원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구조체(100)가 적용된 스피커(10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피커(1000)는 크게 발열 유닛(10), 진동 유닛(20) 및 이를 지지하는 다기능 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 유닛(10)은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는 프로세서(본 발명의 메인 발열 영역(A))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피커(1000)의 구동에 따라 메인 발열 영역(A)을 중심으로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다기능 구조체(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면부(110)와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형 측면부(130)로 이루어지며, 메인 발열 영역(A)과 면 접촉하고 있는 하면부(120)는 하부의 열을 측면부(130)를 따라 상면부(1120)로 확산시킬 수 있다.
진동 유닛(20)은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유닛으로서, 스피커(10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유닛(20)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기능 구조체(100)의 개방된 공간 전면에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유닛(20)과 다기능 구조체(100)의 결합 구조를 통해, 스피커(1000) 또는 다기능 구조체(10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기능 구조체(100)는 발열 유닛(10) 및 진동 유닛(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발열 효과와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구조물의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스피커(10)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두 가지의 기능을 하나의 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10)의 제작 공수가 간소화되고, 제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스피커
100: 다기능 구조체
110: 상면부
115: 안착홈
120: 하면부
120a: 제1 영역
120b: 제2 영역
125: 결합홀
130: 측면부
135: 삽입부
140: 후면부
10: 발열 유닛
11, 12, 13: 평판형 발열 유닛
20: 진동 유닛
30: 하우징

Claims (11)

  1. 전자기기 내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기능 구조체(100)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는 일체로 된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고,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은 상기 하나의 구조체에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발열 유닛(10)이 면 접촉 또는 면 대향 결합되고,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진동 유닛(20)이 결합되며,
    상기 하면부(120)는,
    평판형 발열 유닛(12)의 메인 발열 영역과 면 접촉하는 제1 영역(120a) 및 상기 메인 발열 영역 이외의 영역과 면 대향하는 제2 영역(12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120a)의 면적이 상기 메인 발열 영역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 다기능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평판형 발열 유닛(12)이 결합되는 결합홀(125)이 형성된, 다기능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10)는,
    평판형 발열 유닛(11)과 결합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 다기능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20)이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진동 유닛(20)의 진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다기능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30)는,
    평판형 발열 유닛(13)이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삽입부(135)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후면에서, 평판형 발열 유닛(14)과 면 접촉하기 위한 후면부(140)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구조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제1 영역(120a)의 두께가 제2 영역(120b)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된, 다기능 구조체.
  10. 삭제
  11.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는 발열 유닛(10);
    상기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20); 및
    상기 발열 유닛(10) 및 상기 진동 유닛(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기능 구조체(100); 를 포함하되,
    상기 다기능 구조체(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0) 및 하면부(120),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의 마주보는 양 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는 일체로 된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고,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은 상기 하나의 구조체에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발열 유닛(10)이 면 접촉 또는 면 대향 결합되고,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및 상기 측면부(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상기 진동 유닛(20)이 결합되며,
    상기 하면부(120)는,
    평판형 발열 유닛(12)의 메인 발열 영역과 면 접촉하는 제1 영역(120a) 및 상기 메인 발열 영역 이외의 영역과 면 대향하는 제2 영역(12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120a)의 면적이 상기 메인 발열 영역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 다기능 구조체.
KR1020200065235A 2020-05-29 2020-05-29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KR10230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35A KR102304907B1 (ko) 2020-05-29 2020-05-29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35A KR102304907B1 (ko) 2020-05-29 2020-05-29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07B1 true KR102304907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35A KR102304907B1 (ko) 2020-05-29 2020-05-29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9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477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방열구조
JP2008294615A (ja) * 2007-05-23 2008-12-04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ーカを内蔵した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503821B1 (ko) 2013-09-23 2015-03-25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양방향 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477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방열구조
JP2008294615A (ja) * 2007-05-23 2008-12-04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ーカを内蔵した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503821B1 (ko) 2013-09-23 2015-03-25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양방향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533B2 (en) Passive acoustic radiating
US4733749A (en) High output loudspeaker for low frequency reproduction
EP3257264B1 (en) Loudspeaker enclosure with a sealed acoustic suspension chamber
US5815589A (en) Push-pull transmission line loudspeaker
US5097513A (en) Speaker system enclosure integrated with amplifier circuit board
US20170055067A1 (en) Thin high performance constant directivity waveguide and speaker
EP2416590A2 (en) Speaker system and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CN111149371B (zh) 一种扬声器以及移动终端
US20230276176A1 (en) Speaker unit
GB2130048A (en) Speaker system
WO2023185412A1 (zh) 发声模组和电子设备
US20230269527A1 (en) Audio device
JP7455196B2 (ja) 電子機器
KR102304907B1 (ko) 다기능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기 및 전자기기
KR200387458Y1 (ko) 라인어레이 스피커 혼
US4870691A (en) Load and dispersion cell for sound
US8073168B2 (en) Compact open baffle speaker system
CN112544087B (zh) 具有多平面、嵌套、折叠喇叭的扬声器系统
TWI669967B (zh) 低音揚聲器的擴展系統及其設計方法
CN219960768U (zh) 一种扩散器及音箱装置
CN217486606U (zh) 扬声器模组及带屏音箱
CN113490087B (zh) 扬声器系统和音箱
CN219916603U (zh) 显示设备
CN213960311U (zh) 一种带有分频声板的扬声器
CN210168126U (zh) 电视的扬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